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pISSN: 2383-5214 /eISSN: 2733-4279

HOME E-SUBMISSION SITEMAP CONTACT US

Journal Detail

Journal Detail

Export Citation Download PDF PMC Previewer
An Study on the Status and Experience Analysis of Online Practical Classes of Dance Major Students due to COVID-19 코로나19로 인한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비대면 실기수업 현황 및 경험 분석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Asian Dance Journal Vol.65 No. pp.145-167
DOI : https://doi.org/10.26861/sddh.2022.65.145

An Study on the Status and Experience Analysis of Online Practical Classes of Dance Major Students due to COVID-19

Huh, Ka Young*, Kwon, Hae In**
*Adjunct Professor, Yeungnam University
**Part-time Instructor, Kwangju Women’s University
*

kyh2201@gmail.com



**

Correspondence to arose1010@hanmail.net


Apr. 30, 2022 May. 23, 2022 Jun. 07, 202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atus and experience of online practical classes for dance major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As a result,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as follows. First, instructors should provide various types of teaching strategies by utilizing the LMS. Second, colleges should provide and improve the onlin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instructors and learners. Last, learners should find a balance between freedom and control of online classes. Based on this study, it aims to help learner-centered effective instructional management and lecture quality improvement, and furthermore, it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respond to changes and future of dance education facing online classes.



코로나19로 인한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비대면 실기수업 현황 및 경험 분석

허가영*, 권혜인**
*영남대학교 무용학전공 겸임교수
**광주여자대학교 교양학과 외래강사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무용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실기수업의 현황과 경험을 파악함으로써 비대면 수업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탐색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개선 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자를 위한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에서 교수자는 교내 강의포털시스템을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교수전략 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전공자를 위한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에서 대학은 교수자와 학습 자를 위해 온라인 교육환경을 제공 및 개선해야 한다. 셋째, 전공자를 위한 비대면 무용실 기수업에서 학습자는 비대면 수업의 자유와 통제 사이 균형을 찾아야 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의 효과적인 수업 운영과 강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하며 더 나아가 비대면 수업을 직면한 무용교육의 변화와 미래에 대응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Ⅰ. 서 론

    2020년 국내에 유입된 코로나19(Covid-19)로 인해 학교교육현장은 중단(김승환, 천성 민 2020, 9)되었고 2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다양한 학습과 경험을 배워야 하는 전공 교과의 영역에서 학습자와 교수자가 직접 마주하지 못하는 불가피한 상황에 봉착해 있다. 전공 교과에 대한 최소한의 학습권을 보장받지 못하는 상황은 학습자에게 대학 교육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한 의구심과 우울감을 불러일으키며(U's Line 2021), 휴학(파이낸셜뉴스 2021.1.29)이나 등록금 환불(YTN 2020.8.10)과 같은 움직임으로 표출되는 양상을 보여주 었다. 갑작스러운 수업 시스템의 전환은 교수자에게도 마찬가지로 온라인 강의 운영에 대 한 부담과 시스템 활용 미숙과 같은 혼란을 초래하였다.

    대학의 전공 교과는 이론 교과와 달리 이론적으로 배운 지식을 학습자가 실험, 실습을 통해 체화하고 교류를 통해 지식의 영역을 넓혀가는 체험의 장(場)이다. 특히 대학 교과에 서 실기수업의 비중이 큰 무용전공은 일반적인 교실 환경이 아닌 넓은 장소, 즉각적인 피 드백과 교정, 상호 반응(양은심, 김진아 2021)을 통한 교감 등이 학습결과물에 많은 영향 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온라인 교육환경이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교수자와 학습 자는 모두 대면 수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언제든 다시 반복될 수 있는 코로나 19와 같은 불가피한 상황에 대비하여 비대면 수업을 위한 교육환경을 마련하고 이미 비대 면 실기수업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한 객관적인 자료가 필요한 시점이다(정태 린 2020).

    이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체육 분야의 비대면 수업의 현황과 경험, 만족도 및 어려움을 조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 및 인식을 파악한 연구(김승환, 천성민 2020;정태린 2020;김동아 2021;손나래, 정태린 2021)가 있다. 연구대상자는 학습자와 교수자의 관점 으로, 수업은 전공과 교양 영역으로 나뉘었다. 다음으로 음악 분야는 전국·수도권·충청도 등 소재의 대학에서 국악·실용·피아노 등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수업 경험, 인식, 만족도와 개선방안을 모색한 연구(이희승 2020;권미혜 2021;권혜진 2021;김하영, 한수정 2021;추상희, 최진호 2021)가 있다. 연구대상자는 음악전공 대학생들로 구성되어 전공수업의 질 을 높이기 위해 양적·질적 연구방법으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미술 분야에서 는 교수자의 관점에서 비대면 실기강의에 대한 경험을 분석(권해일 2021)하고 수업모형 개발(유정윤 2020)의 필요성을 주장한 연구가 있다. 마지막으로 무용 분야는 서울 등 한 대학의 비전공 학습자의 비대면 무용 실기수업의 인식과 경험, 만족도(김소연, 박지연 2021;양은심, 김진아 2021)를 분석한 연구가 있다.

    이를 요약하면,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비대면 수업이 시작된 2020년부터 예체능 분야는 전국 대학의 교양과 전공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관점에서 비대면 실기수업의 경 험과 만족도 조사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거나 모형을 개발하는 등의 양적·질적 연구방법으 로 다양하고 활발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무용 분야도 학습자 관점 에서 비대면 실기수업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그 실태를 파악하기에는 현저히 미비 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무용 분야에서 교양수업에 관한 연구는 상당히 진행된 바 있지 만 전공수업에서 학습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는 그 사례가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을 경험한 학습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전반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 양한 수업 형태와 방식을 경험한 무용전공 대학생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무용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현 황과 경험을 파악함으로써 비대면 수업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탐색해보는 데 목적이 있 다. 이를 위해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을 경험한 경북 소재 Y대학의 무용전공 재학생 5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의 효과적인 수 업 운영과 강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하며 더 나아가 비대면 수업을 직면한 무용교육 의 변화와 미래에 대응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무용전공 실기수업의 현황과 학습자들의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수업에 참여한 무용전공 대학생 52명을 대상으로 폐쇄형 질문 (closed-ended question)과 개방형 질문(open-ended question)이 혼합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무응답 또는 무선 반응을 보인 4부를 제외한 48부(92.3%)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경상북도 소재 Y대학 무용학전공 재학생들로서 비대면으로 무용전공 실 기수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남녀대학생 52명이다. 위의 선정된 대학의 표집은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으로 전집을 가장 잘 대표하는 일부 대표적인 지역 또는 대상만을 의도적으로 선정하는 비확률적 표집 방법인 의도적 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였다(윤명희 외 2009, 87).

