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pISSN: 2383-5214 /eISSN: 2733-4279

HOME E-SUBMISSION SITEMAP CONTACT US

Journal Detail

Journal Detail

Export Citation Download PDF PMC Previewer
Investigation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thnic and Folk Dances in Various Regions of China 중국 지역별 민족민간무용에 나타나는 문화적 특징 고찰 : 몽골족, 위구르족, 장족, 조선족무용을 중심으로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Asian Dance Journal Vol.63 No. pp.77-102
DOI : https://doi.org/10.26861/sddh.2021.63.77

Investigation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thnic and Folk Dances in Various Regions of China

Li, Yilan*
Lecturer, Faculty of Dance, Academy of Fine Arts, Yanbian University
*

yilan@ybu.edu.cn


Nov. 10, 2021 Dec. 06, 2021 Dec. 06, 202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ulture of the four ethnic groups, namely, Mongolian, Uyghur, Tibetan, and Korean-Chinese, and to deriv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ir folk dances by examining how their ethnic culture has been embodied in the dances. In China, a multiethnic, multicultural country with 56 ethnic groups, dances performed in each ethnic group is part of life formed based on the cultural and geographical background of the group, and the contents, form, rhythm, and style of the dances were all formed and inherited in various ways due to differences in lifestyle and religious culture. Among those ethnic groups, Mongolian, Uyghur, Tibetan, and Korean-Chinese are the most localized ethnic minorities distributed around China's borders, and their folk dances have spread nationwide faster than those of any other ethnic groups. In order to promote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civil folk danc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folk dances that are currently being preserved and developed and understand their cultural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the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seeks to contribute to accurate perception of civil folk dances and to their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중국 지역별 민족민간무용에 나타나는 문화적 특징 고찰
: 몽골족, 위구르족, 장족, 조선족무용을 중심으로

이예란*
중국 연변대학교 강사

초록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국경 주변에 분포되어 있는 소수민족으로 가장 지역성을 띠는 대표적인 네 민족 몽골족, 위구르족, 장족, 조선족에 대해 민족의 역사적 배경과 민족의 문화에 대해 살펴본 후, 각 지역의 무용특징과 그 민족의 문화가 어떻게 민간무용에서 체현되었는지를 고찰하여 네 민족의 민간무용에 나타나는 문화적 특징을 도출하였다. 각 민족에서 추어지는 무용은 그 민족의 문화적, 지리적 배경을 바탕으로 형성된 생활의 일부이며 각기 다른 생활방식, 종교문화 등의 차이로 춤의 내용, 형식, 리듬, 풍격은 모두 각양각색으로 형성 및 계승되었다. 또한 민족민간무용은 지역성을 띠고 있기에 다양한 생태환경 속에서 형성된 그 민족의 역사와 인문, 지리 환경이 상호작용하여 그 민족에만 존재하는 특징으로 나타난다.



민족민간무용의 문화적 특징에 대해 고찰하는 것은 민족민간무용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고, 각 지역의 민족민간무용의 발전을 파악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타 국가, 타 민족무용의 보존과 발전 탐색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Ⅰ. 서 론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국경 주변에 분포되어 있는 대표적인 네 소수민족 몽골족, 위구르 족, 장족, 조선족의 민족의 역사적 배경과 민족의 문화에 대해 살펴본 후, 각 지역의 무용 특징과 그 민족의 문화가 어떻게 민간무용에서 체현되었는지를 고찰하여 네 민족의 민간 무용에 나타나는 문화적 특징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국은 56개 민족이 함께 살고 있는 다민족 다문화 국가이다. 각 민족은 서로 다른 생태 환경, 서로 다른 민족의 역사와 문화적 배경을 지니고 있다. 각 민족에서 추어지는 무용은 그 민족의 문화적, 지리적 배경을 바탕으로 형성된 생활의 일부이며 각기 다른 생활방식, 종교문화 등의 차이로 춤의 내용, 형식, 리듬, 풍격은 모두 각양각색으로 형성 및 계승되었 다. 각 민족마다 지니고 있는 특유의 민족 문화는 그 민족의 춤에도 스며들었으며 그들의 풍부한 예술적 표현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된다. 중국에서는 이와 같이 형성된 민족의 무용을 민족민간무용이라고 칭하고 있다.

    중국 민족민간무용의 범위는 매우 광범위하며 모든 민족마다 풍부한 예술 문화, 예술 자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민족민간무용은 지역성을 띠고 있기에 다양한 생태환경 속에서 형성된 그 민족의 역사와 인문, 지리 환경이 상호작용하여 그 민족에만 존재하는 특징으로 나타난다. 중국의 민족민간무용은 민족마다 소유하고 있는 특징은 다르지만 국가의 정책 과 제도의 변화에 따른 발전 추세는 점차 비슷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최초의 민족민간 무용은 수렵, 제사, 생산 등의 방식으로 생겨나 예술적 측면보다는 생존의 방식과 더욱 밀 착해있었다고 볼 수 있다. 시대가 발전됨에 따라 삶이 풍요로워지면서 무용의 용도 또한 삶의 변화에 따라 점차 달라지기 시작하였다. 생존을 위한 것이 아닌 정신적 수요를 충족 시키기 위해 민족의 무용은 점차 논밭, 광장, 가정으로 퍼지게 되면서 오락성을 띠게 되었 다. 또한 이처럼 민간에서 추던 오락적인 민족의 무용은 점차 무대예술, 공연예술 형태로 진입하게 되면서 새로운 발전을 이루었다. 뿐만 아니라 교육을 목적으로 민족무용은 무용 전공학교의 수업에도 도입되면서 과학성, 논리성을 겸비하는 중국 민족민간무용 수업으로 개설되었으며 타민족에게도 전파되고 수용되면서 중국의 여러 민족민간무용에 대한 이해 도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중국의 민족민간무용이 전국적 으로 전파되면서 민족민간무용의 보존과 발전을 이루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중국에서는 지역 민족민간무용의 보존과 발전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전국적으로 몽 골족, 위구르족, 장족, 조선족의 무용문화를 적극적으로 전파 및 교육하고 있다. 중국의 수 많은 민족 중에서 몽골족, 위구르족, 장족, 조선족은 중국의 국경 주변에 분포되어 있는 소수민족으로 가장 지역성을 띠는 대표적인 민족이며, 이 민족들의 민간무용은 타 민족에 비해 보다 빠르게 전국적으로 전파 및 보급되어 왔다. 민족민간무용의 보존과 발전을 추진 하기 위해서는 현재 타 민족보다 한 발 앞서 보존과 발전을 추진하고 있는 민족의 무용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그 민족의 민간무용에 나타나는 문화적 특징에 대해 고찰할 필요가 있다.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중국에서 지역성을 띠는 대표적인 네 민족 몽골족, 위구르족, 장 족, 조선족에 대해 민족의 역사적 배경과 민족의 문화에 대해 살펴본 후, 네 민족의 민간무 용에 나타나는 문화적 특징을 도출하고자 한다. 각 민족민간무용의 문화적 특징에 대해 중점적으로 고찰하는 것은 민족민간무용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고, 각 지역의 민족민간무용의 발전을 파악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타 국가, 타 민족무용의 보존과 발전 탐색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Ⅱ. 중국 민족민간무용의 이해

    중국은 신 중국이 성립되기 이전부터 다민족 국가였다. 신 중국 성립 이후, 국가의 정책 에 의해 중국 내 민족들이 평등한 권리를 실현할 수 있도록 조직하여 국적을 구별하고, 민족을 식별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각 민족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을 파악한 결과 중국 내에 거주하고 있는 민족은 총 56개로 통계되었으며, 각 소수민족 지역의 희망에 따라 다 양한 방법으로 민주적 개혁을 추진하였다.

    중국의 민족민간무용에 대해 이해하기 전에 먼저 민족무용과 민간무용의 개념과 차이에 대해 짚어보고자 한다. 민족무용과 민간무용은 두 개의 뚜렷이 분리된 개념으로 인식된다. 민족은 국가 단위에서의 민족을 뜻하거나 공통된 기원과 역사적 배경을 공유하고 있는 집 단일 경우에도 한 민족이라 칭하기도 하는데 이는 서로 함께 공유하고 생존하는 환경 속에 서 그 지역의 구성원임을 입증할 수 있는 명칭이며 정체성 확립을 위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민족무용은 말 그대로 일정한 지역에서의 공동생활에서 그 민족만의 고유한 문화적, 사회적 관습을 통해 형성된 무용을 뜻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형성된 민족무용은 각 나라, 각 민족, 각 지역마다 다양하게 형성된다.

    민간무용은 진정한 민간차원에서 이루어진 춤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각 지역에 거주하 고 있는 민족이 역사의 전승과 발전과정에서 지리적, 문화적인 영향과 전통적인 생활습관 으로부터 유래된 대중적인 종교의식이나 오락 활동에서 형성된 춤이 민간무용이다. 인간 의 노동 생활에서 유래한 민간무용은 대중이 스스로 만들어 한 민족이나 한 지역의 사람들 에 의해 주로 오락적인 목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추어진다. 민간무용과 민족무용은 이처럼 서로 상호작용을 이루는 관계이다. 한 민족에는 여러 종류의 민간무용이 존재할 수 있으며, 여러 종류의 민간무용의 공통점을 통해 한 민족의 형태적 특징을 도출해 낼 수 있다. 이러 한 특징은 보편적으로 민족무용의 ‘대표성’으로 인식된다. 즉 한 민족을 상징하는 ‘대표성’ 을 갖춘 춤으로 알려지게 되는데 이는 특정한 무용을 뜻하는 것이 아닌, 한 민족이 추는 춤의 특징이나 분위기를 뜻한다.

