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pISSN: 2383-5214 /eISSN: 2733-4279

HOME E-SUBMISSION SITEMAP CONTACT US

Journal Detail

Journal Detail

Export Citation Download PDF PMC Previewer
Significance of The Little Angels in Performing Arts History I 리틀엔젤스예술단의 공연예술사적 의미 I : 리틀엔젤스예술단 60년사 시기별 활동과 특징을 중심으로+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Asian Dance Journal Vol.65 No. pp.63-99
DOI : https://doi.org/10.26861/sddh.2022.65.63

Significance of The Little Angels in Performing Arts History I

Kim, Hee-sun*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

hekst10@hotmail.com




+ 이 논문은 2022년 1월 19일 개최된 리틀엔젤스예술단 창단 60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 <예술로 세계로 미래 로>(선화예술중학교 선화아트홀)에 서 발표한 “리틀엔젤스예술단의 공 연예술사적 의미”의 일부를 수정ㆍ 보완하였다. 귀한 자료를 제공해주신 리틀엔젤스예술단에 감사드린다.


Apr. 30, 2022 May. 23, 2022 Jun. 07, 2022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periods, characteristics, activitie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60 years The Little Angels, a Korean children’s performing arts troupe.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 literature survey, the review of primary data including concert programs, newspapers, films, and interviews with key informants. The troupe formulated members, management, and repertoires during its ‘Formulated Period,’ In its ‘Cultural Ambassador Period’ in the context of the International Cold War and nation-building, the troupe played its role as a cultural ambassador with the mission to dispatch Korean culture to the “free world,” beginning with the US, then Europe, Asia, and South America. In the ’Private Troupe Transition Period’ of the 1980s, the troupe focused on domestic rather than overseas activities, yet performed at major events like the Seoul Olympic Games. After 1991, during its ‘Peace Delegation Period,’ the troupe again concentrated on overseas performances in the post-Cold War context and toured the USSR, North Korea, China, and UN nations that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This study examines The Little Angels unique position and provides a rich and multi-dimensional views of contemporary Korean performing arts history as created by the intersection of global and Korean concerns.



리틀엔젤스예술단의 공연예술사적 의미 I
: 리틀엔젤스예술단 60년사 시기별 활동과 특징을 중심으로+

김희선*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부교수

초록


이 연구는 리틀엔젤스예술단 60년의 활동을 특징에 따라 시기를 구분하고 한국공연예술 사적 의미를 고찰한다. 연구는 문헌조사, 공연 프로그램, 신문, 영상 등의 1차 자료검토, 주요 제보자 면담 등을 주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리틀엔젤스예술단은 ‘창단기’에 단원, 운영, 레퍼토리 등을 정비하였다. 냉전기이자 국가수립기이던 ‘문화사절단 활동기’에는 미국, 유럽, 아시아, 남미 등 ‘자유세계’에 파견되는 민간예술단과 국가문화사절단으로서 의 역할을 수행했다. ‘민간예술단 전환기’인 1980년대에는 해외보다 국내의 다양한 활동 에 주력하는 한편 서울올림픽 등의 주요 행사에도 참가했다. ‘평화사절단 활동기’인 1991년 이후에는 해외공연이 다시 활발해지는데 소련, 북한, 중국, UN, 한국전쟁참가국 순회공연 등 탈냉전적 평화사절단의 활동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세계와 한국현대사의 교차지점에서 구성된 리틀엔젤스예술단의 독특한 위치와 지난 60년의 활동 양상을 전반 적으로 살펴봄으로서 한국현대공연예술사를 풍부하고 입체적으로 조망해 불 수 있었다.



    Ⅰ. 들어가며

    1962년 창단되어 1965년 미국공연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한국을 대표하는 민간예술단으 로 활약하고 있는 리틀엔젤스예술단(이하 리틀엔젤스)은 2022년 5월 창단 60주년을 맞았 다. 리틀엔젤스의 60년은 국제정세와 한국 현대사의 시·공간이 그대로 담긴 타임캡슐이라 할 만큼 한국의 지정학적·역사적 시간을 관통해 왔다. 리틀엔젤스가 창단되어 해외공연을 펼치기 시작한 1960년대는 식민지로부터의 해방, 이념 갈등, 민족 전쟁과 분단을 거쳐 국 민국가 수립을 이루기까지 매우 혼란했던 시기였다. 국립공연예술단체가 본격적인 틀을 갖추기 이전 리틀엔젤스는 해외활동을 주력으로 삼아 한국 춤과 음악을 소개하며 해외국 가문화사절단의 역할을 담당하고 한국인들의 자부심을 고취시킨 문화적 아이콘이었다.

    리틀엔젤스 60년 활동의 학술적 고찰은 한국공연예술사 연구에 필요한 작업이었음에도 그간의 제한적 연구에 따라 한국공연예술사의 기술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질 수 없었다. 무엇보다 리틀엔젤스는 민간의 ‘어린이 단체’(김영희 외 2014, 394)로 ‘국위선양’과 ‘문화 외교사절’의 주체로서의 성과(정은숙 2003;김영희 외 2014, 394; 유진주 2016;고경희 2016, 137)가 강조되어 온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리틀엔젤스 60년의 역사는 한국공연예 술문화를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귀한 자산이다. 앞서 본 연구자는 이전의 연구를 통 해 리틀엔젤스의 의미와 역할을 재조명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했다(김희선, 2019). 무 엇보다 당대의 춤과 음악 유산을 바탕으로 구성된 리틀엔젤스의 레퍼토리, 무대화, 양식화 는 한국공연예술의 현대적 전환기의 중요한 변곡점을 보여준다. 또한 이 시기 특정한 방식 의 무대화와 레퍼토리의 리틀엔젤스의 실험적 실천은 이후 한국현대공연물의 구축에도 중 요한 기초를 제공했기에 이 과정을 상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리틀엔젤스는 ‘어린이 단 체’였음에도 불구하고 당대로서는 드문 ‘전문예술단’의 운영체계를 가지고 해외 전문매니 지먼트를 통해 장기순회공연을 성공적으로 운영한 예술단체였다. 더 나아가 리틀엔젤스를 당대 한국과 세계 공연계에 등장한 ‘어린이예술단’의 맥락 안에서 고찰하는 일도 필요하다. 리틀엔젤스 해외공연의 초기 악사로 참여했던 예술인들은 훗날 국악계의 명인들로, 이들 의 리틀엔젤스에서의 활동, 역할, 경험은 현대 이양기 국악 제도화의 단면을 포착할 여러 단서를 제공한다. 현재의 표준 레퍼토리의 반주음악이 국악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구성되 었다는 점에서도 고찰의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한국공연예술계의 열악한 상황 속에서 리 틀엔젤스는 당대 전문예술인들에게 삶의 터전을 제공하였다. 또한 리틀엔젤스를 통한 해 외공연의 경험은 훗날 전통예술의 해외 진출 방식, 레퍼토리 개발, 장르 발굴 등에도 중요 한 자산이 되었다. 또한 한국 춤과 음악뿐 아니라 리틀엔젤스의 합창 활동도 당대 세계와 한국의 합창문화 이해에 중요한 사례가 된다. 무엇보다 리틀엔젤스는 국내에서 특권과 선 망의 대상이었으며 시대의 아이콘이었다. 어려서 전문적인 예술교육을 받고 세계적 무대 에서 전문 공연 활동을 펼친 단원들의 경험은 특별한 것이었으며 이들의 경험은 한국 전통 공연예술계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리틀엔젤스의 존재는 어린이들의 예술계 유입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이후 많은 단원들은 한국의 대표 예술가로 성장하였다. ‘8세에서 13세의 소녀’ 단원을 중심으로 했던 리틀엔젤스는 한국에서 예술 조기교육 뿐 아니라 여성 예술가의 배출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김희선 2019, 143-145).

    앞서 한국문화재단은 두 차례에 걸쳐 리틀엔젤스 활동을 자료집(화보집)으로 출판하였 다(1990, 2002). 또한 리틀엔젤스는 한국무용과 공연을 통한 국위선양과 문화외교의 대표 적 성과로 기술되어 왔다(유미희 2001; 김영희 2014;유진주 2016). 리틀엔젤스에 대한 학술연구는 두 편의 석사학위논문으로 시작되었다. 리틀엔젤스의 현황과 발전방안연구(정 은숙 2003)와 리틀엔젤스 40년사 연구(신은경 2004)는 리틀엔젤스 출신단원들의 석사학 위논문으로, 리틀엔젤스에서 출판한 선행자료와 웹사이트에 소개한 자료를 기반으로 재정 리한 연구물들로, ‘국위선양의 리틀엔젤스’ 서사를 재현한 연구물로 평가할 수 있다. 유진 주는 한국문화사절단으로 한국춤의 해외공연을 연구한 박사학위논문에서 리틀엔젤스의 초 기 해외활동을 정리하였다(2016, 35~45). 리틀엔젤스의 단원으로 이후 가야금 교사로 활 동했던 홍주희는 리틀엔젤스 가야금 교육(홍주희 2003)을 주제로 연구하였으며 리틀엔젤 스의 교육을 심정문화예술교육(정하연 2021)의 차원에서 해석하거나 영재로서 리틀엔젤스 단원을 연구(이승연 외 2022)하는 등 리틀엔젤스 교육 관련 연구도 진행되었다. 또한 세계 평화통일가정연합(통일교)와 리틀엔젤스의 관계를 살핀 김인수(2022)는 리틀엔젤스 활동 을 선행문헌을 통해 개괄적으로 정리하면서 “평화문화정신”과 연계하여 논의하였다.

    앞서 본 연구자는 1965~76년까지 해외공연에 주력한 리틀엔젤스의 존재양상에 대한 질 문을 던지고 기존에 살펴본 바 없었던 다양한 1차 자료와 외교문서 등을 검토하여 1965~1976년 사이 활발했던 리틀엔젤스의 해외공연이 당대 글로벌 문화냉전과 국가주의 맥락에서 수행된 문화사절단 활동이었음을 고찰하였다. 이에 더해 리틀엔젤스 이해를 위 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설립과정과 관여한 인물, 초기 춤과 합창 레퍼토리 구성과 특 징, 해외공연활동, 참여 악사도 살펴보았다(김희선 2019). 그러나 1965년~1976년 시기로 한정하여 살펴보았고 1차 자료가 빈약한 상황에서 1967년 이후의 활동, 예술단의 운영과 제도, 구체적 무용 레퍼토리의 변천, 무용과 반주음악의 관계, 참여 악사들의 구체적인 면 면, 리틀엔젤스 국내 활동 등의 고찰은 후속 연구로 남길 수 밖에 없었다.1)

    이 연구는 앞서 시도된 바 없는 리틀엔젤스 60년의 국내·외 활동을 한국과 세계 공연예 술사 안에서 재맥락화하는 입체적 고찰을 통해 의미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앞서 연구들이 살핀 바 없는 다양한 공연 프로그램, 국내·외 신문, 영상, 음반 등의 1차 자료, 리틀엔젤스 관련 출판물, 선행연구, 인터넷 자료, 증언 등 다양하게 수집한 광범위한 자료를 살피는 실증적 연구로 리틀엔젤스 60년 활동의 실체에 근접해볼 것이다. 특히 이 연구는 이러한 자료들을 통해 앞서 구체화되지 않았던 시기별 활동과 특징, 리틀엔젤스의 제도와 운영, 레퍼토리의 구성과 특징, 세계공연예술사적 의미를 논의하는 시론적 연구이 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바 없었던 1962~1965년의 활동, 1965~1976년의 국내 활 동과 실증적으로 확인된 바 없었던 1976년 이후 현재까지의 활동을 포괄하여 논의하는 첫 번째 연구가 될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대한뉴스와 리버티 뉴스에 보도된 총괄 목록, 국내외 영상 및 영화목록, 1차부터 84차까지의 해외공연과 최근 개최된 60주년 기념공연 까지, 현재까지 파악된 자료를 종합적으로 소개하여 추후 지속될 리틀엔젤스 연구에 기초 자료로도 활용되도록 할 것이다. 그러나 60년의 역사를 한 편의 논문에서 고찰할 수도 없 을 뿐만 아니라 지면의 제약 상 모든 자료를 제시하는 일도 불가능하다.2) 따라서 리틀엔젤 스예술단 60년의 공연예술사적 의미를 두 편으로 나누어 살피고자 하는데 I편인 이 연구에 서는 리틀엔젤스 활동의 시기별 활동과 특징을, 연속성을 갖는 II편에서는 리틀엔젤스의 제도와 운영, 레퍼토리의 구성과 특징, 세계공연예술사적 의미를 차례로 고찰할 것이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와 문헌연구, 리틀엔젤스가 보유하고 있던 각종 공연 프로그램, 연구 자가 수집한 신문기사 및 영상 등의 1차 자료, 리틀엔젤스 단원 및 운영진들과의 공식, 비공식 면담을 토대로 60년사를 재구성해보고자 한다. 앞서의 자료들을 바탕으로 이 연구 에서는 어린이무용단으로 구성된 1962년부터 해외활동을 시작하기 이전까지를 ‘리틀엔젤 스예술단 창단기’(1962~1964), 1965년 해외활동 시작부터 중단된 1976년까지를 ‘리틀엔 젤스예술단 문화사절단 활동기’(1965~1976), 이후 해외공연보다 국내공연에 주력한 시기 를 ‘리틀엔젤스예술단 민간예술단 전환기’(1977~1989), 그리고 해외공연이 재개된 1990 년 이후부터 현재까지를 ‘리틀엔젤스예술단 평화사절단 활동기’(1990~현재)로 명명하고자 한다. 다음에서는 각 시기별 활동을 중심으로 특징을 살펴보고 의미를 논할 것이다.