    선정된 Y대학은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2020년 1학기부터 2021년 2학기까지 총 4학기 동안 지역별 확진자 수와 학교 방침에 따라 전면 비대면과 블렌디드(Blended)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대면과 비대면의 병행수업인 블렌디드 수업의 형태는 대면과 실시간, 대면과 동영상, 전면 대면과 전면 비대면 등으로 진행되어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비대면 무용 실기수업의 형태를 살펴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연구대상자를 살펴보면, Y대학 무용 학전공 학생들의 전공은 크게 발레, 현대무용, 실용무용(재즈, 힙합, 댄스스포츠)으로 나뉘 며 교과목은 전공핵심과 전공선택으로 구분된다. 실기수업은 크게 발레, 현대무용, 댄스스 포츠, 힙합&스트릿댄스, 재즈, 즉흥 및 안무법, 연기법, 무용작품연구 등이 있다(Y대학교 홈페이지 2022.4.10). 학생들은 전공과 전공 외 다양한 실기과목을 수강하고 다양한 교수 자들의 수업 방식을 경험하기에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전반적 현황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살펴보면, 성별은 여자가 44명(84.6%), 남자가 8명 (15.4%)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은 3학년이 18명(34.6%), 4학년이 18명(34.6%), 1학년이 8 명(15.4%), 2학년이 8명(15.4%)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요약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표 1

    인구통계학적 정보(Demographic Information) (N=52명)

    SDDH-65-145_T1.gif

    2. 자료수집

    본 설문조사는 포탈사이트 네이버(Naver)에서 제공하는 설문지 작성 서비스인 네이버 폼(Naver Form)을 이용하여 URL을 제작하였다. 연구대상자에게 강의포털시스템과 SNS 를 통해 생성된 URL을 2021년 12월 7일부터 2022년 1월 13일까지 총 38일 동안 전달하 여 참여하도록 하였고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료수집에 동의하였다. 본 설문조사는 개인식별정보를 전혀 알 수 없는 상태로 설문 링크를 배포하여 실시하였기 때문에 별도의 연구윤리위원회(IRB) 연구승인 절차가 없이 진행되었다.

    설문 문항은 폐쇄형(객관식 형태) 6문항과 개방형(주관식 형태) 3문항으로 총 9개 문항 이며 크게 3개 항목이다. 항목을 살펴보면, 첫 번째 ‘인구통계학적 정보’ 항목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학년과 성별에 관한 폐쇄형 2문항이다. 두 번째 ‘비대면 무용실기수업 현황’ 항목 은 참여한 수업과 선호하는 수업 형태와 참여한 수업과 선호하는 수업 방식(김세기 2020;이용섭 2020;손나래, 정태린 2021)에 관한 폐쇄형 4문항이다. 세 번째 ‘비대면 무용실기 수업 경험’ 항목은 좋은 점, 어려운 점, 보완해야 할 점(권미혜 2021;김소연, 박지연 2021;손나래, 정태린 2021)에 관한 개방형 3문항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문문항을 발췌·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본 설문지는 폐쇄형과 개방형 질문을 혼합 사용하여 특정한 범주 내에서 응답하는 폐쇄형 질문의 단점과 한계점(Newman 2013, 353)을 보완하고 질적 자료를 수집(허균 2017, 117)하고자 하였다. 본 설문지의 설문 문항과 유형은 아래 <표 2>에 제시하였다.

    표 2

    설문 문항 및 유형(Survey Questions and Types)

    SDDH-65-145_T2.gif

    3.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의 자료 분석은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폐쇄형 6문항과 개방형 3문항으로 구 성된 총 9문항이다. 연구대상자 총 52명이 참여하였으나 불성실한 답변으로 인해 자료 분 석에 적합하지 않은 4명을 제외하고 총 48명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획득한 자료는 응답 별로 분류하고 총 결과값을 정리하였으며 총합과 각 문항의 결과값을 비교해 누락되는 항 목이 없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비대면 무용실기수업 현황을 파 악하기 위한 폐쇄형 문항은 비교분석을 통해 평균값을 소수점 한자리까지 계산하여 각 문 항을 해석하였다.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경험을 파악하기 위한 개방형 문항은 질적 자료 분석 방법 중 개방코딩(Strauss, Corbin 1990, 204)으로 분석하였다. 질적 자료 분석과정의 첫 단계로 수집된 자료를 정리하고 기록하는 전사작업(transcribing)을 하였고 두 번째 단계로 귀납적 방법을 통해 자료 속에서 함축된 의미에 맞는 용어나 주제를 찾아내는 개방코딩(open coding)의 작업을 거쳤으며(김영천 2013, 528-531) 마지막 단계로 생성된 코드들 중에서 유사한 코드를 범주화하여 주제를 발견하였다(김영천 2013, 540-541). 이러한 과정에서 무용학 박사인 연구자 2인은 의견이 일치할 때까지 논의하고 분석내용과 결과를 확인하며 내용타당도와 삼각검증법을 수행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논의

    본 절에서는 Y대학 무용전공 대학생 52명이 경험한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현황과 경 험을 탐색하고자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현황 을 살펴보고자 폐쇄형 4문항인 참여한 수업 형태, 선호하는 수업 형태, 참여한 수업 방식, 선호하는 수업 방식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경험을 파 악하기 위해 개방형 3문항인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좋은 점,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어려 운 점,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에서 보완해야 할 점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1. 비대면 무용실기수업 현황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현황을 탐색하기 위해 폐쇄형 4문항의 결과를 살펴보았다. 자료 분석을 통해 무용전공 대학생들이 참여한 수업 형태와 선호하는 수업 형태의 차이, 참여한 수업 방식과 선호하는 수업 방식의 차이를 비교 및 분석해보고자 한다.

    1) 참여한 수업 형태와 선호하는 수업 형태

    폐쇄형 문항 중 첫 번째 ‘참여한 수업 형태’에서 연구대상자가 참여한 모든 수업 형태 는 답변 문항 총 6개 중에서 다중응답이 가능했다. 답변은 총 155건으로 ‘실시간 수업(예: 줌 등)(39건)’, ‘이론 동영상 수업(교수자 제작 영상)(32건)’, ‘실기 동영상 수업(교수자 제 작 영상)(30건)’, ‘영상시청(수업 관련)(22건)’, ‘블렌디드 수업(비대면+대면)(18건)’, ‘과제 중심 수업(14건)’ 순으로 나타났다. 비율 순으로 살펴보면, ‘실시간 수업(25.2%)’과 ‘이론 동영상 수업(20.6%)’ 두 항목이 전체의 과반수 이하를 차지했다. 아래 <표 3>에 자세한 결과 내용을 작성하였다.

    표 3

    참여한 수업 형태(Participated Classes Type)

    SDDH-65-145_T3.gif

    폐쇄형 문항 중 두 번째 ‘선호하는 수업 형태’에서 연구대상자가 선호하는 수업 형태를 답변 문항 총 6개 중에서 한 가지만 선택 가능하였다. 답변은 무응답 처리된 4건을 제외한 총 48건으로 ‘실기 동영상 수업(17건)’, ‘실시간 수업(11건)’, ‘영상시청(7건)’, ‘블렌디드 수 업(7건)’, ‘이론 동영상 수업(3건)’, ‘과제 중심 수업(3건)’의 비율로 나타났다. 비율 순으로 살펴보면, ‘실기 동영상 수업(35.3%)’과 ‘실시간 수업(22.9%)’ 두 항목이 전체의 과반수를 차지했다. 이를 요약하면, 아래 <표 4>와 같다.