    중국은 56개 소수민족들이 함께 모여 살고 있는 다민족 국가이다. 따라서 중국의 56개 민족은 모두 각자 고유의 문화와 역사가 존재하기 때문에 중국의 무용을 민족무용이나 민 간무용으로 분류하기에는 너무 많은 민족과 민간무용이 존재한다. 이에 중국에서 민족민 간무용은 중국의 각 민족에서 계승된 민간무용을 칭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시대의 발전에 따라 고유의 민족민간무용은 전승의 단계에서 점차 사라지는 추세를 보 이게 되었다. 중국에서는 민족민간무용 계승의 시급함을 인지하게 되면서 민족민간무용에 대한 보존과 발전을 추진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현대사회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피할 수 없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신 중국 성립 이후 중국의 민족민간무용은 혁명문예형태, 표현예술형태, 문화산업형태의 발전 과정을 거쳤다(고우밍 2015, 36). 따라서 민족민간무 용은 민간예술에서 무대예술의 전환과정을 거치게 되었고 민간에서 추던 대중적이고 오락 적인 민간무용은 점차 표현성이 강한 무대예술로 변화되기 시작하였다.

    오늘날 중국의 민족민간무용은 특정된 지역에서 그 민족들만, 혹은 민간에서만 추는 무 용이 아니다. 시대의 발전과 더불어 민간무용도 점차 사회로 진입하게 되었으며, 공연문화 가 점차 보급되면서 오락성과 표현성을 띠는 방향으로 발전되었다. 뿐만 아니라 무대화를 거쳐 예술작품으로 대중들과 만나게 되기도 하고 무용전공학교에 도입되면서 무용교과목 으로 개설되어 전국적으로 전파되고 있다.

    사회로 진입된 민족민간무용은 세 가지 부류로 분류 할 수 있는데 첫째는 광장에서 추는 대중적인 민간무용, 두 번째는 민간 예인, 무용 애호가와 직업 무용수들의 무대 표현 민간 무용, 세 번째는 직업무용가가 민간무용 소재를 작품으로 창작하여 무대화를 이룬 민간무 용으로 볼 수 있다(장욱 2011, 164).

    따라서 각 대학에서도 민족민간무용의 보호와 전승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각 대학에서는 민족민간무용을 전승·발전시키고 민족무용 전승자를 적극 육성하기 위하여 민족무용의 문화이론, 무용특색, 예술심미 등 다방면의 학습을 강조하여 민족민간무용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으며 민족민간무용 실기수업을 통해 무용을 습득하고 있다. 이처럼 중국에서는 고교 자원을 충분히 이용하여 민족민간무용의 전파와 보급을 이루고 있다.

    민족민간무용의 형성조건은 그 민족의 지리적 위치, 역사적 발전 과정, 생활 노동 등에 서 비롯된다. 민족민간무용을 보호하고 전승하기 위해서는 전통 패턴의 무용 전승에 그치 지 않고 현실의 발전을 받아들이고 효과적으로 교감함으로써 현대의 급속한 발전 시대에 도 민족민간무용이 더욱 효과적으로 발전하고 전승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Ⅲ. 중국 지역별 민족민간무용의 문화적 특징 고찰

    앞서 중국 민족민간무용에 대한 이해를 거친 후 몽골족, 위구르족, 장족, 조선족이 중국 에서 가장 지역성을 띠는 소수민족으로 손꼽히는 이유에 대해 짚어보고자 한다. 중국의 소수민족 중 국경 주변에 분포되어 있는 민족이 몽골족, 위구르족, 장족, 조선족이다. 중국 의 소수민족으로써 독특한 지리적 위치가 바탕이 되어 지역성을 띠는 그들만의 문화를 형 성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중국 국경주변에 위치해 있는 네 민족이 역사적 으로 어떠한 변천과정을 거쳤는지, 그 변천과정 속에서 형성된 대표적인 문화를 살펴본 후 신 중국 성립이후 중국의 한 민족으로써 어떠한 무용문화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고찰 하고자 한다.

    1. 몽골족 민간무용의 문화적 특징

    몽골족은 중국 북부지역에 분포되어있는 민족이다. 기원전 3세기 말 중국 북부지역에 거주한 유목 민족 흉노족(匈奴族)이 몽골고원·만리장성 지대를 통일하였다. 그 후 흉노족 이 분열되면서 주변의 부족들이 초원으로 대거 이동하게 되었는데, 이 시기에 몽골부족도 대초원으로 이주하였다. 서기 7세기 초 당나라가 설립되면서 몽골부족은 당나라의 지배를 받으면서 몽골부족과 중원의 문화적 왕래가 빈번하게 이루어졌으며 몽골부족의 발전을 추 진하였다. 서기 7세기, 칭기즈칸(成吉思汗)의 선조가 몽골 부족을 이끌고 방목생활을 시작 하였다고 기록되었다(洪惠 2021, 57). 13세기 초기 칭키즈칸이 몽골의 모든 부족을 통일하 게 되면서 ‘몽골’은 부족명칭으로부터 민족의 통일된 호칭이 되었으며, 1906년에는 봉건제 도를 실행하는 대몽고국(大蒙古國)으로 설립되었다. 몽골은 원나라가 멸망 후, 또 다시 여 러 부락으로 분단되어 1403년에 이르러 다시금 왕위를 다투는 내전이 시작되었다. 그 후 청나라 초기 몽골은 막남몽고(漠南蒙古)와 막북몽고(漠北蒙古)로 나뉘었는데 여기에서 막 남몽고는 오늘날 중국 북부지방의 내몽골(內蒙古)이고 막북몽고는 중국의 이웃 나라인 외 몽골(外蒙古)이다(洪惠 2021, 58).

    1) 유목문화의 특징

    내몽골은 중국에서 최초로 설립된 소수민족자치구이다. 1947년 5월 1일에 내몽골자치 구가 설립되었다. 몽골족의 주요한 문화적 특징으로는 유목문화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들 의 생활환경은 유목생활을 위주로 한다. 유목문화는 동태적이고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과 정을 유지하고 있으며 매년 빈번하게 이동하는데, 겨울과 여름에는 일정한 시간, 노선, 범 위로 이동한다. 자치구가 설립 된 후 몽골족의 유목문화는 다원화를 이루게 되었으며, 개 혁개방 이후에는 중국의 정책에 의해 몽골족의 유목문화에도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몽골족의 문화적 특징인 유목문화는 그들의 민족민간무용에서도 그 특징이 나타난다. 수렵과 채집을 위해 몽골인들은 움막1)에서 생활하는 전통이 있었다. 이 문화는 오늘날까 지도 계승이 되어 간단한 움막 대신 텐트와 유사한 몽골포로 발전이 되었다. 몽골포는 설 치와 철거가 간편하여 유목생활의 필수 주거시설이 된 것이다. 유목생활의 수요로 몽골인 들은 대초원에 살고 있으며 가축과 방목인의 수가 많기 때문에 넓은 목장이 필요하다. 오 랜 역사의 흐름 속에서 몽골인들의 유목생활 속에는 늘 춤과 노래가 중심에 있었다. 유목 생활로 인해 일정한 곳에 함께 모여 생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명절날이면 몽골인들이 모여서 함께 노래하고 춤추는 날이 된다. 몽골인들의 민간무용은 농촌이나 시골에서 추어 지는 무용이 아니다. 넓은 벌판을 가로지르며 몽골포에서 생활하는 몽골인들이 광활한 목 장에서 자유롭게 추는 춤이 그들의 민간무용이다. 유목생활로 인해 대초원이 그들의 공연 장이자 무대가 된다. 몽골인들의 성격은 호탕하고 친절하며 분위기를 띄우기 위해 자주 권주가를 부르며 손님에 대한 환영과 축복을 표시한다. 그들의 호탕한 성격은 이러한 거주 환경에서 비롯되며 이와 같은 특징은 무용에도 반영된다.

    2) 숭배문화의 특징

    몽골족 문화의 기본 특징은 ‘자연 숭상’, ‘자유 숭상’, ‘영웅 숭상’ 세 가지로 요약 할 수 있는데,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다루는 데 있어서는 자연을 숭상하고, 인간과 자아 관계를 다루는 데 있어서는 자유를 숭상하고,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다루는 데 있어서는 영웅을 숭상하는 문화로 체현된다(吴团英 2016, 167). 몽골족은 유목민으로서 생산방식, 생활습관 부터 사유, 사상, 감정 등 모든 방면에서 자연을 숭상하고, 자연과 조화롭게 지내는 것을 중요한 행동준칙과 가치의 잣대로 삼아 생활의 전반을 아우른다. 초원에서 유목생활을 하 는 민족이기에 상대적으로 넓고 자유로운 생활환경이 제공되며 자유를 숭상하는 문화가 형성되었다. 민족의 문화적 특성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자유는 삶의 근거가 되었고, 그들에 게 자유는 정신적 추구가 아닌 현실적 차원에서 실천 가능한 부분이 된다. 반면 물과 풀이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자원으로 자연의 도움 없이는 소, 양떼 등 방목을 할 수 없기에 자연을 숭상하게 되었다. 또한 수렵의 민족으로도 불리는 몽골족은 뛰어난 활솜씨 를 가졌으며 영웅을 숭상하는 문화도 생겨났다. 영웅의 이름을 사용하여 그 영웅만큼 성장 할 것이라는 다짐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布仁清和乐 2017, 189). 이처럼 자연을 숭상하고 자유를 숭상하며 영웅을 숭상하는 문화는 관념과 지향일 뿐만 아니라 실천으로 옮겨진 생 활 본연에서 일어나는 실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3) 몽골족의 민간무용

    몽골족의 이와 같은 문화적 특징은 그들의 민족민간무용에서도 그 특징이 나타난다. 몽 골족의 대표적인 민간무용으로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는 소품을 활용하여 추는 ‘그릇춤 (盅碗舞)’과 ‘젓가락 춤(筷子舞)’이 있다.

