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2020년 1월 양리핑(杨丽萍)의 대형 민족가무극 「운남영상(云南映象)」은 전 세계 공연 6,000회를 기념하여 국가대극원에서 공연되었다.1)「운남영상」은 2003년 초연 이후 16년 간 운남 쿤밍(云南昆明)에서 중국 60여 개 도시와 15개국을 순회했다. 「운남영상」의 안무 가이자 주역인 양리핑은 자신의 예술세계를 가미한 창작 작품을 발표하여 민족적 성격을 지닌 무용극 분야에 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현대사회는 국가 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국외 문화가 자유롭게 국내로 유입된다. 이러 한 다원주의 현상의 이면에는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위기를 동시에 경험하게 되어 전통문 화의 중요성과 그 가치를 제고하게 된다. 과거에 미국의 대중음악인 팝(Pop) 음악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다면 최근에는 한국의 문화적 색채가 돋보이는 케이팝(K-Pop)음 악이 전 세계인들을 사로잡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중국에서도 스트릿댄스 댄스와 컨템 퍼러리 댄스 등 외래문화가 유행하면서 중국 고유의 전통적 색채가 모호해지고 있다. 이러 한 가운데 양리핑은 독특한 방법으로 다양한 소수민족들의 전통무용을 현대화하여 국제무 대에 선보인 안무가이다. 그녀는 중국의 전통문화 요소를 담은 작품을 창작하여 국제무대 에서 두각을 나타내었다. 그의 이러한 행보로 중국 전통무용의 가치를 세계무대에 소개하 였으며 동시에 중국 소수민족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있다.
1980년 양리핑은 자신만의 무용으로 생애 첫 무용 작품인 「작의 영(雀之灵)」을 창작하였 다. 이후, 2003년 첫 민족무용극 「운남영상」을 통해 양리핑만의 소수민족 무용양식이 탄생하 게 되었다. 양리핑의 명성이 높아지면서 해외 공연을 순회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중국 소수민 족들의 가무를 무대화하여 소수민족 문화를 세계에 알리게 되었다. 2007년도에는 중국의 민족성을 뛰어넘어 종교적 숭배사상과 티베트족의 문화를 담은 「티베트 수수께끼(藏谜)」를 발표하였다. 그러나 당시 중국 무용계에서는 긍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리핑은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세계관을 끊임없이 추구해왔다.
2009년도에 양리핑은 자신의 춤 세계관을 펼치기 위해 중국 소수민족 전통 무용극「운 남의 소리(云南的响声)」를 발표하였다. 이후 양리핑은 2012년에 「공작(孔雀)」이라는 민족 무용극을 창작하여 지난 40년간의 무용예술의 정수를 선보였다.이 작품으로 중국전역에 ‘양리핑 열풍’이 일어났다. 양리핑의 작품 「작의 영」부터 「운남 영상」, 「티베트 수수께끼」, 「운남의 소리」 등에 이르기까지 그의 작품 속에는 에술성을 확보하면서도 시장의 요구를 놓치지 않고 있다. 또한 원시성을 가진 무용에 현대적 공연예술 시스템을 가미하였다.
중국을 대표하는 예술 작품인 「운남영상」은 19년 전 운남성에서 초연한 이래 전세계 무대에서 공연되었다. 이 작품은 중국 무용산업에서 손꼽히는 랜드마크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했다. 양리핑은 뛰어난 현대무용 예술가로서 예술적 탐구와 무용 창작의 방면에서 창 의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양리핑의 중국 소수민족 무용극으로 인해 소수민족들의 전통예 술이 예술적이고 사회적 가치가 높아졌으며 공연예술 분야의 연구자 및 공연자들에게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렇듯 학계에서도 양리핑의 민족 무용극에 주목하여 「운남영상」의 예술적 특성과 가치 와 양리핑의 작품에 나타난 전통문화의 전승과 발전에 관한 연구(박영광, 2004;모우, 2007;쉬쥐안, 2012;장링, 2009;진죽, 2006;풍쌍백, 2004;형덕휘, 2005)가 이루어졌 다. 먼저 「운남영상」의 예술적 특징과 가치에 관한 연구에서 풍쌍백(2004)은 「운남영상」 을 전통적 뿌리가 깊은 예술로 평가하였으며, 장링(2009)의 『무용 감상』에서는 「운남영상 」의 작품성을 인정하여 그 내용과 사상을 분석하였다. 쉬쥐안(2012)의 논문에서는「운남영 상」의 미학적 특징을 심미적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한편 「운남영상」의 민족 전통문화의 전승과 발전에 관해서도 연구자들의 관심이 이어졌다. 박영광(2004)은 민족 고유의 원형을 살린 춤의 발생 원인과 보존의 의미를 분석하여 전통문화의 법적 보장체계 정비 및 원형 보존 방법을 제시했다. 모우(2007)는 「운남영상」의 성공을 민족예술문화산업 개발의 일원 으로 기술하였다. 전통문화의 전승과 발전을 경제적 이득을 넘어서 사회·문화적, 경제적 선순환의 발전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양리핑의 「운남영상」과 관련한 선행연구에서는 학문적,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강조한 것은 있었으나 민족적 특징을 주로 다루는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선행연구에서「운 남영상」의 내포된 전통문화의 중요성이 강조된 만큼 작품의 주요 특징인 민족적 가치를 재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남영상」의 안무구성을 접점으로 하여 전통문화의 가치를 예술적, 사회적 측면으로 세분화하여 탐구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연구를 통해 중국 전통무용의 계승과 발전 방향에 관하여 제시하고 민족 전통 무용가 양성의 중요성을 시사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양리핑 작품의 전통문화의 가치를 분석하기 위하여 그의 대표 작품인 「운남 영상」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수많이 공연된 「운남영상」 중에서도 ‘10주년을 기념하 여 국가대극원에서 공연된 「운남영상」’에 대하여 그 예술적, 미적 특징을 분석했다.