    Ⅱ. 리틀엔젤스예술단의 시기별 활동과 특징

    1. 리틀엔젤스예술단 창단기(1962~1964)

    이 시기는 무용단3)의 설립과 단체로서 레퍼토리 및 체제를 준비하던 시기이다. 창단부 터 1965년 이전의 활동은 선행연구(신은경 2004;유진주 2016;김희선 2019)에서도 간략 히 언급되었을 뿐만 아니라, 확인되지 않은 채 기술된 부분이 많아 이 연구에서는 1차 자 료와 면담을 통해 확인한 창단기 활동을 세밀히 기술할 것이다.

    리틀엔젤스의 창단일은 1962년 5월 5일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창시자인 문선명 (1920~2012)의 뜻에 따라 창단되었다고 명문화되어 있다(한국문화재단 1990, 2002; 문선 명 2009, 176~177; 박보희 2000, 342). 그런데 여러 자료에 창단년도가 1962년과 1963년 으로 혼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내부자들과의 비공식 면담과 자료에 의하 면 통일교회에서 교인 자녀 소수로 주일학교에서 무용교육을 시작한 시기가 1962년이며, 이후 교인 자녀 17명4)을 단원으로 1963년 7월 27일, 낙원동 중앙문화회관 무용연구소를 개소하였다(리틀엔젤스 60년사 자료집 1부; 박봉애 년도미상; 박보희 2000). 무용연구소 의 개소가 1963년이었으나 이들의 무용교육이 1962년 시작되었으므로 이후 1962년 5월 5일을 공식창단일로 명문화한 것이다.

    무용단은 초기부터 해외공연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문선명은 자서전(2009, 176~177)에 서 전쟁과 빈곤으로 기억되는 대한민국을 ‘문화민족’으로 ‘해외’에 내보이기 위함이라 기록 하였다.5) 40년간 리틀엔젤스를 운영해 온 박보희(1930~2019)도 자서전과 증언집에서 주 미대사관 시절 문선명에게 해외에 한국예술을 알릴 민속무용단을 만들고 싶다는 내용의 서신을 전했고 이에 대해 “세계를 무대로 할 것”이며 “세계공연의 기틀을 미국에서 만들라 는 말씀”의 서신을 받았다고 기록하였다. 또한 면담에서는 전쟁, 빈곤, 고아로 알려진 한국 의 “낙후된” 이미지를 한국전통예술을 통해 선보임으로서 “문명국”으로 알리고자 함이라 언급한 바 있다(최해리 2010). 종합해보면 당시 미국에서 주미대사관에서 근무하며 국제감 각과 영어가 능통했던 박보희가 한국예술을 널리 알리기 위한 전통춤과 전통음악을 중심 의 ‘민속예술단’을 먼저 구상하고 문선명이 동의하며 시작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렇 다면 민속예술단을 ‘어린이무용단’으로 구성한 이유는 무엇일까? 박보희는 면담(최해리 2010)에서 처음 성인 민속예술단으로 구상했으나 문선명 총재의 의견에 따라 “평화의 상 징”인 어린이예술단으로 구성하게 된 것이라 밝혔다. 자서전에서는 “왜 어린이무용단이어 야 합니까? 그 코 찔찔 흘리는 어린아이들을 어떻게 세계무대로 끌고 다닌단 말입니까”라 물었던 자신에게 문선명은 “어린이는 평화의 상징”이며 “천국의 상징”이며 “한국의 평화애 호의 정신을 우리 어린이들 이상 잘 표현할 사람이 없다”라 서신을 전했다고 언급한다(박 보희 2000, 343).

    이러한 초기 계획은 1962년 교회의 주일학교 무용교육으로 실행되기 시작했는데 1963 년 종로구 낙원동에 무용연구소를 개소하며 ‘통일교회 어린이무용단’으로 연결되었다. 어 린이무용단의 교육을 담당한 신순심6)(1938년생)7)은 무용가 송범의 제자로 이화여자대학 교 무용과를 졸업한 젊은 무용학도였다(신순심 좌담). 정식 어린이무용단으로 정비 후 같 은 해 중구 쌍림동으로 이전하며 단원모집을 시작했다. 단원은 신문지상을 통한 단원모집 홍보와 주변의 소개를 통해 모인 어린이들을 간단한 오디션을 거쳐 선발하였다. 이때 참여 하게 된 단원들은 당시 무용을 학습하고 있었거나 무용단 주변에 거주하며 오가던 어린이 들이었다(신순심 좌담, 이노연 외 면담).8) 이후 무용 기초 훈련과 함께 공연 레퍼토리 구상 이 본격화되었다. 박보희에 의하면 전통춤 레퍼토리 개발과 음악 반주를 위해 신순심은 국악 명인 박성옥(1908~1983)을 초빙했다.9) 또한 당시 막 대학을 졸업하고 송범의 무용 연구소에 다니고 있었던 신순심은 어린이 무용에 적합한 레퍼토리 개발을 위해 무용 명인 들의 공연을 찾아다니고 학습과 연구를 병행하였다(신순심 좌담, 유진주 2016, 35). 식민 지 시기 최승희가 창작한 신무용 외에도 근현대기 한성준-한영숙, 김백봉 등을 통해 전승 되고 발전된 전통무용과 송범, 강선영, 권려성, 정재만, 홍정희 등 당대 무용가들의 춤도 연구하면서 발레에서 착안한 어린이용 군무를 개발하는데 신순심의 역할은 컸다. 박성옥 은 철가야금을 이용한 반주음악 창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신순심 좌담).

    무용단의 첫 공연은 1963년 12월 31일 용산구 청파동의 본부교회에서 진행되었는데 이 때의 공연자료가 남아있지 않아 공연의 레퍼토리를 구체적으로 알 수는 없으나 박성옥과 신순심 안무의 소품 레퍼토리가 중심이었음은 짐작할 수 있다. 1964년에는 교도소, 군대, 미군기지 등의 위문공연과 방송과 교회공연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초기 단원들과의 면 담에 의하면 이 시기 여러 공연무대를 거치며 레퍼토리가 점차 정비되었다(이노연 외 면 담). 1964년에 가진 공연 중 오산의 미 공군 위문공연은 리버티 뉴스(Liberty News)에 보도되었는데 해당 영상은 현재까지 발견된 리틀엔젤스의 최초 영상이다. 이 영상의 나레 이션에 의하면 장고춤, 부채춤, 탈춤이 공연되었다고 보도되었는데 해외공연을 준비 하던 ‘창단기’의 단면을 짧게나마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이다.10) 이후 외교부 초 청으로 ‘한국의 집’에서 한국유엔대표부 공연을 진행하였다.

    1964년 10월 미국에서 귀국한 박보희는 육군 중령으로 명예퇴역(박보희 2000, 368)하 고 리틀엔젤스에 합류하였다. 박보희의 합류로 무용단의 미국공연 계획이 구체화되었는데 박보희는 앞서 1964년 3월 미국 워싱턴에서 전 주미한국대사 양유찬(1897~1975)11)의 도 움을 받아 한미문화자유재단(The Korean Cultural and Freedom Foundation Inc. KCFF) 을 설립하였다. 한미문화자유재단은 “한국의 문화와 자유정신의 선양”을 목적으로 설립되 었고 기금모금 사업계획으로 “문화사업으로 리틀엔젤스(‘한국소년소녀무용단’) 해외공연” 과 “자유정신 선양사업”으로 ‘자유아시아방송(Radio of Free Asia, ROFA)(1966년)’을 시 작하였다(박보희 2000, 341).12) 박보희는 1964년 12월 통일교회의 동부지역 최초의 선교 사13)로 정식 파견되어 1965년 1월 도미하였다. 다음 <표 1>은 리틀엔젤스예술단 창단기 (1962~1964)의 활동을 정리한 것이다.

    표 1

    리틀엔젤스예술단 창단기 활동(Activities during the Formulated Period of The Little Angels)(1962~1964)

    SDDH-65-63_T1.gif

    1962~1964년은 리틀엔젤스예술단 창단기로 창단부터 해외공연을 위한 단원 모집, 교 육, 훈련, 레퍼토리 구상, 시범운영을 진행하였고 이 시기 무용단의 명칭은 ‘통일교회 어린 이무용단’, ‘한국소년소녀무용단’, ‘The Little Angles’ 등이 혼용되어 사용되었다. 이 시기 무용단의 설립, 설립목적, 운영, 무용지도, 안무에서 문선명, 박보희, 신순심, 박성옥, 통일 교회, 한미자유문화재단의 역할은 중요했다.

    2. 리틀엔젤스예술단 문화사절단 활동기(1965~1976)

    리틀엔젤스의 첫 해외순회공연은 미국공연으로 시작했다. 워싱턴에서 시작하여 약 100 일에 걸쳐 미국 전역에서 총 75회의 공연을 진행하고 귀국길에는 나흘간의 일본공연을 진 행했다. 이후 1976년까지 12년간 캐나다, 호주, 일본, 유럽, 동남아, 남미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를 돌며 장기순회공연을 진행했다. 리틀엔젤스는 해외공연에서 각국의 정상을 만나고 각종 국제행사 등에 초청받았으며 특히 1968년 멕시코 시티 올림픽에 문화사절단으로 참 여한 이후에는 ‘정부사절단’으로 파견되기도 하였다. 여기서는 리틀엔젤스의 가장 중요한 활동시기이자 해외공연에 주력한 ‘문화사절단 활동기’의 특징을 살피기 위해 해외공연과 국내활동으로 나누어 고찰할 것이다.

    첫 해외공연에서 ‘The Little Angels’를, 국내에서는 1965년 ‘선화어린이무용단’14)을 정 식명칭으로 사용하였다. 1969년 종로구 삼청동 청와대 연무관으로 거점 공간을 이동하며 ‘대한어린이무용단’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15) 다음 <표 2>는 리틀엔젤스예술단 문화사절 단 활동기의 국내·외 주요활동을 정리한 것이다.16)

    표 2

    리틀엔젤스예술단 문화사절단 활동기 해외 및 국내 주요공연 (Major Overseas and Domestic Performances during the Cultural Ambassador Period of the Little Angles) (1965~1976)

    SDDH-65-63_T2.gif

    1) 문화사절단으로서의 해외공연

    리틀엔젤스의 첫 해외공연은 1965년 9월 20일 아이젠하워 전 미국 대통령의 사저 공원 에서의 비공식 공연이었다. 앞서 언급한 듯 아이젠하워는 1964년 설립한 한미문화자유재 단의 명예총재였으며17) 이 공연은 박보희의 요청에 의해이루어 진 것으로 게티스버그 관 저 정원에 무대를 급조하여 진행되었으며 당시 주미 대사 김현철이 동행하였다(박보희 1997). 이 공연은 시카고 썬 타임즈(Chicago Sun Times), 더 이브닝 스타(The Evening Star) 등에 보도되었고18) 다음 날인 9월 21일 워싱턴 힐튼 호텔 대강당에서 재단의 이사 들과 미국의 정·재계 인사 300명의 관객으로 미국공연을 시작하였다(리틀엔젤스 60년사 자료집 1, 21). ‘The Little Angels: Brilliant Children’s Folk Dancing Group of Korea을 공연명으로 진행한 첫 해외공연에는 박성옥을 단장으로 하여 무용지도 및 독무 신순심, 무대감독 조영숙, 의상 디자이너 장혜숙, 조명 무대감독 차기봉, 5인의 악사 박성옥(아쟁), 한상묵(한유성, 장구), 한범수(대금, 해금), 김은산(피리, 호적), 이영숙(가야금), 그리고 27 명의 단원들19)이 참가했다. 첫 공연부터 3개월 100여일 간의 장기공연으로 미국 전역 25 개 주 70개 도시를 순회하며 학교, 호텔, 공연장 등에서 75회의 공연을 하였다. 레퍼토리는 1부에서 파고다(Pagoda), 무사놀이(Warrior Dance), 장고춤(Hourglass Drum Dance), 해병대(To the United States Marines), 쌍고춤(Twin Dance Drum), 부채춤(Fan Dance), 북춤(The Pentinent Monk), 농악(The Farm Dance)을, 2부(Part II)에서는 길쌈놀이(The Festival of the Weavers), 밤길(Travel by Night), 검무(The Sword Dance), 시집가는 날(The Wedding Day), 한국의 선율(Melody of Korea), 탈춤 (The Mask Dance), 무녀(The Dance of Sorceress)과 마지막 작품(프로그램북에 Grand Finale로 표기)으로 합창 미국은 아름다워(America the Beautiful)로 한 시간 반 정도의 공연이 진행되었다(1차 프로그램 북). 단원들의 무용은 박성옥 단장과 악사들의 라 이브 반주로 진행되었다. 레퍼토리 ‘한국의 선율’은 연주자들의 음악공연이었던 것으로 파 악된다. 프로그램북에는 The Court Dance, The Sword Dance, The Drum Dance, Provincial Dance, Interpretive Dance가 소개되어 있는데 당시를 기억하는 단원과 참 가 악사들은 극장, 공연장의 상황, 관객, 공연의 길이에 따라 프로그램이 달리 공연되었다 고 증언한다(이노연 외 2019, 최충웅 면담 2019).

    또한 미국의 CBS TV의 간판 프로그램이었던 더 에드 설리번 쇼(The Ed Sullivan Show)에도 출연(11월 28일)하게 되는데 에드 설리번(Ed Sullivan)도 리틀엔젤스의 자문 위원이었다. 이후 2차와 3차 공연에서도 같은 쇼에 출연하였다. 아이젠하워 사저 공연, 방 송 출연, 미국 전역의 순회공연은 미국 공연계에 리틀엔젤스가 소개되는 계기가 되었다.