    ‘그릇춤’은 몽골족 여성들이 추는 춤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이 머리에 그릇을 올려놓고 손에는 잔을 들고 춤을 춘다. 음악에 맞춰 손에 든 잔으로 부딪치는 소리를 내고 양 팔을 펴고 굽히면서 몸은 앞뒤로 움직인다. 몽골족 여성들은 단정하고 정숙하며 부드러움 속에 강렬한 성격과 분위기가 드러난다. 몽골 춤의 특징은 부드러운 손놀림과 어깨 털기, 잔걸 음 등이 있는데 머리 위에 그릇을 올려놓았기에 고개를 숙이거나 크게 움직이는 동작이 없어 전반적으로 우아하고 호탕한 느낌을 준다. 민간에서 추는 ‘그릇춤’은 엄격한 규정이 없기에 간단하게 추어진다면 무대 위에서 추는 ‘그릇춤’은 기교적인 부분이 강조되어 난이 도가 향상된다.

    ‘젓가락 춤’은 주로 남성들이 추는 춤이다. 양손에 젓가락을 들고 음악 박자에 맞춰 어 깨, 허리, 다리, 발목 등 부위를 치면서 소리를 낸다. 어깨를 으쓱거리며 뛰기도 하고 무릎 을 굽혀 낮은 동작을 하기도 하며 상하좌우 움직임이 큰 동작들로 경쾌하고 활발한 분위기 로 춤을 춘다. 동작은 간단하지만 박자감이 있으며 기교성이 있다. 젓가락 춤을 통해 몽골 족 남성의 자유롭고 쾌활하며 호탕한 성격을 보아낼 수 있다.

    이처럼 몽골족의 민간무용은 생활에서 파생되어 생겨난 춤이다. 명절날 모임에서 술과 노래를 즐기면서 자연스럽게 생겨난 춤들이 민족민간무용으로 발전이 되었다. 몽골족 춤 은 무용수의 몸짓과 자세를 강조하고 세부적인 동작의 섬세한 표현을 강조한다. 무용수는 음악의 리듬과 풍격의 변화에 맞춰 각각의 동작을 매끄럽게 연결시키면서 조절해서 표현 한다. 몽골족 춤의 민족적 특색과 풍격을 살리려면 팔다리의 움직임 동작이 자유로워야 한다. 또한 몽골족무용을 추기 위해서는 몽골족의 유목문화를 잘 이해하여야 몽골족무용 의 민족적 특색을 파악하여 몽골족민간무용의 특징을 잘 살려서 출 수 있다.

    2. 위구르족 민간무용의 문화적 특징

    위구르족은 중국 천산산맥(天山山脈)의 남쪽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중국의 타림분지(塔 里木盆地) 주변의 오아시스에서 위구르족이 거주하고 있다. 천산산맥의 동쪽에 위치해 있 는 투루판분지(吐鲁番盆地)도 위구르족들이 비교적 집중되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이며, 이 외에도 하미분지(哈密盆地), 이리곡지(伊犁谷地), 우루무치(乌鲁木齐) 등 천산산맥 이북의 일부 지역에도 위구르족이 거주하고 있다.2) 위구르족의 근원은 기원전 3세기 중국의 북쪽 과 서북쪽 바이칼호(贝加尔湖) 남쪽, 이르티시강(额尔齐斯河)과 발하슈호수(巴尔喀什湖) 사이에 거주하던 유목민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위구르’는 위구르족의 자칭으로 ‘단결’, ‘연 합’, ‘협조’의 뜻이 담겨져 있다. 서로 다른 역사 시기마다 중국 문헌에 기록된 위구르족의 명칭은 다르게 기록되었다. 4세기 때 위구르족은 ‘원흘(袁纥, Yuánhé)’이라고 칭하였고, 수나라(隋朝) 때 부터는 ‘위흘(韦纥, Wéihé)’이라고 부르기 시작하였으며, 13세기 70년대 에는 회홀(回鹘, Huíhú)이라 칭하였고, 그 이후에는 웨이우얼(畏兀儿, Wèiwù’ér), 휘부(回 部, huíbù), 찬후이(缠回, chánhuí) 등 명칭이 사용되었다.3) 1935년부터는 웨이우얼(维吾 尔, Wéiwú’ěr), 본토의 언어로는 ‘위구르(Uighur)’로 부르기 시작하였다.

    1) 이주문화의 특징

    1955년 9월 13일에 중국 위그루족자치구가 설립되었다(艾民 2005, 53). 위구르족은 역 사가 유구한 고대 민족으로 중국 북방 초원에 거주하다가 서역(西域)으로 이주하여 초원 유목생활에서 유목농업생활로 발전한 민족이다(仲丽 2011, 123). 위구르족은 오랜 기간 동 안 유목, 축산, 농경 등 경제생활을 하였다. 그들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천년가까이의 역사 흐름 속에서 기존의 막북 초원문화에 더불어 중원의 농경문화를 흡수하였고, 서역에 이주하게 되면서 농업, 목축문화와 상업문화를 흡수하였으며 샤머니즘(萨满教), 마니교(摩 尼敎), 불교, 이슬람 등 종교를 신봉하였다(罗雄岩 2007, 15). 위구르족은 이와 같은 역사 적 변천을 통해 초원문화 가무의 기초하에 서역의 악무문화와 각종 종교문화를 흡수하여, 여러 문화를 겸용하는 다채로운 민간무용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이주문화로부터 형성된 위구르족의 민간무용은 ‘자유오락성무용’, ‘예속성무용’, ‘표현성무용’으로 나눌 수 있다(陈 鹭春 2011, 82).

    ‘자유오락성무용’은 다양한 장소에서 마음대로 출 수 있는 오락성 무용을 뜻한다. 남녀 노소가 격식에 구애받지 않고 음악의 리듬에 맞춰 춤을 추는 형식이다. 대표적으로는 ‘매 시래푸(麦西来甫)’4), ‘무카무(木卡姆)’5), ‘싸나무(赛乃姆)6)’ 등 무용이 있다.

    ‘예속성무용’은 영빈(迎賓)·경례(慶禮)의 ‘샤띠야나(夏地亚纳)’7), 종교의식 행사인 ‘사마 춤(萨玛舞)’8), 경사(喜慶), 결혼식의 ‘나즈얼쿠무(纳孜尔库姆)’9), 도랑(多朗)10) 풍습에 따 른 ‘도랑춤(多朗舞)’ 등이 있다(赵军 2010, 20). 그 중에서 고대 위구르족 종교, 예절 무용 과 서역 고대 음악의 공연 형식이 보존되어 있는 ‘무카무’는 대형 가무곡 ‘십이무카무(十二 木卡姆)11)’,‘도랑무카무(多朗木卡姆)’, ‘하미무카무(哈密木卡姆)’12), ‘투루판무카무(吐鲁 番木卡姆)13)’, ‘이리무카무(伊利木卡姆)’ 등이 있다.

    ‘표현성무용’은 맨손으로 추는 춤과 도구를 사용하여 추는 춤 두 가지로 나뉜다. 주로 고대 서역의 음악과 춤에 남겨진 풍격을 표현하며 춘다. ‘싸나무’는 무용 형식의 명칭이기 도 하지만 무용 박자의 명칭으로도 불린다. 일부 신강 지역에서는 ‘무카무를 ‘싸나무’로 부르기도 한다. 서로의 관계는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기도 하는 무용 이다.

    2) 유통문화의 특징

    오늘날 중국 서북쪽에 위치한 신강은 동부에서 실크로드를 따라 중원 내륙으로 직통하 고, 서부에서 중앙아시아와 국경을 접해 북쪽으로 러시아를 접하고 있으며, 신강은 그 독 특한 지리적 위치로 유럽 간의 동서양 경제·문화 소통을 이루고 있다. 옛 실크로드의 개통 으로 중국 신강지역은 중국 문화, 인도 문화, 이슬람 문화, 그리스 문화의 유통 도시가 되 었다. 주변 국가들과의 빈번한 왕래로 인해 오늘날 신강에 살고 있는 위구르족의 생활과 전통 문화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본격적으로 지리적 위치와 지리 환경의 우수성을 바탕으로 신강은 타 국가와 타 지역 민족들을 아우르는 독특한 다원화, 중화 일체의 문화 구조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위구르족은 실크로드 상업의 영향을 받아 무용문화가 풍부해지고 종류도 다양해 졌다. 위구르족의 민간무용을 살펴보면 강한 민속성, 지역성, 종교성의 문화적 특징이 나타 난다(谢雯雯 2011, 57). 지역, 풍습, 습관, 종교 신앙 등 여러 방면의 요소로부터 풍부하고 다양한 위구르족의 명절 활동이 생겨났으며 전통 명절날이 되면 그들의 민족민간무용을 접할 수 있다. 위구르족의 특색있는 풍습과 그들의 무용이 잘 어우러지면서 독특한 문화 풍격이 체현되는 위구르족의 민족민간무용이 형성되었다.

    위구르족의 민간무용은 역사가 유구하고 내용과 표현형식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무용 예술이 함축적이고, 아름다우며, 침착하고, 특히 자태가 아름답다. 가무예술은 위구르족의 아름답고 유구한 역사와 문화로부터 형성된 예술작품이다. 사회가 발전하고 사람들의 생 활 관념이 변화함에 따라 신강 위구르족 무용은 더욱 세련된 예술 형식 속에 더 많은 사회, 역사, 문화 내용을 함축하여 독특한 심미적 가치를 지닌 예술 풍격을 형성하였다(谢雯雯 2011, 58). 위구르족의 무용은 내재적인 민족성 표현이 강하기 때문에 모방만으로 보여줄 수 있는 품격미는 결코 아니다. 위구르족의 무용은 의상에서 체현되는 고급스러움과 자태 를 통한 독특한 신운(神韵)과 풍격이 특징이다. 무용에 나타나는 신운은 감성적이고 생동 적이다.