    표 4

    선호하는 수업 형태(Preferred Classes Type)

    SDDH-65-145_T4.gif

    위의 결과를 분석해보면, 먼저 첫 번째 폐쇄형 문항인 ‘참여한 수업 형태’에서는 모든 문항의 답변이 비교적 균일하게 나타나 Y대학의 경우, 코로나가 시작된 2020년 1학기부터 2021년 2학기까지 코로나 상황에 따라 수업 형태의 잦은 변경으로 인해 무용전공 대학생 들은 다양한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형태를 경험했음을 파악할 수 있는 결과였다. 그리고 우선순위를 살펴보면, 1순위인 ‘실시간 수업(39건)’ 다음으로 ‘이론 동영상 수업(32건)’이 2순위로 나타나 무용전공 실기수업임에도 불구하고 이론수업의 비중이 상당히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폐쇄형 문항인 ‘선호하는 수업 형태’에서는 1순위 ‘실기 동영상 수업(17건)’과 2순위 ‘실시간 수업(11건)’이 하위 순위인 ‘이론 동영상 수업(3건)’, ‘과제 중심 수업(3건)’ 에 비해 비중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들은 전공 실기수업에서 이론 중심 수업 형태보다 실기 중심 수업 형태를 확연하게 선호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참여한 수업 형태’와 ‘선호하는 수업 형태’의 차이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 다. ‘참여한 수업 형태’의 1순위 ‘실시간 수업(39건)’과 2순위 ‘이론 동영상 수업(32건)’의 참여 빈도수는 거의 비슷하나 ‘선호하는 수업 형태’에서는 ‘실시간 수업(11건)’이 2순위, ‘이론 동영상 수업(3건)’이 최하위로 나타나 그 차이가 상반되게 나타났다.

    또한, 두 결과 차이에서 ‘참여한 수업 형태’의 ‘실시간 수업(1순위)’이 ‘실기 동영상 수업 (3순위)’ 보다 참여 빈도수가 더 높았으나 ‘선호하는 수업 형태’에서는 ‘실시간 수업(2순 위)’ 보다 ‘실기 동영상 수업(1순위)’을 훨씬 더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Y대학의 위치적 조건과 무용실기수업 및 온라인 수업에 필요한 환경적 조건, 방역적 차원, 복습과 같은 학습적 차원에서 기간 안에 영상시청으로 출석이 인정되는 ‘실기 동영상 수업’의 결 과가 높았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결과를 종합해볼 때, 학습자들의 무용전공 실기수업 형태의 참여도와 선호도에서 확연 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의 선호도는 이론보다 실기 중점으로, 실기 동영상 또는 실시간으로 교수자가 집적 지도하는 수업 형태가 상당히 높았다. 교수자는 학습자의 선호도를 충분히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목표와 내용에 따라 적절한 수업 형태를 준 비 및 운영해야 할 것이다.

    2) 참여한 수업 방식과 선호하는 수업 방식

    폐쇄형 문항 중 세 번째 ‘참여한 수업 방식’은 연구대상자가 참여한 모든 수업 방식인 즉,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답변 문항 총 8개 중에서 다중응답이 가능하였다. 답변은 총 87건으로 ‘줌(44건)’, ‘강의포털시스템(LMS)(29건)’, ‘유튜브(8건)’, ‘카카오톡(3건)’, ‘구글 클래스룸(2건)’, ‘밴드(1건)’, ‘팀즈(0건)’, ‘웹엑스(0건)’순으로 나타났다. 비율 순으로는 ‘줌 (50.6%)’이 단독으로 과반수를 차지했다. 이를 요약하면, 아래 <표 5>와 같다.

    표 5

    참여한 수업 방식(Participated Classes Method)

    SDDH-65-145_T5.gif

    폐쇄형 문항 중 네 번째 ‘선호하는 수업 방식’에서 연구대상자는 선호하는 수업 방식을 답변 문항 총 8개 중에서 한 가지만 선택하였다. 답변은 무응답 처리된 4건을 제외한 총 48건으로 ‘강의포털시스템(28건)’, ‘줌(18건)’, ‘밴드(1건)’, ‘구글 클래스룸(1건)’, ‘유튜브, 카카오톡, 팀즈, 웹엑스(0건)’ 순으로 나타났다. 비율 순으로 살펴보면, ‘강의포털시스템 (58.3%)’이 단독으로 과반수를 차지했다. 아래 <표 6>에 요약하였다.

    표 6

    선호하는 수업 방식(Preferred Classes Method)

    SDDH-65-145_T6.gif

    위의 결과를 분석해보면, 먼저 세 번째 폐쇄형 문항인 ’참여한 수업 방식‘에서는 상위순 위인 1순위 ‘줌(44건)’과 2순위 ‘강의포털시스템(29건)’이 3순위 ‘유튜브(8건)’를 비롯한 하 위 순위와 비교하였을 때 상당히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선정된 Y대학의 경우, 교수자가 무용전공 실기수업에서 ‘줌’과 ‘강의포털시스템’을 중심으로 다양한 수업 형태를 진행했음 을 파악할 수 있는 결과였다.

    다음으로 네 번째 폐쇄형 문항인 ‘선호하는 수업 방식’에서는 1순위 ‘강의포털시스템(29 건)’과 2순위 ‘줌(18건)’을 제외하고는 그 외 타 수업 방식은 0~1건의 결과가 나타나 상당 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들이 참여 빈도수가 높았던 수업 방식 을 선호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는 ‘참여한 수업 방식’과 ‘선호하는 수업 방식’의 차이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 다. ‘줌’은 ‘참여한 수업 방식’에서 1순위, ‘선호하는 수업 방식’에서는 2순위였고 ‘강의포털 시스템’은 ‘참여한 수업 방식’에서 2순위, ‘선호하는 수업 방식’에서는 1순위로 나타나 두 수업 방식은 각 결과의 1~2순위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결과로만 본다면, 학습자는 ‘줌’의 참여 빈도수가 더 높지만 ‘강의포털시스템’의 선호도가 더 높았다. 다만 Y대학의 경우, 2021학년도 2학기부터 ‘강의포털시스템’에서 실시간 강의가 제공되었고 온라인 플랫폼 중 ‘줌’과 연동되었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교내 ‘강의포털시스템’에 접속하여 ‘줌’을 통한 실시 간 강의를 가장 선호했다고 유추해볼 수 있는 부분이다.

    결과를 종합해볼 때, 학습자들의 무용전공 실기수업 방식의 참여도와 선호도의 상위순 위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학습자들의 참여도와 선호도가 모두 높았던 ‘강의포털시스템’과 ‘줌’을 중심으로 수업 방식이 진행되어 학습자 중심으로 전공 실기수업이 운영되었음을 확 인할 수 있는 결과였다.

    마지막으로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현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는 무용전공 실기수업 형태에서 ‘실시간 수업’의 참여 빈도수가 가장 높았고 ‘실기 동영상 수 업’을 가장 선호했다. 둘째, 연구대상자는 무용전공 실기수업 방식에서 ‘줌’의 참여도가 가 장 높았고 ‘강의포털시스템’을 가장 선호했다. 두 결과를 종합해볼 때, 비대면 무용실기수 업은 ‘실기 동영상 수업’ 및 ‘실시간 수업’ 형태로 ‘강의포털시스템’과 ‘줌’ 방식을 사용하여 진행함이 가장 적절하다.

    현황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제시하면, 교수자는 학습자들의 참여도와 선호도의 차이 를 숙지하고 수업 목적과 내용에 따라 적절한 비대면 수업 형태와 방식을 제시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이를 위해서는 교수자의 디지털 역량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손 나래, 정태린(2021, 744-745)의 연구에서도 찾아볼 수 있듯이 교수자 재량에 따라 학교와 학생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실기수업의 형태와 방식을 찾고 활용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 다. 또한 김소연, 박지연(2021, 69)은 교수자의 숙련도에 따라 비대면 수업의 질이 달라지 므로 교수자의 온라인 강의 역량 계발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2. 비대면 무용실기수업 경험

    비대면 무용실기수업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개방형 3문항의 결과를 살펴보았다. 자료 분석을 통해 무용전공 대학생들이 경험한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좋은 점, 어려운 점, 보 완해야 할 점을 비교 및 분석해보고자 한다.