양리핑이 창작한 것은 모두 민족무용극의 가장 자연스럽고 가장 인간적인 표현 형식이 기 때문에 중국 민족무용극에서 양리핑의 작품의 독특함을 더 잘 나타내어 민족무용극이 더 큰 발전 잠재력을 갖게 하고 중국 무용 사업의 진보와 발전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양리핑은 무용 공연과 창작에 대해 줄곧 꾸준한 태도를 유지하였고, 민족 무용에 입각하 여 오늘날 사회의 무형 문화 보호 추세에 순응하였으며, 또한 전통문화적인 요소와 현대 무용 창작기법을 융합하여 중국 무용계에 창작무용의 공백을 메웠다. 이에 본 연구는 「운 남영상」작품의 안무 구성을 출발점으로 하여 작품 전반이 선보이는 전통문화의 가치를 예 술적, 사회적 차원으로 세분화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중국 전통 무용의 계승과 발전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려고 시도하여 중국 민족 문화의 발전과 민족 무용의 발전을 위한 방법, 독특한 민족 무용의 길을 떠나는 데 일정한 참고 의의와 깊은 영향을 미친다.
2. 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 및 영상분석으로 진행되었다. 양리핑의 「운남영상」에 관한 신문 보도 자료, 학술논문, 단행본 서적 등을 바탕으로 「운남영상」의 전통문화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중국 현지에 중국 지망(知網)과 온라인 대학도서관, 바이두(百度)를 활용하여 「운남영상」의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이밖에 운남 쿤밍에서 열린 「운남영상」의 공 연 영상자료와 다큐멘터리 전시 자료를 확보하여 분석대상의 범위를 문헌뿐 아니라 영상 자료까지 확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각 장면별로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영 상 자료에 대한 분석은 카메라를 이용해, 영화, 비디오 레코더 등 촬영 장비와 기술을 통해 「운남영상」을 음악, 무용 등의 이미지로 촬영해 극의 공연 예술가를 기록한 춤 동작과 표 정을 분석하고 연구를 통해 방영되는 기술이다. 미세한 움직임과 초고속 촬영 동작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고, 높은 정확성, 중복 가능성, 조작의 용이성 등 특징들을 갖고 있어 복잡성 이 높고 동작이 많은 음악 무용 예술에 대한 효과적인 분석방법이라 할 수 있다.
Ⅲ. 양리핑의 예술세계
양리핑은 1958년 11월 10일 운남성 다리 백족 자치주 어원현(洱源县)에서 태어났다. 양리 핑은 중국 무용수이자 중국의 최고 배우인 제10회 중국무용가협회 부회장으로서 국무원 특별정부수당을 받고 있으며 중국 국가 민속 무용 등급 시험 전문 위원회의 위원이다. 1971년 시솽반나주가무단(西双版纳州歌舞团)에 입단한 후 중부국악무용단으로 소속을 옮긴 뒤 중국 전통춤인 ‘공작 무용(孔雀舞)’을 통해 안무가로서 유명해졌다. 1994년에는 독무 「작은 영」을 선보여 중화민족의 20세기 고전무용 금상을 수상한 바 있다. 2009년 「운남영상」과 「운남의 소리」가 성공하자 중국에서 최초로 개인 독무 공연을 개최한 무용수라 할 수 있다.
양리핑의 주요 창작 작품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1980년 양리핑은 자신의 독특한 춤사위 를 사용하여 자신의 생애 첫 무용 작품 「작의 영」을 창작했다. 1986년 제2회 전국무용콩쿠르 에 참가해 심사위원과 관객들의 찬사를 받으며 단숨에 ‘공작’으로 유명세를 이어갔다. 그녀가 창작한 2인무 「두 나무」는 몸의 움직임을 통해 두 나무의 얽히고설킨 관계를 표현하고 있으 며, 나무는 두 연인의 깊은 우정을 표현하는 은유로 사용되어 다이족(傣族)춤을 보여준다.