    3) 위구르족의 민간무용

    위구르족의 이와 같은 문화특징은 민간무용에서도 반영된다. 위구르족의 무용은 풍격상 호방하고 소탈하며 거칠고, 열렬하고, 아름다움과 우아함, 그리고 부드러움이 더불어 삶에 대한 사랑과 미래에 대한 동경을 나타낸다. 강건하고 분방한 남성무용과 대범하면서도 유 연한 여성무용, 그리고 현란하면서도 섬세한 춤동작은 위구르족의 적극적인 생활 태도를 보여주며 대범한 민족성을 충분히 나타내어 위구르족 특유의 민족문화를 형성하였다. 위 구르족의 무용은 고대 서역의 악무를 계승하였기에 서역의 대표적인 여성의 이미지와 특 징이 내포되어 있다. 유연한 허리놀림은 서역 여인의 대표적인 상징으로 허리의 유연성이 강조된 동작들이 위구르족 무용에 많이 나타난다.

    무용 표현과정은 무용수가 훌륭한 무용기술을 가지고 능숙하고 교묘하게 연결 및 변화 하면서 진행된다. 목을 움직이기, 손벽치기, 손목 돌리기 등은 위구르족 무용에서 가장 대 표성 있는 동작들이다. 그리고 어깨, 손목, 다리 등 신체부위의 움직임 포인트를 추가하여 위구르족 무용의 풍격을 강조한다. 외형적인 무용자세에서는 머리를 들고 가슴을 펴고 허 리를 곧게 세우는 자태의 특징으로 사람들에게 도도하고 외향적이며 활발한 느낌을 준다. 춤을 추는 과정에서는 머리, 어깨, 허리, 팔꿈치, 손목, 무릎, 발놀림까지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기 때문에 춤의 역동적인 형태는 다양화를 이루고 정적인 자태는 아름다움을 자랑한 다(阿布力孜·阿不都拉 2016, 114).

    움직임 전환 과정에서 동과 정의 결합은 무릎을 통해 해결한다. 무릎을 연속적으로 아래 위로 움직이는 미세한 움직임의 잦은 율동(微颤)은 위구르족의 무용에 자주 나타나는 움직 임 율동이다. 무릎의 탄력을 활용하여 순간적인 동작을 할 때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율동으로 위구르족 무용에서만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움직임 율동이다. 이 율동은 ‘사나무’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눈썹을 치켜올리는 동작, 고개를 가로 흔드는 동작, 손벽을 치고 빠른 움직임에서 순간 정지하는 동작 등과 조합하여 춘다.

    위구르족의 무용 중에서 가장 기교성이 강한 무용 동작 중의 하나는 ‘회전’이라 할 수 있다. ‘회전’은 가장 자주 사용되는 기교적인 동작으로, 공연의 하이라이트 부분에서 많이 등장하며 빠른 회전과 함께 다양한 상체 움직임과 현란한 손놀림과 함께 사용된다. 마치 매부리가 바람 속에서 회전하는 것 마냥 연속 회전하는 과정에서 끊임없이 춤사위를 바꿔 가면서 추어진다.

    위구르족의 무용은 뛰기, 돌기, 뒤집기, 비틀기 등 움직임과 시선, 호흡 등 모든 방면을 고려하여 춤을 추는 것이 특징이기도 하지만, 놓치기 쉬운 세밀한 박자조차도 고려하여 리듬에 맞춰 춤을 추는 것이 위구르족만의 독특한 표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그들은 주로 도구를 활용하여 무용으로 분위기를 띄우며 예술적 감화력을 증가시키는데 여기에서는 박 자의 중요성이 특히 강조된다. 일반적으로 무용은 음악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며, 위구르족 무용에서도 이 점이 강조된다. 위구르족의 민간 음악과 민간무용은 매우 긴밀히 결합되어 있다. 사용하는 악기와 장단의 종류가 다양하며 무용도 리듬감 넘치는 반주에 맞는 여러 가지 장르와 스타일로 나뉜다. 위구르족의 무용은 리듬의 역할을 매우 중요시한 다. 예를 들면 위구르족은 간단한 소품과 박자만으로도 예술적 매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박자만으로 매력 있는 무용을 출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위구르족의 무용에 사용되는 음악 반주는 분절된 리듬, 포인트 리듬, 약한 박자, 엇박자를 사용하여 강한 예술적 처리를 통해 무용의 민족적 풍격을 부각시킨다. 도구를 활용한 위구르족의 민간무용은 손북춤(手鼓舞), 타석춤(它石舞), 접시춤(盘子舞), 나무 주걱춤(木勺舞), 칼춤(刀舞) 등이 있다.

    위구르족의 춤은 외부 형태 동작부터 시작해 절묘한 동작, 아름다운 자태, 능숙한 춤 기교와 춤의 과정에서 표현되는 심왕신치(心王神治)의 풍격은 우아하고 도도한 인상을 준 다. 이처럼 풍부하고 특색을 지닌 위구르족의 무용 예술은 인류예술문명 및 중화무용예술 문화의 귀중한 자산 중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때문에 위구르족 무용의 문화적 특징 을 연구하는 것은 위구르족의 무용풍격과 독특한 심미적 개성을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중 요한 의미를 가진다.

    3. 장족 민간무용의 문화적 특징

    장족은 중국의 56개 민족 중 일원으로 칭장고원(青藏高原)에서 생활하는 민족이다. 1965년 9월 9일에 중국의 서장자치구가 설립되었다. 오늘날의 장족인들은 중국 서장(西 藏)자치구, 청해성(青海省)과 사천성(四川省) 서부, 윈난디칭(云南迪庆), 간쑤간난(甘肃甘 南) 등 지역에 분포되어있다.

    장족의 역사는 중국의 역사에서 불가분의 구성 부분이다. 장족은 중국과 남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민족 중의 하나로 약 4000년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거친 민족으로 야루장부 강(雅鲁藏布江) 유역 중부지역의 농업 부락에서 기원되었다. 장족은 양한시기(两汉时期) 서강인(西羌人)의 일원에 속한다는 주장도 있다. 장족 선조들은 석기시대를 거쳤던 많은 선조들처럼 집단 채집과 수렵 생활을 거쳐 사육과 농사를 배웠다. 6세기에 이미 노예제사 회에 진입하였으며 언어와 문자를 사용하였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장족 언어는 7세기 초 의 고대 범문(梵文)과 서역(西域)의 문자를 사용하여 만든 언어이다. 장족 언어의 사용은 장족과 중원 지역 경제의 연계를 강화시켰다. 7세기 초에 고대의 장족들은 칭장고원에 투 붜(吐蕃)왕조를 설립하였다. 투붜왕조는 중국의 서장 역사상 최초로 명확히 사료에 기록된 정권이다. 칭장고원의 각 부족들이 투붜왕조의 통일 이후 강력한 세력으로 응집되어 200 년 동안 정권을 유지하였다.

    1) 종교문화의 특징

    장족은 보편적으로 장족불교를 믿는다. 오늘날의 불교는 서기 7세기 천축(天竺)에서 투 붜로 전래되어 1400여 년의 역사의 변천을 거쳐 이루어진 것이다. 장족인들은 찬란한 민족 문화를 창조했고 문학, 음악, 무용, 회화, 조각, 건축예술 등의 분야에서 매우 풍부한 문화 유산을 남겼다. 가무는 그들의 생활에 빼놓을 수 없는 구성부분이다. 광활한 땅에서 노래 와 춤을 통해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장족인들의 생활방식이다. 장족이 살고 있는 지역의 고대 암벽화에는 농축문화와 종교문화를 반영하고 생활과 삶을 반영하는 춤이 기록되어 있으며 장족의 민간무용 또한 종교 신앙의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면 장족무용에는 고개를 숙이고 땅을 보며 앞으로 나아가는 동작이 있는데 이는 몸을 굽혀 부처님께 기도하는 의식 이 춤에 드러난 것이다.

    2) 지역문화의 특징

    장족인들은 해발이 높은 고원지대에 거주하기 때문에 날씨가 춥고 밤낮 기온차가 크기 때문에 두꺼운 옷을 주로 입는다. 하지만 유목생활을 해야 하는 그들은 두꺼운 옷을 입고 일하기 불편하기에 낮에는 양 소매를 허리에 걸치고 가끔은 팔한 쪽만 걸치고 다른 한쪽 소매를 허리에 걸치는 특징이 있다. 고원지대에 더불어 옷도 무겁기 때문에 몸의 무게중심 은 늘 아래로 향하여 골반을 느슨하게 하고 허리를 구부리고 등을 구부리는 형태가 특징이 다. 반면, 지역마다 풍모와 생산과 생활방식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각 지역 민간무용의 형 태, 동작, 스타일은 다르게 형성되었다.

