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pISSN: 2383-5214 /eISSN: 2733-4279

HOME E-SUBMISSION SITEMAP CONTACT US

Journal Detail

Journal Detail

Export Citation Download PDF PMC Previewer
Development of Ohaeng Eumseong Chum based on BRACED Principles of Somatic Movement 소매틱 움직임 원리 ‘BRACED’에 기반한 ‘오행음성춤’ 프로그램 연구 : 기신법(氣身法)과 육자기결(六字氣訣)을 중심으로+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Asian Dance Journal Vol.65 No. pp.39-61
DOI : https://doi.org/10.26861/sddh.2022.65.39

Development of Ohaeng Eumseong Chum based on BRACED Principles of Somatic Movement

Kim, Yoonseon*, Kim, Kyunghee**
*Lecturer, Department of Dance, Sungkyunkwan University
**Professor, Department of Dance, Sungkyunkwan University
*

suny8353@naver.com



**

76khangel@daum.net




+ 이 논문은 주저자의 박사학위논문 '소매틱 움직임 원리 ‘BRACED’에 기반한 ‘오행음성춤’ 프로그램 개발 연구(성균관대학교, 2022)’를 수정, 보완한 것임.


Apr. 30, 2022 May. 29, 2022 Jun. 07, 2022

Abstract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principles of somatic movement inherent in Eastern psychosomatic disciplines with the aim of developing a somatic movement program for well-being.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rinciple known as ‘BRACED’, we examined the Kishinbeop of Kouksundo and the Yukjagigyeol of Hwalinshimbang whose training methods are based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water, fire, wood, metal and earth) and viscera, and developed the ‘Ohaeng Eumseong Chum’ program. The water dance is a movement that strengthens the kidneys and bladder, paired with the sound of ‘Chwi-’. The fire dance strengthens the heart and small intestine with the sound of ‘Whaw-’. The wood dance is for the lungs and large intestines, and makes the sound of ‘S-’. The earth dance is composed of movements for the spleen and stomach accompanied by the sound ‘Hoo-’.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somatic movement and to the study of well-being movement, which can help dancers and individuals to get to know their bodies and live a long and healthy life.



소매틱 움직임 원리 ‘BRACED’에 기반한 ‘오행음성춤’ 프로그램 연구
: 기신법(氣身法)과 육자기결(六字氣訣)을 중심으로+

김윤선*, 김경희**
*성균관대학교 강사
**성균관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동양의 심신 수련법에 내재된 소매틱 움직임 원리를 탐구하여, 양생을 위한 소매틱 움직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동양의 심신 수련법들 중에서 음양오행과 장부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수련한다는 공통점을 지닌 국선도의 기신법 과 활인심방의 육자기결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오행음성춤’ 프로그 램은 소매틱 움직임 원리 ‘BRACED’에 기초하고 음양오행과 장부와의 조화를 이루며 움직임과 소리내기를 함께 한다. ‘오행음성춤’ 중 수(水) 춤은 신장과 방광을 강화하는 움직임으로, ‘취-’ 소리내기 한다. 화(火) 춤은 심장과 소장을 강화하는 움직임으로, ‘훠-’ 소리내기 한다. 목(木) 춤은 간과 담을 강화하는 움직임으로, ‘휴-’ 소리내기 한다. 금(金) 춤은 폐와 대장을 강화하는 움직임으로, ‘스-’ 소리내기 한다. 토(土) 춤은 비장과 위를 강화하는 움직임으로, ‘후-’ 소리내기 한다. 본 연구는 소매틱 움직임 개발의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또한 무용수와 일반인들이 자신의 몸을 알아가고,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는 양생 움직임 연구에 기여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Ⅰ. 서 론

    과학기술과 의학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기대수명은 연장되고 있으며, 이에 사람들은 아 프지 않고 건강하게 오래 사는, 즉 양생(養生)을 원한다. 양생하고자 하는 불로장생(不老長 生)의 꿈은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모든 인간의 욕망이다. 본 연구는 인간의 욕망 즉, 양생 을 위한 소매틱 움직임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양생은 동양에서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자신의 생명을 보존하고 체질을 증강하여, 질 병을 예방하는 일련의 심신(心身) 단련 행위를 가리킨다. 국선도(國道)와 활인심방(活人 心方)은 양생의 한 범주인 심신 수련법이다. 국선도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심신 수련법으 로써 선조들의 지혜가 함축되어 온 빛나는 문화유산이다. 국선도는 몸과 마음, 정신을 함 께 닦아나가야 한다는 수련법으로, 단전호흡을 바탕으로 한 호흡훈련과 움직임을 행하는 행공(行功) 동작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허경무 2000, 17). 활인심방은 원래 중국 주 권(朱權)이 편찬한 도교 계통의 양생서인 활인심(活人心)을 퇴계 이황(李滉)이 필사하여 도산서원을 중심으로 전수되어 온 수련법이다. 활인심방은 마음을 다스려 병을 예방하고 치료한다는 수련법으로 양생법 상식(常識)과 도인 기공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 이다.