양리핑은 전통적인 다이족 무용 어휘를 깨고 신체 조건의 국부적인 이점을 강화하여 독 특한 무용 어휘 스타일을 형성했다. 즉, 예술에 대한 집착과 정교함의 추구에서 생태 자연 과 하나가 되는 ‘천인합일’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1993년 봄 축제 갈라에서 관객 투표 1위를 차지하고 제4회 중국무용 ‘연꽃상’ 대회에서 5관왕을 차지하며 양리핑은 자신만의 생태무용을 선보였다. 전국 각지와 해외에서 순회 공연을 다니며 그녀는 이 춤을 세계에 널리 알렸고, 이를 계기로 생태적 성격을 지닌 음악 과 그녀의 춤 세계의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2007년에는 티베트 문화에 대한 관심과 종교 숭배를 주제로 한 국경을 넘어선 신작 「티베트 미스터리」를 선보였다. 언론은 「티베트 미 스터리」를 주목하였으나, 무용계는 미미한 반응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리핑은 자 신의 철학을 추구하며 작품활동을 이어 나갔다.
이 시기의 작품에는 양리핑의 “민족화” 된 인생관과 예술관이 깊이 스며들어있다. 자신의 명성과 전통 무용에 대한 파격적인 혁신으로 이 작품은 전에 없던 시장 효과를 얻었다. 예술은 ‘변화’해야 ‘살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양리핑은 무용 예술가의 직장 생활을 효과적으로 연장했다. 특히 츠아오교(2017)에 따르면 「작의 영」, 「두 나무」 등 작품은 양리핑의 초기 민족 문화 요소에 대한 심층 분석과 해석을 보여주어 ‘민족화’의 경향으로 인식되었다.
2009년 양리핑은 「티베트 미스터리」에서의 자신의 한계를 돌파하기 위해 과감한 혁신 을 시도하여 소수민족의 전통 노래와 춤 모음집 「운남의 소리」를 제작하였다. 2012년에는 자신의 40년 무용 예술의 정수를 모아 전국 무용극 「작의 영」을 창작하고 1년 간 전국 순회공연을 다녔다. 순회공연은 전국적으로 양리핑 열풍을 불러일으켰고 첫 공연에서부터 양리핑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었다. 양리핑의 소수민족 전통무용은 초기에 제작된 「작의 영」부터 후기의 「운남영상」, 「티베트 미스터리」, 「운남의 소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 다. 그녀는 자신의 독창적인 안무 철학을 갖고 예술성과 시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큰 성공 을 이루어냈으며, 그녀의 안무와 공연은 운남 소수민족 예술의 거울이 되었다(커양, 2005). <표 1>과 <표 2>는 양리핑이 안무한 주요 작품과 활동 이력을 나타낸다.
Ⅳ. 양리핑의 「운남영상」 분석
앞에서 살펴본 양리핑의 작품세계를 바탕으로 양리핑의 대표작품인 「운남영상」의 안무 구성, 무용수, 음악, 의상, 조명은 다음과 같다.
1. 안무 구성
「운남영상」의 무용 언어는 원시 생활춤과 무대무용으로 나눌 수 있다. 원시 생활춤은 생활환경, 문화배경 등에 따라 지역 주민들이 자체적으로 개발되어 작품 전반에 걸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두 번째 장면인 토지 편에서는 이족의 담뱃갑 춤, 노래, 이 중 ‘이츠 버섯 밟기’ 발걸음, ‘개미 이사하기’, ‘선인 다리 놓기’, ‘꽈배기 비틀기’, ‘잠자리 점 수’, ‘비둘기 도식’ 등 2인 기교가 동물 간의 스킨십을 모방해 인간의 생식과 번식을 비유하 는 춤 동작에 사용된다. 또 다른 예로 ‘화제’의 오프닝, 와족 소머리 군무, 사람들이 소머리 뼈를 흔들며 원시적인 제사를 지내는 모습, 밝은 타악기와 함께 천지를 뒤흔드는 함성과 함께 부족의 모든 구성원에게 불의 이미지와 정신이 전달된다. 이는 각색되지 않은 원시적 인 무용 언어이다.