    3) 장족의 민간무용

    장족의 대표적인 가무(歌舞)는 ‘두이셰(堆谐)’14), ‘러바(热巴)’15), ‘셰(谐)’16), ‘궈셰(果 谐)’17)등 무용이 주류를 이룬다. 먼저, ‘두이셰’는 설역고원(雪域高原)에서 전해진 민간 가 무로 최초로 찰념금(扎念琴)18)을 주 반주악기로 한 춤이다. 민간에서 추어진 ‘두이셰’는 스스로 연주하고 노래하면서 춤을 추는 종합성을 띠는 예술이다. ‘두이셰’는 아리(阿里), 정일(定日), 라쯔(拉孜) 등의 농촌에서 추던 원형춤이 라싸(拉萨)로 전래된 후 사회 각 계 층 민중들의 사랑을 받게 되었다(赵玺 2007, 5). 특히 상류층과 도시주민들의 사랑을 받아 흥행하게 되었는데 라싸 지역의 지리적 환경, 풍속습관 등 요소로 인해 점차 발전하고 변 화하게 되었다. 신 중국 성립 이후 민간 예인들의 끊임없는 가공을 거치면서 음악적 선율, 가사 내용, 춤 동작, 스타일 등에서는 점차 변화를 가져오기 시작하였다(觉嘎 2007, 127). 거칠고 활달한 ‘두이셰’를 발랄하고 우아하며 섬세하게 표현되는 ‘라싸두이셰(拉萨堆谐)’로 변화시킨 것이다. 동시에 ‘두이셰’라는 명칭에 내재된 함의도 점차적으로 바뀌기 시작하였 다. 초기에는 외지인이 ‘두이’ 지역에서 전해지던 민간 가무를 ‘두이셰’라고 불렀는데 나중 에는 라사 등 도시에 전해져 그 지역에서 새롭게 형성 및 발전된 것을 ‘두이셰’, 혹은 ‘라싸 두이셰’라고 칭하게 되었다(史贝贝 2013, 6). 따라서 원초 발상지의 민간 가무였던 ‘두이 셰’는 ‘두이바인(堆巴人)의 가무’라는 뜻으로 ‘두이바셰(堆巴谐)’라고 부르게 되었다. ‘두이 셰’는 일정한 공연 시간과 장소 없이 수천 년 동안 민족의 사상적 감정을 담아낸 가무로 서장자치구 민간무용 중 가장 널리 퍼지고 보급성이 강하며 발전이 빠른 민간무용이며, 서장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민간무용 중 하나로 손꼽히는 무용이다. ‘두이셰’를 출 때 대부 분의 대형은 일렬 또는 원으로 서고 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 바퀴나 한 줄일 때는 제자 리에서 춤을 추고 때로는 좌우로 움직일 수도 있다. 손에 찰념금(扎念琴)을 든 예인이 맨 앞줄에서 연주하고 노래하면서 춤을 춘다. 노랫소리에 맞춰 남녀노소가 함께 노래를 따라 부르면서 춤을 춘다. ‘두이셰’가 라싸에 전해진 후 사회적인 기능과 춤의 용도에 따라 노래 와 춤동작, 가사 등 내용에서 많은 발전과 변화가 있었다. 춤 스타일은 발동작을 주동적으 로 하고 발밑의 리듬변화를 중시하며, 리듬에 맞춰 땅을 밟아 무릎 관절을 움직이게 하는 활동, 느슨한 상체 상태를 유지하여 팔은 자유자재로 흔들면서 자유로운 분위기를 선보인 다. ‘느슨하지만 홀가분한’ 상체의 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이고 정갈하며 경쾌하고 발랄하 면서 날렵한 동작 특징을 나타낸다. 과거 민간 예인의 ‘두이셰’는 술 한 그릇 머리 위에 올려놓고 춤을 추면 쏟아지지 않는다’라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요구하였다.

    ‘러바(热巴)’는 장족언어로 러바의 예인과 예인이 공연한 작품을 뜻한다. ‘러바’는 생계 를 필요로 생겨나 발전된 예술로 개방적이고, 경쟁적이며 포용적인 예술이다. ‘러바’는 방 울춤(铃鼓舞), 셰(谐), 현자춤(弦子舞), 랩, 서커스, 기공, 단막극 등 다양한 종류를 망라한 종합적인 표현 예술이다. 주로 티베트 자치구 창두(昌都), 나취(那曲), 린즈(林芝), 그리고 운남성(云南省) 디칭(迪庆) 장족 자치주, 청해성(青海省) 옥수시(玉树市) 장족 자치주와 사 천성(四川省) 간즈(甘孜) 장족 자치주 등 지역에 전해졌다. ‘러바’ 창시자는 창두 딩칭현(丁 青县)의 미라르바(米拉日巴, 1040-1123)라고 한다. 미라르바는 젊은 시절 코끼리 한 마리 를 죽여 코끼리의 가죽을 바닥에 깔고 그 위에서 춤을 추며 제사를 지내면서 ‘러바’춤을 만들었다고 한다. 지금까지 러바 공연에 사용되었던 소품 장식도 미라르바의 살상제사(杀 像祭神)의 전설에서 따왔다. 미라르바는 코끼리 큰 갈비뼈를 채취하여 북받침을 만들고, 배 아래 얇은 껍질을 채취하여 북가죽을 만들고, 작은 갈비뼈로 북채를 만들고, 코끼리의 장으로 그물 모양의 치마 이삭을 만들었다. 이 전설은 민간 ‘러바’춤에 신기한 색채를 더했 을 뿐만 아니라, 무용예술이 원시 제단에서 민간으로 넘어온 과정에 대한 해석이 되었다.

    수많은 ‘러바’ 연구 전문가들의 소개와 다양한 민간 전설에 의해 총 다섯 가지 의미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포의(布衣)를 입은 사람을 뜻한다. ‘러바’의 ‘러’는 장족언어에 서 ‘천’을 뜻하고 ‘바’는 사람을 뜻하기에 포의를 입은 사람으로 해석이 된다. 두 번째, 민 간에서는 ‘러바’를 예인이 끈으로 허리에 동여맨 치마모양의 의상을 뜻한다. 장족언어에서 이 의상 또한 ‘러바’라고 부르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예인들의 긴 머리가 오랫동안 빗질을 하지 않은 이유로 붙어있어 이 특징을 통해 예인을 ‘러바를 추는 사람’이라 하였다(刘波 2021, 159). 다섯 번째는 ‘러바’를 추는 예인들 중의 쏠로를 ‘러게와(热给瓦)’라고 하였는데 이 단어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하였다. 다섯 번째가 러바의 창시자 미라르바의 존재를 기리 기 위해 성함에서 따온 명칭이라고 한다.

    창두 ‘러바’의 무용 특징은 다음과 같다. 창두 일대의 ‘러바’는 대다수 생계를 위해 추어 졌으며 모두 미라르바의 후대였다고 한다. 각 ‘러바’ 유파 간의 경쟁은 매우 크기 때문에 기예성이 강했다. 예를 들면 서커스, 기공(气功) 등이 흥행했다. 장대 오르기 기술(爬杆技 巧), 고공 물구나무서기(高空倒立), 배 위에서 돌 깨기(腹上破石), 밧줄 러바(绳子热巴), 칼 끼고 회전(夹刀旋转) 등 일반인은 할 수 없는 고난이도 기교였다. 창두 딩칭(丁青) 러바의 춤사위는 거칠고 호방하면서 유창하다. 음악은 소박하고 밝다. 대부분 재난을 피하고 풍년 을 축하하며 행운을 기원하는 내용이다. 딩칭 러바의 무용수는 일반적으로 10명~12명이 다. 남성무용수는 오른손에 ‘샹랑(香朗)’ 방울을 들고, 왼손에는 ‘아마(阿玛)’라는 소꼬리를 들고 허리에는 ‘러바(热巴)’를 두른다. 여성 무용수는 왼손에 ‘아(阿)’라는 손북을 들고 오 른손에는 ‘아유(阿又)’라는 북채를 든다.

    춤은 전반적으로 북과 방울의 박자를 따라 움직인다. 신나고 빠른 절주의 역동적인 춤을 추는데 남성은 방울을 흔들고 여성은 북을 치며 느린 박자부터 시작하여 절주가 점차 빨라 진다. 춤이 절정에 이를 때면 남녀 무용수가 함께 원을 이루어 회전하거나 줄을 지어 춤을 춘다. 남성무용수는 변화가 다양하고 난이도가 높은 각종 기교를 선보인다. 캉사(康沙)의 러바는 창두 경내에서 오늘날까지 무대에서 활약하고 있는 러바 유파 중 하나로 손꼽힌다. 전통작품은 북과 현자무를 함께 사용하여 남녀 함께 대화하며 춤을 추는 공연 방식이다. 딩칭 러바는 유구하고 유파가 많으며 기예가 뛰어난 장족 민간무용 중에서 없어서는 안되 는 대표적인 무용이다. 2006년 딩칭러바는 중국 최초의 국가급 무형문화유산보호명부에 오르게 되었다.

    창두 지역은 유구한 문화전통과 풍부하고 다양한 민간 가무들이 전승되었다. 그중 ‘셰’는 장족언어인데 ‘잎(叶)’의 뜻을 갖고 있다. 중국어로는 ‘현자(弦子)’로 불리운다. 중국어 명칭은 현악기의 반주에 맞춰 추는 춤이기에 붙어진 이름이다. 서장의 캉취(康区)에서는 주로 장족의 음력(藏历年)19) 3일과 7월의 경마회(赛马会) 등 명절날에 ‘셰’를 추게 된다. 사람들은 사찰 순례나 사찰 스님들의 종교무용이 끝나면 자발적으로 ‘셰’ 등 가무를 추면서 즐겼다. ‘셰’의 가사에는 고향, 자연, 명승고적, 풍토, 남녀 간의 사랑을 노래하는 내용이 담겼다.

    망캉 ‘셰(谐)’, 즉 현자춤(弦子)의 무용 특징은 다음과 같다. 망캉 현자춤은 춤추는 자태 가 둥글고 자유분방하며 유창하게 추어진다. 명절이면 사람들이 한자리에 모여 악기 ‘현자’ 를 연주하는 사람 뒤를 따라 긴 소매를 휘저으며 춤을 춘다. 현자의 음악소리에 맞춰 춤을 추는 사람들은 그 민족들 특유의 노래를 부르는데 ‘떨리는 목소리(颤声)’로 소리를 내면서 무용 동작도 그 소리와 맞물리게 ‘떨리는 기법(颤法)’을 사용하여 춤을 춘다. 이들이 모방 하는 동작은 주로 착하고 상서로운 동물의 자태나 특징이다. 예를 들면 ‘공작이 물을 마시 는 동작’, ‘토끼가 즐겁게 달리는 동작’ 등 형태를 나타낸다.

    표현할 때는 남녀가 각각 반원을 형성하여 함께 큰 원을 만든다. ‘비왕금(毕旺琴)’20)을 연주하는 사람이 앞장선다. 남자가 먼저 노래를 시작하고 여자가 다시 노래를 부르면서 춤을 추며, 시계방향으로 움직인다. 템포는 느린 박자에서 점차 빠른 박자로 바뀐다. 현존 하는 망캉 현자는 각지에 전파되어 여러 지역의 특색을 띠는 유파가 형성되었다. 예를 들 면 단아하고 듬직한 ‘염정현자춤(盐井弦子舞)’, 시크하고 찰랑거리는 ‘서중현자춤(徐中弦子 舞)’, 동작의 난이도가 높은 ‘숴둬시현자춤(索多西弦子舞)’, 자유롭고 개방적인 ‘취덩현자춤 (曲邓弦子舞)’ 등이 있다. 또렷하고 아름다운 현자의 소리에 현자춤은 모여서 추거나 흩어 져 추거나, 줄지어 추는 모습에는 모두 풍부한 문화적 의미와 미적 내용이 담겨 있다.

