The Journal of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pISSN: 2383-5214 /eISSN: 2733-4279

HOME E-SUBMISSION SITEMAP CONTACT US

Journal Detail

Journal Detail

Export Citation Download PDF PMC Previewer
A Study on the Type of 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Concept of Site of Post-Modern Dance ‘장소특정적 무용공연(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의 유형연구: 포스트모던댄스의 장소 개념을 중심으로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Asian Dance Journal Vol.60 No. pp.269-288
DOI : https://doi.org/10.26861/sddh.2021.60.269

A Study on the Type of 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Concept of Site of Post-Modern Dance

Chung, EunJu*
Lecturer, Hongik University
* 정은주 hecabe_movement@naver.com
2021-02-10 2021-03-15 2021-03-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To analyze the types, I examine articles, interviews, reviews, and internet sources about 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 general site type is not just the dismantling of the boundary between everyday life and the arts but has the characteristic of a place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mind us of our ordinary life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subject of work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eryday venue. The site of specific meanings type is a museum with its own cultural and historical meaning, or the theme of the work is connec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a place where free access by the general public is not possible, and through this, an opportunity to create partnerships with local communities and institutions. The episodic site type is that the subject of the work is connected from the discarded and useless place, and through this,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past and concerns about the issues currently occurring at the performance venue. This typ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place that presents the possibility of regenerating the place again.



‘장소특정적 무용공연(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의 유형연구:
포스트모던댄스의 장소 개념을 중심으로

정은주*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강사

초록


이 연구는 포스트모던댄스에서 시도된 다양한 안무특성 중 하나인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의 개념을 살펴보고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이 선보여진 장소의 특성을 기준으로 장소유형을 분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소특정적 무용공연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 언론매체의 관련기사와 인터뷰 내용, 비평가들의 평론, 인터넷자료를 포함하여,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을 10년 이상 해온 안무가들의 개인 홈 페이지나 리뷰, 동영상자료를 많이 확보할 수 있는 작품들을 중심으로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 여 그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 일반적 장소유형은 단순히 일상과 예술의 경계 해체에 그치 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 장소의 특성에서부터 작품의 주제가 연결되며 이를 통해 우리의 평범한 일상을 상기 시키는 기회를 제공하는 장소의 특성을 갖는다. 두 번째 의미적 장소유형은 고유한 문화적, 역사 적 의미가 담긴 박물관이나 일반인의 자유로운 출입이 불가한 장소의 특성에서부터 작품의 주제가 연 결되며 이를 통해 지역 커뮤니티와 기관들과의 파트너십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장소의 특성 을 갖는다. 세 번째 사건적 장소유형은 버려지고 쓸모없어진 사건적 장소에서부터 작품의 주제가 연결 되며 이를 통해 공연장소에서 현재 일어나고 있는 현상에 대한 고민과 과거의 역사적인 의미를 회상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며 버려진 장소에 대해 장소를 새롭게 재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장소 의 특성을 갖는다.



    Ⅰ. 서 론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공연계는 잠정적 휴식기에 들어섰다. 국·내외적으로 폐 쇄된 실내 극장에서 발생하는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무관객으로 진행되는 공연에서 실 시간으로 영상을 송출하여 온라인에서 관람할 수 있는 새로운 공연방식에 대한 관심이 확 대되고 있다. 코로나19로 무대라는 공간이 실내에 국한되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에서는 해 방된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까지 무대 공간의 확장은 제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부분의 공연들이 단순히 코로나19의 방역지침을 준수하기 위해 감염 위험성이 높은 실내 극장을 벗어나 실외의 공연을 추구하고 있을 뿐, 정형화된 극장의 무대라는 틀에서는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국내에서 개최되는 많은 무용공연들이 무대 밖으로 나와 시도 되고 있지만, 단순히 실내에서 실외로 무대를 옮겨 놓았을 뿐, 실외 에서 행해지는 무용공연이 가질 수 있는 강점들을 살리는 데는 매우 미흡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환경과 장소성 등의 실외라는 공간적 특성을 조화롭게 접목시킨 무용공연을 통해 새로운 예술적 가치를 창출하고, 이런 가치들을 커뮤니티와의 소통을 통해 사회적 의미와 연결시키려는 무용 예술가들의 고민이 필요하다.

    ‘무대’라는 극장의 정형화된 공간을 벗어난 무용공연은 포스트모던댄스 시대부터 시작 되었다. 예술과 일상의 경계를 허물고자 했던 이념이 모든 무용표현에 접목됐던 포스트모 던댄스의 시대에서 일상생활의 모든 공간은 무용공연이 가능한 공간으로 인식했다.

