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pISSN: 2383-5214 /eISSN: 2733-4279

HOME E-SUBMISSION SITEMAP CONTACT US

Journal Detail

Journal Detail

Export Citation Download PDF PMC Previewer
Developing and Verifying a Wholeness Program for Prevent the Degeneration of Cognitive Function and to Maintain Residual Physical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Asian Dance Journal Vol.61 No. pp.123-148
DOI : https://doi.org/10.26861/sddh.2021.61.123

Developing and Verifying a Wholeness Program for Prevent the Degeneration of Cognitive Function and to Maintain Residual Physical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Hong, Hyejeon*
Assistant Professor, Seowon University
* 홍혜전 hyejeon007@hanmail.net

+ 이 논문은 2016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6S1A5B5A02023073).
2021-05-10 2021-06-14 2021-06-14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 Wholeness program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at preventing cognitive degeneration and maintain residual body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1 Elderly Welfare Center Day Care Center, the 20 elderly with dementia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2 Elderly Welfare Center Day Care Facility, the 20 dementia elderly as an control group. A Wholeness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a total of 30 weeks for 60 minutes. As a result, in the experimental group, except for cognitive function (LOTCA-G), K-MMS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cognitive impairment (GDS), functional fitness (SFT & BBS), and daily living ability (K-AD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of them,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of the correspond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confirming that the Wholeness program was an integrated cognitive and physical health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This result confirmed that the Wholeness program was an integrated cognitive and physical health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were lacking in timeliness and academic context will be supplemented.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홍혜전*
서원대학교 문화예술전공 조교수

초록


이 연구는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하여 홀니스프로그램을 개발하 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A1 노인복지관 주간보호시설 치매노인 20명을 실험군으로, A2노인복지관 주간보호시설 치매노인 20명을 통제군으로 배치하였으며, 주 1회, 60분간 총 30주에 걸 쳐 홀니스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에서 인지기능(LOTCA-G)을 제외하고 K-MMSE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검사), 인지장애정도(GDS), 기능체력(SFT & BBS), 일상생활수행능력(K-ADL)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실험군의 대응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어 홀니스프로그램이 치매노인 의 인지·신체 통합건강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시의성과 학문적 맥락에서 부족한 선행연 구 보완은 물론 관련 지식을 한 층 더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한다.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치매는 기억, 언어, 판단력 등 인지기능이 떨어져 일상생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후천적 임상 증후군으로 퇴행성 장애를 말한다.1) 점진적으로 발생하는 치매 증상은 기억 력과 추론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의 상실, 판단력 장애, 그리고 상대적으로 손상되지 않은 의식과 각성상태를 지닌 인격변화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초조, 공격, 흥분, 수동행동과 파 괴적 음성화 등의 문제행동으로 표현되기도 하고, 때리기, 밀기, 꼬집기 등의 신체 행동과 소리 지르기, 비난하기, 욕하기, 불평하기 등의 언어 행동으로 치매 행동이 발생한다.2) 이 렇듯 인지능력과 기억력 저하, 기능장애, 격양행동 등을 포함한 다양한 건강문제가 발생되 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치매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3)

    이러한 치매행동에 대처하기 위해 시설에서 근무하는 간호제공자들은 언어적 토론이나 기분전환법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약물요법, 억제대사용, 행동제한, 상황회피, 격리 시키기, 무반응 등의 비인격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4) 그러나 치매가 신체 및 사회적 활동을 통해 지연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5)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인지재활 프로그램 활성 화 방안 마련에 고민하고 있다.6)

    현재의 기술로는 이미 손상된 뇌세포의 재생은 불가능하지만, 다양한 기능을 관장하는 뇌의 가소성(neuronal plasticity)으로 인해 손상된 특정 부분이 본연의 기능을 담당하지 못 하더라도 자극과 훈련을 통해 손상되지 않은 부분을 활성화시킨다면 손상된 뇌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7) 이러한 측면에서 인지활동과 치매의 인과관계는 명확하게 증명되지 않 았으나 악기연주, 보드게임, 독서 등 인지적 여가활동을 주 수 회 이상 지속하는 사람의 치매 진행률이 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낮은 것으로 보고된 연구들8)을 통해 지속적인 인지 활동은 치매 진행 속도를 낮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노인의 치매 진행 속도를 늦추는 방법으로 실질적인 중재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치매는 아직까지 완치 가능한 약이 없어 조기발견과 약물치료 및 재활치료를 통해 진행 지연과 증상 경감이 최선이다.9) 이를 통해 치매 발병을 약 2년 정도 지연시킨다면 치매유 병률이 낮아지며 치매환자의 평균 중증도 역시 감소시킬 수 있다.10) 이러한 치매유병률과 치매환자 평균 중증도의 경감은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은 물론 막대한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을 초래할 수 있다.11)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중재프로그램이 제공 된다면 인지기능 퇴행지연과 잔존 신체기능 유지는 물론 장·단기적 치매악화 방지 전략에 중요한 획을 긋는 일이 될 것이다.

    홀니스프로그램(Wholeness Program)은 치매예방을 위해 예술적·정신적·영적 통합예술 건강차원에서의 창의움직임 홀니스 프로그램12)과 치매행동 완충에 그 효과가 검증된 신체 적 건강 차원인 움직임 활동 기반 홀니스 프로그램13)이 있다. 그러나 이 두 프로그램은 치매노인의 창조활동 및 표현활동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치매노인의 신체 잔존기능을 지연하는데 다소 역량이 부족하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치매환자의 신체활동 중재프로그램 중 근력, 관절 범위, 평형감 관련 활동은 인지기능과 신체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 으로 평가받고 있다.14) 따라서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근력과 관절의 움직임 범위 확장 및 균형감 유지를 위한 신체활동이 강화된 치매악화방지 홀니스프로그램의 구 상은 살아있는 뇌를 활성화시켜 치매진행을 약화시키거나 지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 에서부터 출발하였다.