    2022년 6월 6일 현재 위키피디아(Wikipedia) 백과사전에 의하면 소매틱스(Somatics)는 토마스 한나(Thomas Hanna)가 1976년에 명명한 신조어로, 신체 감각과 경험을 중시하는 체화된 감각(Embodied Awareness), 바디 워크(Body work), 그리고 움직임 연구(Movement Studies)를 포함한 일련의 학문 및 실천을 일컫는다. 소매틱 움직임 교육의 역사에서, 많은 영향을 준 엘사 긴들러(Elsa Gindler, 1885–1961)는 호흡과 이완을 통해 자기의 신체에 집중하여 병을 치유하고, 일상에 있어서 의식적인 움직임을 통해 내적 감각을 깨우는 것을 강조했다. 이처럼 소매틱의 역사를 살펴보면 자신이나 가족의 부상이나 질병을 고치기 위 해 본인만의 치료 기법을 개발하면서 발전해왔다.

    이처럼 소매틱스는 동양의 양생과 마찬가지로 심신을 조절하는 내적 감각을 강조하고 있으며, 자신의 생명을 보존하고, 질병을 고치기 위한 적극적인 신체활동을 개발하면서 발 전해왔다. 이는 양생의 한 범주인 동양의 심신 수련법들을 소매틱스의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양생과 소매틱스의 연관성에 주목하고 동양의 심신 수련법이 소매틱스 움직임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또한, 동양의 심신 수련법 중에서 음양오행(陰陽五行)과 장부(臟腑)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수련한다는 공통점을 지닌 한국의 대표적인 심신 수련법 국선도의 기신법(氣身法)과 인체 에 조예에 깊었던 대학자 퇴계 이황(李滉)의 활인심방 중 육자기결(六字氣訣)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국선도의 기신법과 활인심방의 육자기결을 소매틱 움직임 원리 ‘BRACED’를 통해 분석하고, 분석된 소매틱 움직임 원리들에 기반하여 동서양의 통합적 소매틱 움직임 프로그램으로 개발하는 것이다. ‘BRACED’는 김경희가 소매틱 움직임 교육/치료를 위한 기본 원리 연구에서 처음 제시했으며 “다치지 않도록 고안된”을 뜻하는 호흡(Breathe), 이 완(Relax), 정렬(Align), 연결(Connect), 기대(Expect), 춤(Dance) 6가지로 이루어진 소매 틱 움직임 원리이다(김경희 2017, 26).

    본 연구자는 기신법과 육자기결의 소매틱 움직임 원리 통합을 통해 기신법과 육자기 결에서의 ‘BRACED’ 원리는 부각하고, 기신법과 육자기결에서의 부족한 ‘BRACED’원리 는 보완하여 기존의 수련법들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소매틱 움직임 프로그램을 개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매틱 움직임 프로그램은 서양의 소매틱 움직임 관 점에서 동양의 심신 수련법에 내재된 음양오행과 장부와의 관계를 연구하여, 무용수와 일반인들의 양생을 돕기 위해 개발된 동양철학(東洋哲學)이 담긴 프로그램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오행음성춤’이라 명명하였다. 본 연구자가 ‘오행댄스’, ‘오 행무용’, ‘오행움직임’이 아닌 ‘오행음성춤’이라고 정한 이유는 춤과 음성을 함께하기 때 문이다. 또한, 춤을 추는 것 그 자체가 소매틱 움직임의 원리이고, 춤을 추는 것 그 자체 만으로도 몸과 마음을 치유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춤의 의미를 강조하고자 ‘오행음성 춤’이라 명명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후 ‘오행음성춤’에 내재된 소매틱 움직임 원리, ‘오행음성춤’ 움직임 검 수 및 구성 내용, ‘오행음성춤’ 프로그램의 양생 수련법 가능성 3가지 측면에서 검증이 진행되었다. ‘오행음성춤’에 내재된 소매틱 움직임 원리 검증은 소매틱 발레 교사 자격증 (Certified Teacher of Somatic Ballet®)을 보유한 A에게1) 의뢰하였고, ‘오행음성춤’ 움직임 검수 및 구성 내용에서의 검증은 공인 움직임 분석가 자격증(CMA: Certified Movement Analyst)을 취득한 B에게2) 의뢰하였으며, ‘오행음성춤’ 프로그램의 양생 수련 법 검증은 퇴계 이황의 15대손 C에게3) 의뢰하여 ‘오행음성춤’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확 보하고자 하였다.

    Ⅱ. 소매틱 움직임 원리로 분석한 기신법과 육자기결

    소매틱 움직임 원리인 ‘BRACED’는 2017년 김경희가 소매틱 움직임 교육/치료를 위한 기본 원리 연구 논문에서 제시한 것이다. ‘BRACED’는 사전적 의미로 “넘어지지 않도록 대비된, 혹은 준비된”으로 해석되는데, 김경희는 “다치지 않도록 고안된”으로 설명하였다. 김경희에 의하면, 호흡을 잘하여, 몸과 마음의 긴장을 풀면, 신체 배열이 맞게 되어, 몸의 각 부분은 물론 마음이 정화되어 몸이 다치지 않고 원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고 한다(김경희 2017, 26).