    이렇게 포스트모더니즘적 사상을 통해 예술과 일상의 경계를 허물었던 공연은 점차 공 연 장소가 가지고 있는 의미들과 연결되면서, 지역 커뮤니티들과 소통하며 사회적 이슈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런 형태는, 단순히 실외(outdoor)에서 공연 되는 것과 다른 개념으로 장소특정적 무용공연(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이라는 장르로 분류되었다.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이란 포스트모던댄스 시대의 ‘모든 것은 춤이다(Everything is dance)’라는 슬로건 아래 시도되었던 여러 가지 실험 작업 중 하나인 ‘탈극장화’에서 시작 되었다. 그리고 나아가서는 단순히 극장을 탈피한 장소에서의 공연을 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공연하는 장소의 역사적, 사회적 측면의 의미들에서부터 안무가 시작되는 장 소특정적 무용공연으로 발전하였다. 이런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은 공간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생기를 불어넣을 뿐 아니라, 대중에게 일상에서 쉽게, 우연히 예술을 접할 수 있 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연되는 특정한 그 장소의 커뮤니티들과의 새로운 관계 를 형성하는 공연의 한 장르가 되었다.1)

    국내에서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에 대한 관심이나 연구가 시작된 시기는 얼마 되지 않았 지만, 최근에 들어서는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에 대한 무용계의 관심이 매우 증가하였다. 이 에 따라, 자연스럽게 관련된 연구들도 늘어나고 있으며, 선행연구들은 크게 커뮤니티댄스 와 특정내용을 담고 있는 개별적 작품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정은주2)는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이 커뮤니티의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한정미3)는 커뮤니티의 삶 의 질을 높이고 공연된 장소의 역사를 재조명하고 시민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통해 예술가 들과 시민들의 유대감 형성에 또한 기여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 임수정4)은 그 지역의 역 사적 가치와 장소 인식 및 지역 정체성 확립에 효과적이라고 주장하면서, 낙후된 지역의 주민들과, 예술행정기관, 예술가 협업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안무가별 작품 특성에 대한 연구에서는 오늘날의 장소특정적 공연은 관객이 참여자, 주인공이 되어 반복된 일상의 시 간의 무게와 익숙한 공간(도시)을 라이브 예술 이벤트 형식의 체험적 공연양식5)이라고 하 였으며 익숙하거나 익숙하지 않은 장소의 재발견, 공연되어지는 장소 주변의 네트워크 및 지역 커뮤니티의 발전, 공연자와 관객간의 감각적인 욕구를 충족시켜 상호보완적으로 중 요한 영향력 등의 특성들을 도출6)하였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의 사회적 필요성이나 효과 그리고 예술적 특성과 같은 미학적 개념에서 논의되어 왔다. 개별적인 장소특정적 공연의 미학적 특징, 그리고 공연이 추구하는 사회적 의미에 대해서 주로 논의가 진행 되 었을 뿐,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분류 및 유형화에 대한 연구는 시도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의 사례를 바탕으로 장소특 정적 무용공연을 형태 및 접근 방법으로 범주화하고 체계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학술적 노력을 시도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의 사례분석을 통해 나타난 장소의 특성을 기준으로 유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였다. 통합적 문헌 고찰 방법은 주로 새로운 개념적 모형이나 범위를 통합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구방 법7)으로, 기존에 논의되지 않았던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의 유형을 특성별로 범주화하는 데 적합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장소특정적 무용공연과 관련된 안무가들 중 10년 이상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을 소개한 안무가들의 작품을 주된 연구의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을 선정하는 기준으 로 개인 홈페이지나 리뷰, 동영상 자료에 대한 접근성도 중요하게 고려되었다. 장소특정적 무용공연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 언론매체의 관련기사, 인터뷰 내용, 비평가들의 평 론, 인터넷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사례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 논의한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의 특성을 토대로 자료를 각 유형별로 분석했다. 연구과정을 통해 포스트모던댄 스 시대의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에서 나타나는 장소적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 로 공연작품들의 사례가 가지고 있는 주요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공연 무대로 활용된 장소가 어떠한 사회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를 기준으로 그 유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제시된 유형을 기준으로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을 살펴보면, 해당 공 연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유형별 분석은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를 도모할 것이며, 장소특정적 무용 공연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미학적 의미를 확산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Ⅱ. ‘무대’에 대한 새로운 해석

    샐리 베인즈(Sally Banes)(2003)는 1960년대의 포스트모던댄스 안무가들은 모던댄스의 전통적 무용요소들을 모두 거부하였고 그들 자신이 새로운 형식과 미학적 기준을 스스로 만들고 그 틀 속에서 움직였다고 제시하였다.8) 즉 이 시대에는 무용이라고 생각되어 오던 범주의 고정관념을 거의 완벽하게 벗어나 무용요소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하고 광범위한 요소들을 접목하고 실험하였다.

    무용에 접목된 이런 이념은 1960년과 70년 사이 모더니즘 시대에 사회적으로 ‘하위 (Inferiority)’라는 이유로 무시되고 차별받던 여성, 흑인, 동성애자, 유색인, 소수민족들이 자신의 미학과 그들의 정체성을 주장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사회적 이념9)이 무용에 흡수되 었다. 그리고 이것이 포스트모던댄스에서 주장한 ‘Everything is dance’ 즉 ‘모든 것은 무용 이다’라는 슬로건과 함께 무대라는 공간을 바라보는 관점 역시 예술이 특별한 것이 아니라 평범한 일상과 동일한 선상에서 존재할 수 있어야 하며 결국 그 안에 ‘평등’이라는 개념과 의미를 내포하는 작업에 중점을 두며 시도되었다.