    홀니스는 인간이 지닌 성향인 오성(五姓) 그러니까 체성, 지성, 감성, 덕성, 영성이 균형 잡힌 관계에서 온전한 건강한 상태 즉, 전인성을 갖춘 건강상태로 무용이나 운동 등 움직 임 활동을 통해 온전한 건강인 전인성을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15) 이에 연구자 는 치매노인에게 치매정도가 중증도를 넘기 전까지 온전한 건강상태가 지속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중재프로그램의 이름을 홀니스프로그램으로 명명하였다. 아울러 이 연구에서 새 롭게 재개발될 홀니스프로그램은 이미 개발된 창조활동 및 표현활동에 초점을 맞춰 치매 행동 약화에 그 효과가 검증되었으나 신체 근력과 관절 범위 및 균형감을 강화시킬 수 있 는 교육내용을 강화함으로써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 및 지연과 신체기능 유지 중 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치매는 앞에서도 기술하였듯이 인지기능 퇴행성 장 애이기 때문에 인지기능의 퇴화 속도를 늦추기 위하여 인지기능 퇴행방지로 정의하였으며, 치매노인의 남아 있는 신체기능을 유지, 강화시키기 위하여 잔존신체기능 유지라고 정의 하였다.

    따라서 치매노인의 치매악화방지 차원에서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은 인지, 신체의 통합적 건강을 위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치매노인들에게 적용 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신체적 조정력과 정신적 집중력을 포괄한 전문적이고도 체계적인 인지·신체 통합건 강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현재 노인의 치매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어려울 만큼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한국사회의 고령화는 대표 적 노인성 질환인 치매의 급속한 증가로 인해 엄청난 사회적·경제적 부담감을 지니고 있 다. 이에 본 연구자는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중재프 로그램을 개발하여 치매유병률과 치매환자 평균 중증도 경감을 유도해 치매악화를 지연함 으로써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은 물론 막대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절감되기를 기대한다. 그러기 위한 노력으로 1차년도에는 인지 및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한 후. 2차년도에는 홀니스프로그램의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는 마지막 연구단계로서 홀니스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첫째, 홀니스프로그램 참가 여부에 따라 치매노인의 K-MMSE(한국판 간이 정신상태검 사)의 차이가 있는가?

    • 둘째, 홀니스프로그램 참가 여부에 따라 치매노인의 인지장애정도(GDS)는 차이가 있는가?

    • 셋째, 홀니스프로그램 참가 여부에 따라 치매노인의 인지기능(LOTCA-G)은 차이가 있 는가?

    • 넷째, 홀니스프로그램 참가 여부에 따라 치매노인의 기능체력(SFT & BBS)은 차이가 있 는가?

    • 다섯째, 홀니스프로그램 참가 여부에 따라 치매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K-ADL)은 차 이가 있는가?

    II. 연구방법

    1. 프로그램 개발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 개발을 위 해 치매노인 전문병원의 진료 하에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2인, 뇌질환 전 문의 2인, 사회복지사 2인, 치매노인 재활치료가 2인, 운동/무용 지도자 2인 총 10인을 대상으로 총 4회차(주1회, 회당 60분) 학습지도안을 중심으로 5회에 걸쳐 프로그램 실습, 질의응답, 공개토의와 평가회 등 전문가 회의를 거쳐 수정·보완하였다. 아울러 프로그램의 타당성뿐만 아니라 교수-학습의 수월성과 효율성을 최우선적으로 검토, 치매노인의 인지 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을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2) 프로그램 개발 절차

    첫째,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 개발 절차는 <도판 1>과 같이 ADDIE 모형16)을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교수체제개발 모형인 ADDIE 모형에는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의 5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17)

    도판 1.

    홀니스프로그램 개발 절차

    SDDH-61-1-123_F1.gif

    둘째, ADDIE 모형을 바탕으로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학습내용을 체계화시키기 위해 총 4차시(주 1회, 회당 60분) 학습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셋째, 총 5회의 치매노인, 교육, 복지, 전문의, 치료사 등 총 10인의 전문가들을 대상으 로 프로그램 실습, 질의응답, 공개토의와 평가회 등 전문가 회의를 거쳐 수정·보완한 프로 그램의 타당성뿐만 아니라 교수-학습의 수월성과 효율성을 최우선적으로 검토, 치매노인 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3) 프로그램 내용의 타당성 검토

    이 연구에서 개발한 홀니스프로그램이 얼마나 타당한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 및 실습참여자 총 10인에게 의뢰, 총 5회에 걸쳐 공개토의 및 내용타당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영역은 학습모형 및 학습행위요소 개발 관련 선행연구18)에서 사용한 타당 성, 설명력, 유용성, 보편성, 이해도, 행위요소 적절성 총 6개 분야를 ‘매우 그렇다(5점)’~ ‘매우 그렇지 않다(1점)’로 구분하여 각각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든 영역에 걸쳐 평균 4.0을 넘어 프로그램 내용이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만, 이해도와 행위요소 적절성은 타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수가 낮았다. 이는 인지 기능 퇴행방지를 위한 표현움직임을 보다 명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제시할 필요가 있다 는 점, 그리고 행위요소들 간 중복되는 내용을 줄이고 하위절차에 부합되는 행위요소들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이 정성적 평가에서 지적되었다.