    1)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좋은 점

    개방형 문항 중 첫 번째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좋은 점’의 답변은 총 57건이다. 세그멘 팅(segmenting) 50개에서 30개 코드가 추출되었고 상위범주 4개와 하위범주 6개로 나누어 내용에 따라 중복범주화를 허용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표 7>에 요약하였다.

    표 7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좋은 점의 범주화(Categorization of Strength of Online Dance Practical Classes)

    SDDH-65-145_T7.gif

    첫 번째 상위범주는 ‘학습 환경의 자유’이며 2개의 하위범주는 ‘시간, 공간, 복장의 자 유’, ‘심리적 자유’이다. 첫 번째 하위범주인 ‘시간, 공간, 복장의 자유’는 수업에서의 시간 과 장소, 복장, 화장 등 선택의 자율성이 확대되니 통학시간과 수업결석률이 감소하고 쉬 는 시간과 연습시간이 증가한 점을 장점으로 밝혔다. 두 번째 하위범주인 ‘심리적 자유’는 심리적과 동시에 비교할 학우가 없기에 상대적으로 편안함을 느끼고 수업의 긴장도가 완 화되고 아플 때도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

    두 번째 상위범주는 ‘개인 학습 역량 강화’이며 2개의 하위범주는 ‘개인별 심화학습’, ‘자 기주도적 학습’이다. 첫 번째 하위범주인 ‘개인별 심화학습’은 대면보다 자신의 몸에 집중 하고 온라인 수업에서만 할 수 있는 이론적 내용과 함께 움직임을 자세히 배우는 데 도움 이 된다는 의견이었다. 두 번째 하위범주인 ‘자기주도적 학습’에서는 수업에 흥미를 느끼고 예습, 복습, 다시보기를 통해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세 번째 상위범주는 ‘비대면 수업의 만족’이며 1개의 하위범주는 ‘새로운 소통과 실재감’ 이다. 온라인 교육을 통한 새로운 소통방식은 색다른 경험으로 다가오며 실시간 피드백으 로 직접 참여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는다는 긍정적 의견이었다.

    네 번째 상위범주는 ‘코로나 방역’이며 1개의 하위범주는 ‘신체적 및 심리적 방역’이다. 대면접촉이 없으므로 코로나 예방과 안전하며 심리적으로 불안해하지 않아도 되며 마스크 를 벗고 춤을 출 수 있다고 하였다.

    추가적으로 ‘비대면 무용실기 수업의 좋은 점’의 1순위는 ‘시간, 장소, 복장의 자유로움 (26)’, 2순위는 ‘신체적 및 심리적 방역(9)’, 3순위는 ‘심리적 자유(6)’이었고 그 외 하위 순위는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1순위 ‘시간, 장소, 복장의 자유로움’은 다른 하위범주와 다 소 격차가 크게 나타났는데 학습자에게 큰 이점으로 다가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신체적 및 심리적 방역’이 2순위인 점을 보아 대면 실기수업에서 사람 간의 접촉에 따른 감염병에 대한 걱정과 불안이 상당 부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해석해보면, 대면수업과 비교하여 비 대면 수업에서의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자유로움과 편안함, 그리고 안전함이 비대면 무용 실기수업의 가장 큰 장점이자 긍정적 가능성을 보여준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어려운 점

    개방형 문항 중 두 번째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어려운 점‘의 답변은 총 58건이다. 세그 멘팅 58개에서 40개 코드가 추출되었고 상위범주 3개와 하위범주 9개로 나누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 8>에 요약하였다.

    표 8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어려운 점의 범주화(Categorization of Weakness of Online Dance Practical Classes)

    SDDH-65-145_T8.gif

    첫 번째 상위범주는 ‘학습 환경의 어려움’이며 2개의 하위범주는 ‘기계적 제약’, ‘공간적 제약’이다. 첫 번째 하위범주인 ‘기계적 제약’은 비대면 수업에서 사용되는 노트북이나 카 메라 이용 시 나타나는 화면 크기 및 각도 조정, 고장, 인터넷 접속 장애로 인해 수업 진행 이 원활하지 않은 점을 단점으로 밝혔다. 두 번째 하위범주인 ‘공간적 제약’은 실기수업을 하기에 적절한 장소가 없거나 좁아서 참여가 어렵다는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

    두 번째 상위범주는 ‘개인 학습 역량 저하’로 3개의 하위범주는 ‘동작을 배우기 어려움’, ‘집중력 저하’, ‘심리적 스트레스’이다. 첫 번째 하위범주인 ‘동작을 배우기 어려움’에서 스 마트기기의 작고 평면적 화면으로 입체적 동작을 시청하므로 정확하고 자세한 동작을 모 르거나 보고 따라하기 어렵고 혼자 거울이 없는 공간에서 동작 확인과 비교가 어려웠다고 밝혔다. 이러한 이유로 개인 춤 범위가 좁아지고 실력향상에 어려움이 있음을 이야기하였 다. 두 번째 하위범주 ‘집중력 저하’에서는 대면수업과 비교하여 수업 진행이 매끄럽지 않 으며 지겹고 재미가 없어 집중이 어렵다고 하였다. 세 번째 하위범주인 ‘심리적 스트레스’ 에서 제대로 배우지 못해서 답답하고 불편함을 느낀다고 밝혔다.

    세 번째 상위범주는 ‘비대면 수업의 불만족’이며 4개의 하위범주로 ‘피드백의 부재’, ‘개 인별/맞춤형 교육 부재’, ‘과제에 대한 부담’, ‘실재감 선호’이다. 첫 번째 하위범주인 ‘피드 백의 부재’는 실시간 피드백과 1대 1 질문이 없거나 어려워 실재감이 부족하며 교수자는 학습자의 정확한 동작을 보는 것이 어려워 동작 수정이 안 되는 점을 아쉬워했다. 두 번째 하위범주인 ‘개인별/맞춤형 교육 부재’는 교수자가 각 학생마다 진도확인이 어렵고 학습자 혼자 해야 하므로 학습효과에 저하를 느낀다고 밝혔다. 세 번째 하위범주인 ‘과제에 대한 부담’에서 과도한 과제의 양과 직접 촬영하고 영상을 제출하는 과제에 대한 부담을 느낀다 고 하였다. 네 번째 하위범주인 ‘실재감 선호’에서 비대면보다 대면수업을 선호하며 대면수 업을 통해 교수자와의 친밀한 관계를 맺기를 원하고 있었다.

    추가적으로 ‘비대면 무용실기 수업의 어려운 점’의 1순위는 ‘동작을 배우기 어려움(15)’, 2순위는 ‘공간적 제약(14)’, 3순위는 ‘피드백의 부재(12)’ 순으로 다른 하위범주와 다소 격 차가 크게 나타났다. 1순위인 ‘동작을 배우기 어려움’은 개인 공간에서 작은 기기를 통해 동작을 정확하게 보고 따라하기 힘든 공간적 및 기계적 제약과 교수자의 피드백과 학우들 의 부재로 단체가 아닌 개인 수업으로 진행 등 비대면 수업의 복합적 문제가 학습저하로 연결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어려움과 불편을 해결한 피트니스 시장을 예시로 살펴보 면, 홈트레이닝 시스템으로 스마트 거울인 ‘미러’를 개발하여 거울 속에 강사가 등장하고 지시에 따라 움직이는 본인 모습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룹 운동과 다른 사용자와 운동 정보를 공유하며 심리적 외로움도 떨쳐버릴 수 있다고 한다(시공사 네이버 블로그, 2020. 10. 20). 앞으로 비대면 무용교육 분야도 온라인 교육환경과 시스템을 구축하고 학 습자의 어려움과 불편을 해결한다면 현재의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계기가 될 것이다.