    나취(那曲)는 라싸의 북쪽에 위치해 있는 목축지이다. ‘줘(卓)’는 장족언어에서 목축지나 목축민을 뜻한다. ‘궈셰’는 장족언어로 원형 가무를 뜻하는데 목축민들에게 인기가 높은 가무 중 하나이다. 기원 4세기 때 서장의 고대 12개의 작은 부락 중 하나인 수피(苏毗) 부락이 서장 북부 초원에 정착하게 되었다. 당시 투루판(吐鲁番) 부락은 수비 부락에 복속 되어 수비군왕에게 출병하여 방조와 공세를 납부해야 했다. 7세기에 이르러 숭잔간부(松赞 干布)21)가 수비부락을 합병하여 서장을 통일하였다. 서장의 역사에서는 ‘39족’으로 불렸으 며 여전히 서장의 북부 초원에 거주하였다. 고대 서장인들은 대부분 유목생활을 했는데 아리, 나곡(那曲) 지역에서 발견된 암벽화는 주로 소떼와 목우를 주제로 그려졌다. ‘줘궈셰 (卓果谐)’는 고대 장족 목유생활 시기의 춤으로, 비교적 간단한 동작과 노동방식을 모방한 인류의 원시적인 춤에서 변천한 일종의 목축지에서 유행하는 가무이다.

    특히 경마축제가 열릴 때 명절날의 의상을 입고 직접 담근 쌀보리와 고기 등을 준비하여 사방에서 모여 낮에는 화려한 경마 의식과 물교회(物交会)가 열리고 저녁 무렵이면 사람들 이 떼를 지어 한곳에 몰려들어 밤을 새우며 흥겹게 춤을 추는데 모두가 무용수이자 관객이 된다. 행사는 이렇게 며칠 동안 진행된다. 이때가 젊은 남녀들이 사랑을 속삭이기 좋은 시 기이다. 가무 활동을 통해 마음에 드는 사람을 선택할 수 있다. 목축민들은 일 년 사시절 밖에서 유목하기 때문에 이렇게 한자리에 모이는 명절날은 만남의 날일뿐만 아니라 친구 를 사귀고, 상품을 전시하고, 교류하는 날이다.

    ‘줘궈셰’의 동작은 대부분 목축생산 노동에서 나온 동작으로 표현의 기본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장족의 새해에 추는 ‘줘궈셰’는 신년에 대한 축복, 날씨에 대한 기원과 가축의 번창에 대한 기원 등이 목적이다. 둘째, 결혼식에서 추는 ‘줘궈셰’는 결혼생활에 대한 축복 이다. 셋째, 가을에 수확을 마치고 모여서 추는 ‘줘궈셰’는 풍년을 축하하는 표현이다. 넷 째, 평소 친척 친구들과의 모임에서 추는 ‘줘궈셰’는 자유 오락적인 표현이다.

    나취의 ‘줘궈셰’ 무용특징은 다음과 같다. 나취는 라싸 북부에 위치해 있는 목축지이다. ‘줘궈셰’는 총 11개 현에 널리 전해졌다. 각 지역 대중들의 사랑을 받는 민간무용 중의 하 나이다. 무용은 거칠고 호방하며 농후한 목축지역 유목민족의 특색이 나타난다. 남녀가 각 각 반원을 형성하여 큰 원을 만들어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면서 노래하고 춤을 춘다. 남자가 한 소절 부르면 여자가 한 소절 부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줘궈셰’는 특정된 공연 장소는 없지만 장소가 평탄한 평지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저녁 무렵부터 춤을 추기 시작한다. 춤 판의 크기는 참가한 인원수에 의해 결정된다. ‘줘궈셰’는 노래, 춤, 가사가 융합된 예술이 다. 춤에서의 기본동작은 ‘기법보(起法步)’라고 불리는 동작으로 서장 지역 북부 유목민의 무용 풍격이 체현되는 동작이다. 춤 동작에서 볼 때 남녀의 동작은 같지만 실제로 출 때는 여자의 동작은 작고 함축적이며 유연하고 아름다우며 남자의 동작은 격앙되고 분방하며 우렁차고 힘 이 있다. ‘나취줘궈셰’의 노래 가사에는 인문지리, 민간풍속, 타민족과의 교류 내용을 나타냈다. 가사를 통해 역사상 서장 북부지역의 장족 사람들이 몽골족, 만족 사람 들과도 서로 교류하였다는 내용도 알 수 있다.

    4. 조선족 민간무용의 문화적 특징

    중국의 조선족은 조선민족과 동일민족이다. 조선민족은 세계의 모든 조선인을 포괄적으로 칭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조선족은 조선민족과 같은 언어를 구사하고 같은 생활방식을 가지고 있다. 다만 오늘날 국가와 지역이 다르기 때문에 어떠한 면에서 각기 다른 신앙과 추구,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며 현재의 중국 조선족은 중국의 소수민족 중 한 민족이다.

    중국 조선족의 이주사는 청나라 17세기 중엽으로 거슬러 올라가게 되며, 19세기 후기부 터 대량의 이주민들이 한반도에서 이주하여 왔다. 함경도, 경상도, 평안도 등 3도 출신이 다수이며 대부분은 중국 동북지역의 장백산 일대에 거주하였다. 양국의 국민들은 예로부 터 서로 왕래하고 국경을 넘나들며 생계를 꾸리고 교류를 한 역사가 있다. 일찍이 선진시 대(先秦時代)부터 압록강 이서지역에서 생존한 조선인들이 있었다. 당송시기(唐宋时期)에 는 신라의 조선인들이 오늘의 산동(山东), 강소(江苏), 절강(浙江) 등 연해지역으로 유입되 었다. 요나라(辽代)때부터 청나라(清朝) 초기까지는 수많은 조선인들이 중국 동북지역으로 생계를 위해 이주하였다. 중국으로 이주한 조선인들은 한족, 만주족 및 기타 형제 민족들 과 함께 동북 변강을 개발하게 되었다. 조선인들의 중국 이주 과정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중국의 조선족 공동체의 형성은 대체로 19세기 중엽부터 1910년 사이에 이주한 이주민들 을 시작으로 1910~1945년 사이에 전입한 이주민들로 형성되었다(徐亮 2012, 6). 이 민족 공동체의 형성은 대체로 19세기 중엽부터 중화인민공화국의 설립에 이르기까지 100년이 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쳤다.

    조선족은 험난한 이주의 과정을 거쳐 중국 조선족으로 중국 다민족 국가의 일원이 되었 다. 1949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이 설립된 후 중국 국적을 소유하고 있는 조선족은 중화 민족(中华民族)22)의 구성원이며 중국의 소수민족에 속하는 조선족이라고 명시하였다. 이 로써 중국 조선족은 중국의 소수민족으로서 중화민족의 대열에 합류해 다른 형제민족과 함께 국가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완전한 중국 조선족 민족공동체를 형성하게 됐다.

    1) 이주문화의 특징

    중국으로 이주 한 후의 조선족은 민족의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중국의 문화권 안에서 화 하문화의 양분을 섭취하며 한국, 조선, 중국과 서양의 무용문화의 일부 내용을 수용하여 중국 조선족만의 무용문화체계를 구축하였다. 중국 조선족은 조선민족의 5천여 년의 전통 민족 문화의 역사를 물려받았으며 백여 년 동안의 이주 이후의 생활과 전쟁의 상처, 민족의 분단으로 인한 고통은 조선족만의 특유의 문화와 민족정신을 형성하였다. 조선족무용 도 지역, 사회, 국가 등 여러 방면으로 변화가 발생하면서 무용에 내재된 문화적 특징도 지속적인 변화를 거쳐 형성되었지만, 민족의 뿌리는 변하지 않았고 끊임없이 민족의 문화 와 예술적 가치를 모색하면서 발전하였다(陈寅 2010, 6).

    조선민족은 수렵민족에서 농경 위주의 민족으로 바뀌었다. 선조들의 ‘토템’은 숭배, 종교 신앙, 생존 노동에서 최초의 원시 형태의 무용을 형성하였다. 그 시기의 춤은 기본적으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형태와 놀이의 두 가지 형태에 속했다. 이후 조선민족의 문화는 삼 국시대에 이르러 독특한 무용문화 체계가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시기 조선민족의 무용문화는 지역별로 기후와 풍토, 사회생활, 그리고 그 기반에서 형성된 조선인들의 성격, 기질, 심리상의 차이로 인해 고구려, 신라, 백제의 삼국 문화권이 형성되었다(向开明, 严德 善 2002, 87). 그중 산악지대의 비농경문화를 대표하는 고구려무용은 거칠고 활달한 남성 적 성격이고, 평원지대에 농경문화를 대표하는 신라무용은 섬세하고 유연한 여성적인 성 격이라면 백제무용은 이 두 가지 특징을 모두 겸비하여 조화로운 미적 특색을 보여주었다. 이 시기의 무용 문화권의 형성은 서로 다른 지역, 서로 다른 기후의 풍토와 사회생활로 인해 각기 다른 특징을 나타내고 있었지만 조선민족의 ‘토템’과 종교적 신앙은 변하지 않 았으며 여전히 조선민족의 원시무용 형태를 기반으로 발전을 이루었다.