    김경희가 제시한 소매틱 움직임 원리는 인체의 원리에 맞게 호흡하는 호흡(Breathe)의 원리, 몸과 마음을 이완시켜주는 이완(Relax)의 원리, 균형 잡힌 골격의 역동적 과정을 의 미하는 정렬(Align)의 원리, 심신 통합적 움직임을 의미하는 연결(Connect)의 원리, 기대하 고 바라는 긍정적인 힘을 의미하는 기대(Expect)의 원리, 춤을 추는 것 그 자체를 의미하는 춤(Dance)의 원리까지 총 6가지이다(김경희 2017, 32).

    1. 기신법에서의 소매틱 움직임 원리 분석

    위에서 살펴본 소매틱 움직임 원리 ‘BRACED’를 바탕으로 국선도의 기신법에서의 소매 틱 움직임 원리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호흡(Breathe) 원리이다. 기신법의 수련 비법은 단전호흡이라 할 수 있다. 단전 호흡을 통해 거칠어진 호흡과 마음을 가라앉히며, 의념을 집중하여 체내에 기의 흐름이 원활히 흐르도록 한다(허경무 2000, 67). 이는 기신법에서의 호흡의 원리이다.

    두 번째, 이완(Relax) 원리이다. 기신법 수련에 있어서 마음의 자세는 매우 중요하다. 국선도는 마음이 평안해야 우리 몸의 기가 조화를 이루어, 잘 통한다는 심평화기(心平和 氣)의 마음가짐을 강조한다(김윤선 2021, 36). 기신법 수련은 몸과 마음의 이완을 통해 기 의 흐름을 원활히 흐르도록 한다. 이는 기신법에서의 이완의 원리이다.

    세 번째, 정렬(Align)과 네 번째 연결(Connect) 원리이다. 기신법은 몸의 정렬을 통해 마음을 연결하는 심신이 하나 되어 조화를 이루는 수련법이다(김윤선 2021, 36). 그러므로 정렬과 연결의 원리를 함께 분석하는 것이 알맞다. 기신법 수련 과정에서 자주 듣게 되는 구두의 큐는 “가슴에서 손끝까지 기운이 흐르게 하세요”, “단전에 응축된 기운을 다리 뒤 쪽으로 흘려보내세요” 등이다. 이처럼 3년간 기신법을 훈련한 본 연구자의 경험에 따르면 기신법 수련에서는 근육과 뼈의 정렬에 관한 설명보다는 기의 흐름(정렬)에 관한 설명이 더 많다. 기의 흐름이 좋아지면, 마음이 단전의 본래 자리로 돌아가 안정되고 편안한 마음 으로 깊은 수련에 들어갈 수 있다고 강조한다(김윤선 2021, 36). 이는 기신법에서의 정렬 과 연결이다.

    다섯 번째, 기대(Expect) 원리이다. 기신법에서는 정신 집중 대신에 의념 집중이라는 말 을 사용한다(김윤선 2021, 36). 의(意)라는 것은 앞으로 일어날 어떤 일을 염원하며 그렇게 이루어질 것을 기대하는 마음이다. 거기에는 어떻게 하리라는 자신의 의지가 포함되어 있 다. 념(念)이라는 것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내가 가지고 있던 마음이다(김윤선 2021, 36). 기신법은 의념을 모아 장부 한곳 한곳에 기운을 보내 장부를 건강하게 해주는 운동이다(김 윤선 2021, 37). 실제로 본 연구자는 기신법 수련 시 의념 집중하고 움직임을 수행할 때가 의념 집중하지 않고 움직임을 수행할 때보다 원활하게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는 기신법에서의 기대 원리이다.

    마지막 춤(Dance) 원리이다. 본 연구자가 3년간 기신법 수련을 진행하면서 지도자들에 게 자주들은 구두의 큐는 “큰 학이 여유롭게 춤을 추듯이”, “너무 무리하지 마시고 춤을 추듯이” 등이다. 이처럼 기신법의 움직임은 춤으로써 굳어진 마음을 풀어주고, 몸속 기운 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김윤선 2021, 37). 이는 기신법 움직임을 통해 심신을 통합하고,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기신법에서의 춤의 원리다.

    2. 육자기결에서의 소매틱 움직임 원리 분석

    국선도의 기신법과 마찬가지로 활인심방의 육자기결 수련법을 소매틱 움직임 원리인 ‘BRACED’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 번째, 호흡(Breathe) 원리이다. 육자기결의 호흡은 6가지 소리내기와 함께 한다. 여섯 글자 가운데 각각 한 글자씩 그 글자의 음을 귀에 들리지 않을 정도로 마음속으로 소리 내어 내쉰다(김한진 2009, 27). 그런 다음에 들이마시는 숨은 의식하지 말고 자연스럽게 한다. 모든 글자 소리내기가 같은 요령이다(오정혜 2006, 32). 이처럼 육자기결의 소리내 기의 음성보다 호흡이 더 중요한 소리내기이다. 이는 육자기결에서의 호흡 원리이다.

    두 번째, 이완(Relax) 원리이다. 육자기결 수련에서도 국선도의 기신법과 마찬가지로 마 음의 자세가 매우 중요하다. 육자기결은 마음으로는 맑게 생각하고 소리내기 하라고 지도 한다. 몸과 마음의 이완을 통해 편하게 호흡할 수 있고 이러한 올바른 호흡을 통해 정확한 소리내기를 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이는 육자기결에서의 이완 원리이다.