    3)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에서 보완해야 할 점

    개방형 문항 중 세 번째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에서 보완해야 할 점’의 답변은 총 51건이 다. 세그멘팅 44개에서 42개 코드가 추출되었고 상위범주 4개와 하위범주 10개로 나누었 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 9>에 요약하였다.

    표 9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에서 보완해야 할 점의 범주화 (Categorization of Complementary Points in Online Dance Practical Classes)

    SDDH-65-145_T9.gif

    첫 번째 상위범주는 ‘수업 형태의 보완’이며 3개의 하위범주는 ‘대면수업의 병행’, ‘개인 별 교육 제공’, ‘실기수업의 보완’이다. 첫 번째 하위범주인 ‘대면수업의 병행’에서 부분이 나 완전 대면수업, 시험만 대면수업 등 여러 형태로 대면수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두 번째 하위범주인 ‘개인별 교육 제공’은 교수자가 개인의 학습상황을 확인하고 개인별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방법을 모색하며 학습자의 난이도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바라 고 있었다. 세 번째 하위범주인 ‘실기수업의 보완’은 실기수업을 실시간보다는 동영상 수업 으로 진행하거나 수업 진도 및 순서 설명 영상, 관련 영상 자료를 따로 제공하기를 원하고 있었으며 부족한 실기수업을 이론수업과 과제제출을 통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두 번째 상위범주는 ‘효과적인 수업 설계 및 운영’으로 4개의 하위범주는 ‘피드백 및 소 통의 확대’, ‘동기부여와 흥미 유발’, ‘비대면용 콘텐츠 마련’, ‘교수자 역량 증진’이다. 첫 번째 하위범주인 ‘피드백 및 소통의 확대’에서 교수자의 즉각적이고 빈번한 피드백과 1대1 질문으로 상호소통이 보완되도록 바라고 있었으며 수업내용에 대한 이의신청이 반영되기 를 원하고 있었다. 두 번째 하위범주는 ‘동기부여와 흥미 유발’로 흥미와 재미를 유발하여 수업에 참여하고 집중하도록 동기부여가 필요하며 수업 시간의 유동적 운영 등 자율적 참 여 방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세 번째 하위범주는 ‘비대면용 콘텐츠 마련’으로 교수자가 비대면용 콘텐츠를 수업내용에 적절한 것으로 선택과 제공해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네 번 째 하위범주 ‘교수자 역량 증진’은 실기수업에서 수업이 너무 빠르게 진행되므로 적절한 진행과 함께 개별 동작의 정확하고 상세한 설명이 필요하며 수업 내용선정에서 신중함과 진지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세 번째 상위범주는 ‘학습 환경의 보완’이며 2개의 하위범주는 ‘시스템 개선’, ‘공간제공 및 대안 제시’이다. 첫 번째 하위범주인 ‘시스템 개선’에서 수업 끊김을 발생하는 스마트기 기와 인터넷의 불안정성을 해결하고 동작과 움직임이 잘 보이도록 영상을 제공해야 한다 고 하였다. 추가적으로 음향이나 화면 확대, 설명 자막 추가와 같은 기계적 보완과 비대면 수업 시스템에 대해 교육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두 번째 하위범주인 ‘공간제공 및 대안 제시’에서 수업공간 및 스마트기기를 제공하거나 공간을 넓게 쓰지 못한 상황에서 사전에 수업에서 공간을 제약해서 활동하자는 의견이 있었다.

    네 번째 상위범주와 1개의 하위범주는 ‘현재가 최선’으로 동일하며 학습자는 비대면 수 업에서 현재가 최선이며 보완해야 할 점이 없다고 밝혔다.

    추가적으로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에서 보완해야 할 점’의 1순위는 ‘실기수업의 보완(9)’, 2순위는 ‘시스템 개선(8)’, ‘현재가 최선(8) 순이며 그 외 하위 순위는 비슷한 결과가 나왔 다. 이러한 결과는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어려운 점’에 대한 항목의 1순위였던 ‘동작을 배우기 어려움’이라는 의견과 같은 맥락으로 보여진다. 비대면 실기수업의 제약으로 현재 가 최선이므로 온라인 학습 환경 구축과 함께 실기수업 외에서 보완할 수 있는 영상자료나 이론수업 등으로 무용실기를 다각도로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 또한 해결책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비대면 무용실기수업 경험’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제시하면, 학습자들은 비대면 무용 실기수업에서 학습 환경의 자유로움에 만족하고 반대로 학습 환경의 제약에 불만족했으며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통해 실기수업이 보완되기를 원하고 있었다. 즉, 비대면 무용실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은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함께 나타났고 이러한 연구 결과는 김소연, 박지연(2021)손나래, 정태린(2021)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난 부분 이기도 하다. 효과적인 수업 운영과 강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학교, 교수자, 학습자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며 장점을 활용하고 단점을 보완한다면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은 안정화되고 학습자에게 양질의 수업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Ⅳ. 결론 및 제언

    2020년 코로나19 상황은 대학 교육의 큰 변화를 일으켰다.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해 대 학수업은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이 병행되며 2022년 1학기까지 진행되고 있다. 2021년 기사에 따르면 대학생 25%가 휴학을 계획하고 있었으며 1, 2학년의 경우 가장 큰 이유는 비대면 수업의 낮은 강의 질 때문이었다. 뿐만 아니라 낮은 수업의 만족도는 등록금 반환 요구까지 이어져 대학생들의 불만과 학습권 보장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YTN 2020. 8. 10; 파이낸셜뉴스 2021. 1. 29).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따른 대학 비대면 무용전공 실기수업에 대한 현황과 학습 자들의 경험을 파악하여 실기를 통한 무용전공수업의 효과적 시행을 위한 개선 방향을 탐 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북 소재 Y대학에서 비대면 형식으로 무용전공 실기수 업을 수강한 52명의 무용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결 과를 바탕으로 변화하는 대학교육과 다가오는 비대면 무용교육 시대에 적응하고 대응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설문조사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무용전공 비대면 실기수업을 분석하고자 코로나19 로 인해 비대면 수업이 시작된 2020년 1학기부터 2021년 2학기까지 총 4학기 동안 전면 비대면, 대면과 실시간, 대면과 동영상, 전면 대면과 전면 비대면 병행 등 다양한 비대면 수업 형태와 다양한 수업 방식의 전공 및 부전공 실기과목을 다수의 교수자들로부터 경험 한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폐쇄형 4문항인 ‘참 여한 수업 형태’, ‘선호하는 수업 형태’, ‘참여한 수업 방식’, ‘선호하는 수업 방식’과 그리고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개방형 3문항인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좋은 점’,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어려운 점’,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에서 보완해야 할 점’ 에 대한 자료를 개방코딩으로 분석하였다. 총 7개 설문 문항의 분석결과를 순서에 따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한 폐쇄형 4문항 중 첫 번째 문항인 ‘참여한 수업 형태’의 1순위는 ‘실시간 수업’, 2순위는 ‘이론 동영상 수업’이다. 두 번째 문 항 ‘선호하는 수업 형태’의 1순위는 ‘실기 동영상 수업’, 2순위는 ‘실시간 수업’으로 나타났 다. 세 번째 문항 ‘참여한 수업 방식’의 1순위는 ‘줌’, 2순위는 ‘강의포털시스템’이며 네 번 째 문항 ‘선호하는 수업 방식’의 1순위는 ‘강의포털시스템’, 2순위는 ‘줌’으로 나타났다.