    귀국 길에는 일본을 경유(12.10~14)하여 동경의 요미우리(読売)홀에서 나흘간의 공연을 진행하였다. 이 공연은 대한민국주재 재일공보관과 재일대한민국거류민단 후원으로 “한국 새싹들이 베푸는 한국고전무용의 잔치, 일한친선사절 한국소녀민속무용단(日韓親善使節 韓國少女民俗舞踊團 더 리틀엔젤스 ザ·リトルエンゼルズ”로 소개되었다(프로그램 북).20)

    2차, 3차, 4차 공연도 미국 순회공연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는데 특히 3차 공연은 미국의 대표적 공연장인 링컨센터의 최초 외국인 공연과 백악관 초청공연이 포함되어 이후 리틀 엔젤스의 국내·외 명성을 견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3차 공연의 프로그램북부터는 아이젠하워 대통령, 에드 설리번 쇼 출연 장면이 사진으로 실리기 시작했다. 3차 공연에 서는 캐나다 순회공연도 진행하고 귀국하였다.21)

    이어 4차(1969년), 5차(1970년 12월 25일~71년 1월 20일)에도 1차에 이어 귀국 길에 일본에 들러 공연을 했다. 최초 일본 순회공연인 4차 공연에서는 일본 측 초청자로 ‘더 리틀엔젤스 후원회’22)가 등장하는데 중요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공연은 일본 문화청, 주일 한국대사관, 대한민국 주일 한국공보관, 재일 대한민국 거류민단 중앙본부(민단), ㈜ 롯데의 후원을 받았다. 약 한 달에 걸쳐(1969.1.7.~2.2.) 4개 도시에서 순회공연하였고, 5 차에서는 11개 도시 순회공연23)을 진행하였다(일본 프로그램북). 이 공연은 마이니치 신 문(毎日新聞), 요미우리 신문(讀賣新聞)에 보도되고 리틀엔젤스는 NHK와 간사이 TV (関西テレビ) 등에도 출연하였다(한영혜 2019, 130). 1970년~1971년의 5차 공연은 사토 에이사쿠(佐藤栄作) 수상을 방문하고 황태자 부처와 기시 노부스케(岸信介) 전 수상이 관 람하며 큰 화제를 모았고 한국신문(韓國新聞)24)에 상세히 보도되었다. 2진 단독공연으 로 진행된 8차 공연(1972.11.9.~1973.3.4.)은 일본승공연합주최로 일본 단독공연으로 진행되었는데 도쿄 니찌게끼 극장(日劇劇場)의 200회 장기공연과 이후 오사카를 비롯 한 5개 지역25) 순회공연, 일본 적십자사 주최 베트남 전쟁복구기금 모집을 위한 특별 공연(1972.3.2.)이 진행되었다(프로그램 북). 일본 공연으로 이루어졌던 13차 공연 (1974.10.12.~2.14.)도 역시 ‘더 리틀엔젤스 후원회’ 주최로 니찌게끼 극장에서 진행된 40 일간 장기공연을 비롯하여 동경 등 7개 도시에서 184회의 공연을 하였다(일본공연 프로그 램북, 한영혜 2019, 133).26) 리틀엔젤스의 일본공연은 다음 항에서 다루게 될 ‘민간예술 전환기’에 일본 관람객의 리틀엔젤스회관 공연 관람과도 관계가 있다고 보이는데 리틀엔 젤스의 일본공연은 별도의 연구가 필요하다.

    4차 공연은 1968년 멕시코 시티 올림픽(19회 하계올림픽)의 민속예술제에 ‘한국민속예 술단 Grupo De Arts Folokirco Coreano, Korean Folk Arts Group’의 일원으로 파견되었 는데 본격적으로 정부사절단으로 활동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민속예술단은 김백봉, 전 황, 김문숙 등 당대 무용계의 명인들과 리틀엔젤스로 구성되어 있었다.27) 멕시코 올림픽 이후 9차, 11차, 12차, 14차 공연도 정부사절단으로 파견되었으며 국가수교, 국제 스포츠 행사, 엑스포 등 외교행사와 국제적 관제행사에 파견되었다. 정부사절단 공연은 민간예술 단이었던 리틀엔젤스를 국가적 위상으로 승격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며 청와대에서 직접 대 통령 내외를 만나 귀국보고회를 하고 다과회에 참석하는 등 국가대표 예술단으로 활동하 기 시작한다.

    6차 공연에서 리틀엔젤스는 유럽으로 활동 지역을 넓히기 시작했는데 영국의 엘리자베 스 여왕의 어전 공연은 리틀엔젤스 공연에서 특히 중요한 공연으로 기억되고 있다. 이 공 연은 9월 런던 공연 후 미국 순회공연 도중 영국 왕실로부터 특별초청을 받아 일부 미국공 연을 취소하고 공연에 참석한 후 다시 미국공연에 합류하였다. 영국여왕의 어전공연과 단 원 전원의 여왕 접견(1971년 11월 15일, 런던 팔라디움 극장)은 대한뉴스28)를 비롯한 방송과 신문에 대대적으로 보도되면서 리틀엔젤스의 명성은 더욱 높아졌다. 특히 리틀엔 젤스의 공연을 통한 각국 정상들과의 만남은 국가문화외교사절단의 역할을 한 셈이었다. 1971년 공연부터는 유병무(1938~2020)가 합류하며 합창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는데 리틀엔젤스 단가엔젤의 노래도 어전공연 후 기내에서 만들어졌다.

    1971년 6차 영국 어전 공연 이후 1975년 15차 공연까지는 리틀엔젤스의 전성기였다. 7차 공연부터는 1진과 2진(8차)으로 나뉘어 각각 유럽과 일본으로 순회공연을 진행하였으 며 9차와 10차 공연(1973.7.6.~1973.12.31.)은 실제로 8차의 1진, 2진으로 각각 유럽, 미 국 및 캐나다로 순회공연을 진행했다. 11차, 12차, 13차 공연(1974.5.28.~1975.2.14.)은 9 차의 1진, 2진, 3진으로 각각 미국 및 캐나다, 동남아 및 유럽, 일본 순회공연을 진행했다. 14차와 15차 공연(1975.5.30.~1976.2.13.)은 10차의 1진과 2진으로 각각 미국-캐나다-남 미, 미국-캐나다-유럽 순회공연을 진행했다. 지역적으로 미국, 유럽, 일본을 제외한 지역 의 공연은 대부분 정부사절단이었는데 1974년 12차 공연의 동남아시아-중동-아프리카와 1975년 14차의 남미 지역 공연을 포함한다. 1976년 15차(10차 2진) 공연 이후 서울에서는 공연에서 실연으로 연주했던 음악을 스튜디오 녹음(지한영 직원 담당, 녹음장소 서울 레코 드)을 진행하는데 이후 공연에서 이 녹음 반주를 사용하게 된다(리틀엔젤스 60년사 자료집 1, 371).29) 1975년까지 전성기 이후 1976년 미국 독립 200주년 특별 축하공연과 캐나다 공연을 진행한 16차를 마지막으로 리틀엔젤스는 12년간의 해외 장기순회공연을 마무리한 다(김희선 2019).30) 선행연구에서 1960년대 당시 척박했던 한국예술계의 환경 속에서 리 틀엔젤스의 해외공연은 전무후무한 기록이었음을 강조한 바 있다(유진주 2016, 33~34). 1960~70년대 한국예술을 세계에 알렸던 민간 문화사절단으로서 리틀엔젤스의 역할은 중 요하게 기억할 필요가 있다.

    2) 문화아이콘 리틀엔젤스예술단 국내활동

    문화사절단으로 해외에 한국을 널리 알리는 데 크게 활약한 리틀엔젤스는 국내에서도 다양한 활동을 통해 당대 한국의 문화적 아이콘이 되었다. 리틀엔젤스의 첫 미국공연은 대한뉴스, 신문, 잡지, TV 프로그램 등의 매체를 통해 국내에 알려졌으며31)귀국 직후인 1966년 2월 서울, 부산, 대구에서 귀국 공연도 진행되었다(프로그램 북). 문화적 인프라가 풍부하지 않고 식민통치를 겪으며 자국문화에 대한 자긍심이 낮았던 시기, 리틀엔젤스는 전통예술과 한국문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리틀엔젤스의 귀국 공연은 1~2차 해외공연 이후에만 진행되었으나 이후의 해외공연도 꾸준히 국내 매체 를 통해 보도되었다.32) 또한 정부사절단으로서의 활동을 시작한 1968년 이후에는 국내 개최 주요 국제행사와 외국 대통령 방한 시 특별공연은 리틀엔젤스의 주요무대였는데, 1969년 니제르 공화국 대통령 방한, 1974년 미국 포드 대통령 방한, 1975년 가봉 봉고 대통령 방한 특별공연 등이다. 1975년에는 국내에서 리틀엔젤스 세계공연 10주년 기념공 연이 개최되며 대대적으로 홍보하였다.

    리틀엔젤스의 국내 활동은 공연뿐 아니라 영화, 음반, 합창 활동으로 확장되었다. 리틀 엔젤스의 활동은 대한뉴스33)리버티 뉴스34)의 단골 소재였다. 다음 <표 3>은 리틀 엔젤스의 활동을 보도한 대한뉴스리버티 뉴스를 정리한 것이다.

    표 3

    대한뉴스리버티 뉴스 리틀엔젤스 보도

    (Reports of Daehan News and Liberty News on The Little Angels)(1965~1976)

    SDDH-65-63_T3.gif

    문화사절단 활동기 리틀엔젤스의 해외활동은 다양한 신문보도를 통해 국내에 알려졌다. 연구를 위해 수집한 해당 시기 신문보도가 133건35)에 이를 정도로 국내에서 리틀엔젤스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았다. 1966년 조선일보는 “불과 2년 만에 세계연예계에서 고유한 위 치를 차지하는 총아가 되었으며 빈 소년 합창단처럼 많은 미국 사람들에 의하여 해마다 손꼽아 기다려지게 되었다고 격찬을 아끼지 않았다”(1966.12.4. “리틀에인절스 무용단 인 기”)라고 소개하였는데 리틀엔젤스와 관련한 기사들은 대개 유사한 어조로 소개되었다. 이 를 통해 당대 리틀엔젤스에 대한 관심과 위상이 어떠했는지를 짐작해 볼 수 있다. 기사뿐 아니라 어린이 잡지를 통해서도 상세히 소개되며 선망의 대상이 되었다.36)

    1973년 개봉한 영화 천사의 메아리는 리틀엔젤스가 당대 문화 아이콘이었음을 잘 보 여준다. 이 영화는 리틀엔젤스 단원으로 활동하는 불치병 어린이를 영화 속 주인공으로 설정하였는데 실제 단원인 채한나가 주인공을 맡고 신순심(안무), 유병무(합창지휘), 국악 반주단이 함께 참여하였다.37)

    리틀엔젤스 해외공연의 실황 녹화물이 해외에서 수상하기도 하고 대한뉴스, 리버티 뉴스, 각종 기사, TV 등을 통해 리틀엔젤스의 활동은 다시 국내·외로 소개되었다. 리틀엔 젤스의 활약은 한국의 높아지는 국제적 위상과 냉전 시기, 반공과 평화의 아이콘으로 상징 되었다(김희선 2019). 다음의 <표 4>는 리틀엔젤스가 출연한 국내·외 방송영상 및 영화 (1965~1980) 정리한 것이다.38)

    표 4

    리틀엔젤스예술단 관련 영화/영상자료 목록(List of Movies/Films related to The Little Angels)(1965~1980년)

    SDDH-65-63_T4.gif

    1974년에는 리틀엔젤스 단원들의 교육을 위해 리틀엔젤스예술학교가 국가의 전폭적 지 원으로 설립·개교되었는데 이후 1976년 시행된 국어순화 사업에 따라 리틀엔젤스예술학교 는 선화예술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문화사절단 활동기의 초기는 미국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창단기에 구축한 공연레퍼토리 를 재정비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후 점차 일본, 캐나다, 유럽, 동남아, 남미 등의 공연을 진행하며 레퍼토리를 고정화하였고 국내에서는 귀국 공연, 해외 대통령 방한 특별공연, 국 내 개최 국제 이벤트 참여 등 국가사절단 행사 외에도 음반, 공연, 영화 등을 통해 소개되 며 당대를 대표하는 문화 아이콘이 되었다. 1965년부터 시작된 민간 어린이예술단 리틀엔 젤스의 16차 해외공연과 국가문화사절단 활동으로 이어졌고 국내적으로는 문화아이콘으 로 인식되는 중요한 시기였으며 현재까지 이어지는 리틀엔젤스의 명성은 이 시기의 활동 에 기반한다. 1977년 리틀엔젤스 예술학교 1기 졸업생이 배출됨과 동시에 민간예술단으로 전환되는 다음 시기로 접어들게 된다.