    표 1.

    프로그램 내용의 타당성 검토 결과

    SDDH-61-1-123_T1.gif

    2. 최종 홀니스프로그램(Wholeness Program)

    홀니스프로그램은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해 개발된 인지·신체 통 합건강프로그램이다. 인지기능은 사람이 생각하고, 기억하고, 배우고, 언어를 사용하는 의 식적 정신기능으로 개인의 인식과 지식 습득의 정신적 행위 과정을 말한다.19) 신체기능은 근골격계와 관련된 하지근력, 균형감, 유연성으로 구성된 신체기관의 기능적 건강상태를 말한다.20) 또한 인지기능과 신체기능의 통합과정이라 할 수 있는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BADL)에는 옷입기, 씻기, 화장실 사용하기, 밥 먹기, 걷기와 같은 자기관리기술을 말하며, 수단적 일상생활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에는 전화기 사용하기, 자동차 운전하기, 약 복용하기, 음식준비하기 등과 같은 좀 더 복잡한 고위기술이 있다.21) 치매는 인지기능과 신체기능의 퇴행정도를 통해 치매의 중증도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두 가지 기능은 치매노인의 관리 및 보호 에 중요한 예측인자로 여겨지고 있다.22) 이상의 이론적 근거와 앞에서 기술한 프로그램 개발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완성된 홀니스프로그램의 자세한 내용은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표 2.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

    SDDH-61-1-123_T2.gif

    3. 프로그램 검증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이 연구는 A1과 A2 노인복지관 주간보호시설에 개설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 참여 노 인 중 첫째, 치매노인전문병원의 진료 하에 치매관련 약물 복용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 치매노인, 둘째, 시력과 청력에 이상이 없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치매노인 셋째, 운동 부적 응증인 급성염증질환, 심질환, 신장질환, 호흡기질환 및 간질환이 없는 치매노인, 넷째, 독 립적 또는 보조적으로 활동에 참여할 수 있고 신경외과적, 정형외과적 질환이 없는 치매노 인, 다섯째, 가족과 보호자 및 주치의가 프로그램 참여를 허락하고 본인이 연구에 참여하 기를 동의한 치매 노인으로 위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총 40명의 치매노인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상자들의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무작위로 A1노인복지관 주간보호시 설 치매노인 20명을 실험군으로, A2노인복지관 주간보호시설 치매노인 20명을 통제군으 로 배치하였다. 실험군은 약물복용과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 니스프로그램 활동을 주 1회, 60분간 실시하였고, 통제군은 동일 기간 동안 약물복용만 할 뿐, 구조화된 무용 또는 운동 참여를 제한하고 평소 생활습관을 유지하도록 권하였다.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 활동은 2018년 8월 6일 부터 2019년 2월 27일까지 30주간, 주 1회, 60분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개인적 특 성은 <표 3>과 같다.

    표 3.

    프로그램 검증 연구대상

    SDDH-61-1-123_T3.gif

    2) 측정 및 검사도구

    치매노인은 뇌 조직이 퇴보되어 인지기능뿐만 아니라 보행, 균형, 근력 등 기능적 움직 임과 같은 신체기능에 영향을 받게 된다.23) 따라서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 신체 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인지기능 관련 측정도구는 한 국판 간이 정신 상태검사인 K-MMSE, 인지장애정도를 측정하는 GDS, 인지기능평가도구 인 LOTCA-G와 기능체력 관련 측정도구인 SFT와 균형을 측정하는 BBS, 그리고 일상생 활수행능력을 측정하는 K-ADL을 이용해 홀니스프로그램 참여 전과 참여 후 총 2회를 측 정하였다.

    (1) K-MMSE(한국판 간이 정신상태검사)

    K-MMSE(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는 치매진단 및 중증도 분류로 인지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구이다.24) 타당도와 신뢰도가 입 증된 치매에 대한 선별검사로서 지남력(시간, 주소, 장소에 대한 인지능력) 10점, 기억 등 록 3점, 기억 회상 3점, 주의집중 및 계산 5점, 언어 기능 7점, 이해 및 판단 2점으로 총 30점이며, 9점 이하는 ‘중증’, 10-17점은 ‘중증도’, 18-23점은 ‘경증’, 그리고 24점 이상은 ‘정상’으로 평가한다.

    (2) 인지장애정도(GDS) : GDS(Global Deterioration Scale)

    치매의 인지장애 정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평가도구로 인지기능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능력 유지도를 평가한다.25) GDS는 총 일곱 단계로 치매증상의 심각도를 구분하는데 GDS1(인지장애 없음), GDS2(매우 경미한 인지장애), GDS3(경미한 인지장애), GDS4(중 등도 인지장애), GDS5(초기 중증의 인지장애), GDS6(중증의 인지장애), GDS7(후기 중증 의 인지장애)로 구분한다.