    현황 결과와 논의를 요약하면, 첫째, 연구대상자는 무용전공 실기수업 형태에서 ‘실시간 수업’의 참여 빈도수가 가장 높았고 ‘실기 동영상 수업’을 가장 선호한다. 둘째, 연구대상자 는 무용전공 실기수업 방식에서 ‘줌’의 참여도가 가장 높았고 ‘강의포털시스템’을 가장 선 호한다. 두 결과를 종합해볼 때, 학습자들의 무용전공 실기수업 형태의 참여도와 선호도에 서 확연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의 선호도는 이론보다 실기 중점으로, 실기 동영상 또는 실시간으로 교수자가 집적 지도하는 수업 형태가 상당히 높았다. 이러한 결과 를 분석해보면,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은 ‘실기 동영상 수업’ 및 ‘실시간 수업’ 형태로 ‘강의 포털시스템’과 ‘줌’ 방식을 사용하여 진행함이 가장 적절하다고 보여진다. 그리고 더 나아 가 교수자는 학습자들의 참여도와 선호도의 차이를 숙지하고 수업 목적과 내용에 따라 적 절한 비대면 수업 형태와 방식을 제시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둘째,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경험’을 파악하기 위한 개방형 3문항 중 첫 번째 문항인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좋은 점’의 하위범주 순위별로는 1순위 ‘시간, 장소, 복장의 자유 로움’, 2순위 ‘신체적 및 심리적 방역’, 3순위는 ‘심리적 자유’로 나타났다. 두 번째 개방형 문항인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어려운 점’의 하위범주 순위별로는 1순위 ‘동작을 배우기 어려움’, 2순위 ‘공간적 제약’, 3순위 ‘피드백의 부재’로 나타났다. 세 번째 개방형 문항인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에서 보완해야 할 점’의 하위범주의 순위별로는 1순위 ‘실기수업의 보완’, 2순위 ‘시스템 개선’과 ‘현재가 최선’으로 나타났다.

    경험 결과와 논의를 요약하면,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좋은 점’은 비대면 무용실기수업 을 통한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자유로움과 안전함으로 비대면 수업의 가장 큰 장점이자 긍정적 가능성을 보여준 중요한 요인이었다.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어려운 점’은 기계적· 공간적 제약과 소통 부재 등 복합적 어려움으로 동작 습득이 어렵다고 밝혔다. ‘비대면 무 용실기수업에서 보완해야 할 점’은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통해 실기수업이 보완되기를 원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분석해보면,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 은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함께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 나타난 비대면 무용실기수 업의 장점을 활용하고 단점을 보완한다면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은 안정화되고 학습자에게 양질의 수업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자를 위한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에서 교수자는 교내 ‘강의포털시스템’을 활용 하여 다양한 형태의 교수전략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비대면 무용실기수 업은 동영상 또는 실시간의 형태로 ‘강의포털시스템’을 통한 수업 방식이 가장 적합한 것 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교수자는 실기수업에서 ‘강의포털시스템’을 어떻게 잘 활용할 것인 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강의포털시스템’은 온라인 강의부터 동영상 강의, 질의응답, 시험, 퀴즈, 과제 등 다양한 수업 방식을 제공하고 있어 이론·실기 병행이 가능하므로 비대 면 수업에서 부족한 부분을 충분히 보완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교수자는 비대면 수업에 적합한 효과적인 수업 설계 및 운영과 학습자와의 상호소통, 온라인 플랫폼과 디지털 기기 숙지 등 개인의 역량을 강화시켜야 한다.

    둘째, 전공자를 위한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에서 대학은 교수자와 학습자를 위해 온라인 교육환경을 제공 및 개선해야 한다. 2020년 이후, 코로나 상황에 따라 상시 변경되는 교육 부와 학교의 정책으로 비대면 수업 안정이 상당히 어려우나 교수자와 학습자를 위한 지원 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학습자들은 개인과 교수자의 기계적·공간적 제약으로 개인 학습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학습 환경의 보완에 대해 목소리를 내고 있었 다. 성공적인 비대면 수업 진행에서 교수자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학교의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 실기수업을 위해 대학에서는 우선 교수자와 학습자를 위한 소프 트웨어 및 하드웨어 대여 및 제공, 교수법과 시스템 워크숍 실시, 공간 대여 등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전공자를 위한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에서 학습자는 비대면 수업의 자유와 통제 사이에서 균형을 찾아야 한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비대면 실기수업의 가장 큰 장점은 신체적·심리적·환경적 편안함이다. 비대면 수업은 학습자들에게 자유를 보장하고 자율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자유와 통제 사이의 균형을 찾기 위해서는 실시간 또는 동영 상 수업, 블렌디드 수업 등의 수업 형태와 온라인 플랫폼 등 수업 방식에 대한 이해가 선제 되어야 한다. 또한 학습자는 온라인 수업을 위한 공간과 스마트기기, 인터넷, 디지털 활용 능력 등 학습 환경을 구축해야 하며 자기주도적으로 능동적인 학습 자세와 적극적인 참여 가 가장 필요하다.

    2022년 4월 18일부터 약 2년 1개월 만에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질병관리청 홈페이지 2022. 4. 28)되었고 5월 2일부터는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조정되었다. 이에 따라 대학 방역지침도 실외 체육활동 등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고 실내와 강의실은 마스크 착용 이 필수로 개정되었다(교육부 홈페이지 2022. 4. 29). 교육부는 불가피하게 추진되었던 비 대면 수업을 대면 수업으로 전환을 적극 추진하며 대학의 교육과 일상회복이 추진될 것으 로 예상된다(교육부 공식블로그 2022. 4. 20). 2020년 1학기부터 2022년 1학기까지 교수 자, 학습자, 학교는 시행착오를 겪고 수정하여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은 향후 코로나 19 재유행과 신종 감염병 발생할 가능성에 대응(교육부 공식블로그 2022. 4. 20)할 수 있 고 비대면 시대의 변화속도에 발맞추어 학습자들이 적절한 무용교육을 받을 수 있는 밑거 름과 디딤돌을 만들었다. 이러한 성과는 앞으로 무용교육의 의미있는 변화를 이끌고 미래 교육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gure

    Table

    인구통계학적 정보(Demographic Information) (N=52명)

    설문 문항 및 유형(Survey Questions and Types)

    참여한 수업 형태(Participated Classes Type)

    선호하는 수업 형태(Preferred Classes Type)

    참여한 수업 방식(Participated Classes Method)

    선호하는 수업 방식(Preferred Classes Method)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좋은 점의 범주화(Categorization of Strength of Online Dance Practical Classes)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의 어려운 점의 범주화(Categorization of Weakness of Online Dance Practical Classes)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에서 보완해야 할 점의 범주화 (Categorization of Complementary Points in Online Dance Practical Classes)