    3. 리틀엔젤스예술단 민간예술단 전환기(1977~1989)

    1976년까지 문화사절단으로 세계무대에서 활약을 이어온 리틀엔젤스는 1976년 미국공 연 이후 해외공연을 더 이상 이어가지 못했다. 해외활동을 중심으로 살핀 신은경(2004:16) 의 선행연구에서는 이 시기(1981~1990)를 ‘침체기’로 파악했으나 이 연구에서는 리틀엔젤 스 활동 60년사에서 이 시기의 특징을 드러낼 수 있도록 ‘민간예술단 전환기’로 명명하고 해외공연을 중심으로 활동한 선-후 시기로부터 구분하고자 한다. 가장 먼저 궁금한 것은 이 시기에 리틀엔젤스는 어떠한 이유로 해외공연을 지속할 수 없었을까의 질문이다. 김희 선(2019)은 선행연구에서 한반도의 지정학적 역사적 조건이 배태한 국제정치적 상황으로 해석했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관련 자료를 확보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민간예술단 전환기 국내 예술계의 변화라는 맥락 안에서도 해석이 가능하다. 국제 적으로 1976년은 한-미 관계에 어려움이 생기기 시작했고, 국내적으로는 반공과 조국 근 대화를 기치로 했던 박정희(1917~1979) 정권(1963~1979)이 1979년 막을 내림으로써 새 로운 시대에 대한 요청이 팽배했던 시기였다. 1972년에는 ‘문화예술진흥법’이 제정되며 ‘세계 속의 한국’을 모토로 전통문화에 대한 적극적인 해외홍보전략이 수립되었으며 이는 또한 국제무대에서 북한과의 경쟁을 의식한 것이기도 하였다(김희선 2021). 이를 배경으로 국립공연단체가 체제를 갖추기 시작하며 해외공연이 빈번해졌다. 1962년 설립된 국립무용 단이 1973년 본격적으로 국립발레단과 국립무용단으로 분리되며 전문화를 이루어가기 시 작했고 1976년부터는 해외 순회공연이 증가했다(심정민 2020, 278. 293). 1971년 무용단 을 신설한 국립국악원도 1970년대에 해외공연이 급증(김현철 2021, 347)39) 했다. 이렇듯 문화사절단의 역할을 국가예술기관이 주도하자 태생적으로 민간단체이자 어린이예술단인 리틀엔젤스에게 허락된 ‘국가대표’ 문화사절단의 역할은 지속하기 어려웠음도 짐직할 수 있다. 예술학교의 설립으로 학생 신분인 단원들의 해외공연으로 인한 장기결석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았다는 점도 주요한 요인이었다.

    이 시기에는 1985년 쓰꾸바 세계박람회 한국의 날 특별공연에 참가한 일본공연(17차, 총 4회 공연)이 유일한 리틀엔젤스의 해외공연이었다. 55명의 단원이 출연한 이 공연은 1976년 이후 9년 만에 이루어진 일이었는데 1주일 가량의 기간동안 총 4회의 공연을 진행 한 후 귀국하였다. 1부에서는 화관무, 처녀총각, 부채춤, 천사춤, 시집가는 날, 북춤을, 2부에서는 장고춤, 꼭두각시, 강강수월래, 가야금 병창, 농악이 공연 되었다(프로그램 북). 창단기와 문화사절단 활동기에 정립된 레퍼토리가 큰 변화없이 그대 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민간예술단 전환기의 리틀엔젤스는 국내에서 개최된 다양한 예술제, TV 출연, 주한외국 인 행사, 엑스포, 서울올림픽, 서울장애자올림픽 등 국제 메가 이벤트에 참가하고 어린이 관련 행사, 합창 행사, 크리스마스 콘서트 등을 개최하며 국내 활동에 집중했다. 서울올림 픽의 개회식에서 리틀엔젤스 48명의 단원들이 북춤을 선보여 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로 부터 공로패를 수여받기도 했다. 서울장애자올림픽에서는 북의 제전에 국립무용단 55명 과 리틀엔젤스 48명이 함께 북춤을 공연했다(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 자료집 1988).

    1981년 리틀엔젤스예술회관이 준공되자 리틀엔젤스는 민간예술단으로서 안정된 거점을 확보하여 공연과 교육기관의 역할을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일례로 ‘88 서울올림픽 이후 ‘서울올림픽 경축 리틀엔젤스 특별공연’이 9월 28~30일, 리틀엔젤스예술회관에서 개 최되었고 국내 개최 국제행사에 참석은 민간예술단 전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 다. 앞서 정은숙(2003, 85-94)도 연구부록에 ‘행사공연’, ‘순수공연’, ‘종교공연’으로 구분 한 바 있다. 이어 신은경(2004, 23-25) ‘기획공연’, ‘만찬공연’, ‘호텔공연’, ‘야외공연’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또한 과거 단원들과의 비공식 면담에 의하면 리틀엔젤스예술회 관에서도 상설공연형태의 공연이 수시로 있었으며 일본에서 온 단체관람객이 참관하였다 고 전한다. 특히 리틀엔젤스예술회관은 당시 디너가 가능한 형태의 극장무대로 디너를 겸 한 공연도 개최되기도 했다(코지 노다 면담). 그러나 이 시기 공연은 프로그램 등 1차 자료 가 많이 남아있지 않아 신문기사(55건)를 통해 민간예술단 리틀엔젤스의 활동상을 짐작해 볼 수 있다.40) 다음 <표 5>는 리틀엔젤스예술단 민간예술단 전환기의 대표공연 및 활동을 정리한 것이다.

    표 5

    리틀엔젤스예술단 민간예술단 전환기 대표공연 및 활동

    (Major Concerts and Activities during Private Troupe Transition Period of the Little Angels)(1977~1989)

    SDDH-65-63_T5.gif

    1977년 새롭게 명칭이 변경된 선화예술학교의 출범과 함께 ‘대한어린이무용단’이 진행 한 단막극 백의민족, 1978년 시민위안공연(어린이대공원), 1979년 6개 어린이 합창단 공연, 주한 외국인 한국민속의 밤(중앙국립극장), 국군용사위문대공연(세종문화회관), 1980년 참전용사 위안의 밤, 1981년 특집쇼 풍년이 왔네 출연, 1982년 주한외국인 대상 공연, 1982년 예술회관 준공 기념 공연, 1983년 세종문화회관 공연, 1984년 어린이날 특 집프로그램 출연, 리틀엔젤스 크리스마스 페스티벌, 1985년 일본 쓰꾸바 세계박람회 한 국의 날 행사 공연, 1986년 어린이잔치 롯데제과 주최 리틀엔젤스 공연, 1987년 리틀엔 젤스 세계애창곡집(CD) 출반, 1988년 청소년의 달 리틀엔젤스 공연, 서울올림픽 공연, 서 울올림픽 경축 특별공연, 1989년 리틀엔젤스 산하 가족극단 뮤지컬 단원 모집 등이 프로그 램과 신문기사 등을 통해 확인한 주요 공연들이다. 1989년의 마지막 기사는 “리틀엔젤스 소련공연 주선”41)으로 1990년 이후 리틀엔젤스의 평화사절단 활동기로 이어지게 된다.

    4. 리틀엔젤스예술단 평화사절단 활동기(1990년~현재)

    민간예술단으로 전환을 마친 리틀엔젤스는 1990년 일본 베아트(BEART) 음악협회 초청 일본 전국 순회공연을 시작으로 해외공연을 재개한다. 1부에서는 화관무, 처녀총각, 부채춤, 선녀춤, 검무, 북춤을, 2부에서는 장고춤, 꼭두각시, 강강수월래, 탈춤, 가야금병창, 시집가는 날, 농악이 공연되었다.

    이 시기는 국제적으로 탈냉전 시기로 접어들면서 소련, 북한, 중국, UN 참전용사 공연 등을 진행하였는데 1990년부터 2022년 초 84차 해외공연까지를 포함하여 정리하고자 한 다. 이 시기를 대표하는 가장 중요한 공연은 ‘리틀엔젤스, 철의 장막을 뚫다’, ‘이데올로기 의 장벽을 넘나드는 자유의 천사들’(프로그램북)로 홍보된 1990년 당시 소련의 모스크바 에서 진행된 공연이다. 1990년 공연은 리틀엔젤스의 재도약을 선포하는 공연이자 평화사 절단으로의 전환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 공연은 1990년 문선명 총재와 고르바초프 대 통령의 크렘린 궁 회담(1990.4.11.)에 리틀엔젤스가 민간예술단으로 함께 참여한 공연이었 다. 이 공연에는 영부인 라이사 여사가 참석하였고, 이후 1994년 3월 고르바초프와 라이자 여사의 서울 방문시 리틀엔젤스 공연에 참석했다(박보희 2021). 1990년 모스크바에서 귀 국 후 ‘소련 모스크바 공연기념 리틀엔젤스 특별대공연’(5.24.~5.25.)이 세계일보 주최, MBC 후원으로 세종문화회관 대강당에서 개최되었다(프로그램 북).

    1990년 모스크바 공연 이후 1991년 소련의 해체로 지구적 냉전 종식 이후 리틀엔젤스 의 활동은 전환을 맞게 된다. 소련(1990) 공연에 이어 소련이 해체되자 러시아(1991), 이 스라엘(1996), 북한(1998), 중국(2001), UN 참전 16개국 순회공연(2010~2012), 6.25 전 쟁 UN 의료지원국 순회감사공연(2011), 한국전쟁 휴전 기념공연(2012) 유엔군 참전·정전 협정 60주년 공연(2013), 광복 70주년 기념 유럽 특별 순회공연(2015) 등의 공연을 진행하 였다. 앞서 국제적으로 냉전 시기이던 문화사절단 활동기, 반공을 명분으로 미국, 유럽, 반 공 아시아와 남미 지역에 ‘파견’되었다면 탈냉전기의 맥락이 평화사절단 활동의 배경이 된 것이다.

    1991년 러시아 공연(21차)은 냉전 종식 이후 첫 러시아 공연으로 상트 페테르부르크에 서 세계 100여 개국에 방영된 24시간 생방송 인터네셔널 텔레톤 행사에 참석하고 키로프 마린스키 극장 무대공연을 5회 진행하였다. 바로 이어 1992년에는 미국 뉴욕 등 10개 도 시 순회공연으로 진행(22차)되었는데 1976년 공연 이후 16년 만의 미국공연이었다.

    평화사절단 시기 가장 중요한 공연은 1998년 성사된 민간 최초의 북한공연인 평양공 연42)이다. 5월 1일에서 12일에 걸쳐 총 38명 단원이 방문하고 평화봉화예술극장(5월 4~5 일)과 만수대 학생소년궁전(5월 7일)에서 공연이 올려졌다. 구 소련, 북한의 공연은 앞서 냉전시기 미국중심의 해외공연과의 관련성에서 파악했던 김희선의 연구(2019)와 관련지어 본다면 탈냉전의 맥락에서 재해석이 필요한 지점이 될 수 있다.43) 평양공연은 1부에서 화관무, 처녀총각, 부채춤, 시집가는 날, 가야금 병창, 밤길, 북춤을 2부에 서 장고춤, 꼭두각시, 강강수월래, 탈춤, 농악, 합창을 연주하였다. 그런데 이 들의 방북 일정은 공연뿐 아니라 주요기념지 방문, 만찬, 관광, 북측 공연 관람 등이 포함 되었으며 북한의 어린이들과의 친교 등 ‘민간’과 ‘어린이’를 키워드로 하는 평화 이벤트가 동시에 진행되었다. 리틀엔젤스의 평양공연은 한국문화재재단 제작 리틀엔젤스 예술단 평양공연(1998) 영상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44)

    이 평양공연은 이후 민간 남북교류로 이어졌는데, 2000년 5월 24일~30일, 평양학생소 년예술단 서울공연이 답방으로 초청된 것이다. 평양학생소년예술단의 서울공연의 레퍼토 리는 반갑습니다(노래와 춤), 백두의 말발굽 소리(경음악), 통일 무지개(4중창), 꽃 놀이(무용), 제일 고운 옷(인형춤), 모란봉(장새납 독주), 제일 좋은 내 나라(민요독 창), 통일렬차 달린다(손풍금 중주), 꼭꼭 숨어라(민속무용), 고향의 봄(녀독창), 김 치깍두기 노래(녀독창), 명절의 아침(무용), 옹헤야(가야금 3중주), 모자놀이(민속 놀이), 유격대 말파리(목금을 위한 경음악), 승전고 울려라(장고 재주), 욕심이 하늘 갈래요(남독창), 다시 만납시다(독창과 방창)로 구성되었다. 이 공연은 “남북정상회담 을 축하하고 남북화해와 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주식회사 평화자동차가 초청하고 재단법인 한국문화재단이 주관하는 ‘평양 학생 소년예술단’의 서울공연을 통해 민족의 동질성을 회 복하고 국민적 화합을 도모”하고자 지휘 및 지원 24명, 단원 76명으로 총인원 100명이 초청되었다.45) 공연은 예술의 전당 오페라 극장에서 총 5회 진행되었으며 KBS TV로 중계 방송되었다. 이들의 환영 만찬은 리틀엔젤스 예술회관에서 진행(9.24.)되었는데 리틀엔젤 스는 민족의 고동, 처녀총각, 부채춤, 꼭두각시, 가야금 병창, 춤추는 분수, 장난감 병정, 합창을 공연하였다.46) 분단 이후 최초의 공적인 남북한 예술교류는 1985년 ‘남북한 고향방문단 및 예술 공연단 서울·평양 동시교환’이었다. 이후 1990년 10월 에는 제1회 범민족 통일음악회‘90년 송년통일음악제가 개최되고 1998년부터 10년 간 남북예술교류가 지속되었는데 리틀엔젤스의 공연은 남북예술교류를 시작한 공연이었다 (배인교 2018).