    (3) 인지기능(LOTCA-G) : LOTCA-G(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노인용 로웨스테인 작업치료 인지기능을 세분화하여 파악할 수 있는 평가도구이다.26) LOTCA-G는 지남력(2개), 시·지각(4개), 공간지각(4개), 운동실행(3개), 시각운동 조직력 (7개), 사고 조작력(7개)의 6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총 26개 하위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4) 기능체력(SFT & BBS)

    SFT(Senior Fitness Test)는 기능체력 측정도구로 유연성, 근력, 전신지구력, 민첩성, 동 적 평형성을 측정한다.27) 또한 BBS(Berg Balance Scale)는 낙상 위험이 높은 노인과 신경 계 환자의 균형 평가도구이다.28)

    (5) 일상생활수행능력(K-ADL)

    한국형 일상생활수행 측정도구(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는 옷 갈아입기, 세수/ 양치질/머리감기, 목욕/샤워하기, 식사하기, 일어나 방 밖으로 나가기, 화장실 이용하기, 대소변 조절하기, 총 7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29) 각 문항별로 ‘도움 필요 없음’, ‘부분 적인 도움이 필요함’, ‘전적으로 도움이 필요함’으로 응답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대상자 가 하나 이상의 일상생활수행에서 부분 이상의 도움이 필요하다면 ‘일상생활수행 의존’ 집 단으로 구분한다.

    3) 자료처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 21.0을 이용, 각 항목의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고, 집단 간 인지기능 관련 K-MMSE, GDS, LOTCA-G와 기능체 력 관련 SFT, BBS, K-ADL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를, 사전·사후 차이 검증을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이때 모든 유의수준은 p<.05이다.

    III. 홀니스프로그램 효과 검증

    1. 집단의 동질성 검증

    이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실험군 20명, 통제군 20명, 총 40명이다. 실험군과 통제군의 동질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표 4> ~ <표 8>과 같다. 인지능력(K-MMSE)에 대한 실험군과 통제군의 두 집단 간 동질성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실험군(M=14.03)이 통제군(M=13.91)에 비해 다소 높은 점수를 보였지만 통계적(t=.219, p=.817)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또한 인지장애정도(GDS)에 대한 실험군과 통제 군의 두 집단 간 동질성 검증 결과, 실험군(M=18.45)이 통제군(M=18.10)에 비해 다소 높은 점수를 보였지만 통계적(t=.468, p=.643)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인지기능 (LOTCA-G)에 대한 실험군과 통제군의 두 집단 간 동질성 검증 결과, 실험군(M=69.79) 이 통제군(M=76.63)에 비해 다소 낮은 점수를 보였지만 통계적(t=2.681, p=.074)으로 유 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기능(SFT)과 체력(BBS)에 대한 실험군과 통제군의 집단 간 동질 성 검증 결과, 상지유연성은 실험군(M=-8.12)이 통제군(M=-7.50)에 비해 다소 낮은 점 수를 보였지만 통계적(t=1.567, p=.426)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하지유연성 역시 실험군(M=19.32)이 통제군(M=20.01)에 비해 다소 낮은 점수를 보였지만 통계적(t=.095, p=.058)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상지근력의 실험군(M=17.71)이 통제군 (M=23.62)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지만 통계적(t=.385, p=.201)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 니었고, 하지근력은 실험군(M=16.37)과 통제군(M=16.37)이 동일한 점수를 보였지만 통 계적(t=.596, p=.743)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전신지구력의 실험군(M=554.50)이 통제군(M=489.37)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였지만 통계적(t=2.608, p=.059)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민첩성과 동적평형성의 실험군(M=19.33)이 통제군(M=18.82)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였지만 통계적(t=.405, p=.174)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BBS(균형) 의 실험군(M=35.00)이 통제군(M=36.83)에 비해 다소 낮은 점수를 보였지만 통계적 (t=0.3444, p=.964)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그러므로 인지능력(K-MMSE)과 인지 장애정도(GDS), 인지기능(LOTCA-G), 기능체력(SFT, BBS), 그리고 일상생활수행능력 (K-ADL)에 있어 모두 동질한 집단임이 확인되었다.

    표 4.

    홀니스프로그램의 K-MMSE 측정 결과

    SDDH-61-1-123_T4.gif

    2. 홀니스프로그램의 K-MMSE(한국판 간이 정신상태검사)에 대한 효과 검증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이 인지능 력(K-MMSE)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군과 통제군의 사전·사후검사를 분석 한 결과는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다. 집단 내 변화에서 실험군은 14.03±2.14에서 사후 14.98±2.74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1), 통제군은 13.91±1.95에서 사후 13.10±2.29로 감소하였고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또한 집단 간 변화에서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 활동 30회 후 실험군과 통제군 간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따라서 홀니스프로그램은 치매노 인의 인지능력 퇴행방지에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인지중재프로그램임이 확인되었다.

    3. 홀니스프로그램의 인지장애정도(GDS)에 대한 효과 검증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이 인지장 애정도(GDS)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군과 통제군의 사전·사후검사를 분석한 결과는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다. 집단 내 변화에서 실험군은 18.45±2.25에서 사후 16.55±2.60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1), 통제군은 18.10±2.46에서 사후 19.25±2.57로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또한 집단 간 변화에서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 활동 30회 후 실험군과 통제군 간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따라서 홀니스프로그램은 치매노 인의 인지장애정도 퇴행방지에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인지중재프로그램임이 확인되었다.

    표 5.

    홀니스프로그램의 GDS 측정 결과

    SDDH-61-1-123_T5.gif

    4. 홀니스프로그램의 인지기능(LOTCA-G)에 대한 효과 검증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이 인지기 능(LOTCA-G)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군과 통제군의 사전·사후검사를 분석 한 결과는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다. 집단 내 변화에서 실험군은 69.79±19.97에서 사후 71.03±20.28로 증가하였고,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5), 통제군 역시 76.63±12.09에서 사후 77.48±13.22로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집단 간 변화에서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 활동 30회 후 실험군과 통제군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p>.05). 따라서 홀니 스프로그램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에는 효과가 없는 프로그램임이 확인되었다.

    표 6.