무대무용은 현지 채풍을 통해 토속무용을 가공 및 정제한 언어이다. 예를 들어 첫 장면 인 태양의 춤단 독무 ‘달빛’은 다이족무용어회(傣族舞語汇)를 이용해 물고기, 공작 등의 동 물 형태를 모방하고 달빛이 흘러내리는 다이족 처녀의 아름다운 몸짓도 묘사하고 있다. 처녀의 사지는 머리카락부터 손끝까지 자연산수가 잉태한 영기를 드러내지 않고 있다. 그 녀의 그림자는 명월이 그려진 장막에 비치고, 디테일한 번쩍임, 삼도곡의 흐름은 강렬한 색채 대비 수법으로 관객의 뇌리에 비쳐져 시냇가에서 춤을 추는 소녀를 깊이 감상하도록 유도한다. 이 밖에도 이족 무용의 발뒤꿈치, 좌우 발차기, 쪼그려 앉기, 뒤집기 등 민속춤의 기본 동작을 정리한 것, 와족 무용의 무릎 굽히고 튕기며 팔을 흔드는 것 등이 포함됐다.
「운남영상」은 ‘서막: 혼돈 초개(混沌初开)’, ‘제1회: 태양(太阳)’, ‘제2회: 토지(土地)’, ‘제3회: 집터(家园’, ‘제4회: 화제(火祭)’, ‘제5회: 조성(朝圣)’ ‘마지막: 작의 영(雀之灵)’ 등 총 7장으로 구성된다. 「운남영상」은 약 2시간 동안 운남 지역의 현란한 민족 문화를 무용 을 통해 생생하게 전달한다. 이 부분의 내용은 2013년 「운남영상」 제2회 다큐멘터리 전시 자료, 2016 「운남영상」 공연영상 및 공연 팜플렛, 그리고 선행연구를 토대로 한 것이다.
1) 서막: 혼돈 초개
서막 ‘혼돈 초개’에서는 태양, 토지, 집터, 화제, 조성 등 서막에 이어 펼쳐질 내용들을 간결하게 보여준다. 이 장에서는 ‘천지가 혼돈할 때는 해가 없고 달이 없고 사방이 캄캄하 다. 두드리면 동쪽이 밝아지고, 또 두드리면 서쪽이 밝아지고…’. 녹춘현 우공향의 ‘신구’ 가요로 작품의 서막을 열였다.
2) 제1회 ‘태양(太阳)’
제1회 ‘태양’은 생명과 따뜻함의 대표적 상징인 태양을 선보인다. 첫 장면의 북소리는 민족의 기원을 울리고 오랜 세월 잠들어 있던 민족문화를 깨우며 춤의 서막을 두드린다. 운남 지역의 각 민족들의 북을 한데 모아 전시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다양한 종류의 북을 이용한 독무와 군무를 선보이며 북에 대한 숭배를 표현한다.
또한, 태양을 표현하기 위해 주로 태영북, 망고, 동망, 상각고 등의 전통 악기를 사용하 였다. 그 중에서 서쌍판나주 기노족(西双版纳州基诺族)의 태양북(太阳鼓)은 기노족의 가장 신성한 기물이며 홍황 시대 기노족의 조상인 아맥이 허리에 태양북을 하나씩 차고 다녔다. 맥흑과 매뇨가 태양북 속에 숨어 재앙을 피하면서 기노족의 후손들을 번성하였다. 기노족 이 그믐날 태양북을 치는 장면은 마치 태양을 연상시키는 17개의 나무관을 몸에 꽂아 태양 빛을 형성하며 상서로운 징조를 기원한다.
젠수이현 하니족(建水县哈尼族)의 무용은 망고(芒鼓)와 관련이 있다. 하니족의 북소리는 천신을 향해 대화하는 도구로서 북 속에는 오곡과 함께 정흥의 상징인 풀들이 놓여 있다. 하니족의 춤에는 청산정채(清山净寨)와 액을 쫓고 귀신을 피하며 풍년을 기원하는 뜻이 내재되어 있다.
창원가창와족(沧源歌唱佤族)의 동망(铜芒)은 와족의 대표적인 악기이다. 와족은 망징에 대해 목고, 동고처럼 선호한다. 그러나 목고·동고는 악기이자 하늘과 통하는 ‘신기(神器)’이 고, 동망은 사람들의 일상을 따라다니는 존재로 여긴다.
덕괴주 징포족(德宏州景颇族)의 상각고(象脚鼓)는 코끼리 다리를 닮은 악기로서 발고 또는 발북이라고 불리며 연주할 때 찹쌀로 음을 맞춰주는 효과가 있다. ‘상각고무’는 태족 이 명절을 축하하거나 멀리서 온 손님을 맞이할 때 아름다운 축복을 전하는 민간무용의 일종이다.
뤼춘 현 우쿵 향 이족(绿春县牛孔乡彝族)의 신고(神鼓)는 운남성 녹춘 일대에 전래되었 다. 지금까지 녹춘현 우공향에서는 오직 한 명의 부녀자가 이 북을 칠 수 있었는데, ‘신고’ 는 24벌의 타법으로 제사, 생식 번성, 풍년 기원, 관혼상제 등을 요약한 것이다.