    이 시기에는 리틀엔젤스 세계순회공연 30년 기념 특별공연 태극기를 세계로(1995), 리틀엔젤스예술단 창단 40주년 축하공연(2002), 리틀엔젤스예술단 창단 50주년 축하공연 (2012), 리틀엔젤스 예술단 60주년 축하공연(2022)을 통해 리틀엔젤스의 역사를 회고하는 공연을 진행하였다. 또한 2003년(45차) 리틀엔젤스는 한-중 수교 10주년을 기념하는 한 -중 우호 중국북경 왕부징 국제예술제에 한국대표로 참가하여 5회의 공연을 진행하고 만 리장성에서 중국 CCTV47) 특별촬영도 진행하였는데 이 공연은 리틀엔젤스의 최초의 중국 공연이었다. 이어 2009년 5월 UN군 한국전쟁 참전 60주년 기념사업회가 발족되고 2010 년 6월부터 2011년까지, 총 4차(58차, 59차, 60차, 62차)에 걸쳐 총 16개국 순회공연을 진행하였다. UN군 관련 16개국 순회공연은 2012년 MBC TV 프라임 다큐멘터리 천사들 의 또 다른 50년으로 방영되었다. 이어 UN군 5개국 의무지원국 순회공연(65차)도 진행 되었다(리틀엔젤스 60년사 자료집 2부). 소련, 북한, 중국, 한국전 참전 UN군 16개국 순회 공연 등 이 시기 리틀엔젤스의 공연은 이념으로 양분화되었던 냉전을 넘어 평화사절단으 로서의 면모를 드러내는 행보라 할 수 있다.

    이 순회공연을 제외하고 이 시기 대부분 공연은 단기적 일회성 공연으로 진행하였다. 1990년 18차 해외공연으로 시작으로 2019년 83차 해외공연까지 마치고 이후 코로나 팬데 믹으로 인해 해외공연을 중단하였다가 2022년 1월 두바이 EXPO 공연으로 84차 공연까지 진행하였다. 2022년에는 60주년 기념공연이 5월과 12월 두 차례 진행된다. 5월 28일 유니 버설아트센터에서 진행된 공연 리틀엔젤스예술단 창단 60주년 천사들의 비상 예술로 세 계로 미래로에서는 1부에서 , 처녀총각, 부채춤, 시집가는 날, 강강수월래, 가야금 병창, 북춤, 2부에서는 장고놀이, 꼭두각시, 바라다, 설날, 화검, 탈 춤, 농악, 합창이 공연되었다. 배정혜(1944년생)48) 예술감독의 취임 이후 새로 구성 한 , 바라다, 화검 세 작품이 무대에 올랐다. 또한 단원 출신으로 현재 리틀엔젤스 예술단 동문회장인 김덕수(1952년생)와 ‘앙상블 시나위’의 라이브 반주로 진행되어 문화사 절단 시기의 정취를 담아 리틀엔젤스의 역사성을 보여주고자 했다. 다음의 <표 6>은 리틀 엔젤스예술단 평화사절단 활동기의 해외 및 국내 주요공연을 정리한 것이다.

    표 6

    리틀엔젤스예술단 평화사절단 활동기 해외 및 국내 주요공연

    (Major Overseas and Domestic Concerts during the Peace Delegation Period of the Little Angles)(1990~2019)

    SDDH-65-63_T6.gif

    Ⅲ. 나가며

    리틀엔젤스 60년사를 한국공연예술사 안으로 소환하고자 하는 이 연구는 1962년부터 2022년까지 리틀엔젤스의 활동을 창단기, 문화사절단 활동기, 민간예술단 전환기, 평화사 절단 활동기로 나누어, 시기별 주요 공연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리틀엔젤스예술단은 ‘창단 기’에 단원, 운영, 레퍼토리 등을 정비하였다. 국제정치적으로 냉전기이자 국가주의와 민족 주의가 중요했던 ‘문화사절단 활동기’에는 미국, 유럽, 아시아, 남미 등 ‘자유세계’에 파견 되는 민간예술단과 국가문화사절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민간예술단이었지만 준비가 부족했던 국가예술단을 대신하여 국가대표 문화사절단으로 활동하였다는 점에 중요한 의 미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통일교의 해외선교와의 관련성(박보희 2000;양편승 2008; 김 병년 2014; 김희선 2019)과 이후 당대 북한과의 국제적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자유국으 로서의 국가정체성 확보라는 국가주의적 차원의 효용(김희선 2019, 2021)에서 리틀엔젤스 해외공연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민간예술단 전환기’인 1980년대에는 해외보다 국내의 다양한 활동에 주력하는 한편 서 울올림픽 등의 주요 행사에 지속적으로 참가하며 한국의 대표 민간예술단의 역할을 이어 나갔다. 또한 선화예술학교의 설립을 통해 한국의 전문예술교육에 기여했으며 민간극장인 유니버설아트센터를 설립하여 어린이 공연과 크리스마스 등 계기성 공연을 확장해나가며 민간예술단으로서의 입지를 굳힐 수 있었다.

    1991년 이후 리틀엔젤스는 해외공연을 재개하는데 소련, 북한, 중국, UN, 한국전쟁참가 국 순회공연 등을 통해 ‘평화사절단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리틀엔젤스의 평화사절단 전환 은 국제정세적으로 탈냉전기적 행보로, ‘세계평화’를 키워드로 하는 다양한 해외공연은 한 국공연예술이 세계예술 문화다양성 기여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리틀엔젤스 60년사를 기술하기 위해 다양하게 자료 의 발굴과 수집으로 리틀엔젤스 실체에 더욱 근접할 수 있게 되었으며 다양한 후속연구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다양한 자료의 교차 점검을 통해 선행연구에서 세밀히 살피 지 못했던 리틀엔젤스 초기의 명칭, 설립년도 등을 확인하여 후속 연구에 정확한 자료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세 번째는 영상 및 방송, 신문, 음반자료 등을 목록화하여 정리하 고 최초 영상자료(1964)를 발굴함으로서 그간 궁금했던 ‘창단기’의 활동을 구체화할 수 있 었으며 이를 통해 본격 해외활동기의 최초 해외자료(1966)와 비교고찰도 가능하게 되었다. 네 번째는 해외에 존재하는 리틀엔젤스 관련 자료의 존재를 확인한 점이다. 이번 연구에서 는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지역의 자료만 확인한 셈인데 추후 일본, 동남아, 남미지역의 방송, 영상, 신문, 잡지 자료도 확보하여 연구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리틀엔젤스 의 60년사를 거시적 관점에서 살펴 한국현대공연사에서 놓친 중요한 단면을 이해할 수 있 었다.

    리틀엔젤스는 ‘고유의 전통예술을 가진 문명국’으로 국제적으로 홍보하는 일에 공헌하 였다. 특히 냉전의 맥락에서 공연예술을 통한 남북의 국제경합에서도 리틀엔젤스의 해외 공연은 중요한 역할을 했다(김희선 2021). 무엇보다 식민지 단절의 역사를 관통하여 현대 전환기에 접어들며 제도화를 모색하던 전통예술계에, 해외공연을 통한 리틀엔젤스의 국위 선양은 전통예술이 국가적·사회적 효용을 확인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리틀엔젤스 의 다양한 역할과 공헌에도 불구하고 리틀엔젤스예술단은 종교단체에서 시작한 어린이예 술단이었다는 점, 당대 전문예술가들이 참여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활동이나 역량이 예술계안으로 수렴되지 못한 점 등은 리틀엔젤스의 활동이 현대공연예술사 안에서 역할을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이유라 할 수 있다. 또한 변화하는 세계와 한국의 공연시장에서 리 틀엔젤스에 대한 관심은 예전과 같지 않다는 점에서 미래를 위한 변화의 고민은 필요하다. 리틀엔젤스의 표준 레퍼토리는 근대에서 현대로 전환기의 일면을 그리게 해 준다. 리틀엔 젤스에 대한 추억을 간직한 세대 관객이 있고 한국적 특수성을 담은 독특한 레퍼토리와 구성, 60년의 역사를 가진 유일한 어린이예술단으로서 국내·외 공연시장에서 리틀엔젤스 의 희소성과 가치는 높다. 그러나 여전히 잔재하는 ‘반공-국가주의 문화사절단’ 의 내러티 브는 리틀엔젤스를 특정한 시·공간에 머무르게 한다. 문명국으로서 한국을 세계에 널리 알 리려는 문화사절단, 이분화된 세계의 평화사절단의 역할을 극복하고 환경과 불평등 같은 동시대 전지구적 아젠다에 주목하는 미래세대 주역이 되는 어린이예술단으로의 변화를 제 언해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세계와 한국의 현대사가 관통하는 교차지점에 구성된 리틀엔젤스예술단의 독 특한 위치와 활동 양상의 파악을 통해 한국현대공연예술사의 단면을 조망해 볼 수 있었다. 리틀엔젤스의 60년은 시·공간이 함께 요동친 현대공연예술사를 비추는 거울과 같다. 반세 기가 넘는 공연사를 한 편의 논문 안에서 살피는 일은 불가능하도록 리틀엔젤스의 활동은 다양했고 앞으로도 살펴야 할 자료는 매우 방대하다. II편에서는 리틀엔젤스의 제도와 운 영, 레퍼토리의 구성과 특징, 세계공연예술사적 의미를 고찰할 것이다. 리틀엔젤스 연구는 이제 시작 단계로 이번 연구를 통해 새롭게 던지게 된 질문들은 추후 개별 연구를 통해 상세히 들여다보고자 한다. 향후 리틀엔젤스 연구가 한국 춤과 춤반주의 무대화 과정, 레 퍼토리 변천, 참여 예술가들과 근현대 예술가들과의 관계와 계보, 무대 운영, 국제교류, 냉 전과 탈냉전 등 공연사의 다양한 연구주제로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현대기에 활동한 리틀 엔젤스 연구를 통해 공연예술사 연구에서 1차 자료와 당대 기록의 소중함을 절감하였다. 민간예술단의 당대사가 한국공연예술연구의 중요한 연구대상이자 미래의 중요한 연구과제 가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하고 추후 이와 관련한 후속연구를 기대하며 글을 맺는다.

    Figure

    Table

    리틀엔젤스예술단 창단기 활동(Activities during the Formulated Period of The Little Angels)(1962~1964)

    리틀엔젤스예술단 문화사절단 활동기 해외 및 국내 주요공연 (Major Overseas and Domestic Performances during the Cultural Ambassador Period of the Little Angles) (1965~1976)

    대한뉴스리버티 뉴스 리틀엔젤스 보도

    (Reports of Daehan News and Liberty News on The Little Angels)(1965~1976)

    리틀엔젤스예술단 관련 영화/영상자료 목록(List of Movies/Films related to The Little Angels)(1965~1980년)

    리틀엔젤스예술단 민간예술단 전환기 대표공연 및 활동

    (Major Concerts and Activities during Private Troupe Transition Period of the Little Angels)(1977~1989)

    리틀엔젤스예술단 평화사절단 활동기 해외 및 국내 주요공연

    (Major Overseas and Domestic Concerts during the Peace Delegation Period of the Little Angles)(1990~2019)