    홀니스프로그램의 LOTCA-G 측정 결과

    SDDH-61-1-123_T6.gif

    5. 홀니스프로그램의 기능체력(SFT와 BBS)에 대한 효과 검증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이 기능체력 (SFT와 BBS)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군과 통제군의 사전·사후검사를 분석한 결과는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다. 상지와 하지유연성의 집단 내 변화에서 실험군은 상지 8.12±7.90, 하지19.32±10.05에서 사후 상지 5.75±9.34, 하지25.53±5.33로 유의하게 증 가하였으며(p<.05, p<.01,), 통제군은 상지 7.50±7.36, 하지20.01±4.51에서 사후 상지 8.87±7.99, 하지20.46±4.05로 미세한 증가는 있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05). 또한 집단 간 변화에서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 활동 30회 후 실험군과 통제군 간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p<.01). 상지 와 하지근력의 집단 내 변화에서 실험군은 상지17.71±3.77, 하지16.37±3.46에서 사후 상지 24.28±6.18, 하지21.25±2.31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통제군은 상지 23.62±6.23, 하지16.37±4.71에서 사후 상지21.25±2.31, 하지17.62±4.37로 상지는 감소 하였고, 하지는 미세한 증가는 있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또한 집단 간 변화에서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 활동 30회 후 실험군과 통제군 간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p<.01). 전신지구력의 집단 내 변화에서 실험군은 1554.50±102.42에서 사후 568.86±87.43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p<.05), 통제군은 489.37±46.55에서 사후 469.00±60.49로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또한 집단 간 변화에서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 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 활동 30회 후 실험군과 통제군 간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민첩성과 동적평형성의 집단 내 변화에서 실험군은 19.33±3.99에서 사후 16.75±3.94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통제군은 18.82±2.90에서 사후 18.34±2.62 로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또한 집단 간 변화에서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 활동 30회 후 실험군과 통제군 간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p<.01). BBS(균형)의 집단 내 변화에서 실험군은 35.00±10.88에서 사후 42.17±11.59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통제군은 36.83±14.92 에서 사후 39.08±13.94로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또한 집단 간 변화에서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 활동 30회 후 실험군과 통제군 간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따라서 홀니스프로그 램은 치매노인의 기능체력 유지에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신체중재프로그램임이 확인되었다.

    표 7.

    홀니스프로그램의 SFT와 BBS 측정 결과

    SDDH-61-1-123_T7.gif

    6. 홀니스프로그램의 일상생활수행능력(K-ADL)에 대한 효과 검증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이 일상행 활수행능력(K-ADL)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군과 통제군의 사전·사후검사를 분석한 결과는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다. 집단 내 변화에서 실험군은 1.71±0.53에서 사후 1.51±0.50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1), 통제군은 1.72±0.69에서 사후 1.74±0.67로 증가하였고,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1). 또한 집단 간 변화에서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 활동 30회 후 실험군과 통제군 간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따라서 홀니스프로그램은 치매 노인의 일상행활수행능력 유지에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신체중재프로그램임이 확인되었다.

    표 8.

    홀니스프로그램의 K-ADL 측정 결과

    SDDH-61-1-123_T8.gif

    IV. 결론 및 기대효과

    한국 사회는 치매의 급속한 증가와 이로 인한 엄청난 사회·경제적 부담감이 가중되고 있는 현실에서 치매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은 물론 막대한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 측면에서 다양한 중재프로그램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 고자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을 개발 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홀니스프로그램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인지·신체 통합건강프로그램임이 확인되 었다.

    이에 홀니스프로그램을 통해 기대하는 실천적·학문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로 사회·심리적 긍정 혹은 부정적 효과검증에만 집중되었던 치매노인 대상 연구 방향이 이 연구를 기점으로 기존의 무용·체육분야와 건강교육 및 여가연구에 있어 보다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차원으로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다. 즉, 홀니스프로그램을 통해 치매 진행을 지연시키려는 노력은 무용/운동 지도자들에게 신체활동을 통해 치매노인의 삶의 질을 높여 남은 삶을 긍정적으로 바꾸는데 필요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치매지연 관련 중재프로그램 확산을 통해 치매노인의 신체적·정신적·인지적 활동 을 도움으로써 노인의 건강한 삶의 실천과 더불어 전반적인 한국 노인건강 여가문화를 건 전하게 창달하는 사회복지 실현에 일조할 것이다.

    셋째, 치매 지연 또는 치매 악화방지 관련 인지·신체 통합건강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많이 발견되지 않는 현시점에서 이 연구결과는 후속 연구자들에게 치매노인의 특성에 맞 는 치매 지연과 치매 악화방지 관련 프로그램 및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는 데 시의성과 학문적 맥락에서 필요한 기초정보 및 실천적 연구의 장을 제공할 것이다. 아울러 선수학습 정도나 치매 정도 등이 고려된 연구대상별 교재개발 및 개발된 교육프로그램 보 완을 위한 재개발 연구 등의 계량적 자료 확보에 기여함으로써 부족한 선행연구 보완은 물론 관련 지식을 한층 더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한다.