    조선민족전통문화의 초기 관념형태는 사회생산방식과 사람들의 생활, 종교 신앙에 의해 결정되는 자연숭배의식이었다. 즉 불교, 유교, 도교 세 가지 사상을 하나로 융합하여 형성 된 ‘천인합일’이다. 음, 양 등 원초적 철학사상을 함축하여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움을 실현 하였다. 조선민족의 이러한 문화적 특징은 조선족의 무용 문화의 형성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으며, 조선족무용문화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2) 전통문화의 특징

    중국 조선족은 근대와 현대에서 중국으로 이주한 소수민족으로 오랜 세월 중국의 독특 한 역사적 환경 속에서 형성된 민족공동체로 볼 수 있다. 이 민족공동체의 형성은 두 가지 속성을 지니고 있다. 첫째, 민족의 특징으로 볼 때 중국의 조선족은 근대와 현대에 조선인 들의 고유한 민족전통과 기본적인 조선인의 특징을 소유하고 있다. 동시에 조선민족의 전 통문화와 전통특징을 계승하는 토대에서 중국의 전통문화 색채를 띠고 있는 소수민족이다. 둘째, 중국의 조선족은 조선인의 후세들이며 동시에 국적과 법률적으로는 중국국적을 소 지하고 있고 중국의 헌법을 따르며 중국의 소수민족 공동체에 속해있다. 중국의 조선족은 이러한 속성으로 볼 때 공동과 개별의 이중성을 가지고 있다. 공동적으로는 근, 현대 조선 민족 공동체의 한 갈래이며, 개체성으로 보면 조선민족 공동체에서도 특수한 유형으로 근, 현대 중국 소수민족의 일원이다. 때문에 중국 조선족은 단순히 종족 혈통의 개념이 아닌 보다 특수한 의미를 지닌 역사적 개념으로 보아야 한다.

    또한 서로 다른 시기와 민족에서 발전된 전통이 혼합되는, 즉 조선민족의 전통과 중국조 선족의 전통, 즉 고대전통과 근현대의 전통도 지니고 있다. 이는 공통성과 개성을 지닌 문 화적 특성으로 중국 조선족의 무용발전 과정에서 독보적인 역할을 한다. 먼저 조선민족의 전통문화의 철학적 함의를 구현하였다. 다음은 조선민족의 신앙을 반영하였다. 비록 역사 가 변천하는 동안 민간의 세례를 거쳤지만 긴 세월 동안 창조된 조선족무용문화는 뿌리를 잃지 않고 계승 및 발전이 되었다.

    중국조선족 무용문화는 수천 년의 민족문화유산에서 유래한 것으로, 민족의 전통문화를 계승과 발전하는 동시에 중국문화의 큰 틀에서 끊임없이 중화민족문화의 자양분을 섭취하 고, 서양선진문화의 영향을 받아 주변 국가와 타 민족 문화와 상호 교류하고, 서로 학습하 면서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점차 다문화융합과 뚜렷한 특색을 지닌 중국조선족 무용 문화를 형성하였다. 그 발전과정에서 시대의 발전과 사회의 변혁에 따른 문화예술의 관념 과 민족 문화의 심미적 변화로 인해 중국 조선족무용의 특수한 개성과 문화가 형성되었다. 이런 특수한 성격의 무용문화는 복합성, 즉 중화민족성과 조선민족성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의 다각성, 즉 러시아, 한국, 북조선 등 국가와 인접하여 천연적인 지리적 우세 를 갖추고 있으며, 자원의 다층성, 즉 유산자원과 현존하는 활동자원이 공유되고 있고, 유 형의 유산, 무형의 유산, 중국 이주 후 새롭게 형성된 백여 년간의 근대무용문화유산도 소 유하고 있다.

    3) 조선족의 민간무용

    생활과 노동은 조선족의 예술이 형성하고 파생하며 발전될 수 있었던 원천이 되었다. 중국 조선족 무용은 대부분 이주의 과정에서 넘어온 것이다. 초기의 중국 조선족무용은 한반도의 민속적이고 원생태(原生態)적인 무용이 함께 넘어왔으며 조상들이 남긴 조선족 민요와 생활에서 만들어진 민속, 민간 가무가 주를 이루었다. 그중에는 민간 예인들의 공 연도 있는데, 그 중 상당 부분은 조상이 물려준 조선민족의 전통예술에 기초한 자작극이었 다. 그때의 농악무(農樂舞), 장구춤(杖鼓舞), 상모춤(象帽舞), 탈춤(假面舞)은 흔히 조선족 들의 밭, 마당, 제사, 명절, 경조사에서 나오는 감정표현이며, 자유오락성, 유희성, 대중적 인 민간민속무용으로서 인간과 자연 사이의 감정적 사슬과 사회통념을 반영한 것이었다.

    같은 조선민족 무용문화의 맥을 이어온 한국과 북한과는 서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모두 본 민족 전통문화를 토대하였지만 서로 다르게 변화 및 발전을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시대의 발전, 사회의 제도, 지역적 특징, 그리고 사람들의 심미 관 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게 된 것이다.

    조선족무용의 형태는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일종의 표현으로 운율에 녹아있다. 조선족무 용은 형태적으로 감기, 비틀기, 함축, 곡선, 원을 주요로 하고 상체의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풍부하다. 상체의 표현은 하체보다 풍부하고 주로 상체의 호흡과 의식을 강조하여 동작을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상, 하체는 서로 조화를 이루는 통일체로 연결과 기복이 끊 이지 않게 상호 간의 조화로운 배합을 통해 동작이 이루어진다.

    함축적인 율동 특징은 외부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내면으로부터 시작되는 응축된 율동 형식의 표현이다. 이는 내적 호흡의 율동을 통해 외적 형태의 움직임, 즉 좌우 또는 앞뒤로 의 움직임을 형성한다. 외적인 율동은 시각적으로 뚜렷하지만, 내면으로 응축된 표현은 무 용수의 호흡을 통해 움직임을 통제하고 조절하기 때문에 외적으로는 쉽게 그 율동을 파악 하기 어렵다. 이러한 율동은 조선족무용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러한 표현은 조선족무용의 ‘살풀이’에서 그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난다. 내면으로 응축된 표현은 인간 내면의 깊은 감정 을 표현하는 예술적 수단이자 조선족무용에서 없어서는 안 될 운율 스타일이다.

    Ⅳ. 결론

    본 논문에서는 중국에서 가장 지역성을 띠는 민족으로 판단되는 몽골족, 위구르족, 장족, 조선족의 춤을 중심으로 민족민간무용에 나타나는 문화적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다 음과 같은 점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네 민족은 유구한 역사적 배경을 지니고 있는 민족이었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는 몽골족, 위구르족, 장족, 조선족은 모두 역사적인 뿌리 가 서로 다르지만 현재는 중화민족, 즉 같은 민족공동체에 속해있는 민족임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몽골족, 위구르족, 장족, 조선족은 모두 중국 국경지역에 위치해 있는 민족으로 중국 주변 국가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으며 또한 역사적, 지리적 우세로 주변국가와 원활한 교류가 가능한 민족이다. 네 번째, 국경 주변에 위치해 있는 민족이지만 중국 내에서는 네 민족의 민간무용이 전국적으로 가장 보급이 잘 되어있고 예로부터 전해진 본 민족의 무용 문화의 전파 및 계승을 가장 잘 이루고 있는 민족이다. 다섯 번째, 네 민족의 무용에는 본 민족의 문화가 바탕이 되어있으며 중국의 역사와 문화를 함께 받아들이면서 수용과 융 합을 통해 새로운 발전을 이루었다. 이러한 새로운 발전은 네 민족이 공통적으로 변화와 발전을 이룬 것이 아닌 중국의 문화 자양분을 섭취함과 동시에 자발적으로 본 민족의 문화 적 배경을 극대화하여 각자의 민족적 특징을 강화하면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최초의 민족민간무용의 발생과 형성은 수렵, 제사, 생산 등 민족의 생산노동, 일상생활, 종교 신앙으로부터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발전 과정에서는 서로 다른 지리적, 문화적, 경제적, 생활방식의 차이로 민족민간무용 또한 이러한 배경이 바탕이 되어 각 민족민간무 용의 표현 형태나 표현 특징에서는 서로 공통점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민간무용에서 사용되는 도구나 생활에서 추어지는 형식은 비슷하지만, 무용의 형태와 표 현방식에서는 확연한 차이가 나타났다.

    몽골족에 대해서는 유목문화와 숭배문화의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이와 같은 문화의 흔적 은 그들의 춤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다. 그릇춤, 젓가락춤 등은 민족의 문화가 반영된 춤으 로 일상생활로부터 파생된 춤이다.

    위구르족에 대해서는 이주문화와 유통문화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문화의 영향은 춤의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로 인해 ‘자유오락성무용’, ’예속성무용’, ‘표현성무용’ 이 형성되었다. 가장 대표적인 민간무용으로는 손북춤, 타석춤, 접시춤, 나무 주걱춤, 칼춤 등이 있다. 이 또한 민간생활로부터 파생된 무용이다.

    장족에 대해서는 종교문화와 지역문화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해발이 높은 고원지대의 지리적 특징이 그들의 삶 전체에 영향을 주고 무용 또한 지리적 영향으로 다양한 특징으로 나타난다. 가무 두이셰, 러바, 셰, 궈셰는 그들의 오랜 문화가 축적된 대표적인 무용이다.

    조선족에 대해서는 이주문화와 전통문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족은 근, 현대 조선민 족 공동체의 한 갈래이자 근, 현대 중국 소수민족의 일원으로 두 가지 속성을 지닌 민족공 동체이다. 공동과 개체로써의 이중성을 가지고 있는 특성으로 농악무, 장구춤, 상모춤, 탈 춤 등 민간무용이 전래되었으며 자유오락성, 유희성, 대중성을 겸비한 민간민속무용의 발 전을 이루었다.