    세 번째, 정렬(Align) 원리이다. 육자기결은 소리내기에 있어서 혀의 정확한 위치를 강조 한다. 예를 들어 ‘취-’ 소리의 경우 혀를 약간 위쪽으로 올리면서 뒤쪽으로 거두어들이되 조금 앞으로 내미는 듯 힘을 줘야 한다고 가르친다. 실제로 본 연구자는 혀의 위치에 따라 소리내기가 달라지는 것을 체현하였다. 소리내기가 중요한 육자기결은 혀의 위치에 따라 다른 소리내기가 나온다. 혀의 정확한 위치를 바탕으로 소리내기를 해야 몸과 마음을 연결 할 수 있다. 이는 육자기결에서의 정렬의 원리이다.

    네 번째, 연결(Connect) 원리이다. 기신법은 신체의 정렬을 통해 몸과 마음을 연결하였 다면, 육자기결은 혀의 정확한 위치 즉, 혀의 정렬을 통한 올바른 소리내기로 몸과 마음을 연결할 수 있다. 이는 육자기결에서의 연결 원리이다.

    다섯 번째, 기대(Expect) 원리이다. 육자기결 수련 시 숨을 내쉴 때는 해당 장부와 그 경락에 쌓인 탁한 기운을 모두 내보낸다는 마음을 갖고 하며, 들이마실 때는 새로운 생명 의 기운이 들어온다고 생각하고 맑은 마음으로 호흡하라고 지도한다(김한진, 2009). 또한, 육자기결은 6가지 소리내기를 할 때 의념을 모아 해당 장부 한곳 한곳에 기운을 보내야 한다. 이는 육자기결에서의 기대 원리이다.

    여섯 번째, 춤(Dance) 원리이다. 육자기결은 6가지 소리내기 호흡법을 활성화해주고 몸 속 기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려고 각각의 소리내기마다 서로 다른 움직임을 함께 수행한 다. 6가지 소리내기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움직임은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움직 여야 한다. 이는 육자기결에서의 춤의 원리이다.

    위에서 살펴본 국선도의 기신법과 활인심방의 육자기결에서의 소매틱 움직임 원리를 비 교 정리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기신법과 육자기결에서의 소매틱 움직임 원리

    (Principle of Somatic Movement in Kishinbeop and Yukjagigyeol)

    SDDH-65-39_T1.gif

    Ⅲ. ‘BRACED’에 기반한 ‘오행음성춤’ 프로그램

    1. ‘오행음성춤’ 프로그램의 목적 및 개발 절차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오행음성춤’ 프로그램은 서양의 소매틱 움직임 관점에서 동양의 심 신 수련법에 내재된 음양오행과 장부와의 관계를 연구하여, 무용수와 일반인들의 양생을 돕기 위해 개발된 동양철학이 담긴 소매틱 움직임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오행음성춤’ 프로 그램의 궁극적인 목적은 심신을 단련하여 오장육부를 강화하고, 건강하게 아프지 않고 오 래 사는 것이다. 즉, 양생이다. 양생을 위한 ‘오행음성춤’ 프로그램의 세부 목표는 다음 6가 지이다.

    첫째, 올바른 호흡(Breathe)을 돕는다. 둘째, 마음과 몸의 이완(Relax)을 돕는다. 셋째, 마음과 몸의 정렬(Align)을 돕는다. 넷째, 마음과 몸의 연결(Connect)을 돕는다. 다섯째, 긍정적 마음(Expect)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다. 여섯째, 즐겁게 춤(Dance)을 출 수 있도록 돕는다.

    ‘오행음성춤’ 프로그램은 2021년 1월~3월 자료수집과 문헌 연구, 2021년 4월~ 6월 소 매틱 움직임 원리 분석과 도출, 2021년 7월~11월 프로그램 설계와 개발, 2021년 12월 프 로그램 검증 단계를 거쳐 최종 개발 완료하였다.

    첫 번째, 자료수집과 문헌 연구 단계에서 ‘오행음성춤’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국선도 기신법과 활인심방 육자기결의 사적 고찰과 원리를 연구하였다. 국선도는 국선도 의 어의(語義)를 비롯한 국선도의 수련법, 수련단계 등을 연구하고, 국선도의 기신법에 관 한 내용과 원리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활인심방은 활인심방의 역사적 배경과 활인심방 의 주제와 내용을 연구하고, 활인심방의 육자기결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두 번째, 소매틱 움직임 원리 분석과 도출 단계에서 국선도의 기신법과 활인심방의 육자 기결에서의 소매틱 움직임 원리의 분석과 도출을 위해 ‘BRACED’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세 번째, ‘오행음성춤’ 프로그램의 설계와 개발을 위해 국선도의 기신법과 활인심방의 육자기결에서의 소매틱 움직임 원리 ‘BRACED’를 통합하여, ‘오행음성춤’ 실제 프로그램 을 개발하였다.

    네 번째, ‘오행음성춤’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검증을 진행하였다. 검증은 본 연구자가 직접 수행한 움짐임 영상과 기술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고, 2021년 9월 15일, 2021년 12월 15일 2차례에 걸쳐 3가지 측면에서 전문가의 검증을 진행하였다.