    Figure

    SDDH-61-1-123_F1.gif

    홀니스프로그램 개발 절차

    Table

    프로그램 내용의 타당성 검토 결과

    인지기능 퇴행방지와 잔존신체기능 유지를 위한 홀니스프로그램

    프로그램 검증 연구대상

    홀니스프로그램의 K-MMSE 측정 결과

    홀니스프로그램의 GDS 측정 결과

    홀니스프로그램의 LOTCA-G 측정 결과

    홀니스프로그램의 SFT와 BBS 측정 결과

    홀니스프로그램의 K-ADL 측정 결과

    Reference

    1. 권용철, 박종환[Kwon, Yongcheol; Park, Jonghwan],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 제1편: MMSE-K의 개발”[Noinyong hangukp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ui pyojunhwa yeongu. je1pyeon: MMSE-K-ui gaebal,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the elderly. Part 1: Development of MMSE-K], 신경정신의학[Sin-gyeongjeongsinuihak, Psychiatry Investigation] 28, 1989: 125-135.
    2. 강동근, 박정연, 정주하, 박정준[Gang, Donggeun; Park, Jeong-yeon; Jeong, Juha; Park, Jeongjun], “경증치매노인의 기능적 체력 및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복합 수중운동프로그램개발”[Gyeongjeungchimaenoinui gineungjeok cheryeok mit injigineung hyangsang-eul wihan bokhap sujung-undongpeurogeuraem -gaebal, Development of a Complex Aquatic Exercise Program to Improve Functional Physical Strength and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운동과학[Undonggwahak, Exercise Science] 68, 2015: 69-50.
    3. 강주성, 정일홍, 양점홍[Kang, Juseong; Jung, Ilhong; Yang, Jeomhong], “연속적 간헐적 운동이 경증치매 여성고령 자의 기능적 체력,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Yeonsokjeok·ganheoljeok undong-i gyeongjeungchimae yeoseonggoryeongjaui gineungjeok cheryeok, injigineung mit ilsangsaenghwalsuhaengneungryeok-e michineun yeong-hyang, Effects of Continuous and Intermittent Exercise on Functional Fitness,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Performance of Elderly Women With Mild Dementia],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Hanguksanhakgisulhakhoenonmunji,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11), 2010: 4234-4243.
    4. 곽이섭[Kwak, Yiseop], “서로 다른 운동활동이 뇌기능에 미치는 영향”[Seoro dareun undonghwaldong-i noegineung-e michineun yeong-hyang, Effect of Different Motor Activities on Brain Function], 스포츠사이언스[Seupocheusaieonseu, Sports Science] 34(2), 2017: 47-53.
    5. 김도관, 김기웅[Kim, Do-gwan; Kim, Ki-woong], “인지기능장애”[Injigineungjang-e, Cognitive Dysfunction],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Daehansin-gyeongjeongsin-uihakhoeji,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 2005: 489-523.
    6. 김비아, 김준영, 김신윤, 이고은[Kim, Bia; Kim, Junyoung; Kim, Shinyoon; Lee, Goeun], “고관절 전치환술 전후 노인 환자의 인지기능 비교”[Gogwanjeol jeonchihwansul jeonhu noin hwanjaui injigineung bigyo, Comparison of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Patients Before and After Total Hip Arthroplasty], 여성학연구[Yeoseonghak-yeongu, PNU Journals of Women's Studies] 27(3), 2017: 231-255.
    7. 김설향[Kim, Seolhyang], “치매노인을 위한 신체자극 운동프로그램 개발”[Chimaenoineul wihan sinchejageuk undongpeurogeuraem gaebal, Development of Physical Stimulation Exercise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한국사회체육학회지[Hanguksahoecheyukhakhoej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Social and Physical Education] 25, 2005: 503-515.
    8. 김수한, 정재훈[Kim, Soohan; Jung, Jaehoon], “요양시설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과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상관관계”[Yoyangsiseol chimae noinui injigineunggwa gibonjeok ilsangsaenghwalhwaldong suhaengneungryeogui sanggwan-gwangy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Basic Daily Activities in Elderly with Dementia in Nursing Homes],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Goryeongja·chimaejak-eopchiryohakhoeji,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Elderly and Dementia] 7(1), 2013: 57-67.
    9. 김연희, 이종민[Kim, Yeonhee; Lee, Jongmin], 인지기능 및 신경심리 평가[Injigineung mit sin-gyeongsimni pyeongga, Cognitive Function and Neuropsychological Evaluation], 서울: 군자출판사[Seoul: Gunjachulpansa], 2008.
    10. 김영미, 홍혜전[Kim, Youngmi; Hong, Hyejeon], “노인의 치매예방을 위한 창의움직임 홀니스 프로그램 개발”[Noinui chimaeyebang-eul wihan chang-uiumjigim holniseu peurogeuraem gaebal, Development of Creative Movement Holness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Dementia in the Elderly], 한국무용과학회지 [Hangukmuyonggwahakhoeji,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Dance Sciences] 30(4), 2014: 1-13.
    11. 김찬회, 이중원, 한상인, 이평원[Kim, Chanhoe; Lee, Jungwon; Han, Sangin; Lee, Pyongwon],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인지기능 및 알츠하이머형 치매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Sujung-undong peurogeuraemi yeoseong noinui injigineung mit alcheuhaimeohyeong chimaegwallyeon-inja-e michineun yeong-hyang, Effects of Aquatic Exercise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Alzheimer's-type Dementia-Related Factors in Elderly Women], 한국체육학회지[Hangukcheyukhakhoeji,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51(5), 2012: 627-637.
    12. 김철용[Kim, Cheolyong], “The Effect of 12-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s on Cognitive Function and Gait Ability in the Vascular Dementia Elders”,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6(4), 2010: 147-158.