동차무(铜镲舞)는 웨스트 듀얼판나 주 하니족 아이니 지역에서 유행하는 춤이다. 선민들 은 두 개의 동전이 충돌하여 발생하는 우렁찬 목소리로 신령과 소통하였다.
3) 제2회 ‘토지(土地)’
제2회 ‘토지(土地)’는 주로 양리핑의 독무인 ‘달빛(月光)’과 석병현 화요이(石屏县花腰 彝)의 ‘화요 가무(花腰歌舞)’, 흑이(黑彝)의 ‘이인우산(彝人伞)’, 이족 니소지계(彝族尼苏支 系)의 ‘담뱃갑춤(烟盒舞)’, 신평현 화요태(新平县花腰傣)의 ‘딸나라(女儿国)’, 남간이족(南 涧彝族)의 ‘타가(打歌)’로 구성되었다. 제2회 ‘토지(土地)’는 운남 현지의 독특한 풍경을 춤 에 담아 생명의 본원을 밝히며 이어서 자연에 대한 숭배를 드러낸다. 자연숭배란 자연현상 과 인격화된 자연력, 자연신에 대한 숭배라는 뜻으로 천체, 자연력, 자연물 세 가지를 포함 하고 있는데, 이것은 인간이 자연에 의존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각 장면을 자세히 살펴보면 첫째, ‘달빛(月光)’에서는 장막을 천천히 옮겨 하나를 사용한 다. 맑은 달을 배경으로 가무가 달빛에 투영된 실루엣은 오묘함을 자아낸다. 잔잔한 배경 음악이 흘러나오자 양리핑은 난초 같은 손가락, 가늘고 긴 손톱, 한 가닥 흐르는 물줄기 같은 몸짓으로 가슴과 골반 부위를 태족적인 ‘실루엣(三道弯)’으로 구부렸다. 세 갈래의 장 면은 <도판 1>과 같다.
둘째, ‘화요 가무(花腰歌舞)’는 제2회 ‘토지’의 ‘화요 가무(花腰歌舞)’에 대해서 설명하였 다. ‘화요 가무(花腰歌舞)’에서 나온 ‘해채강(海菜腔)’은 운남성 석병리에서 발원하였다. 용 호 일대에서 이가의 처녀가 호수에서 고기를 잡을 때 노를 저으면서 노래를 부르는데, 노 랫소리가 마치 물속에서 물결 따라 출렁이는 바다 채소를 닮아서 ‘해채강’이라 한다. ‘해채 강’은 매우 아름답고 음색이 풍부해 듣기 좋으며, 뎬난의 4대강인 ‘바다채강(海菜腔)’, ‘산 유강(山悠腔)’, ‘사강(四腔)’, ‘오산강(五山腔)’ 중에서 가장 배우기 어렵고 부르기 어려운 민요이다.
셋째,‘우산춤(伞舞)’ 장면에서 복식은 이족의 한 지계로, 가락은 남간이족에서 따온 것 이다. 흑이가 어디를 가나 그들은 모두 우산을 가지고 있다. 이족은 밝고 활기차며 만족을 느끼고 기뻐하는 마음가짐이다. 이러한 장면은 현대인이 동경하는 평온과 조화로운 생활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넷째, ‘담뱃갑춤(烟盒舞)’은 운남 석병(云南石屏)·젠수이(建水)·아산(峨山)·퉁하이(通海) 일대의 이족 니수이족(彝族尼苏支系)이 속칭 ‘삼도홍이(三道红彝)’라고 하는 젊은 남녀가 사랑을 나누는 장면이다. 전통적인 담뱃잎을 담은 상자를 소품으로 좌우 손을 한 쪽씩 잡 고 손가락으로 박자를 치며 2인무, 3인무를 한다. 춤은 맑고 고운 담뱃갑 장단에 맞춰 쨍쨍 한 사현소리, 피리소리가 울려 퍼져 생동감 있는 형상과 묘미를 보여준다. 밤에는 이족 남 녀 청년이 사인(正弦) 반주에 맞춰 발굽껍질 신발을 가무 요소로 이용해 서로의 발을 부딪 치며 탐색한다.
다섯째, ‘딸나라(女儿国)’는 음악이 흘러나오자 처녀가 무대에 선다. 중심을 잡고 천천히 춤을 추며 음악에 맞춰 여인의 춤사위는 느리고 빨라짐을 보여준다. 운남 방언을 가사로 하여 저음의 랩을 배경음악으로 사용한다. 여인들의 춤사위는 더뎌졌고, 무대 조명과 춤의 조화로 여인의 강인한 모습을 나타낸다.