    Reference

    1. 고경희 Ko, Kyunghee. 2016. “국외공연활동의 한국무용 레퍼토리 변천과 미적 운용 Guk-oegong-yeonhwaldong-ui hangukmuyong repeotori byeoncheon-gwa mijeok unyong” [Repertoire Type and Principle Aesthetic in the Overseas Performance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움직임의 철학 Umjigimui cheolhak』[Philosophy of Movement] 24(3): 131-143.
    2. 김영희, 김채원, 김채현, 이종숙, 조경아, Kim, Younghee, Kim Chaewon, Kim Chaehyeon, Lee Jongsuk, and Jo Gyonga. 2014. 『한국춤통사 Han-gukchumtongsa』[History of Korean Dance]. 서울: 보고사 [Seoul: Bogosa].
    3. 김인수 Kim, Insu. 2022. “리틀엔젤스예술단 60주년 평화 & 문화 Riteulenjelseuyesuldan 60ju-nyeon pyeonghwa & munhwa” [The 60 Years of the Little Angels Peace & Culture]. 『광장 Gwangjang』[The Square] 222: 225-245.
    4. 김현철 Kim, Hyeoncheol. 2021. “세계를 누빈 국악 55년 Segyereul nubin gugak 55nyeon” [The 55 Years of Gugak Traveled the World]. 『국립국악원 개원 70년사 Gungnipgugakwon gaewon 70nyeonsa』[The 70 Years History of National Gugak Center]. 국립국악원 편 [edited by National Gugak Center], 344-389. 서울: 국립국악원 [Seoul: National Gugak Center].
    5. 김희선 Kim, Heesun. 2019. “문화냉전기 국가 프로파간다와 공연예술: 1960-70년대 리틀엔젤스 활동의 국제정치학 Munhwa-naengjeon-gi gukga propagandawa gong-yeon-yesul: 1960-70nyeondae riteulenjelseuyesuldan hwaldong-ui gukjejeongchihak” [The “Little Angels” and Nationalist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Cold War South Korea]. 『음악과 문화 Eumakgwa munhwa』[Music and Culture] 40: 143-183.
    6. _________________. 2021. “문화냉전 시기 남북한 민족예술의 경합: 1950-70년대 해외공연을 중심으로 Munhwa-naengjeon sigi nambukhan minjok-yesului gyeonghap: 1950-70nyeongdae haeoegong-yeoneul jungsimeuro” [International Competition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Cultural Cold War Period: Focusing on Overseas Performances during the 1950-70s]. 『음악과 현실 Eumakgwa hyeonsil』[Music and Reality] 61: 187-239.
    7. 리틀엔젤스예술단 공연사업팀 [Little Angels Concert Marketing Division]. 2021. 『리틀엔젤스 60년사 자료집 1부 (1965-1976) Riteulenjelseu 60nyeonsa jaryojip 1bu』[Little Angels 60 Years of History Source Book Vol. 1(1965-1976)]. 비공개 미출판 자료 [Unpublished].
    8. _________________________ [Little Angels Concert Marketing Division]. 2021. 『리틀엔젤스 60년사 자료집 2부 (1981-2012) Riteulenjelseuyesuldan 60nyeonsa jaryojip 2bu』[Little Angels 60 Years of History Source Book Vol. 2(1981-2012)]. 비공개 미출판 자료 [Unpublished].
    9. 리틀엔젤스 홈페이지 [Little Angels Website]. n.d. [검색일: 2022.1.2.], http://www.littleangels.or.kr/.
    10. 문선명 Moon, Sunmyung. 2009. 『평화를 사랑하는 세계인으로 Pyeonghwareul saranghaneun segyeineuro』[As a Peace-loving World Citizen]. 서울: 김영사 [Seoul: Gim-yeongsa].
    11. 박보희 Pak, Bohi. 1997. 『하나님의 뜻과 나의 삶 Hananimui tteutgwa naui sam』[God’s Will and My Life]. 서울: 성화출판사 [Seoul: Seonghwachulpansa].
    12. ________________. 2000. 『나는 자랑스러운 한국인 1 운명의 기로 Naneun jarangseureoun hanguk-in 1 unmyeong-ui giro』[I am a Proud Korean 1 Crossroads of Fate]. 서울: 홍익출판사 [Seoul: Hong-ikchulpansa].
    13. ________________. 2013. 『장한 어린 천사들 Janghan oerin cheonsadeul』[Proud Little Angels]. 미출판 발행 [Unpublished].
    14. ________________. 2021. 『모스크바에서 평양까지 Moseukeubaeseo pyeong-yangkkaji』[From Moscow to Pyeongyang]. 서울: 청파랑 [Seoul: Cheongparang].
    15. 박봉애, Pak, Bongae. 년도미상, n.d. 『박봉애 자서전 bakbong-ae jaseojeon』[Pak Bongae’s Authobiography]. 미출판 발행물 [Unpublished].
    16. 배인교 Bae, Ihngyo. 2018. “남북한 음악교류의 양상과 방향 Nambukhan eumakgyoryuui yangsanggwa bang-hyang” [Trend and Direction of Inter-Korean Music Exchange]. 『통일과 평화 Tong-ilgwa pyeonghwa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10(2): 39-79.
    17. 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 [Seoul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1988. 『서울올림픽 자료집 Seoul-olrimpik jaryojip』[Seoul Olympic Sourcebook]. 서울: 서울올림픽 조직위원회 [Seoul: Seoul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18. 신은경 Sin, Eungyeong. 2004. “리틀엔젤스 예술단 40년사 연구 Riteulenjelseu yesuldan 40nyeonsa yeongu” [A Study on the 40 Years’ History of the Little Angles].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19. 심정민 Sim, Jeongmin. 2020. “국립무용단사 Gungnipmuyongdansa” [History of National Dance Company]. 『국립극 장 70년사 역사편 Gungnipgeukjang 70nyeonsa yeoksapyeon』[70 Years of National Theater], 국립극 장 편 [edited by National Theater of Korea], 272-351. 서울: 국립극장 [Seoul: National Theater of Korea].
    20. 양편승 Yang, Pyunseung. 2008. “신종교의 해외전래과정에 대한 연구: 통일교의 미국선교과정을 중심으로 Sinjonggyoui haeoejeollaegwajeong-e daehan yeongu: tong-ilgyoui miguk seon-gyogwajeong-eul jungsimeuro” [A Study o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of the New Religion- Focusing on the American Missionary Process of the Unificiation Church]. 『신종교 연구 Sinjonggyo yeongu』[New Religion Research] 19: 138-180.
    21. 유진주 Yoo, Zinzoo. 2016. “한국문화사절단으로서의 한국춤 해외공연 활동양상 Hangukmunhwasajeoldaneuroseoui hangukchum haeoegong-yeon hwaldong-yangsang” [Historical Aspect of Korean Dance Performances in Overseas Countries as the Korean Cultural Delegation]. 한국체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hD diss.,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22. 정은숙 Jong, Eunsook. 2003. “리틀엔젤스 예술단의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무용단 활동을 중심으로 Riteulenjelseu yesuldanui hyeonhwanggwa baljeon bang-ane gwanhan yeongu: muyongdan hwaldong-eul jungsimeuro”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Little Angles Art Group: Focusing on the Activity of the Corps de Ballet].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23. 최해리 Choi, Haeree. 2010. 『2009년도 한국 근현대 예술사 구술채록 연구시리즈 165, 166, 167 박범훈. 박보희. 이상일 2009nyeondo hanguk geunhyeondae yesulsa gusulchaerok yeon-gusirijeu 165, 166, 167 pakbeomhun pakbohi isangil』[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Oral History Research Series 165, 166, 167 Pak Beomhun, Pak Bohi, Lee Sangil]. 서울: 아르코예술자료원 [Seoul: Areukoyesuljaryowon].
    24. 한국문화재재단 [Korea Cultural Foundation]. 1990. 『태극기를 세계로: 새 문화세계 창조의 업적 Taegeukgireul segyero: sae munhwasegye changjoui eopjeok』[Taegeukgi to the World: Achievements in Creating a New Cultural World]. 서울: 문선명 선생 고희기념 사업회 [Seoul: Mun seonmyeong seonsaeng gohiginyeom sa-eophoe].
    25.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02. 『태극기를 세계로 40년 1962-2002 Taegeukgireul segyero 40nyeon 1962-2002』[40 Years of Taegeukgi to the World 1962-2002]. 서울: 한국문화재단 [Seoul: Hangukmunhwajaedan].
    26. 한영혜 Han, Younghye. 2019. 『냉전의 문화지형과 디아스포라 정체성: 재일동포와 민족무용 Naengjeonui munhwajihyeonggwa diaseupora jeongchaeseong: Jaeildongpowa minjokmuyong』[Cultural Topography and Diaspora Identity in the Cold War: Zainichi Koreans and National Dance]. 서울: 한울 [Seoul: Hanul].
    27. 홍주희 Hong, Juhui. 2003. “가야금을 활용한 초등학교 국악교육의 ‘시김새’ 지도방안: 리틀엔젤스예술단의 가야금병창 지도안을 중심으로 Gayageumeul hwalyonghan chodeunghakgyo gugakgyoyuk-ui sigimsae jido bang-an: ritteulenjelseu yesuldanui gayageum byeongchang jidoaneul jungsimeuro” [Educational Proposal on "Shikimsae" of Primary National Classical Music with kayakum: Focused on the Instructional Plan of Kayakum Byngchang for the Little Angels] 『한국교육연구 Hangukgyoyuk -yeongu』[Korean Education Research] 9(1): 116~132.
    28. Committee on International Relations U.S. House of Representatives. 2014. 『프레이저 보고서 Peureijeo bogoseo』[Fraser Report]. 1978. 김병년 옮김 [Translated by Kim Byeongnyeon]. 서울: 레드북 [Seoul: Redeubuk].
    29. “귀국공연 Gwiguk gong-yeon” [Return Performance]. 『동아일보』[Donga-ilbo], 1966. 1. 27.
    30. “무용단 어린천사 미국공연성공 Muyongdan eorin cheonsa migukgong-yeon seonggong” [Dance Troupe Little Angels American Tour Success]. 『동아일보』[Donga-ilbo], 1965. 12. 15.
    31. “미국서 한국꼬마 재주자랑 어린천사 일행귀국 Migukseo hanguk kkoma jaejujarang eorincheonsa ilhaeng gwiguk” [Korean Children Performance, Little Angels Return Home from America]. 『동아일보』[Donga-ilbo], 1965. 12. 25.
    32. “미 상이용사들을 위문 선화어린이무용단 Mi sang-iyongsadeul-eul wimun seonhwa-eorinimuyongdan” [Seonhwa Childrens Dance Troupe Consols American Injured Veteran]. 『매일경제』[Maeil-gyeonje], 1967. 11. 19.
    33. 박성준 Park, Sungjun. 2021. “초심 그대로 77년 무용인생 지켜와...Chosim geudaero 77nyeon muyong-insaeng jikyeowa..” [As in the Deginning, 77 Years of Dance Life...]. 『세계일보』[Segye-ilbo], 2021. 6. 20.
    34. “본사내방 박성옥씨 선화어린이무용단 단장, 신순심씨 동 무용감독 미국순회공연출발인사차 Bonsa naebang bak seong-okssi seonhwaeorini-muyongdan danjang, sinsunsimssi dong muyonggamdok miguksunhoe-gong-yeonchulbal-insacha” [Visiting Our Offices: Pak Seongok Director of Seonhwa Children Dance Troupe, Sin Sunsim Choreographer Visiting Prior to American Tour]. 『조선일보』[Joseon-ilbo], 1965. 9. 7.
    35. “선화어린이무용단 향미 주요도시 순회 Seonhwa-eorinimuyongdan hyangmi juyodosi sunhoe” [Seonhwa Children Dance Troupe Major American City Tour]. 『동아일보』[Donga-ilbo], 1967. 10. 28.
    36. “소련통신사 서울특파원 박준규 대표, 수용 뜻 밝혀 Soryeontongsinsa seoul teukpawon pakjun-gyudaepyo suyong tteut balkyeo” [Soviet New Agency Seoul Branch Representative Park Jungyu Disclose Acceptance]. 『한겨레』[Hangyeorae], 1989. 10. 14.
    37. “우리 무용을 미국에 널리 자랑 Urimuyong-eul miguk-e neolli jarang” [Boast Our Dance to America]. 『소년조선일보』[Sonyeonjoseon-ilbo], 1965. 12. 18.
    38. 전완수 Jeon, Wansu. 1965. “미국 하늘 수놓을 동심사절 Migukhaneul sunoeul dongsimsajeol” [Children Delegation Embroid American Sky]. 『조선일보』[Joseon-ilbo], 1965. 9. 2.
    39. 전완수 Jeon, Wansu. 1966. “리틀 에인젤스 무용단 인기 Riteul einjelseu muyongdan ingi” [Littel Angels Gains the Popularity]. 『조선일보』[Joseon-ilbo], 1966. 12. 4.
    40. 조동화 Cho, Donghwa. 1966. “무용평: 템포와 구성에 호감 Muyongpyeong: Tempowa guseong-e hogam” [Dance Review: Good in Tempo and Composition]. 『동아일보』[Donga-ilbo], 1966. 2. 10.
    41. “지상을 벗어난 진짜 천사 리틀 코리어 극찬 Jisang-eul beoseonan jinjja cheonsa ritteul korieo geukchan” [Real Angels Little Korean Praise]. 『동아일보』[Donga-ilbo], 1965. 11. 16.
    42. “코리안의 고동 세계로 향하는 한국 한국인 한국상품(35) Korianui godong segyero hyanghaneun hanguk, hanguk-in, hanguksangpum” [Beating of Koreans: Korea, Koreans, Korean Products Heading to the World]. 『동아일보』[Donga-ilbo], 1966. 12. 13.
    43. “환영받는 어린천사 Hwanyeong batneun eorincheonsa” [Well-received Little Angles]. 『동아일보』[Donga-ilbo], 1965. 11. 16.
    44. “佐藤栄作おおいに感激(사토 에이사쿠 크게 감격) Sato eisaku keugye gamgyeok” [Sato Aisaku Deeply Moved]. 『韓國新聞』[Kankoku-sinmun], 1971. 1. 16.
    45. “Ike Likes ‘Little Angles of Korea’.” Chicago Sun Times, September 21, 1965. “Meeting a Little Angles.” The Evening Star, September 21, 1965.
    46. 이노연 Lee, Noyeon. 2019. 저자 면담 [Interview by author]. 서울 [Seoul]. 2019. 1. 20.
    47. 신순심 Shin, Soonshim. 2022. 비공개좌담회 [Unofficial meeting]. 서울 [Seoul]. 2022. 6. 30.
    48. 코지노다 Koji, Noda. 2022. 저자 면담 [Interview by author]. 서울 [Seoul]. 2022. 2. 7., 2022. 2. 28.
    49. 신명숙 Shin, Myung-sook, 2019. 저자 면담 [Interview by author]. 서울 [Seoul]. 2019. 1. 20.
    50. 홍경희 Hong, Kyunghee. 2019. 저자 면담 [Interview by author]. 서울 [Seoul]. 2019. 1. 20.

    저자소개

    김희선은 피츠버그 대학에서 음악인류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부교수이다. 한국음악의 근 현대화, 문화냉전과 한반도 공연예술, 한국공연예술의 경계넘기를 연구 중이다. 주요 연구로 “근현대 전통공연예술 제도와 정책의 젠더쟁점,” “문화냉전기 미국의 아시아음악연구와 1960년대 국악의 국제화,” “월경(越境)음악의 문화번역: 동시대 남한 전통음악계의 북한음악” 등이 있다.