    포스트모더니즘이 나타나기 이전의 모던댄스 시대에는 일반적으로 객석과 무대의 위치 그리고 공연자와 관람자의 관계가 명확히 구분되는 극장에서의 공연을 당연하게 생각했다. 반면, 포스트모던댄스 시대에서는 표를 구입하고 들어올 수 있는 소수의 사람들에게 허용 된 극장이라는 ‘특별함’을 차별이라는 개념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 포스트모 더니즘 댄스는 소수에게 허용된 공간이라는 특권의식의 틀을 무너뜨리고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일상의 어떤 공간도 무대가 될 수 있다는 개념으로 해석되었으며, 기존의 극장에 관 한 관습적인 생각을 환기시켰다.

    포스트모던댄스 안무가들의 이런 새로운 시도가 가능했던 것은 아방가르드의 대표적인 안무가로 불리는 머스 커닝엄(Merce Cunningham)이 자신의 스튜디오에 로버트 던 (Robert Dunn)을 초청하여 주최했던 워크숍에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 이 워크숍에 참여했던 무용예술가들은 무대에 대한 확장된 개념을 실제 공연에 적용하려고 노력했다. 시몬 포티(Simon Forti)는 <See Saw>(1961)와 <Roller &Huddle>(1961)를 갤러리에서 공 연하였으며, 스티브 팩스톤(Steve Paxton)은 버스를 타고 관객들과 뉴저지 삼림으로 이동 하여 <Afternoon>(1963)을 공연하였다. 그리고 루신다 차일드(Lucinda Child)의 <Street Dance>(1964)는 브로드웨이 11번가와 12번가 사이에서, 데보라 헤이(Deborah Hey)의 <Hill>(1965)은 골프장에서, 트와일라 타프(Twyla Tharp)의 <Medley>(1969)는 뉴욕 센트 럴 공원을 무대로 하여 작품들을 선보였다. 뿐만 아니라 극장 밖에서의 공연에 많은 노력 을 기울였던 안무가 트리샤 브라운(Trisha Brown)은 빌딩 옥상에서 안전장치를 하고 천천 히 빌딩을 걸어 내려오는 작품 <Man Walking down the side of a building>(1970)을 통 해 대중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무대라는 공간을 빌딩이라는 장소로 전환한다는 발상은 뉴욕의 휘트니 박물관 안의 갤러리의 벽을 천천히 걷는 <Walking on the Wall>(1971)으 로 이어졌다.

    포스트모던댄스 시대의 무용공연에서의 무대는 사람들이 생활을 위해 활보하던 길거리 나, 일을 하던 건물들, 휴식을 위해 찾은 공원 같이 평범한 장소들이 그 대상이 되었다. 그리고 이런 일반적인 ‘장소’ 활용은 정형화된 프로시니엄 형태의 극장을 벗어나 일상적인 공간 그리고 우리 생활과 밀접한 공간에서 무용공연이 이루어진다는 일상성과, 누구나 공 연을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는 평등성이라는 주된 개념이 예술작업에 반영되어 나타난 결과이다.

    도판 1.

    포스트모던댄스 시대에 시도되었던 트리샤 브라운의 작품들

    SDDH-60-1-269_F1.gif

    Ⅲ.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의 사례분석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은 포스트모던 시대에서 평등이나 일상성에 집중된 개념을 넘어 신 체와 공간의 측면에서 장소성을 극대화시키는 공간적 의미를 내포하며 발전되었다. 장소 특정적 무용공연 작품에 나타나는 사례들을 통해 어떤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를 살펴 보고자 한다.

    1. 헤이디 더클러(Heidi Duckler)

    헤이디 더클러10)는 LA에서 활동하고 있는 콜라주 댄스 시어터(Collage Dance Theatre) 의 예술감독으로 LA Times에서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의 여왕이라고 칭할 만큼 다양한 공간에서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그녀의 첫 작품은 <Laundromatinee>로 1988년 산타모니 카의 한 빨래방에서 초연된 이후 1998년 쿠버시(Cuber City), 2006년 뉴욕(New York), 2008년 웨스트 헐리우드(West Hollywood), 2010년과 2012년 LA에서 재공연 되면서 더 클러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대중들에게 인식되었다. 이 작품은 여자들의 의식되지 않는 피 곤함들 그리고 힘든 삶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던 미국의 코인 빨래방이 도시 고급화로 인해 사라지는 현상에 대한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Cover Story>(2002)는 과거에 신문사로 사용되었던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건물에서 공연되었다. 이 작품은 신문이나 텔레비전 미디어의 영향력과 함께 더 알고 싶어 하는 채 워지지 않는 욕망에 대해 탐구하는 작품으로 과거 신문사라는 미디어와 연결되는 맥락에 서의 특정한 장소와 안무 주제를 연결시켰다.