    2. ‘오행음성춤’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

    ‘오행음성춤’ 프로그램은 서양의 소매틱 움직임 관점에서 동양의 심신 수련법에 내재된 음양오행과 장부와의 관계를 연구하여, 무용수와 일반인들의 양생을 돕기 위해 개발된 동 양철학이 담긴 소매틱 움직임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오행음성춤’은 기신법과 육자기결의 통합 ‘BRACED’를 기초로 하고, 음양오행과 장부가 조화롭게 구성되어 있다.

    음양오행은 대우주의 원리이자 자연 질서의 틀이다. 이러한 음양오행을 소우주인 인간 의 장부에 적용하여 오장과 육부로 나눈다. 몸 깊숙이 있는 신장, 심장, 간장, 폐장, 비장에 속하는 오장을 음으로 바라보고 오장보다 바깥에 있는 육부인 방광, 소장, 담, 대장, 위를 양으로 바라본다. 오장은 형상, 색깔, 위치에 따라 수(水), 화(火), 목(木), 금(金), 토(土) 오행으로 분류한다(천상선사, 1993, 61). ‘오행음성춤’은 음양오행과 장부와의 관계를 극대 화하기 위해서 십이경맥과 활인심방의 6글자 소리내기를 함께 한다. 십이경맥은 경맥 중 기본이 되는 12개의 경맥을 의미하는 것으로, 몸의 장부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기가 흐르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활인심방의 6글자 소리내기는 장부의 기운을 강화하는 소리내기 호흡 법으로, 삼초를 제외하고 ‘취-’, ‘훠-’, ‘휴-’, ‘스-’, ‘후-’ 이다.

    이처럼 ‘오행음성춤’은 음의 오장과 양의 육부가 짝을 이루어 오행과 조화를 이루며 소 우주인 인간을 전인적인 건강한 인간으로 이르게 한다. ‘오행음성춤’의 이러한 음양오행의 조화로운 움직임은 양생에서 강조하는 자연의 조화를 의미한다.

    ‘오행음성춤’은 음양오행의 상생 순서에 따라 수(水) 춤, 화(火) 춤, 목(木) 춤, 금(金) 춤, 토(土) 춤의 순서로 진행되며,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움직임으로 구성하였 다. 각각의 춤은 음선양후로 음에 해당하는 왼쪽을 먼저 움직인 후에 양에 해당하는 오른 쪽을 움직인다. 이는 국선도와 활인심방에 담겨 있는 음양오행의 조화로운 움직임 원리를 활용한 것이다. ‘오행음성춤’의 전체적인 흐름은 소매틱 움직임 원리 중 호흡(Breathe) 원 리로 시작해서, 이완(Relax), 정렬(Align), 연결(Connect), 기대(Expect) 원리 순으로 진행 되지만 모든 원리는 춤이 끝날 때까지 조화를 이루면서 함께해야 한다. 본 연구자가 ‘오행 댄스’, ‘오행무용’, ‘오행움직임’이 아닌 ‘오행음성춤’이라고 정한 이유는 춤과 음성을 함께 하기 때문이다. 2018년 소혜진은 A Preliminary Research of the Role of Using Voice as a Bodily Instrument in Creative Arts Psychotherapy 논문에서 다양한 음성의 사용은 몸과 마음을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움직임과 음성을 결합한 프 로그램을 연구하였다. 또한, 춤을 추는 것 그 자체가 소매틱 움직임의 원리이고, 춤을 추는 것 그 자체만으로도 몸과 마음을 치유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춤의 의미를 강조하고자 ‘오행음성춤’이라 명명하였다.

    1) 수(水) 춤

    먼저 수(水) 춤은 음의 신장, 양의 방광을 강화하는 춤이다. 수(水) 춤의 움직임과 내용 은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수(水) 춤(Water dance)

    SDDH-65-39_T2.gif

    2) 화(火) 춤

    화(火) 춤은 음의 심장, 양의 소장을 강화하는 춤이다. 화(火) 춤의 움직임과 내용은 다음 <표 3>과 같다.

    표 3

    화(水) 춤(Fire dance)

    SDDH-65-39_T3.gif

    3) 목(木) 춤

    목(木) 춤은 음의 간, 양의 담을 강화하는 춤이다. 목(木) 춤의 움직임과 내용은 다음 <표 4>와 같다.

    표 4

    목(木) 춤(Wood dance)

    SDDH-65-39_T4.gif

    4) 금(金) 춤

    금(金) 춤은 음의 폐, 양의 대장을 강화하는 춤이다. 금(金) 춤의 움직임과 내용은 다음 <표 5>와 같다.

    표 5

    금(金) 춤(Metal dance)

    SDDH-65-39_T5.gif

    5) 토(土) 춤

    토(土) 춤은 음의 비장, 양의 위를 강화하는 춤이다. 토(土) 춤의 움직임과 내용은 다음 <표 6>과 같다.

    표 6

    토(土) 춤(Earth dance)

    SDDH-65-39_T6.gif

    3) ‘오행음성춤’의 검증

    ‘오행음성춤’의 검증은 3가지 측면에서 진행되었으며, 검증을 통해 ‘오행음성춤’ 프로 그램의 타당도를 높이고, 양생을 위한 소매틱 움직임 프로그램으로서의 가능성을 평가받 았다.