    Reference

    1. 권미혜 Kwon, Mihye. 2021. “비대면 비실시간 대학 피아노 전공실기 수업의 만족도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Bidaemyeon bisilsigan daehak piano jeon-gongsilgi sueop-ui manjokdo bunseokgwa gaeseonbang-an yeongu” [A Study for Satisfacti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Non-Face-to-Face Non-Real-Time College Applied Music Piano Lessons].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 Dijiteolyesulgonghakmeoltimidieo -nonmunji』[Journal of Digital Art Engineering & Multimedia] 8(3): 277-287.
    2. 권해일 Kwon, Haeil. 2021. “비대면 시대의 온라인 미술 실기 수업 연구 Bidaemyeon sidaeui onrain misul silgi sueop yeongu” [A Study of Online Art Practical Classes in the Non-Face-to-Face Era]. 『미술과 교육 Misulgwa gyoyuk』[Journal of Research in Art Education] 22(2): 139-158.
    3. 권혜진 Kwon, Hyejin. 2021. “COVID-19 위기대응에 따른 음악대학 국악과 비대면 온라인 실기수업 경험에 관한 연구 COVID-19 wigidaeeung-e ttareun eumakdaehak gugakgwa bidaemyeon onrain silgisueop gyeongheome gwanhan yeongu”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Non-Face-to-Face Online Practical Classes in Music College according to COVID-19 Crisis Response]. 『미래음악교육연구 Miraeeumakgyoyuk-yeongu』[The Journal of Future Music Education] 6(1): 69-89.
    4. 김동아 Kim, Donga. 2021. “대학에서의 비대면 실기수업에 따른 교수 경험에 대한 연구 Daehak-eseoui bidaemyeon silgisueop-e ttareun gyosu gyeongheome daehan yeongu” [A Study on the Teaching Experience at Non Face-to-Face Practical Class]. 『대한스포츠융합학회지 Daehanseupocheuyunghaphakhoeji』[Journal of Converging Sport and Exercise Sciences] 19(1): 91-99.
    5. 김세기 Kim, Segi. 2020. “코로나 19로 인한 초등학교 체육교과 원격수업 실태 분석 Korona19-ro inhan chodeunghakgyo cheyukgyogwa wongyeoksueop siltae bunseok” [A Survey on the Online Physical Education during COVID 19 Pandemic]. 『한국초등체육학회지 Hangukchodeungcheyukhakhoeji』[The Korean Jour 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6(2): 145-158.
    6. 김소연, 박지연 Kim, Soyeon, Park Jiyeon. 2021. “교육대학 온라인 무용수업 사례와 학습자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Gyoyukdaehak onrain muyongsueop saryewa hakseupjadeului hakseupgyeong-heome gwanhan yeongu” [A Case Study on an Online Dance Class at a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Learning Experiences of Learners]. 『한국무용연구 Hangukmuyong-yeongu』[The Journal of Korean Dance] 39(1): 53-76.
    7. 김승환, 천성민 Kim, Seunghwan, Cheon Sungmin. 2020. “코로나19에 따른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의 온라인 수업 운영과 강사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Korona19-e ttareun daehak gyoyangcheyuk silgisueop-ui onrain sueop unyeonggwa gangsaui eoryeoume daehan jiljeok sarye yeongu” [A Case Study of Online Class Operation and Instructor’s Difficulties in Physical Education as a Liberal Arts in University due to COVID-19]. 『한국사회체육학회지 Hanguksahoecheyukhakhoeji』[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81: 9-26.
    8. 김영천 Kim, Yeongcheon. 2013. 『질적연구방법론I:Bricoleur(2판) Jiljeok-yeongubangbeopron I:Bricoleur(2pa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I: Bricoleur(2nd edition)].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Paju: Acade my Press].
    9. 김하영, 한수정 Kim, Hayoung, Han Sujeong. 2021. “비대면 음악 실기수업의 교육만족에 관한 연구 Bidaemyeon eumak silgisueop-ui gyoyukmanjok-e gwanhan yeongu” [A Stud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of the Non-Face-to-Face Music Practical Class]. 『문화와 융합 Munhwawa yunghap』[Culture and Convergence] 43(3): 647-671.
    10. 손나래, 정태린 Son, Narae, Chung Taerin. 2021.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대학체육 비대면 실기수업 현황 분석 Korona19 satae-e ttareun daehakcheyuk bidaemyeon silgisueop hyunhwang bunseok” [Analysis on the Status of Non-Face-to-Face College Sports Classes according to the COVID-19]. 『한국체육과학회지 Hangukcheyukgwahakhoeji』[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30(2): 733-751.
    11. 양은심, 김진아 Yang, Eunsim, Kim Jina. 2021. “대학생의 생활무용 비대면 실기수업 과정과 평가에 대한 주관적 인식 Daehaksaeng-ui saenghwalmuyong bidaemyeon silgisueop gwajeonggwa pyeong-gae daehan jugwanjeok insik” [Subjectiv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Non-Face-to-Face Practical Classes and Evaluations in Daily Dance]. 『한국무용연구학회 Hangukmuyong-yeonguhakhoe』[The Journal of Korean Dance] 39(3): 65-85.
    12. 윤명희, 서희정, 성수현, 고영화 Yun, Myeonghee, Seo Heejung, Sung Suhyeon and Ko Younghwa. 2009. 『평생교육 조사방법론 Pyeongsaenggyoyukjosabangbeopron』[Survey Research Methodology for Lifelong Educ ation]. 서울: 학지사 [Seoul: Hakjisa].
    13. 윤정윤 Yoon, Jungyoon. 2020. “교육혁신을 위한 디자인 전공 실기(습) 수업모형 개발의 필요성: 2020학년도 1학기 비대면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Gyoyuk-hyeoksineul wihan dijain jeon-gong silgi(seup) sueopmohyeon g gaebal-ui piryoseong: 2020haknyeondo 1hakgi bidaemyeon sueop saryereul batang-euro” [The Need for Development of Design Major Practical Models of Classes for Educational Innovation : Based on the Case of Online Classes for the First Semester of 2020]. 『조형미디어학 Johyeongmidieoha k』[A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23(3): 129-136.
    14. 이용섭 Lee, Yongseop. 2020. “원격과학수업의 활용도 및 문제점, 학습자 행동분석 Wongyeokgwahaksueop-ui hwalyon gdo mit munjejeom, hakseupja haengdongbunseok” [Analysis of Utilization and Problems, and Learner Behavior of Distance Science Learning].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Daehanjigugwahakgyoyu khakhoeji』[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13(2): 175-185.
    15. 이희승 Lee, Heeseung. 2020.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연구 Eumakjeon-gong daehaksaengdeului onrain sueop-e daehan insik yeongu”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E-learning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usic]. 『음악교수법연구 Eumakgyosubeop-yeongu』[Research in Music Pedagogy] 21(2): 177-192.
    16. 정우정 Jung, Woojung. 2021. “메타버스 내 가상세계를 활용한 참여무용 플랫폼의 방향성 연구 Metabeoseu nae gasangsegyereul hwalyonghan cham-yeomuyong peulraetpomui bang-hyangseong yeongu ” [A Study on Virtual World in Metaverse as a Participatory Dance Platform]. 『문화경제연구 Munhwagyeo ngjeyeongu』[Review of Culture and Economy] 24(2): 95-122.