    <Not An Entrance>(2003)는 항공우주산업 박물관안의 계단과 움직이는 에스컬레이터 를 오르내리는 공연으로 캘리포니아 과학 센터의 항공페스티벌에서 초연된 작품이다. 무 용수들은 유동적이고 비유동적인 구조로 함께 움직이면서 마치 비행하는 것처럼 표현하였 다. <C'Opera>(2006)은 LA경찰과 협업으로 제작된 작품으로 7명의 무용수, 1명의 가수, 1명의 배우, 3명의 음악가로 구성되었다. 관객들을 경찰 아카데미의 체육관, 돌로 된 정원, 커피숍, 그리고 사격 훈련장 순서로 안내하면서 이동하며 공연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더클러의 <Laundromatinee>의 공연은 일상적 장소와 일상성의 의미를 연결시킨 반면 <Cover Story>(2002)에서는 역사성을 함축하는 장소로 버려졌던 장 소에 대한 새로운 예술적 가치를 통한 재발견의 관점에서의 의미로 연결된 작품이 되었다. 또 <Not An Entrance>(2003)와 <C'Opera>(2006)는 장소에 대한 상징적 관점을 통한 의 미를 작품 속에 녹여내는 특성들이 나타났다.

    2. 노에미에 라프란스(Noémie Lafrance)

    노에미에 라프란스11)는 2003년 <Descent>(2001) 작품으로 베치 어워드(Bessie Award) 에서 안무상과 음악상을 수상했으며 2004년 25명의 꼭 봐야하는 안무가들의 작품, 더 베 스트 2006에 거론되며 미국 무용 잡지(American Dance Magazine)에서 ‘특정장소 무용 공연의 마법사’로 소개된 안무가이다. 라프란스는 2001년 뉴욕 맨하탄에 위치한, 전설적인 건축가 스탠포드 화이트(Stanford White)에 의해 디자인된 뉴욕의 시청의 시계타워 12층 계단 난관을 이용한 공연을 선보였다. 건물 안에 있는 계단과 계단의 난간을 활용하여 열 두 명의 여자 무용수들 각기 다른 층에서 같은 동작으로 표현되는 작품으로 관객은 12층에 서 아래로 계단통을 통해서 관람하게 된다. 그녀는 이 작품을 통해 여성의 가정생활에 관 한 것을 표현하고자 했고 또 그런 생활과 연관 지어 아파트에서 사람들이 이웃들의 일상들 을 보고 인지한다는 다른 차원들을 추가했다.12)

    2004년에 발표된 <Noir>(2004)은 사람들의 탐욕이나 잔인성이 가득한 암울한 곳으로 묘사하는 영화 기법의 40-50년대 할리우드 영화에서 영감 받아 만들어졌으며 중고차시장 의 주차장에서 공연되었다. 열 명의 무용수들이 주차장에서 공연했고 관객들은 주차되어 진 차 앞좌석에 앉아서 앞 유리를 통해 관람하며 라디오를 통해 소리를 직접 들을 수 있었 으며 다양한 광경들이 긴장감을 더하고 추상적인 전개는 허구와 실체 사이를 보여줬다.13) <Agora>와 <AgoraII>는 2004년과 2005년 뉴욕의 맥캐런 공원(McCarren Park) 수영장에 서 선보여졌다. 이 수영장은 1936년도에 개방되어 1984년에 문을 닫았고, 2005년 클리어 채널 엔터테이먼트가 도시공원단체에게 기본적인 시설들과 안전하게 수영장의 구조를 개 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부금을 내면서 다시 활성화 되었다. <Agora>의 주제는 뉴욕이라는 도시에서의 삶이다. 프로젝트가 처음으로 구상되었을 때 그녀는 광장공포증, 공공장소에 대한 두려움을 표현하고자 했다. 또 그녀는 그리스의 단어인 ‘Agora’의 다양한 의미인 마 켓플레이스, 타운의 중심, 지식을 얻는 열린 공간의 의미들을 포함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 녀는 사람들이 어떻게 도시에서 어우러지고 애기하고 서로 친해지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 고 그런 의미에서 모든 것은 아이디어의 집합체가 되었다.14)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라프란스의 <Descent>, <Noir>의 공연은 일상적 장소와 일상성 의 의미들 그리고 영화라는 소재를 매개체로 일상을 표현하는 의미들을 연결시켰다. 반면 <Agora>는 과거와 현재에 대한 장소에 대한 재발견의 관점을 통한 의미를 작품 속에 녹여 내는 특성들이 나타났다.

    3. 스테판 코플로위츠(Stephan Koplowitz)

    스테판 코플로위츠15)는 1984년부터 64개가 넘는 작업을 해왔으며 그중 44개의 작품은 다양한 주최 측의 요청에 의해 만들어진 작품이다. 그의 첫 번째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은 1987년 뉴욕 터미널에서 선보였던 <Fenestrations>이며 리모델링 후 1999년에 재공연 되 었다. 재공연에서는 이전에 사용 가능하지 않았던 터미널의 양쪽 창문을 동시에 사용하였 다. 터미널의 창문 안에서 공연되는 이 작품은 터미널에 머물면서 먹고 쇼핑하는 관객들의 일상에 일부가 되어 공연기간 동안 매일 저녁 7시, 8시, 9시에 공연되었다.

    <Genesis Canyon>(1996)는 영국 자연사박물관(Natural History Museum)의 웅장한 홀 의 입구에서 공연되었다. 안무가는 이 박물관의 디자인과 역사, 전통에서 작품에 대한 영 감을 받았으며 지역사회 커뮤니티의 삶에 중요한 부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 으며 38명의 무용수들과 합창단으로 작품을 구성했다.