    ‘오행음성춤’에 내재된 소매틱 움직임 원리 검증은 소매틱 발레 교사 자격증(Certified Teacher of Somatic Ballet®)을 보유한 A에게 의뢰하였고, ‘오행음성춤’ 움직임 검수 및 구성 내용에서의 검증은 공인 움직임 분석가 자격증(CMA: Certified Movement Analyst) 을 취득한 B에게 의뢰하였으며, ‘오행음성춤’ 프로그램의 양생 수련법 검증은 활인심방 전 수자인 퇴계 이황의 15대손 C에게 의뢰하여 2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오행음성춤’ 프로 그램 검증 내용은 다음 <표 7>과 같다.

    표 7

    오행음성춤 프로그램 검증 내용(Verification details of Ohaeng Eumseong Chum)

    SDDH-65-39_T7.gif

    소매틱 움직임 원리 측면을 검증한 A는 ‘오행음성춤’은 ‘BRACED’ 원리가 모두 내재 되어 있어 소매틱 움직임 프로그램으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오행음성춤’ 움직임 검수 및 구성 내용에서의 검증을 진행한 B는 1차 검증에서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움직임 원리, 장기에 관한 설명, 각 신체 부위의 연결고리(Kinetic Chain)가 2차 프로그램 에 반영되었으며, 다소 모호하게 다루어졌던 기의 흐름도 심상(image)을 이용한 동작 설명 의 방법을 통해 구체화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본 프로그램에서 개발된 ‘오행음성춤’을 해부학적, 기능학적 근거 및 라반 움직임 분석(Laban Movement Analysis)의 틀에 근거하 여 살펴봤을 때, 움직임의 구조적, 질적인 측면에서 타당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유의미 한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평가하였다. 프로그램의 양생 수련법 가능성을 검증한 C는 ‘오행음성춤’은 호흡과 움직임과 마음이 혼연일체 되어 있어 양생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자는 3가지 측면에서의 검증을 통해 ‘오행음성춤’ 프로그램의 타당도를 높이고, 양생을 위한 소매틱 움직임 프로그램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Ⅳ. 결론

    본 연구는 국선도의 기신법과 활인심방의 육자기결에서의 소매틱 움직임 원리들을 통합 적 틀(원리)로 기초하여, 소매틱 움직임 프로그램 ‘오행음성춤’을 개발하였다. ‘오행음성춤’ 프로그램은 서양의 소매틱 움직임 관점에서 동양의 심신 수련법에 내재된 음양오행과 장 부와의 관계를 연구하여, 무용수와 일반인들의 양생을 돕기 위해 개발된 동양철학이 담긴 소매틱 움직임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오행음성춤’ 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적은 심신을 단 련하여 오장육부를 강화하고, 건강하게 아프지 않고 오래 사는 것이다. 즉, 양생이다.

    ‘오행음성춤’은 ‘BRACED’에 기초하고 음양오행과 장부와의 조화를 이루며 움직임과 소 리내기를 함께 한다. ‘오행음성춤’은 오행의 상생 순서에 따라 수(水) 춤, 화(火) 춤, 목(木) 춤, 금(金) 춤, 토(土) 춤의 순서로 진행되며, 각각의 춤은 음선양후로 음에 해당하는 왼쪽 을 먼저 움직인 후에 양에 해당하는 오른쪽을 움직인다.

    수(水) 춤은 신장과 방광을 강화하는 움직임으로, ‘취-’ 소리내기 한다. 화(火) 춤은 심장 과 소장을 강화하는 움직임으로, ‘훠-’ 소리내기 한다. 목(木) 춤은 간과 담을 강화하는 움 직임으로, ‘휴-’ 소리내기 한다. 금(金) 춤은 폐와 대장을 강화하는 움직임으로, ‘스-’ 소리 내기 한다. 토(土) 춤은 비장과 위를 강화하는 움직임으로, ‘후-’ 소리내기 한다.

    ‘오행음성춤’에는 소매틱 움직임의 기본 원리인 ‘BRACED’ 원리가 모두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오행음성춤’을 춤출 때는 마음을 내려놓고 편안하게(Relax) 단전호흡(Breathe)해 야 하며, 호흡과 함께 소리내기를 해야 한다. 상체와 하체는 바르게 정렬(Align)해서 기운 이 잘 흐르도록 움직여야 하며, 혀의 위치도 바르게 정렬하여 소리내기 해야 한다. 신체의 올바른 움직임과 혀의 올바른 정렬은 마음과 연결(Connect)되어야 하며, 긍정적인 마음을 장부 한곳 한곳에 의념 집중(Expect)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모든 것들을 하나로 연결해 서 춤(Dance)을 추듯이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움직여야 한다.