    13. 백영림[Baek, Young-rim], “보드 게임을 이용한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경도 치매 노인의 인지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Bodeu geimeul iyonghan jak-eopchiryo peurogeuraemi gyeongdo chimae noinui inji mit ilsangsaenghwalhwaldong-e michineun hyogwa,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Using Board Game on Cognition and Daily Activities of Elderly with Mild Dementia],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 회지[Goryeongja chimaejak-eopchiryohakhoeji,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Elderly Dementia] 6(1), 2012: 27-38.
    14. 변영순, 남정자[Byeon, Young-ja; Nam, Jung-ja], “시설치매노인의 문제행동과 환경적 특성에 관한 연 구”[Siseolchimaenoin-ui munjehaengdong-gwa hwangyeongjeog teugseong-e gwanhan yeongu, A Study on Disturbing Behaviors an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in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기본간호학회지[Gibonganhohaghoeji,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9(2), 2000: 246-256.
    15. 서주연[Seo, Joo-yeon], “Heather Hill의 무용치료 구성요소를 활용한 치매노인 그룹치료 사례연구”[Heather Hill-ui muyongchiryo guseong-yosoreul hwaryonghan chimaenoin geulupchiryo saryeyeongu, A Case Study of Group Therapy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Using Heather Hill's Dance Therapy Components], 한국무용교육학회지[Hangukmuyonggyoyukhakhoeji,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Dance Education] 23(2), 2012: 137-165.
    16. 손호희, 오정림, 박래준[Son, Hohee; Oh, Jeongrim; Park, Raejun], “치매노인의 일상생활동작과 균형 및 인지능력에 대한 운동프로그램의 효과”[Chimaenoinui ilsangsaenghwaldongjakgwa gyunhyeong mit injineungryeok-e daehan undongpeurogeuraemui hyogwa, Effect of Exercise Program on Daily Living Movements, Balance and Cognitive Ability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대한물리치료학회지 [Daehanmullichiryohakhoeji,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22(1), 2010: 53-60.
    17. 송유화, 유승호, 김설민, 유재학, 박두흠, 하지현, 이준영[Song, Yuhwa; Yoo, Seungho; Kim, Seolmin; Yoo, Jaehak; Park, Duhum; Ha, Jihyun; Lee, Junyoung], “치매 환자의 특성 및 보호자의 요구도: 공립요양병원 입원환자와 일반 외래환자”[Chimae hwanjaui teukseong mit bohojaui yogudo: gongnip-yoyangbyeongwon ibeonhwanjawa ilban oeraehwanja, Characteristics of Dementia Patients and the Needs of Caregivers: Inpatients and General Outpatients at Public Nursing Hospitals], 대한노인정신의학 [Daehannoinjeongsin-uihak, Korean Geriatric Psychiatry] 19(1), 2015: 1-9.
    18. 유향숙[Yoo, Hyang-sook], “치매환자의 운동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Chimaehwanjaui undong peurogeuraem hyogwa-e daehan metabunseok,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 in Dementia Patients], 한국체육학회지[Hangukcheyukhakhoeji,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58(2), 2019: 417-431.
    19. 이인숙, 임정훈, 성은모, 진성희[Lee, Insuk; Lim, Jeonghoon; Seong, Enmo; Jin, Seonghee], “e-Learning 환경에서의 협력학습을 위한 학습모형 및 학습행위요소 개발”[e-Learning hwan-gyeong-eseoui hyeopryeokhakseupeul wihan hakseupmohyeong mit hakseuphaeng-wiyoso gaebal, Development of Learning Model and Learning Behavior Elements for Cooperative Learning in e-Learning Environment], 컴퓨터교육학 회논문지[Keompyuteogyoyukhakhoenonmunj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Education] 9(2), 2006: 27-36.
    20. 이진호, 강종호, 이현민[Lee, Jinho; Kang, Jongho; Lee, Hyunmin], “닌텐도 위게임의 치매 재활 사용 가능성 연 구”[Nintendo wigeim-ui chimae jaehwal sayong ganeungseong yeongu,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Nintendo Wigame for Dementia Rehabilitation], 대한물리의학회지[Daehanmulliuihakhoeji,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Medicine] 6(2), 2011: 225-233.
    21. 임영미[Lim Youngmi], “율동적 동작이 치매노인의 신체적 기능 및 정서상태에 미치는 효과”[Yuldongjeok dongjagi chimaenoinui sinchejeok gineung mit jeongseosangtae-e michineun hyogwa, Effects of Rhythmic Movements on Physical Function and Emotional Stat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한국노년학 [Hanguknonyeonhak, Korean Gerontology] 21(3), 2002: 197-211.
    22. 전현주[Jeon, Hyunjoo], “무용공연예술 치료프로그램이 노인 치매환자의 우울, 불안, 및 어깨관절 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Muyonggong-yeon-yesul chilyopeurogeuraemi noin chimaehwanjaui uul, bul-an, mit eo-kkaegwanjeol gadongbeomuie michineun yeong-hyang, Effects of Dance Performing Arts Treatment Program on Depression, Anxiety, and Shoulder Joint Range of Motion in Elderly Dementia Patients], 한국무용과학회지[Hangukmuyong-gwahakhoeji,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Dance Sciences] 33(1), 2016: 95-106.
    23. 정재삼[Jeong, Jaesam], “교수설계(ID)와 교수체제개발(ISD)의 최근 경향과 논쟁-21세기를 대비하는 교수공학의 지식기 반 구축을 위하여”[Gyosuseolgye(ID)wa gyosuchejegaebal(ISD)ui choegeun gyeonghyanggwa nonjaeng-21segireul daebihaneun gyosugonghak-ui jisikgiban guchuk-eul wihayeo, Recent Trends and Debates in Instructional Design(ID) and Instructional System Development(ISD) - To Build a Jnowledge Base of Instructional Engineering to Prepare for the 21st Century], 교육공학연구 [Gyoyukgonghak-yeongu, Educational Engineering Research] 12(1), 1996: 195-225.