    <Kohler Körper>(1999)는 독일 코케리 공장의 미션과 목적 그리고 역사적인 물리적 설 계에 영감 받아 만들어진 작품이며 공장지붕, 공장내부계단, 공장 앞 등의 3개의 섹션으로 나눠진 공연으로 관객들은 이 공장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공연과 공장의 설계를 잘 아는 가이드의 주도에 의해 이동하면서 관람하도록 한 작품이다.

    <The Grand Step Project>(2004)는 아름다움과 눈에 잘 들어나는 큰 계단들의 장엄한 사이의 역동적 긴장감과 평범하게 많은 사람들이 대중적으로 매일 사용하는 것에서부터 영감 받아 만들어진 작품이다. 다수의 계단에서 공연되는 장소조정이 가능한, 전 세계에서 공연될 수 있는 작업으로 30분짜리 공연으로 15분은 50명의 무용수가 춤을 추고 그전에 15분은 50명의 합창단 혹은 음악 앙상블이 공연한다. 이 작품은 뉴욕시에서 이런 정문 계 단이 있는 6개의 다른 장소에서 공연되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코플로위츠의 <Fenestrations>, <Genesis Canyon>, <Kohler Körper>는 장소가 가지고 있는 각각의 특징적 의미들이 작품들과 연결되었으나 <The Grand Step Project>은 일상적인 장소와 일상성에 관한 관점을 통한 의미들을 작품 속에 녹여내는 특성들이 나타났다.

    Ⅳ.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의 유형

    위에서 정리한 사례분석을 통해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에서 무대로 활용된 장소가 계단이 나 주차장, 빨래방처럼 평범하고 우리의 삶속에서 평범하게 존재하는 장소를 일반적 장소 유형, 박물관이나 경찰아카데미 같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존재하고 있지만 특별한 의미 를 갖고 있는 장소에서 공연된 작품을 의미적 장소유형, 그리고 이전에는 신문사나 수영장 으로 활용되었으나 지금은 버려져 있는 버려진 장소에서의 공연을 버려진 장소를 사건적 장소유형으로 분류하였다.

    1. 일반적 장소유형

    일반적 장소유형으로 분류한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은 흔히 우리가 일상에서 지나치는 계 단이나, 주차장, 빨래방16) 같은 장소를 선택한 작품이다.

    라프란스의 <Descent>와 코플로위츠의 <The Grand Step Project>는 계단에서 공연되었 다. <Descent>에서 각각의 12층 계단은 무용수들의 무대가 되었고 관객들은 위에서 아래로 관람하였으며 난관을 통해 나타났다 사라졌다를 반복하는 무용수들의 움직임은 평범한 계단 에서의 평범한 가정생활에 관한 일상적인 주제와 연결시켰다. 결국 이 작품은 건물 내부에 존재하는 계단이라는 무대 설정으로 어디에나 평범하고 흔하게 볼 수 있는 또 누구에게나 있는 가정생활의 평범함의 의미를 연결시켰지만, 건물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면 볼 수 없는 계단이 결국 실질적으로 각 가정마다 나타날 수 있는 개인사정의 의미로 연결시켰다.

    <The Grand Step Project> 역시 뉴욕시청 앞의 웅장한 계단의 무대가 되었다. 이 작품은 많은 사람들이 일상 속에서 지나치는 장소로써 사람들이 생활 속에서 만들어 가는, 실질적 으로 하고 있는 일상의 움직임으로 작품을 구성하고 시청이라는 큰 의미 앞에서 하나의 커뮤니티 공동체로서의 의미를 전달하였다.

    라프란스의 <Noir>는 주차장에서 공연되었다. 이 작품의 주제는 40년대 느와르 영화를 주제로 가져와 그 시대의 옷과 헤어스타일을 입은 무용수들이 범죄와 사랑, 열정과 내기를 암시하는 장면에서 친숙한 장르 인물, 터프한 남자 그리고 여성으로 등장시키는 사랑과 서스펜스에 관한 것이다. 느와르 계열의 영화들은 예외 없이 어둡고 음울한 도시를 배경으 로 그 안에서 살아가는 인간들의 욕망, 범죄 그리고 부패한 삶에 대해 이야기 하는데17) 그녀는 이러한 주제를 실제적으로 밤에 주차장은 외롭고 어둡고 긴장으로 가득 차 있고 무슨 일이 일어날지 예측할 수 없는 정말 무서운 곳이라고 생각하는 장소와 연결을 시켰 다. 또 마치 일상적으로 영화를 보는 것처럼 주차장을 무대로, 차안을 관객석으로 배치하 여 일상을 특별함으로 만들었다.

    더클러의 <Laundromatinee>는 빨래방을 무대로 하여 여성의 삶이라는 일상의 주제를 작품과 연결시켰다. 빨래방은 한국과 달리 미국에서는 많은 사람이 평상시에 많이 이용하 는 장소이며 특히 여성들이 많이 오게 되는 장소의 특징을 여성의 일상의 주제로 연결시키 고 나아가 사회의 현상에 대해 약자를 대변하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Laundromatinee>, <Descent>, <Noir>, <The Grand Step Project>같은 작품들은 우리 의 삶속에서 특별하지 않은 흔한 장소라는 곳을 무대로 만들고 일상적인 주제와 연결한다. 그리고 단지 일상과 예술의 경계를 해체하는 것에 지나지 않고 우리의 평범한 일상을 새롭 운 관점으로 상기 시킨다. <표 1>은 일반적 장소유형으로 분류한 작품들이다.