    ‘오행음성춤’은 국선도의 기신법과 활인심방의 육자기결에서의 소매틱 움직임 원리 ‘BRACED’가 통합되어 내재된 소매틱 움직임 프로그램이다. ‘오행음성춤’은 기신법의 단 전호흡과 육자기결의 소리내기가 통합하여 호흡(Breathe)한다. ‘오행음성춤’은 기신법의 심 평화기와 육자기결의 맑게 생각하는 마음가짐을 통합하여 이완(Relax)한다. ‘오행음성춤’ 은 기신법의 기의 정렬(흐름)과 육자기결의 혀의 정렬을 통합하고 바른 자세를 통해 정렬 (Align)한다. ‘오행음성춤’은 기신법의 기의 흐름을 통한 마음 연결과 육자기결의 혀의 정 렬을 통한 마음 연결이 통합되어 연결(Connect)한다. ‘오행음성춤’은 기신법의 의념 집중 과 활인심방의 소리내기와 함께 장부 한곳에 의념을 집중하는 것을 통합하여 긍정적인 마 음을 가지고 기대(Expect)한다. ‘오행음성춤’은 심신을 통합하여 춤을 추듯이 편안하고 자 연스럽게 춤(Dance)을 춤으로써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유지한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오행음성춤’은 기신법과 육자기결의 소매틱 움직임 원리 통 합을 통해 기신법과 육자기결에서의 ‘BRACED’ 원리는 부각하고, 기신법과 육자기결에서 의 부족한 ‘BRACED’원리는 보완하면서 만든 기존의 수련법들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소매틱 움직임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오행음성춤’을 춤추면 우리 몸의 생체 기능은 최대한 활성화되고, 그것을 토대로 바른 몸과 바른 마음에 의해 소매틱 체현화(Embodiment)에 이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선도의 기신법과 활인심방의 육자기결에서의 소매틱 움직임 원리를 도 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소매틱 움직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집중하였다. 하지만 본 프 로그램의 실효성과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현장에 적용한 후, 학습자의 평가를 토대 로 프로그램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더 세밀하게 수정 및 보완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을 다각적으로 실행하고 평가하는 비판적 연구가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Figure

    Table

    기신법과 육자기결에서의 소매틱 움직임 원리

    (Principle of Somatic Movement in Kishinbeop and Yukjagigyeol)

    수(水) 춤(Water dance)

    화(水) 춤(Fire dance)

    목(木) 춤(Wood dance)

    금(金) 춤(Metal dance)

    토(土) 춤(Earth dance)

    오행음성춤 프로그램 검증 내용(Verification details of Ohaeng Eumseong Chum)