여섯째, ‘타가(打歌)’는 운남(雲南)의 여러 민족에서 젊은 남녀가 교우하여 배우자를 선 택하는 가장 흔한 방식이다. 이 장면에서는 처녀들이 좋아하면서도 부끄러워하는 모습이 담겨있다.
4) 제3회 ‘집터(家园)’
제3회 ‘집터(家园)’는 운남 선민들의 ‘만물 유령(万物有灵)’과 ‘집터(家园)’를 신봉하는 춤으로서 ‘나무(树)’, ‘수정(树精)’, ‘소박소(小朴少)’, ‘생령(生灵)’, ‘잃어버린 집(将逝去的家 园)’, ‘상화(祥和)’의 세부 주제를 표현한다. 제3회 집터의 장의 최고조에 해당하는 가무는 배우들이 집단적으로 빠르게 손뼉을 치고 땅을 치며 노래하는 장면이다. 이는 자연과 대지 에 대한 경외심을 표현한다. 이 장을 통해 대중들에게 “만물에는 영이 있다”라는 관념을 상세히 보여준다. 운남성 선민들이 신봉하는 ‘산에는 산의 신, 물에는 물의 신, 나무에는 나무의 신, 돌에는 돌의 신이 있다’라는 경지를 투영하면서 생태환경을 보호하자는 취지와 현시대의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위기를 경고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5) 제4회 ‘화제(火祭)’
제4회 ‘화제(火祭)’는 ‘호루생무(葫芦笙舞)’,‘차발무(甩发舞)’,‘탈춤(面具舞)’,‘소머리 춤(牛头舞)’으로 구성되었다. 제4회 화제는 생생한 특색을 지녔고, 운남 소수민족의 제화와 제사 등 멋진 장면을 재현했다. 운남성 소수민족의 선민들은 모두 불에 대한 강렬한 숭배 의 정을 가지고 있다. 그들의 마음속에서 불은 생명의 상징이며, 빛과 열을 나타내며 희망 과 따뜻함을 대표한다. 불은 생명의 영속성을 의미하며 불신이 성할 때는 인간에게 빛과 따뜻함을 주는 반면에 성할 때는 인간에게 화재를 일으켰다. 화재에 당하면 민간에서 ‘화 신 보내기’ 행사가 단체로 열리는데, 이어(彝语)로 ‘아탈니하(阿夺尼哈)’라는 제화·제사 등 하이라이트 장면이 있다(증림 2004, 3-4, 9).
제화의 첫 장인 ‘호루생무(葫芦笙舞)’의 ‘호루생’은 무용의 주요 반주 악기이다. 호루생 은 5개의 길이가 다른 대나무관 뿌리에 대나무나 동으로 만든 용수철을 고정하고 박을 넣 어 만든 음두와생황관 옆면의 음구멍이 있다. 최단 1개의 음두 뒤편에 음구멍을 내고 최장 1개의 꼭대기에 작은 박을 끼워 공명을 높인다. ‘호루생무’는 종교, 의례, 생활을 아우르는 춤 형식이다. 이 춤에서 털모자(羽冠)와 털옷을 입고 호루라기를 불며 무용수는 ‘S’자형의 앞뒤가 구불구불한 조형적 동작으로 춤을 춘다.
둘째, ‘차발무(甩发舞)’에서 와족 부녀자들은 대부분 머리를 길게 늘어뜨리고 출연한다. ‘차발’은 와족 부녀자들의 머리 모양과 생활 동작에서 추출한 동작으로 민간의 기교 동작 으로 발전하였다(슝옌, 2020). 머리털은 강한 내면의 감정과 힘을 표현하며 머리카락의 흔 들림은 거센 불길을 상징한다.
셋째, ‘탈춤(面具舞)’은 중국 고대에 귀신을 쫓고 역병을 몰아내기 위해 거행한다. 선민 들은 가면을 쓰고 마귀를 위협하고 병역을 몰아내 가족의 평안을 기원하다.
넷째, ‘소머리춤(牛头舞)’은 와족적 요소로서 신체에 선을 긋는 제사의 일종이다. 소머리 는 힘과 부를 상징하며 무용수들은 소머리춤을 추면서 힘과 재부에 대한 갈망을 표현한다.
6) 제5회 ‘조성(朝圣)’
‘조성(朝圣)’은 운남(雲南)성 소수민족의 종교가 돋보이는 가무이다. 제5회 ‘조성(朝圣)’ 은 ‘설산(雪山)’, ‘티베트족춤(藏族舞)’, ‘전경통(转经筒)’, ‘마니석(玛尼石)’으로 구성되었다. 가무들은 신성하고 숭배적인 정서로 표출하며 신선을 순례한다. 티베트 불교를 믿는 소수 민족의 신령숭배를 보여주며 길을 걷다가 경통을 차고 무릎을 꿇고, 대지에 입을 맞추며 몸으로 길을 재는 순례자의 삶을 대변한다. 비록 바람과 햇볕이 내리쬐고 눈과 비가 내리 지만 그들의 마음속에 타오르는 불길은 여전히 꺼지지 않는다(세이판 2020). 마침내 그들 은 신산으로 마음의 이상인 천국으로 향하여 거룩하고 고요한 세계에 대한 향수를 표현한 다. 무용수들은 완벽한 춤사위로 설산의 천국을 한 폭의 도판으로 보여준다.