    표 1.

    일반적 장소유형으로 분류한 장소특정적 무용공연 작품

    SDDH-60-1-269_T1.gif

    2. 의미적 장소유형

    의미적 장소유형으로 분류한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은 우리의 일상에 존재하지만 목적을 갖고 일부러 찾아가야 하는 박물관이나 허가 없이는 들어갈 수 없는 경찰 아카데미나 공 장, 터미널 같은 장소를 선택한 작품이다.

    더클러의 <Not An Entrance>와 코플로위츠의 <Genesis Canyon>는 박물관에서 공연되 었다. 일반적으로 박물관은 문화적으로나 역사적으로 각기 다른 고유한 의미를 갖고 있는 장소이다. 항공우주산업 박물관의 출입구 계단과 에스컬레이터가 무대가 된 <Not An Entrance>은 캘리포니아 과학 센터의 100주년 비행 축제의 일환으로 무용수들은 출입구의 구조물인 출입문, 계단과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 마치 비행 하는 이미지를 만들어 냈다. 영국 자연사박물관의 입구가 무대가 된 <Genesis Canyon>은 이 박물관의 건축과 디자인 과 전통에 대한 영감에서 시작된 작품이다. 안무가는 조명 속에 나타났다 사라졌다 하는 무용수들의 움직임을 통해 카멜레온이나 바위 위의 잡초 같은 이미지들을 춤으로 만들어 냈다. 또 무용수들의 군무는 박물관의 6천만 점의 표본들이 평범한 방문객이 관찰하지 못 한 채 사적인 일을 하는 것처럼 원시적인 생활 형태를 암시하기도 했다.18) 이 작품은 자연 사 박물관 입구를 무대로 이 박물관만이 지니는 고유한 특성과 장소성의 웅장함에 미스터 리함을 더하여 마치 박물관을 들어가기도 전에 박물관을 상상하게 하는 작품으로 지역사 회의 일부로 존재하는 박물관을 지역사회의 삶 일부로 연결했다.

    더클러의 <C'Opera>19)는 1932년에 설립된 LA 경찰 아카데미 안의 체육관에서 시작하 여 사격장, 커피숍 등의 장소안의 또 다른 장소가 무대가 되었다. 그러나 안무가는 경찰 아카데미라는 큰 울타리 안에서 <C'Opera>작품을 통해서 부패와 부정에 대한 수많은 이야 기, 경찰 업무들, 그리고 경찰에 대한 인도주의적 시각을 제공했다. 관객에게 경찰 아카데 미에 들어갈 수 있는 기회를 주며 동시에 경찰력을 다른 방식으로 경험하게 하는 것이 이 작품의 목적이라고 한 것처럼20) 이 작품은 경찰 아카데미라는 장소에서 다양한 사건들의 역사를 통해 경찰과 지역 커뮤니티와의 관계형성을 유도했다.

    공장에서 공연된 코플로위츠의 <Kohler Körper>는 독일 에센주에 있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버려진 코케리(Kokerei)공장의 디자인에서 영감 받아 시작된 작품이다. 관객들은 일 반적으로 허가 없이 들어갈 수 없는 공장에서 공장의 이곳저곳을 이동하면서 관람할 수 있는 형태의 장소특정적 공연을 통해 장소의 역사성을 재발견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연결고리가 되었다.

    터미널에서 공연된 <Fenestrations>는 리모델링 후 1999년에 재공연 된 작품으로 재공 연에서는 이전에 사용 가능하지 않았던 터미널의 양쪽 창문을 동시에 사용되었으며 여행 을 위해 터미널을 찾는 사람들에게 터미널의 창문 안에서 관객들의 일부가 되어 일상의 즐거움과 예상치 못한 예술적 기회를 제공하였다.

    <Not An Entrance>, <Genesis Canyon>, <C'Opera>, <Kohler Körper>, <Fenestrations> 같은 작품들은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의미와 연결된 장소를 무대로 특정한 의미의 주제와 연결되어 고유한 의미들을 상기시킨다. <표 5>는 의미적 장소유형으로 분류한 작품들이다.

    표 2.

    의미적 장소유형으로 분류한 장소특정적 무용공연 작품

    SDDH-60-1-269_T2.gif

    3. 사건적 장소유형

    사건적 장소유형으로 분류한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은 과거에는 기능이 있던 장소였던 반 면 공연당시에는 버려진 장소로 아무런 용도로 활용되지 않고 있는 장소를 무대로 선택한 작품이다.

    더클러의 <Cover Story>는 과거 신문사였던 장소에서 컴퓨터, 책상, 의자 그리고 신문 등의 소품을 이용하여 채워지지 않는 욕망에 대한 이미지로 장소와 연결시켰다. 그리고 마감일을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는 신문사의 상황들을 묘사하여 현재는 버려진 장소에 대 한 회상으로 작품을 연결시켰다. 라프란스의 <Agora> 역시 버려진 수영장이 무대가 되었 고 그 안에서 다양한 콘셉트로 그룹지어 움직이는 무용수들은 수영장의 물결 같은 이미지 들을 만들어 냈다.