    Footnote

    •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에서 미쳐 확인하지 못했던 자료를 수집하며 추가 연구를 진행하던 중 리틀엔젤스 60주년 기념 세미나에 발제를 요청받아 리틀엔젤스가 그간 수집해 온 자료들을 함께 살펴볼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이 자리를 빌어 귀한 자료를 열람할 수 있도록 서고를 열어주신 리틀엔젤스측과 세미나를 주최·주관한 (재)효정 문화재단과 (사)한국춤문화자료원에 감사드린다.
    • 지면관계상 이 연구에 소개하지 못하는 국내·외 자료 총목록, 신문기사목록 등은 추후 출판될 단행본 <sup>『</sup>리틀엔젤 스 60년사<sub>』</sub>(가제)에 정리하고자 한다.
    • 이 시기에는 ‘리틀엔젤스예술단’이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아 이 시기에 한해 ‘무용단’으로 지칭할 것이다. 앞서 김희선(2019)은 리틀엔젤스는 1962년 ‘대한어린이무용단’으로 시작되었다고 기술하였으나 이번 연구를 위해 확인한 여러 자료에 의하면 ‘한국소년소녀무용단’(문선명), ‘통일교회 어린이무용단’(통일교 자료), ‘선화어린이무용단’(통일교 자료, 리틀엔젤스 자료)등으로 기술되어 있어 초기에는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 었음을 알 수 있다. ‘대한어린이무용단’은 1969년 삼청동 청사로 이전하며 변경된 명칭임을 확인하였다.
    • 2대 단장을 역임한 박봉애는 자서전에서 10명이라고 기록하기도 하였으나 단원들의 숫자는 유동적이었을 것으 로 보인다. 여러 자료를 종합해 볼 때 여기서는 17명으로 정리해두고자 한다.
    • “1963년 17명의 어린이를 뽑아 리틀엔젤스라고 불리는 선화어린이무용단을 창단했습니다. 당시 한국의 문화적 토양은 처참하고 척박했습니다. 우리가 보고 즐길 것은 고사하고 남들에게 보여줄 것도 없었습니다. 우리의 춤 이 무엇인지, 우리에게 5천년을 이어온 문화란 것이 있는지도 모르고 그저 하루 하루 먹고 살기에 급급했습니 다. 나의 계획은 17명의 어린이들에게 우리의 춤을 가르쳐 세계로 내보내는 것이었습니다. 한국이라고 하면 전쟁과 가난만 떠올리는 외국인들에게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춤사위를 보여주고 한민족은 문화민족이라는 것을 일깨울 생각이었습니다. 우리 스스로 반만년의 역사를 가진 문화민족이라고 주장해본들 그들 앞에 내보일 것이 없으면 믿어줄 리 만무했습니다..”(문선명 2009: 176~177)
    • 신순심은 당시 신인무용가를 발굴하던 동아콩쿠르(1965년도 제2회 동아콩쿠르 한국무용부분 은상)에서 수상하 는 등 기량이 뛰어난 신진 무용가였다. 신순심은 이화여자대학 재학 당시 친구와 함께 통일교회에 출석하게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알게 된 박보희 및 여러 교인의 권유에 의해 고민 끝에 주일학교 어린이들에게 무용교육 을 시작한 것이라 증언한다(신순심 좌담).
    • 여러 자료에서 신순심은 1939년생이라 기록되어 있는데 최근 동창회와의 좌담에서 1938년생이라고 밝힌 바 있어 이 논문을 통해 바로잡고자 한다.
    • 이 때 오디션을 통해 합류했던 단원 중 한 명인 이노연은 당시 5세로 권려성 무용학원에서 무용을 학습하고 있었으며 이후 1차 공연에서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 한국 인형을 선물하던 어린이로 더 잘 알려져 있다(이노연 면담).
    • 박성옥은 월북무용가 최승희(1911~1969)의 해외공연에 동행하기도 했던 예술가로 신무용 안무, 무용 반주음악, 어린이무용, 어린이무용 교육에 있어 전문가였다(이꽃별 2009; 성기숙 2011). 박성옥은 리틀엔젤스의 <sup>「</sup>부채춤<sub>」</sub>, <sup>「</sup>장고춤<sub>」</sub>, <sup>「</sup>농악<sub>」</sub>, <sup>「</sup>강강수월래<sub>」</sub>, <sup>「</sup>꼭두각시 춤<sub>」</sub>, <sup>「</sup>시집가는 날<sub>」</sub>, <sup>「</sup>화랑도<sub>」</sub>, <sup>「</sup>무사놀이<sub>」</sub> 등을 안무하였다고 알려 져 있으나(정은숙 2003, 13; 신은경 2004, 6) 추후 이에 대한 확인도 필요하다.
    • 이 영상은 이번 연구를 통해 최초로 확인되어 소개된다. 그간 <표 4>에 소개한 1966년 <sup>「</sup>더 에드 설리번 쇼(Th e Ed Sullivan Show)<sub>」</sub> 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영상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이번에 <sup>『</sup>리버티 뉴스<sub>』</sub> 영상발견을 통해 앞의 영상은 ‘해외 최초’ 영상으로 정리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근현대영상아카이브[Hanguk geunhyeond ae yeongsang archive, Korean Modern Film Archive]. 1964. 4. 29. “리버티 뉴스 제560호 560-03 어린이들 미공군을 위문” [검색일: 2022. 3. 20.], http://kfilm.khistory.org/?mod=26&MOVIE_SEQ=4186&KIND_CL SS=15 04:39 “미 공군들은 오산기지에서 통일교회 어린이 무용부원들에 베푸는 춤 잔치를 눈여겨 관람했습니 다. 미 공군아저씨들에게 우리 문화의 훌륭한 전통을 잘 보여주기 위해 이뤄진 이 춤 잔치에서 장고춤, 탈춤, 부채춤 등이 인기종목이었습니다.” <sup>『</sup>리버티 뉴스<sub>』</sub> 소개와 <sup>『</sup>리버티 뉴스<sub>』</sub> 리틀엔젤스 보도 목록은 각각 각주 34번과 <표 3> 참고.
    • 1951년에서 1960년까지 대한민국 제2대 주미대사를 역임했다.
    • 프레이저 보고서에 의하면 한미문화자유재단은 1964년 3월 콜럼비아 특별구에서 비영리법인으로 설립되었다 (김병년 2014, 501). 이 자료에서는 영어자료 그대로 번역하여 한국문화자유재단이라 소개하고 있으나 한국어 로 처음부터 한미문화자유재단으로 불리웠다. 이 또한 여러자료에서는 설립년도가 1963년 1964년 1965년으 로 혼재되어 기록되고 있었으나 프레이저 보고서를 통해 1964년임은 확인되었다. 또한 재단의 설립일이 3월인 지 9월인지에 대해서도 자료마다 다르게 기록이 되어있어 확인이 필요한데 박보희는 다른 기록(박보희, 1997) 에서 1963년 봄이라고 언급하고 있어 1964년 3월로 정리하고자 한다.
    • 통일교는 1958년 일본에 최봉춘(최상익과 동일인물, 일본명 니시까와 마쓰루) 선교사, 1959년 미국에 김영운 선교사(여성, 1954년 이화여대 교수 재직 중 통일교 입교 후 연대·이대 사건으로 퇴직당함, 오리건 주 포틀랜 드 이후 샌프란시스코에 센터 설립 법인단체로 주정부 허가)를 파송하며 해외선교를 시작하였다(양편승 2008, 141). 박보희 총재는 한국정부의 대사관 무관보좌관으로 워싱턴 발령됨과 함께 미국 동부에 최초로 파견된 선교사였으며 그의 자택에서 시작된 원리강좌의 집회가 이후 워싱턴 교회의 설립으로 이어졌다(박보희 2000, 336). 미국 선교사 파견은 김영운 선교사에 이어 김상철(1954년 영국 웨일즈, 1959년 오레건, 워싱턴, 아이다 호, 와이오밍, 일리노이, 유타, 캘리포니아 주 등 서부 7개주 담당, 1960년 성 헬렌스 통일교회 설립, 이후 1962년, 1964년 시카고 교회설립), 박보희(1961년 도미, 1963년 버지니아 알링턴에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 The Holy Spirit Association for the Unification of World Christianity 등록) 워싱턴 최상익 선교사(일본선교 이후 1965년 미국선교합류, 시카고 중심선교)가 초기 선교사로 파송되었다(양편승 2008).
    • 1965년 <sup>『</sup>조선일보<sub>』</sub>(1965.9.7.)에 ‘선화어린이무용단’의 명칭이 처음 발견된다. 이후 국내 언론과 여러 자료에 의하면 시기에 따라 ‘선화어린이무용단’, ‘한국소년소녀무용단’, ‘대한어린이무용단’, ‘리틀·에인절스’, ‘리틀에 인절스’, ‘리틀엔젤스’ 등으로 혼용 표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청와대 연무관을 사용하게 된 계기는 박보희와의 면담(최해리 2010)에 구술된 바 있다. 정식 국가문화사절단 은 아니었지만 국립공연기관이 해외공연에 나서지 못하던 시기, 민간예술단의 명칭에 ‘대한’으로 변경한 것은 중요한 이유가 있다고 판단된다. 청와대 연무관이라는 정부시설의 사용허가와 리틀엔젤스예술회관에 부지제 공 등은 박정희 정부가 리틀엔젤스를 후원했다는 증거로도 언급된다(김병년 2014, 559).
    • 선행연구(신은경 2004;김희선 2019)에서 소개한 자료에 이후 추가 확보한 1차 자료를 확인하여 정교화하였 다. 또한 국내·외 활동의 관계와 시기를 유기적이고 거시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구별하여 표 안에 국내 공연도 병기하였다. 또한 이 시기 활동 중 ‘정부사절단’ 파견공연도 별도로 표기하였다.
    • 이에 앞서 1965년 6월 문선명은 제1차 세계선교여행에서 아이젠하워 전 대통령과 회동한 바 있었다(양편승 2008:152; 김희선 2019: 162).
    • “Ike Likes ‘Little Angles of Korea’”(<sup>『</sup>시카고 선 타임즈(<i>Chicago Sun Times</i>)<sub>』</sub>, 9.21.), “Meeting a Little Angles” (<sup>『</sup>더 이브닝 스타(<i>The Evening Star</i>)<sub>』</sub>, 9.21.)
    • 프로그램에는 “The Little Angels Ensemble Consists of 26 Crown Princess Dancers of Korea, Ages 7 to 14” 로 소개되었는데 여자 어린이 단원들만을 지칭한 것이고 실제 공연에는 남자 어린이 이성진도 함께 참가 하여 농악을 공연했기 때문에 27명이다. 이성진은 2차 프로그램 북에 처음 등장하는데 Thomas Park의 이름으 로 소개되었다.
    • 1965년 일본 공연 프로그램북에 의하면 공연 일정은 다음과 같다. 12월 10일(금) NET TV(현재 아사히 TV) 기지마노리오(木島則夫) 모닝쇼, 12월 11일(토) 이이노홀 PM 6:30, 12월 12일(일) 요미우리홀 PM 6:30, 12 월 14일(화) NTV ‘큐짱’(九ちゃん).
    • 캐나다 공연에 관한 자료는 따로 남아있지 않아 추후 확인이 필요하다.
    • 일본의 더 리틀엔젤스 후원회의 명예회장은 기시 노부스케(岸信介, 1896~1987, 일본 56~57대 내각총리대신 역임), 회장은 사사가와 료이치(笹川良一, 1899~1995, 일본정치인, 일본재단회장)였다. 공연은 센다이 미야기 현민회관, 교토 신문홀, 오사카 산케이홀, 오사카 매일 홀, 동경 산케이 홀, 나고야 중일극장에서 오후 1:30과 6:30, 2회의 공연을 진행하였다.
    • 나고야 중일극장(1970.12.25.~26.), 오사카 산케이홀(12.27.~28.), 코베 국제회관홀(12.29), 도쿄 공립강당 (71.1.2.~8.), 아시카가 시민회관(1.10), 카나자와시 관광회관(1.12), 후쿠이시문화회관(1.13), 기후시민회관 (1.14.), 교토 야사카회관(1.16.~17.), 오사카 산케이홀(1.18.~19.), 시즈오카 시미즈 시민회관(1.20.~21.). 공 연주최: 리틀엔젤스 후원회, 공연후원: 일본 외무성, 문화청, 주일 대한민국대사관, 대한민국주일공보관, 민단 중앙본부, 롯데상사주식회사. 이후 매거진 時事(Photo, The Sisa Graphic, 1971년 3월호)에 리틀엔젤스가 표 지사진으로 실리며 상세히 보도되었다(리틀엔젤스 60년사 자료집 1:150~151쪽).
    • “佐藤栄作おおいに感激(사토 에이사쿠 크게 감격)” <sup>『</sup>韓國新聞<sub>』</sub>(1971.1.16.). <sup>『</sup>韓國新聞<sub>』</sub>은 일본의 재일본 대한 민국민단의 기관지로 1946년 <sup>『</sup>조선신문<sub>』</sub>에서 시작하여 이후 <sup>『</sup>신조선신문<sub>』</sub>, <sup>『</sup>민단신문<sub>』</sub>, <sup>『</sup>신주신문<sub>』</sub>, <sup>『</sup>한국신 문<sub>』</sub>으로 개칭하였고 1996년 다시 <sup>『</sup>민단신문<sub>』</sub>으로 개칭하였다(재일본대한민국민단 웹사이트) https://www.mi ndan.org/old/kr/shinbun015c54.html?category=20.
    • 도쿄 니찌게끼 극장(1972.11.19.~12.29), 오사카 산게이홀(1973.1.27.) 교토회관(1973.1.28.~30.), 나고야 시민 회관(2.1~2.5.), 나고야 아이치현 노동회관(2.6.~2.11.), 나고야 아이치현 문화강당(2.18.~2.20.), 나고야 아이 치현 노동회관(2.21.~26.), 고베국제회관(2.13.~2.16), 일본 적십자사(명예총재 미치코美智子황후, 주최 월남 전쟁복구기금 모집을 위한 특별공연(도쿄국립교육회관, 1973.3.2.)(프로그램북)
    • “リトルエンゼルズ 日本の或る日 리틀엔젤스 일본의 어느 날” <sup>『</sup>韓國新聞<sub>』</sub>1973.1.27.(한영혜 2019, 133).