    24. 지정훈[Ji, Jeonhoon], “미용치료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기분변화에 미치는 영향”[Miyongchiryopeurogeuraemi chimaenoinui injigineung, gibunbyeonhwae michineun yeong-hyang, The Effect of Cosmetic Treatment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Mood Change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한국미용학회지[Hangukmiyonghakhoej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esthetics] 18(2), 2012: 383-390.
    25. 홍귀령[Hong, Gwiryeong], “익숙함을 이용한 다감각적 자극 프로그램의 효과: 시설 입소 치매 노인”[Iksukhameul iyonghan dagamgakjeok jageuk peurogeuraemui hyogwa: siseol ipso chimae noin, Effect of Multisensory Stimulation Program Using Familiarity: Elderly with Dementia], 한국간회학회지 [Hangukganhoehakhoeji, Journal of the Korean Liver Society] 41(4), 2011: 528-538.
    26. 홍혜전[Hong, Hyejeon], “노인의 치매행동 관련 홀니스 프로그램 개발과 완충효과 검증”[Noinui chimaehaengdong gwanllyeon holniseu peurogeuraem gaebalgwa wanchunghyogwa geomjeung, Development of Wholeness Program Related to Dementia Behavior of the Elderly and Verification of Buffering Effect], 한국체육학회지[Hangukcheyukhakhoeji,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57(1), 2018: 405-419.
    27. _____________, “치매노인의 치매악화방지를 위한 인지기능 및 신체활동 프로그램 실태 분석”[Chimaenoinui chimaeakhwabangjireul wihan injigineung mit sinchehwaldong peurogeuraem siltae bunseok, Analysis of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Preventing Dementia Aggravation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한국무용학회지[Hangukmuyonghakhoeji, Journal of the Korean Dance Society] 20(3), 2020: 119-134.
    28. Berg, Katherine O. Berg, Sharon L. Wood-Dauphinee, and Jack I. Williams,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 Journal Rehabil Med 27(1), 1995: 27-36.
    29. Rossers, Willem J. Rossers, Lucas H. V. van der Woude, Froukje Boersma, Erik J. A. Scherder, and Marieke J. G. van Heuvelen, “The Groningen Meander Walking Test: A Dynamic Walking Test for Older Adults with Dementia”, Physical therapy 94(2), 2014: 262-272.
    30. Cohen-Mansfield, Jiska and Perla Werner, “Environmental Influences on Agitation: An Integrative Summary of An Observational Study”,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Care and Related Disorders & Research 10(1), 1995: 32-39.
    31. Gaugler, Joseph E., Robert L. Kane, Rosalie A. Kane, Robert Newcomer, “Early Community-Based Service Utilization and Its Effects on Institutionalization in Dementia Caregiving”, The Gerontologist 45(2), 2005: 177-185.
    32. Katz, Noomi, Malka Itzkovich, Sera Averbuch, and Betty Elazar,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 Battery for Brain-Injured Patients: Reliability and Validit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3(3), 1989: 184-192.
    33. Levin, Harvey S., “Neuroplasticity and Brain Imaging Research: Implications for Rehabilita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7(12), 2006: 1.
    34. Reisberg, Barry, Steven H. Ferris, Mony J. de Leon, and Thomas Crook, “The Global Deterioration Scale for Assessment of Primary Degenerative Dementia”,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9), 1982: 1136-1139.
    35. Rikli, Roberta E., and Jessie C. Jones, Senior Fitness Test Manual, UK: Human Kinetics, 2013.
    36. Seels, Barbara B., “Instructional Design Fundamentals: Issues of Integration”, Instructional Design Fundamentals: A Reconsideration, 1995: 247-253.
    37. Seel, Barbara B. and Rita C. Richey,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 of the Field. Washington, DC: AECT, 1994.
    38. Whall, Ann L, Grace Lee Gillis, Dawn Yankou, Dorothy E. Booth, and Cynthia A. Beel-Bates, “Disruptive Behavior in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A Survey of Nursing Staff”,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18(10), 2000: 13-17.
    39. Won, Chang Won, Keum Yeol Yang, Yong Gyun Rho, Soo Young Kim, Eun Ju Lee, Jong Lull Yoon, Kyung Hwan Cho, Ho Cheol Shin, Bi Ryong Cho, Jeong Ryul Oh, Do Kyung Yoon, Hong Soon Lee, and Young Soo Lee,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K-IADL) Scal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6(2), 2002: 107-120.
    40. 김은영[Kim, Eunyoung], “정부, 노인의료정책 중 치매관리가 가장 시급”[Jeongbu, noin-uilyojeongchaek jung chimaegwalliga gajang sigeup, Dementia Management is the Most Urgent Issue Among Government Health Care Policies for the Elderly], 청년의사[Cheong-nyeon-uisa](2013.03.11.), [검색일: 2021.03.05.],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newscd=2013031000004.
    41. 서울특별시체육회 블로그[Seoulteukbyeolsicheyukhoe beulrogeu, Seoul Athletic Association Blog], [검색일: 2021.03. 05.],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seoulsportal&logNo=221572691825.

    저자소개

    홍혜전은 세종대학교 무용학과에서 “전문무용수의 은퇴기대와 재사회와의 관계”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서원대학교 문화예술전공 조교수와 문화예술교육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다. 박사후 국내연수와 학술연구교수를 엮임하며 치매예방과 치매지연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특히 아동과 발달장애아동 및 치매노인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있다.

    Footnote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