    더클러가 인터뷰에서 “건축가들은 사람들을 위해 건물들을 만들지만 그 공간은 딱 한번 생기가 더해지고 사라진다. 그리고 우리의 무용예술이 그곳으로 가서 원래 만들어진 의도 와는 조금 다르게 활기를 불어 넣는다”21)라고 말한 것처럼 <Cover Story>, <Agora>와 같 은 작품들의 장소 특성은 공통적으로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을 통해서 버려진 장소에 대한 과거의 역사적인 의미를 회상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며 다시금 장소를 새롭게 재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장소가 가진 다양한 측면 중에서 어떤 장소의 경험은 사람들의 기억을 형성하고 만일 그 기억이 시대에 걸쳐서 많은 사람들에게 작용한다면 그것은 공통 기억이 된다. 공통 기 억은 장소의 역사적 정체성과 연결된다.

    따라서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은 버려지고 쓸모없어진 사건적 공간에서의 공연을 통해 현 재 일어나고 있는 이슈에 대해서 고민할 수 있으며 지나간 과거에 일어났던 이슈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폐허되었던 이미지를 바꾸고 그 장소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기회를 제공한다. <표 3>은 사건적 장소유형으로 분류한 작품들이다.

    표 3.

    사건적 장소유형으로 분류한 장소특정적 무용공연 작품

    SDDH-60-1-269_T3.gif

    Ⅴ.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는 포스트모던댄스에서 시도된 다양한 안무특성 중 하나인 장소특정적 무용공연 의 개념을 살펴보고 컨템포러리댄스에서 나타나는 장소특정적 무용공연들의 사례분석을 통해 선보여진 장소의 특성을 기준으로 유형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 장소유형, 의미적 장소 유형, 사건적 장소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일반적 장소유형은 단순히 일상과 예술의 경계 해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 상적 장소의 특성에서부터 작품의 주제가 연결되며 이를 통해 우리의 평범한 일상을 새로 운 관점으로 상기 시켜주는 기회를 제공하는 장소의 특성을 갖는다.

    두 번째, 의미적 장소유형은 고유한 문화적, 역사적 의미가 담긴 박물관이나, 일반인의 자유로운 출입이 불가한 장소의 특성에서부터 작품의 주제가 연결되며 이를 통해 지역 커 뮤니티와 기관들과의 파트너십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장소의 특성을 갖는다.

    세 번째, 사건적 장소유형은 버려지고 쓸모없어진 장소에서부터 작품의 주제가 연결되 며 이를 통해 공연장소에서 현재 일어나고 있는 문제에 대한 고민과 과거의 역사적인 의미 를 회상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며 버려진 장소에 대해 다시금 장소를 새롭게 재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장소의 특성을 갖는다.

    결국 분류된 유형들은 장소의 특성에 따라 안무의 주제를 다르게 고민하고 접근하며 그 에 따른 환경과 공공성이 단순한 예술적 가치를 넘어 사회적 의미를 포괄하는 가능성을 갖는다.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은 포스트모던댄스 시대에 단순히 예술을 일상화하며 평등을 주장 하는 예술로써 시작되어 표현되었다면, 컨템포러리댄스 시대에는 장소 자체에 대한 역사 적, 사회적, 문화적 의미뿐만 아니라 장소가 존재하는 커뮤니티의 지역성까지도 포함할 수 있는 공연의 주체가 되었다. 따라서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에 대한 연구는 예술적 가치뿐만 아니라 지역 커뮤니티나 혹은 도시재생 등의 다양한 가치가 확대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 고 있기 때문에 향후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면, 단지 극장을 벗어난 공연의 형태로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관점에서의 다양한 가치와 의미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점차적으로 국내의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의 가치와 의미가 체계화 되고 있기 때문에 국내에서 일어나는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에 관한 연구는 또 다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Figure