    이와 같이 신 중국 성립 이후의 몽골족, 위구르족, 장족, 조선족은 중국의 소수민족으로 합류되었으며, 각 민족은 자신의 고유문화가 바탕이 되어 민간무용들을 형성하였다. 이 네 민족의 민간무용은 중국의 타 지역 민족에 비해 보다 빠르게 전국적으로 전파 및 보급되었 다. 무용에 내재 된 문화적 특징을 살펴본 결과 이들의 민족민간무용은 그 민족의 문화적, 지리적 배경을 바탕으로 형성된 생활의 일부가 민간무용으로 발전이 되었으며, 역사적으 로는 주변국가의 영향도 받게 되어 세월의 흐름 속에서 각 민족의 민간무용의 내용, 형식, 리듬, 풍격은 모두 그 민족만의 특유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신 중국 성립 이후에는 국가의 정책과 제도에 따라 각 민족의 민간무용은 사회로 진입하게 되었고 대중적으로 변화되었으며 무대화를 이루었고 무용교육이 진행된 것으로 보아 전반적인 발 전 궤도는 서로 비슷한 추세를 보이긴 하였으나 내용적 측면에서는 각자의 방식대로 계승 및 발전이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민족민간무용의 형성을 이해하고 전승 방법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 진다. 현재 중국에서는 전국적으로 몽골족무용, 위구르족무용, 장족무용, 조선족무용을 중 점적으로 전파 및 교육하고 있기에 향후 중국에서의 민족민간무용의 발전은 지속적으로 좋은 성과를 이룰 수 있는 긍정적인 추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가 중국의 타 소수 민족뿐만 아니라 타 국가의 민족민간무용의 보존과 발전 연구에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 기를 기대한다.

    Figure

    Table

    Reference

    1. 阿布力孜·阿不都拉 Abulizi, Abudoula. 2016. “略论新疆维吾尔族舞蹈的艺术风格 luè lùn xīn jiāng wéi wú ěr zú wǔ dǎo de yì shù fēng gé” [On the Artistic Style of Xinjiang Uygur Dance]. 『环球市场信息导报 huán qiú shì chǎng xìn xī dǎo bào』 [Global Market Information Guide] 18: 114.
    2. 艾民 Ai, Min. 2005. “新疆维吾尔自治区成立始末 xīn jiāng wéi wú ěr zì zhì qū chéng lì shǐ mò”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Establishment of Xinjiang Uygur Autonomous Region]. 『秘书工作 mì shū gōng zuò』 [Secretarial Work] 8: 51-53.
    3. 布仁清和乐 Buren, qinghele. 2017. “蒙古族舞蹈的美学特征探究 méng gǔ zú wǔ dǎo de měi xué tè zhēng tàn jiū”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ongolian Dance]. 『艺术科技 yì shù kē jì』 [Art Technology] 30(2): 189.
    4. 陈鹭春 Chen, Luchun. 2011. “浅谈藏族舞蹈与维吾尔族舞蹈之间的区别 qiǎn tán zàng zú wǔ dǎo yǔ wéi wú ěr zú wǔ dǎo zhī jiān de qū bié” [On the Difference Between Tibetan dance and Uygur Dance]. 『黄河之声 huáng hé zhī shēng』 [Voice of the Yellow River] 22: 82-83.
    5. 陈寅 Chen, Yin. 2010. “中央民族大学朝鲜族舞蹈教材特色研究 zhōng yāng mín zú dà xué cháo xiǎn zú wǔ dǎo jiào cái tè sè yán jiū”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Chinese Dance Teaching Materials in Central University for Nationalities]. 中央民族大学 博士学位论文 zhōng yāng mín zú dà xué bó shì xué wèi lùn wén [PhD diss., Central University for Nationalities].
    6. 高鸣 Gao, Ming. 2015. “论当代中国民族民间舞蹈的历史形态演变 lùn dāng dài zhōng guó mín zú mín jiān wǔ dǎo de lì shǐ xíng tài yǎn biàn” [On the Evolution of the Historical Form of Contemporary Chinese National Folk Dance]. 『北京舞蹈学院学报 běi jīng wǔ dǎo xué yuàn xué bào』 [Journal of Beijing Dance Academy] 3: 5.
    7. 洪惠 Hong, Hui. 2021. “蒙古包的演变与蒙古族游牧文化的变迁 méng gǔ bāo de yǎn biàn yǔ méng gǔ zú yóu mù wén huà de biàn qiān” [The Evolution of Yurt and the Change of Mongolian Nomadic Culture]. 『中国民族博览 zhōng guó mín zú bó lǎn』 [China National Expo] (02): 57-59.
    8. 刘波 Liu, Bo. 2021. “藏族民间 “热巴” 艺术的民俗审美研究 zàng zú mín jiān “rè bā ” yì shù de mín sú shěn měi yán jiū” [Research on folk aesthetics of Tibetan folk "Reba" Art]. 『四川师范大学学报 (社会科学版) sì chuān shī fàn dà xué xué bào(shè huì kē xué bǎn)』 [Journal of Sichuan Normal University (SOCIAL SCIENCE EDITION)], 48(1): 159-165.
    9. 罗雄岩 Luo, Xiongyan. 2007. “维吾尔族民间舞蹈教学规律探析 wéi wú ěr zú mín jiān wǔ dǎo jiào xué guī lǜ tàn xī” [On the teaching law of Uygur folk dance]. 『北京舞蹈学院学报 běi jīng wǔ dǎo xué xué yuàn xué bào』 [Journal of Beijing Dance Academy] (04): 13-18.
    10. 史贝贝 Shi, Beibei. 2013. “拉萨堆谐的生态与形态研究 lā sà duī xié de shēng tài yǔ xíng tài yán jiū” [Study on Ecology and Morphology of Lhasa Dui Harmonic] 西藏大学 硕士学位论文 xī zàng dà xué shuò shì xué wèi lùn wén [Master's thesis, Tibet University].
    11. 吴团英 Wu, Tuanying . 2016. “论蒙古族文化的基本特征及其在民族性格上的体现 lùn méng gǔ zú wén huà de jī běn tè zhēng jí qí zài mín zú xìng gé shàng de tǐ xiàn” [On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Mongolian Culture and Its Embodiment in National Character]. 『内蒙古社会科学(汉文版)』 [Inner Mongolia Social Sciences (Chinese version)] 37(2): 166-169.
    12. 向开明, 严德善 Xiang, Kaiming, Yan, Deshan. 2002. “太极“气韵”与朝鲜(韩)民族舞蹈文化及“韵律”之关联 tài jí “qì yùn ”yǔ cháo xiǎn(hán) mín zú wǔ dǎo wén huà jí “yùn lǜ” zhī guān lián” [The Relationship Between Taiji “Qiyun” and Korean National Dance Culture and “Rhythm”]. 『东疆学刊 dōng jiāng xué kān』 [Dongjiang Journal] 19(2): 86-94.
    13. 谢雯雯 Xie, Wenwen. 2011. “浅谈新疆维吾尔族舞蹈的风格美 qiǎn tán xīn jiāng wéi wú ěr zú wǔ dǎo de fēng gé měi” [On the Style Beauty of Xinjiang Uygur Dance]. 『大舞台 dà wǔ tái』 [Big Stage] (02): 57-58.
    14. 徐亮 Xu, Liang. 2012. “中国特色朝鲜族民俗体育文化研究 zhōng guó tè sè cháo xiān zú mín sú tǐ yù wén huà yán jiū” [Research on Korean Folk Sports Culture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延边大学 硕士学位论 文 yán biān dà xué shuò shì xué wèi lùn wén [Master's thesis, Yanbian University].
    15. 张旭 Zang, Xu. 2011. “民间舞在现代社会中--从逻辑界看民间舞的现代发展趋向 mín jiān wǔ zài xiàn dài shè huì zhōng -- cóng luó jí jiè kàn mín jiān wǔ de xiàn dài fā zhǎn qū xiàng” [Folk Dance in Modern Society -- The Modern Development Trend of Folk Dance From the Perspective of Logic]. 『青年文学家 qīng nián wén xué jiā』 [Young writer] (017): 164.
    16. 赵军 Zhao, Jun. 2010. “西域社会变迁对维吾尔族消费习俗的影响 xī yù shè huì biàn qiān duì wéi wú ěr zú xiāo fèi xí sú de yǐng xiǎng” [The Influence of Social Changes in Western Regions on Uygur Consumption Customs]. 华中农业大学 硕士学位论文 huá zhōng nóng yè dà xué shuò shì xué wèi lùn wén [Master's thesis, Huazhong Agricultural University].
    17. 赵玺 Zhao, Xi. 2007. “藏族民间舞蹈“堆谐”研究 zàng zú mín jiān wǔ dǎo “duī xié ”yán jiū” [Research on “Heap Harmony” of Tibetan Folk Dance] 中央民族大学 博士学位论文 [PhD diss., Central University for Nationalities].
    18. 仲丽 Zhong, Li. 2011. “维吾尔族民间舞风格特点和教学训练要素 wéi wú ěr zú mín jiān wǔ fēng gé tè diǎn hé jiào xué xùn liàn yào sù” [Characteristics of Uygur Folk Dance Style and Teaching and Training Elements]. 『吉林省教育学院学报(学科版) jí lín shěng jiào yù xué yuàn xué bào (xué kē bǎn)』 [Journal of Jilin Institute of Education (discipline Edition)] 27(02): 123-124.
    19. 中华人民共和国中央人民政府网[zhōng huá rén mín gòng hé guó zhōng yāng rén mín zhèng fǔ wǎng, The State Council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검색일: 2021. 9. 10.], http://www.gov.cn/guoqing/2015-03/18/content_2835615.htm.
    20. 中华人民共和国中央人民政府网[zhōng huá rén mín gòng hé guó zhōng yāng rén mín zhèng fǔ wǎng, The State Council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검색일: 2021. 9. 12.], http://www.gov.cn/test/2006-04/11/content_250880.htm.

    저자소개

    이예란은 중국 연변대학 예술학원 무용학과에서 강사로 재직 중이며 중국 민족민간무용수업을 담당하고 있다. 관심 연구분야는 중국민족민간무용과 중국조선족민족민간무용이다. 주요 논문은 ‘지역 고교 민족민간무용 교학개혁과 실천 연구-조선족민족민간무용을 사례로(区域高校民族民间舞蹈教学改革与实践研究-以朝鲜族民族民间舞蹈为例),’ ‘중국 조선족 장고춤 특성 연구’ 등이 있다.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