    17. 정유진, 백현순 Jeong, Yujin, Baek Hyunsoon. 2021. “언택트(Untact)공연에서의 메타버스 적용사례분석 및 무용공연의 전망 Eontaekteu(Untact)gong-yeoneseoui metabeoseu jeok-yongsaryebunseok mit muyonggong-y eonui jeonmang” [Analysis of Metaverse Application Cases in Untact Performance and Prospect of Dance Performance]. 『한국무용연구 Hangukmuyong-yeongu』[The Journal of Korean Dance] 39(4): 213-235.
    18. 정태린 Chung, Taerin. 2020. “2020년 1학기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비대면 교양체육 수업의 질, 부정적 학습감정, 수업만족도간 경로 분석 2020nyeon 1hakgi sueop-eul suganghan daehaksaeng-ui bidaemyeon gyoyan gcheyuk sueop-ui jil, bujeongjeok hakseupgamjeong, sueopmanjokdogan gyeongro bunseok” [The Effect of Personal Training Studio Customer's Character Traits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한국스포츠학회지 Hangukseupocheuhakhoeji』[Journal of Korea Sport Society] 18(3): 509-519.
    19. 추상희, 최진호 Choo, Sanghee, Choi Jinho. 2021. “온택트 시대의 음악전공 비대면 원격강의에 대한 만족도 조사 Ontaekteu sidaeui eumakjeon-gong bidaemyeon wongyeokgang-uie daehan manjokdo josa” [Satisf action on Online Distance Learning for Music Majors in the Ontact Era]. 『인문사회 21 Inmunsahoe 21』[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2(5): 1987-1998.
    20. 허균 Heo, Gyun. 2010. 『교육 연구방법의 이론과 실제: 분석 실천적 접근 Gyoyuk yeon-gubangbeop-ui iron-gwa silje: bunseok silcheonjeok jeopgeun』[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al Research Methods]. 경기: 서현사 [Gyeonggi: Seohyeonsa].
    21. 황요한, 김창수 Hwang, Yohan, Kim Changsu. 2020.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강의 인식 조사: 대학생의 만족도와 불안도를 중심으로 Korona 19ro inhan bidaemyeon onrain gang-ui insik josa: daehaksaengui manjokdowa bulandoreul jungsimeuro” [Perceptions toward Non-face-to-face Online Class Operatio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and Anxiety]. 『대한언어학회 Daehan-eoneohakhoe』[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29(1): 71-91.
    22. Neuman, Lawrence. 2013. 『사회 연구 조사 방법론: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방법(제7판) Sahoe yeongu josa bangbeopron: Jiljeok yeon-guwa yangjeok yeongu bangbeop(Je7pan)』[Social Research Method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7th edition)]. 2009. 박기우, 이정우, 유희숙, 문성균, 박혜성 역 [Translated by Park Giu, Lee Jeongu, Yu Heesook, Moon Sungkyun, and Park Hyesug]. 서울: 이앤비플러스 [Seoul: Ienbipeulreoseu].
    23. Strauss, Anselm, Corbin Juliet.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 Nebury, CA: Sage.
    24. 교육부 홈페이지 Ministry of Education Website. 2022. “교육분야 코로나19 관련 지침: 실외마스크 착용의무 조정에 따른 대학 방역지침 개정 안내 Gyoyukbunya korona19 gwallyeon jichim: siloemaseukeu chak-yong-u imu jojeong-e ttareun daehak bang-yeokjichim gaejeong annae” [Guidelines for COVID-19 in Education - Revision of University Quarantine Guidelines in accordance with the Adjustment of the Mandatory Wearing of Outdoor Masks]. [검색일: 2022. 4. 29.],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72756&boardSeq=91468&lev=0&searchType=S&statusYN=W&page=1&s=moe&m=031304&opType=.
    25. 교육부 공식블로그 Ministry of Education Official blog. 2022. “보도자료: 오미크론 이후(포스트 오미크론) 학교 일상회복 추진방안 발표. Bodojaryo: omikeuron ihu(poseuteu omikeuron) hakgyo ilsanghoebok chujinbang-an balpyo” [Press Release: After Omicron(Post Omicron) announcing a plan for School Recovery]. [검색일: 2022. 4. 20.], https://blog.naver.com/moeblog/222705384455.
    26. 시공사 네이버 블로그 Sigong-sa Naver Blog. 2020. “[2021 세계 트렌드] 미래의 홈트를 만나다. [2021 Segye Teurendeu] Miraeui homteureul mannada.” [2021 World Trend] Meet the Future Home Training]. [검색일: 2020. 10. 20.],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9746974&memberNo=8914554&vType=VERTICAL.
    27. 질병관리청 홈페이지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Website. 2022. “보도자료: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약 2년 1개월만에 해제 손씻기, 환기·소독 등 일상 속 감염차단을 위한 생활방역 수칙 준수 더욱 중요 Bodojaryo: Sahoejeok georidugi jochi yak 2nyeon 1gaewolmane haeje sonssitgi, hwan-gi·sodok deung ilsang sok gam-yeomchadaneul wihan saenghwalbang-yeok suchik junsu deouk jung-yo.” [Press release-Social Distancing Eeasures Lifted after about 2 Years and 1Month Compliance with Daily Quarantine Rules to Prevent Infection in Daily Life, Such as Hand Washing, Ventilation and Disinfection, is More Important]. [검색일: 2022. 4. 28.],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19317&cg_code=&act=view&nPage=3.
    28. 파이낸셜뉴스 Financial News. 2021. “코로나 휴학 많아진다.. 4명 중 1명은 휴학 계획 Korona hyuhak manajinda..4myeo ng jung 1myeong-eun hyuhak gyehoek.” [COVID-19 Leave of Absence Increases.. 1 out of 4 Students Plan to Take a Leave of Absence]. [검색일: 2022. 1. 29.], https://www.fnnews.com/news/202101291354150774.
    29. Y대학교 홈페이지 Y University Website. “체육학부 무용학전공 소개 Cheyukhakbu muyonghakjeon-gong sogae” [Introduction to the Dance Major of Physical Education]. [검색일: 2022. 4. 10.], https://www.yu.ac.kr/main/academics/dance.do.
    30. YTN. 2020. “권익위, 등록금 반환 요구 관련 의견 수렴 Gwon-ikwi, deungrokgeum banhwan yogu gwallyeon uigyeon suryeom"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Collects Opinions on Request for Tuition Refund]. [검색일: 2020. 8. 10.], https://www.ytn.co.kr/_ln/0101_202008101341170894.
    31. U's Line. 2021. “휴학 권하는 사회···취업난·비대면수업, 대학생 44% “휴학하겠다” Hyuhak gwonhaneun sahoe···chuieo pnan·bidae-myeonsueop, daehaksaeng 44% “Hyuhakhagetda”” [A Society Recommends taking a Leave of Absence... Difficulty in Employment, Online Classes, 44% of College Students “I Will Take a Year Off”]. [검색일: 2021. 1. 13.], https://www.usline.kr/news/articleView.html?idxno=20493.

    저자소개

    허가영은 이화여자대학교 무용학사, 뉴욕대학교 무용교육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무용이론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영남대학교 무용학전공 겸임교원으로 무용이론과 실기를 가르치고 있다. 스마트교육과 무용의 만남에 관심을 두고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YOUR MOVE -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표기와 창작의 기초 의 공동역자로 참여하였다.

    권혜인은 이화여자대학교 무용학사, 동대학원 무용학 석사, 박사를 취득하였다. 박사학위 논문으로 모티프라이팅(Motif Writing)을 활용한 움직임창작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으며 스마트교육, 4차산업혁명에 관심을 두고 있다. 현재 광주여대, 경성대, 전주대, 아주대, 인제대 강사로 출강하고 있다.

    Footnote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