    SDDH-60-1-269_F1.gif

    포스트모던댄스 시대에 시도되었던 트리샤 브라운의 작품들

    Table

    일반적 장소유형으로 분류한 장소특정적 무용공연 작품

    의미적 장소유형으로 분류한 장소특정적 무용공연 작품

    사건적 장소유형으로 분류한 장소특정적 무용공연 작품

    Reference

    1. 문성진[Moon, Sungjin], “40년대 필름느와르 연구”[40nyeondae pilleumneuwareu yeongu, Film Noir Research in the 40s], 디지털영상학술지[Dijiteol-yeongsanghaksulji, The Korean Journal of Digital Moving Image] 4(2), 2007: 71-92.
    2. 오선명[Oh, Sunmyung], “융복합 예술개념에서 무용의 양식적 특성에 대한 담론”[Yungbokhap yesulgae-nyeom-eseo muyong-ui yangsikjeok teugseong-e daehan damron, Discourse on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Dance in the Concept of Convergence Art], 한국무용학회지[Hangukmuyonghakhoeji, Korean Journal of Dance] 67(5), 2017: 73-83.
    3. 이태호[Lee, TaeHo],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전개: 다원문화주의를 중심으로”[Modeonijeumgwa poseuteu modeonijeumui jeon-gae: dawonmunhwajuuireul jungsimeuro, The Development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Focusing on Multiculturalism], 현대미술연구소논문집[Hyeondaemisulyeongus o-nonmunjip, Journal of the Contemporary Art Research Institute] 8, 2005: 36-47.
    4. 임수정[Lim, Sujeong], “장소 특정적 공연을 통한 지역 특성화의 시도와 그 효과”[Jangso teukjeongjeok gong-yeon-eul tonghan jiyeok teukseonghwaui sidowa geu hyogwa, An Attempt and Effect of Region Characterization Through a ‘Site Specific’ Performance: Based on the 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 인문콘텐츠[Inmunkontencheu, Humanities Contents] 41, 2016: 153-175.
    5. 정은주[Chung, EunJu], “커뮤니티댄스 사례를 통한 로컬댄스 활성화 방안: 미국을 중심으로”[Keomyunitidaenseu saryereul tonghan rokeoldaenseu hwalseonghwa bang-an: migugeul jungsimeuro, Activating Local Dance Through Community Dance Cases], 무용역사기록학[Muyong-yeogsagirokak, The Journal of SDDH] 56, 2020: 53-72.
    6. 한정미[Han, Jungmi], “공공예술(Public Art)의 무용으로의 확장에 관한 연구: 장소 특정적 무용공연을 중심으 로”[Gonggong-yesul-ui muyong-euroui hwakjang-e gwanhan yeongu, A Study on the Expansion of Public Art to Dance], 대한무용학회논문집[Daehanmuyong-hakhoe-nonmunjip, The Korean Journal of Dance] 78(3), 2020: 217-230.
    7. 한정미, 손각중[Han, Jungmi; Son Kwanjung], “동시대예술에서의 장소 특정적 무용공연에 관한 작품 특성 연구: 스테판 코플로위츠(Stephan Koplowitz)의 작품을 중심으로”[Dongsidaeyesul-eseoui jangso teukjeongjeok muyonggong-yeon-e gwanhan jakpum teukseong yeongu,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 in Contemporary Art], 대한무용학회논문집 [Daehanmuyong-hakhoe-nonmunjip, The Korean Journal of Dance] 77(3), 2019:167-183.
    8. Banes, Sally, Reinventing Dance in the 1960s: Everything Was Possible, Me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03.
    9. Torraco, R. J., “Writing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s: Guidelines and exampl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4(3), 2005: 356-367.
    10. 노에미에 라프란스 홈페이지, [검색일: 2021.01.15.], http://sensproduction.org.
    11. 서드 레일 프로젝트 홈페이지, [검색일: 2021.01.15.], http://thirdrailprojects.com.
    12. 스테판 코플로이츠 홈페이지, [검색일: 2021.01.15.], http://koplowitzprojects.com.
    13. 피어슨위드리그 댄스 시어터 홈페이지, [검색일: 2021.01.15.], http://www.pearsonwidrig.org.
    14. 헤이디 더클러 홈페이지, [검색일: 2021.01.15.], http://www.heididuckler.org.
    15. Baram Marcus, “Dancing in the dark,” Am New York Free Daily Newspaper, 2004.05.07., [Access: 2021.01.15.], http://sensproduction.org/sites/default/files/wysiwyg/works/noir/AMnewyork.jpg.
    16. “Dance Genesis Canyon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Independent, 1996.10.01., [Access: 2021.01.15.], https://www.independent.co.uk/arts-entertainment/dance-genesis-canyon-natural-history-museum-london-1356299.html.
    17. Goldin, Greg, “POLICE ACADEMY PAS DE DEUX,” LA Weeks, 2006.02.08., [Access: 2021.01.15.], https://www.laweekly.com/police-academy-pas-de-deux/.
    18. Kinetz,, Erika, “All Units, We've Got Cops Dancing at the Academy,” The NewYork Times, 2006.05.02., [Access: 2021.01.15.], https://www.nytimes.com/2006/02/05/arts/dance/all-units-weve-got-cops-dancing-at-the-academy.html.
    19. Kurutz, Steve. “Not Quite Nudes Descending a Staircase,” The NewYork Times, 2003.12.07., [Access: 2020.11.22.], http://sensproduction.org/sites/default/files/wysiwyg/works/descent/Descent-NYTimesCity.jpg.
    20. LeFevre, Camille, “Dancing through Architecture”, LA Architech, 2005.09., [Access: 2020.06.01.], http://www.collagedancetheatre.org/press/pdf/020610_LATimes.pdf.
    21. Scott Harrah, “Splash dance: Brooklyn's McCarren Park pool become a stage,” The Village, 2005.09.27., [Access: 2021.01.15.] https://www.amny.com/news/splash-dance-brooklyns-mccarren-park-pool-becomes-a-stage.

    저자소개

    정은주는 ‘컨템포러리댄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댄스의 미적특성과 기능’으로 박사학위를 취득, 현재는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과 서울예술대학교 강사로 재직중이며, 정은주 현대무용단 헤케이브 소은 컴퍼니를 이끌고 있다. 연구 관심사는 무용사, 무용미학, 현대무용 프로그램 개발이며 주요 연구로는 ‘아크람 칸의 <데쉬>에 나타난 문화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와 ‘현대무용을 활용한 유소녀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지상훈련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등이 있다.

    Footnote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