첫째, ‘설산(雪山)’에서 무용수는 신성함과 숭배심이 강한 정서로 연기한다. 무대 세트와 댄서들의 완벽한 춤동작에서 우리는 설산과 천국을 한 폭의 도판으로 바라볼 수 있고 이상 적인 천국에 대한 숭경을 나타낸다. 대형의 변화와 동선에도 종교의식이 반영되어 모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린다.
둘째, ‘티베트족춤(藏族舞)’은 인간미를 표현하기 위해 장문화의 많은 무용 요소를 대량 으로 채택하였다. 의상은 티베트족 지역의 도포복으로서 흑·홍·황의 세 가지 기조를 표현하 고 두 소매를 벗거나 허리춤에 묶음으로써 ‘일습의(作息一袭衣)’의 기후적 특성에 맞게 재 현했다. 농촌 아낙네들은 화려한 색감의 속옷을 입고, 넓은 조끼를 걸치고, 춤출 때 양팔을 흔들며 자태를 뽐낸다.
셋째, ‘전경통(转经筒)’의 통에는 경문과 상징적인 문양인 6자 잠언이 새겨져 있다. 통에 는 경문 1권이 내장되어 있으며 대형 전경통은 제단 양쪽에 배치되어 있다. 미니 전경통은 장민이 경을 읽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 독경을 할 때 몸, 입, 뜻이 완벽하게 일치하는 경지 에 이르도록 회전하고 있다.
넷째, ‘마니석(玛尼石)’은 티베트의 오래된 돌을 의미한다. 티베트의 오래된 백석숭배, 띠숭배 풍습과 관련되어 있으며 종교발전의 의미를 부여한다. 마니석에는 육자잠언(六字真 言), 불경(佛經), 구어(口語), 불상(佛像)이 새겨져 있는 장민족의 성물(聖物)이다. 마니석은 붉은색, 푸른색, 황색, 흰색의 천연 안료를 가미하여 퇴색하지 않는 대중적인 석각 예술로 서 뛰어난 조형미를 보여준다.
7) 제6회 ‘작의 영(雀之灵)’
운남 태족 사람들의 마음속 신령인 공작을 그대로 표현한 양리핑은 대중들에게 익숙한 공작춤인 ‘작의 영(雀之灵)’을 춤의 끝자락으로 삼았다. 태족은 사랑을 상징하는 공작을 태 양새로 불렀으며 공작은 그들이 숭배하는 토템이었다.
양리핑은 ‘작의 영(雀之灵)’에 그녀의 성결하고 고요한 세계에 대한 향수를 담았다. 「운 남영상(云南映象)」의 말미에 양리핑은 처음으로 그녀의 독무와 군무를 유기적으로 엮어냈 으며 새로운 춤의 배열과 소리와 빛의 효과를 결합시켜 전체 춤을 조용한 영성과 조화로운 생명의식으로 채웠다. 참새의 영령은 정자하며 고귀한 백공작의 모습으로 생명의 노래를 만들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운남영상」은 춤과 내용에 있어서 모두 동정(動靜)의 움직임으로 구 성되어 관객의 심미적 피로를 일으키기 어렵고, 춤의 상황에 표현되는 형식적 미를 더욱 잘 조성하였다. 동적인 움직임은 무용의 내용을 풍부하게 하고, 층위 구조적으로 관상성을 높였다. 정적인 움직임은 무용 예술의 관상성을 다시 한 단계 끌어올렸다. 동적인 움직임 과 정적인 움직임을 교차하며 무용작품의 내용과 내면을 대중에게 전달한다.
2. 무용수
「운남영상」은 소수민족인 무용수들로 구성된 특징을 가진다. 90여 명의 무용수들은 작 품에 참여하며 7세부터 20대까지 다양한 연령이 포함되어 있다. 무용수의 70%가 운남의 각 마을에서 태어난 소수민족들로 이루어져 있다(운남영상 다큐멘터리 인터뷰, 2016).
오늘날 많은 무용수들은 기술적인 기교나 섬세한 감정이 부족하지는 않지만, 사람과 생 명에 대한 깊은 관심과 소박한 정신에 대한 추구야말로 예술이 살아가는 인간 문화의 가치 이다. 따라서 「운남영상」에는 현지 무용수들을 많이 채용하고 그들의 소박한 몸짓과 생명 에 대한 존경을 보여줌으로써 관객들에게 순수함과 소박함에서 느껴지는 감동을 선사한다.