    Reference

    1. 김경희 Kim, Kyunghee. 2016. “소매틱 관점에서의 발레 교수법 연구 Somaetik gwanjeomeseoui balle gyosubeop yeongu” [Somatic Perspectives on Ballet Pedagogy]. 『대한무용학회논문집 Daehanmuyonghakhoenonmunjip 』[The Korean Journal of Dance] 74(5): 17-31.
    2. _____________________. 2017. “소매틱 움직임 교육/치료를 위한 기본 원리 연구 Somaetik umjigim gyoyuk/chiryoreul wihan gibon wolli yeongu” [A Study of Principles for Somatic Movement Education/Therapy]. 『대한무용학회논문집 Daehanmuyonghakhoe-nonmunjip』[The Korean Journal of Dance] 75(1): 21-36.
    3. _____________________. 2017. “소매틱 체(현)화 과정을 위한 방법과 도구 Somaetik che(hyeon)hwa gwajeong-eul wihan bangbeopgwa dogu” [A Study of Methods and Tools for Somatic Embodiment Process]. 『대한무용학회논문집 Daehanmuyonghakhoe-nonmunjip』[The Korean Journal of Dance] 75(4): 1-17.
    4. _____________________. 2019 . “국선도와 갓츠겐 운도에 내재된 소매틱 움직임 특질 비교 연구 Gukseondowa gatcheugen undoe naejaedoen somaetik umjigim teugjil bigyo yeongu” [A Comparative Study of the Somatic Movement Characteristics Between Kouk Sun Do and Katsugen Undo]. 『무용예술학연구 Muyong-yesulhak-yeongu』[The Korean Journal of Dance Studies] 75(3): 19-35.
    5. 김부찬 Kim, Boochan. 2018. “퇴계(退溪) 이황(李滉)의『활인심방(活人心方) 』 에 나타난 심신수양론 Toegye I-hwang-ui 『Hwalinsimbang』 -e natanan simsinsuyangron” [The Cultivation of the Body and the Mind in Toegye Yihwang's HoalInSimBang]. 『유학연구 Yuhak-yeongu』[Studies in Confucianism] 45: 29-50.
    6. 김성환 Kim, Sunghwan. 2004. 『德堂 國仙道 단전호흡법: 이론과 실제(초급편) Danjeonhoheupbeop: iron-gwa silje(chogeuppyeon)』[Danjeon Breathing Method: Theory and Practice (Beginner)]. 서울: 덕당 [Seoul: deokdang].
    7. 김수혜 Kim, Suhye. 2020. “소매틱 무용/움직임 교육에 기반한 발레교육자 양성 프로그램 연구 개발 Somaetik muyong/umjigim gyoyuk-e gibanhan ballegyoyukja yangseong peurogeuraem yeongu gaebal” [Developing Ballet Educators Training Program Based on Somatic Dance/Movement Education].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hD diss,, Sungkyunkwan University].
    8. 김윤선 Kim, Yoonseon. 2021. “국선도에 내재된 소매틱 움직임 원리 연구: 내기전신행법을 중심으로 Gukseondoe naejaedoen somaetik umjigim wolli yeongu: naegijeonsinhaengbeop-eul jungsimeuro” [Somatic Movement Principles Inherent in KoukSunDo: Focusing on the Naegijeonsinhaeng Method]. 『무용역사기록학 Muyong-yeoksagirokhak』[Asian Dance Journal] 61: 27-42.
    9. 김한진 Kim, Hanjin. 2009. “퇴계 이황의 체육사상에 관한 연구 Toegye i-hwang-ui cheyuksasang-e gwanhan yeongu” [A Study on the T'oegye Yi Hwang's Thought of Physical Education].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hD diss., Dong-A University].
    10. 박정희 Park, Junghee. 2008. “한국무용을 이용한 노인체조 개발과 적용 효과 검증 Hangukmuyong-eul iyonghan noinchejo gaebalgwa jeokyong hyogwa geomjeung” [The Development of the Elderly Gymnastics Using Traditional Korean Dance and the Verification of Its Effects ].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hD diss., Korea University].
    11. 박혜연, 조기숙 Park, Hyeyoun and Cho Kisook. 2016. “소매틱(Somatics) 기반 움직임 교육원리 탐색 및 프로그램 개발 Somaetik(Somatics) giban umjigim gyoyuk-wolli tamsaek mit peurogeuraem gaebal” [An Exploration on the Principles and Development of a Program of Movement Education based on Somatics]. 『무용역사기록학 Muyong-yeoksagirokhak』[Asian Dance Journal] 42(1): 141-167.
    12. 소혜진 So Hyejin. 2018. “A Preliminary Research of the Role of Using Voice as a Bodily Instrument in Creative Arts Psychotherapy” 『무용예술학연구 Muyong-yesulhak-yeongu』[The Korean Journal of Dance Studies] 70(3):25-37.
    13. 이광호 Lee, Kwangho. 2001. “국선도 체험 분석의 소매틱적 해석 Gukseondo cheheom bunseok-ui somaetikjeok haeseok” [A Somatic Interpretation of an Analysis on the Experience through KukSunDo Training]. 『한국체육학 Hangukcheyukhak』[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0(2): 59-69.
    14. 이동한 Lee, Donghan. 2003. 『활인심방 Hwalinsimbang』[Hwalinsimbang]. 서울: 교육과학사 [Seoul: Gyoyukgwahaksa].
    15. 이동경 Lee, Dongkyung. 2021. 『활인심방 Hwalinsimbang』[Hwalinsimbang]. 미발간 [Unpublished].
    16. 이현수 Lee, Hyunsoo. 2007. “퇴계의 활인심방에 나타난 양생사상과 수련방법 Toegyeui hwalinsimbang-e natanan yangsaengsasang-gwa suryeonbangbeop” [Health Principles and Disciplins in Hwalinshimbang of Toegye].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hD diss., Myongji University].
    17. 이윤희 Lee, Yoon-hee. 2006. 『활인심방-퇴계선생의 마음으로 하는 몸공부 Hwalinsimbang-toegye-seonsaeng-ui maeumeuro haneun momgongbu』[Hwalinsimbang - Studying the Body with the Heart of Sensei Toegye]. 서울: 예문서원 [Seoul: Yemunseowon].
    18. 정숙 Jeong, Suk. 2008. 『이퇴계의 활인심방 I-toegye-ui hwalinsimbang』[Hwalinsimbang of Toehye]. 서울: 종합출판범우(주)[Seoul: Jonghapchulpanbeomu(ju)].
    19. 천상선사 Cheongsangseonsa. 1993. 『국선도 1, 2, 3 Gukseondo 1, 2, 3』[Gukseondo 1, 2, 3]. 서울: 국선도 [Seoul: Gukseondo].
    20. 허경무 Heo, Kyungmoo. 2000. 『국선도 강해 Gukseondo ganghae』[Gukseondo ganghae]. 서울: 밝문화연구소 [Seoul: Bakmunhwayeonguso].

    저자소개

    김윤선은 성균관대학교 무용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무용학과에서 강사로 재직 중이며, 연구 관심사는 소매틱 발레, 소매틱 움직임 원리, 소매틱 체현화 과정, 심신수련법, 양생법, 소매틱 움직임 프로그램 개발 등이 있다.

    김경희는 성균관대학교 무용학과 교수로, Texas Woman's University에서 박사 학위(Ph.D.)를 취득하였으며, 라바노테이션 교사 자격증, 미국 공인 움직임 분석가(CMA : Certified Movement Analyst) 자격증, BodyMind Dancing 교사 자격증, ISMETA 등록 소매틱 움직임 교육자/치료사(RSME/T) 자격증, ISMETA 등록 소매틱 무용 교육자(RSDE) 자격증을 취득하고, 현재 Somatic Ballet®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인 연구와 보급에 주력하고있다.

    Footnote

    • 검증자A: ph.d. 소매틱 발레 교사 자격증(Certified Teacher of Somatic Ballet®), 현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 검증자B: ph.d. CMA(Certified Movement Analyst). 무용학과 강사 경력 15년.
    • 검증자C: 퇴계 이황 15대손. 현 도산서원선비문화수련원 지도원.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