    • ‘한국민속예술단’은 김백봉 무용단, 안재승, 김문숙, 전황, 송범, 신순심, 리틀엔젤스가 참가하였고 반주단으로 서달종, 한범수, 김운산, 이생강, 이영희, 김경희, 박범훈이 참가하였다. 리틀엔젤스의 스탭으로 이무경(무대연 출), 이신실(의상)이 참여하였다. 어린이 단원은 27명으로 김동숙, 한순옥, 신종림, 김응화, 이노연, 홍경희, 문 선애, 박인숙, 백영희, 김기복, 정연재, 오화자, 이홍이, 나성희, 김영미, 정영희, 서희영, 이경란, 이상애, 윤나 연, 최재경, 정금화, 신성림, 신경림, 이성진, 김덕수, 최종실이 참여했다(‘한국민속예술단’ 프로그램 북). 상세 한 프로그램 구성은 후속연구에 소개하고자 한다.
    • <sup>『</sup>대한뉴스<sub>』</sub> 제856호 “어린이무용단 영국왕실공연”
    • 1975년 8월 28일부터 76년 2월 13일까지 6개월간 순회공연에 참가한 악사들과 함께 녹음하였는데 서용석(장 고), 김영옥(아쟁), 신상철(해금), 이철주(대금), 이종대(피리), 양한나(가야금)가 공연과 녹음에 참여했고 녹음 은 2일만에 완료되었다. 음악녹음은 릴테이프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후 음질저하로 리틀엔젤스예술회관에서 재녹음을 시도한 바 있으나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아 사용하지 않아 현재 사용하는 MR음원은 대부분 1차 녹 음에 수록된 음악이다(리틀엔젤스 60년사 자료집 1, 371).
    • 앞서 연구자는 선행연구(김희선 2019)에서 리틀엔젤스 해외공연의 중단 사유로 1976년 미국 의회에서 제기한 코리아 게이트 스캔들과 한미문화자유재단의 관련성 때문일 것이라 해석한 바 있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 정부가 리틀엔젤스의 비자를 취소”(하원 국제관계위원회 국제기구소위원회 지음, 김병년 옮김 2014, 543, 554)했으며 “해외공연 금지령이 정부로부터 내려졌다”(박봉애, n.d.)는 증언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었다.
    • “미국서 한국꼬마 재주자랑 어린천사 일행귀국” <sup>『</sup>동아일보<sub>』</sub>(1965.12.25.), “미국 하늘 수놓을 동심사절” <sup>『</sup>조선 일보<sub>』</sub>(1965.9.2.), “우리 무용을 미국에 널리 자랑” <sup>『</sup>소년조선일보<sub>』</sub>(1965.12.18.), “무용단 어린천사 미국공연 성공” <sup>『</sup>동아일보<sub>』</sub>(1965.12.15.), “지상을 벗어난 진짜천사 리틀 코리어 극찬” <sup>『</sup>동아일보<sub>』</sub>(1965.11.16.), “환영 받는 어린천사” <sup>『</sup>동아일보<sub>』</sub>(1965.11.16.) 등.
    • “리틀 에인젤스 무용단 인기” <sup>『</sup>조선일보<sub>』</sub>(1966.12.4.). “무용평: 템포와 구성에 호감” <sup>『</sup>동아일보<sub>』</sub>(1966.2. 10.), “귀국공연” <sup>『</sup>동아일보<sub>』</sub>(1966.1.27.), “코리안의 고동 세계로 향하는 한국 한국인 한국상품” <sup>『</sup>동아일보<sub>』</sub> (1966.12.13.),“The Little Angles 선화 어린이 무용단 귀국공연”(광고, 1966.1.29.), “미국 전역에 Korea 붐을 일으킨 선화 어린이 무용단 귀국공연”(광고, 1966.1.29.), “미 상이용사들을 위문 선화어린이무용단” <sup>『</sup>매일경 제<sub>』</sub>(1967.11.19.), “선화어린이무용단 향미 주요도시 순회” <sup>『</sup>동아일보<sub>』</sub>(1967.10.28.) 등으로 보도되었다.
    • <sup>『</sup>대한뉴스<sub>』</sub>는 공보처 산하의 국립영상제작소에서 35mm 필름으로 제작한 극장 상영용 뉴스로 1945년 8월부 터 1994년 12월까지 총 2040회가 제작되었다. 특히 1960~70년대 대한뉴스는 전국의 모든 극장에서 본 영화 상영 전 필수적으로 상영하도록 하였다.
    • <sup>『</sup>리버티 뉴스<sub>』</sub>는 한국전쟁 발발 후, 미 502부대 사진통신파견대로 투입된 사진기자들이 찍은 다큐멘터리 필름 으로 만든 뉴스영화이다. 1952년 뉴스영화제작을 미공보부(USIS)로 이관한 후 자체적으로 스튜디오를 만들고 1967년까지 리버티 뉴스를 비롯한 뉴스영화와 문화영화를 제공하였다. 리버티 뉴스는 주한미공보원 (USIS-Korea)의 주도로 영화를 제작하였다. 1967년 721호까지 제작되었다. (한국근현대영상아카이브). http://kfilm.khistory.org/?c=1&KIND_CLSS=16.
    • 이 연구에서는 지면상 신문기사 목록을 수록하지 않는다. 이 연구에서는 네이버 신문기사 라이브러리의 <sup>『</sup>동아 일보<sub>』</sub>, <sup>『</sup>조선일보<sub>』</sub>, <sup>『</sup>경향신문<sub>』</sub>, <sup>『</sup>매일경제<sub>』</sub> 검색 결과를 활용하여 살펴보았는데 리틀엔젤스의 수집자료에서 <sup>『</sup>한국일보<sub>』</sub> 등 다른 신문의 기사도 발견되고 있어 더욱 많은 기사가 소개되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또한 <sup>『</sup>소년조선일보<sub>』</sub> 등 어린이 매체를 통해서도 소개되었기 때문에 리틀엔젤스의 자료는 지속적으로 추적할 필요 가 있다.
    • 때로 리틀엔젤스를 선명회 어린이합창단과 같이 고아로 구성된 어린이예술단으로 혼동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 나 김희선(2019)에 따르면 리틀엔젤스에서 정식으로 선발한 단원들은 교인가정의 자녀들, 조기예술교육을 받 은 여자 어린이들, 고위층 자녀들을 위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해외여행이 자유롭지 않던 시절 해외를 자유로이 드나들던 ‘특권’적 활동과 조기예술교육을 위한 가정의 문화자본과 경제적 조건이 충족된 단원들이 주요 구성 원이라는 점은 한국현대공연예술의 교육과 계급의 관계를 설명해 줄 수 있는 지점이 된다.
    • 리틀엔젤스 단원들이 영화 「천사의 메아리」 에 출연한 일은 앞서 면담을 통해 알게 되었는데 단원들은 당시의 일을 즐거운 경험으로 기억하고 있었다. 이후 60주년 심포지엄을 위한 자료수집단계에서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이진원 교수가 포스터 원본을 소장하고 있음을 알려주었고 이어 이진원 교수는 「천사의 메아리」 포스터와 영화를 소개하는 글 “영화 속 리틀엔젤스”를 무용전문지 <sup>『</sup>몸<sub>』</sub>(2022년 1월호)에 게재했다.
    • 영화 및 영상 리스트는 1976년 이후에도 1980년까지 출반되었으므로 현재까지 확인된 모든 영상을 이 표에 제시한다. 지난 1월 발표 이후 한국음반아카이브연구소 석지훈 선임연구원의 도움을 받아 보완하였다. 바쁜 시간을 내어 일일이 자료를 확인해 준 석지훈 연구원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그러나 해외 방송 자료 중 영어, 프랑스, 독일어 방송은 확인하였으나 일본, 동남아, 남미 등 타 지역의 방송자료까지는 이 연구에서 확인 하지 못했다. 추후 리틀엔젤스와 관련 연구자들에 의해 보완되기를 기대한다.
    • 국립국악원의 첫 해외공연은 1964년 일본공연이었고 이후 1967년 대만공연까지 1960년대 단 세 차례의 해외 공연이 있었다(김희선 2021). 그러나 1970년대 이후 국립국악원에 무용단과 민속악단이 차례로 구성되며 진 영을 갖추기 시작하자 국가를 대표하는 국제행사에 파견되는 숫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그런데 흥미로 운 점은 국립국악원이나 국립무용단의 사례에서도 보듯 리틀엔젤스의 레파토리인 <sup>『</sup>부채춤<sub>』</sub>, <sup>『</sup>육고무<sub>』</sub>, <sup>『</sup>장고 춤<sub>』</sub>, <sup>『</sup>농악무<sub>』</sub>, <sup>『</sup>강강술래<sub>』</sub> 등이 중요한 레퍼토리로 활용되었다는 점이다. 이들 춤은 앞서 근대시기 신무용으 로부터 구성되어 온 레퍼토리인데 이들 레퍼토리와 리틀엔젤스의 레퍼토리의 관계 뿐 아니라 이후 해외공연의 주요 레퍼토리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리틀엔젤스의 활동은 한국공연예술사의 관점에서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
    • 대부분 공연의 프로그램을 발견할 수 없는 이유는 따로 만들 필요가 없는 외부행사용공연이거나 이벤트성 공연이었기 때문이었다고 판단된다. <표 5>의 대표공연 및 활동은 프로그램이나 자료가 남아있는 공연들만을 위주로 정리한 것이다. 신문기사 55건은 지면상 여기에는 따로 소개하지 않는다. 55건의 기사는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에서 검색한 <sup>『</sup>경향신문<sub>』</sub>, <sup>『</sup>동아일보<sub>』</sub>, <sup>『</sup>조선일보<sub>』</sub>, <sup>『</sup>매일경제<sub>』</sub>, <sup>『</sup>한겨레<sub>』</sub>에 보도된 것으로 다른 신 문과 잡지에 보도된 자료는 별도의 수집이 필요하다.
    • “소련통신사 서울특파원 박준규 대표, 수용 뜻 밝혀” <sup>『</sup>한겨레<sub>』</sub>(1989.10.14.) 기사에서 “소련 언론인들은 이날 면담에서 한-소간의 이해증진을 위해서는 언론과 문화분야의 교류가 필수적이라며 리틀엔젤스의 소련공연도 주선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되었다.
    • 단장 조성숙, 무용지도 홍윤선, 이경숙, 김현숙, 합창지휘 김일권, 가야금 지도 홍주희, 의상 전화자가 이끌었 다. 리틀엔젤스 평양방문 일정은 다음과 같다. 5월 1일 서울출발, 북경도착, 천안문, 자금성 관광, 5월 2일 평양도착, 인민문화궁전 환영만찬, 5월 3일 금수산 기념공원방문, 개선문, 주체사상탑, 당창건기념탑 관광, 만 경대 유희장 관광, 5월 4일 공연, 봉화예술극장, 5월 5일 공연, 봉화예술극장, 5월 6일 단군릉 관광, 옥류관 연회(냉면), 만경대 학생소년궁전방문, 만경대 학생 소년궁전 공연관람, 5월 7일 공연, 만경대 학생소년 궁전, 합동만찬(만수대 예술극장 연회장), 5월 8일 금강산 관광, 5월 9일 만수대 예술단 환영 공연관람, 5월 10일 묘향산 관광, 국제 친선 전람관 관광, 묘향산 보현사 관광, 5월 11일 평양시내(대성백화점) 관광, 인민교예단 공연관람, 환송만찬(서재동 정부초대소). 추후 평양공연에 관해서는 상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 문선명 총재는 1991년 11월 30일부터 8일간 북한을 방문했고 12월 6일에는 함흥의 주석궁에서 김일성 주석과 면담을 진행하였다(<sup>『</sup>세계일보<sub>』</sub> 1991.12.6). 이후 1998년 북한 남포에 평화자동차 총회사를 설립하고 1999년 서울에 ㈜평화자동차를 설립하였다.
    • 이외에도 유투브에서도 감상가능한 자료가 올라와있어 공연장면과 리틀엔젤스의 북한에서의 활약상을 확인할 수 있다.
    • 평양학생예술단의 서울방문 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5.24. 서울도착(평양-북경-서울 김포공항, 항공 편), 환영행사(리틀엔젤스 예술회관), 5.25. 공연준비, 리허설, 5.26. 1차 공연(예술의 전당), 5.27. 2차 공연(예 술의 전당), 3차 공연(예술의 전당), 5.28. 4차 공연(예술의 전당), 5차 공연(예술의 전당), 5.29. 리틀엔젤스예 술단 방문 경복, 선화예중고 방문, 특별공연(리틀엔젤스예술회관), 5.30. 서울출발(김포공항, 서울-북경-평양 항공편).
    • 프로그램의 첫 페이지에는 김일성 주석과 문선명 총재, 한학자 총재의 사진과 함께 “평양학생소년예술단의 서울공연은 1991년 12월 6일 문선명 총재와 김일성 주석의 평양 상봉 때 합의한 결과로 이루어지는 것입니 다”라는 문구가 들어있다. 평양학생예술단 서울공연도 유튜브에 여러 영상이 검색가능하다.
    • China Central Television 중국의 국영방송인 중국중앙텔레비전(中国中央电视台).
    • 선화예고 무용부장을 역임하였고 1986년 국립국악원 무용단, 1989~1998년 서울시립무용단장을 역임하고 2000년~2011년까지 국립무용단 예술감독을 역임했다. 2018년 리틀엔젤스의 예술감독으로 부임하였다. 이후 리틀엔젤스의 신작으로 <sup>『</sup>궁<sub>』</sub>, <sup>『</sup>바라다<sub>』</sub>, <sup>『</sup>설날아침<sub>』</sub>, <sup>『</sup>미얄<sub>』</sub>, <sup>『</sup>진쇠놀이<sub>』</sub>, <sup>『</sup>화검<sub>』</sub> 을 안무했다(“초심 그대로 77 년 무용인생 지켜와...지금도 막 열릴 때 죽을 것처럼 떨려” <sup>『</sup>세계일보<sub>』</sub> 2021. 6. 20.).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