“농민이 춤을 추는 것은 자연물에 대한 감정, 하늘에 대한 감정, 생명의 필요에 의한 것이다. 그래서 무대에서 연기만 하는 게 아니라 일종의 노동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것 같 다.”라는 양리핑의 발언처럼 소수민족의 출연은 「운남영상」의 가무 집중 전통문화의 중요 한 상징성을 포함하며 공연의 성공 요인 중 하나이다.
소수민족의 출연배경을 살펴보면 양리핑이 그들을 찾아갔을 당시에 그들은 모두 여전히 농사일에 매진하고 있었다고 한다. 양리핑의 말에 따르면 아마추어 배우를 대거 기용한 이유는 주로 그들의 유전자는 원초적인 신체의 기질을 내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판주쥔, 2018). 그러한 움직임들이 생활 속 리듬에서 표현되고 있어 그들의 춤은 생동감으로 가득 하다. 이것은 어린 시절부터 주입식으로 학습한 무용전공자들에게는 없는 자연스러움을 발견할 수 있다. <도판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어떤 동작도 인위적이지 않으며 북치기, 모내기, 노래치기, 소머리춤, 담뱃갑춤을 추는 광경들이 그들의 일상생활이다. 그들의 일상 의 모습들이 연결되어 춤과 융합된다. 이처럼 민간 배우의 기용은 극의 볼거리이자 소수민 족의 문화적 요소를 뼛속까지 파고든 이 공연의 성공 내적 요인 중 하나이다.
3. 음악
「운남영상」의 무대음악은 소수민족의 민간 악곡과 가곡으로 구성되며 가곡은 극의 처음 부터 끝까지 라이브로 부르는 노래이다. 또한 민족악기의 전통성을 그대로 보존하여 적용 한 특징이 있다.
가무집의 음악은 여러 가지 드럼 소리와 대사로 인해 음악형식이 특별하고 힘이 느껴지 며 리듬이 풍만하다. 제2회 ‘토지’에서 이족 처녀들의 ‘해채강’은 운남성 석병 이룡호 지역 에서 유래된 것으로 처녀들이 강변에서 노를 저으며 부르는 노래에서 기원되었으며 마치 물속에서 출렁이는 바다채소와 같다(박영광 2004). ‘해채강’은 정말 자연에서 온 소리와 같이 반주의 보조 없이 인체 발성과 리듬의 기복이 뚜렷하고 음색이 밝고 음조가 높으며 무용수들이 손뼉을 치는 소리가 노동과 수확의 기쁨을 표현한다.
제1회 ‘태양’은 음악 반주 없이 북소리, 방울소리, 사람 소리로 이루어져 있다. 무용수들 은 북을 치거나 격앙된 신나는 소리를 내며 드럼 소리와 함께 순박하고 조화로운 모습을 보임으로써 생명에 대한 예찬을 나타낸다. 60개의 북소리가 울려 퍼지는 가운데 여성이 북을 칠 때도 붉은 땅에서 우렁찬 생명력을 느낄 수 있다.
‘딸나라’는 운남 방언으로 하는 독백과 나직하면서도 의미심장한 엄마의 노래를 들려주 며 여성의 일생을 한탄하며 끝맺는 깊은 여운을 담고 있다. 모계사회에서 오는 소리와 역 사의 울림을 듣는 소수민족풍의 독창방식이 관객들을 감동시키고 있으며, 화려한 현대음 악보다 한 구절씩 읊조리며 깊은 울림으로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4. 의상
「운남영상」에서 사용한 의상은 민족무용극 작품에서 무대소품인 동시에 연출의 의도를 극적으로 전달하는 예술적 표현이다(량하오 2020). 선별된 무용복은 모두 소수민족 지역의 생활복에 선명한 색상을 배합하여 제작되었다. <도판 3>의 소머리(牛头), 마니석(玛尼石), 전경통(转经筒)은 운남 민족의 특색을 살려 제작된120개의 탈이다.
<도판 4>는 ‘토지’ 장면에 등장하는 이족 처녀들의 단체 춤사위를 나타낸다. 이족 처녀들 은 긴 주름치마를 입고 단체로 흥겹게 춤을 춘다. 또한 치맛자락이 몸에 따라 흔들리는 춤 사위와 바느질과 시집살이를 연기하는 춤사위를 보여주며 민족적 특색과 생활을 대변한다.
양리핑의 민족무용극 작품은 복식에 대하여 각 소수민족의 특징을 융합하고, 전통적인 복식과 현대의식의 심미적 조화를 통해 인물의 구성과 무용 내용을 더욱 돋보이게 전달한 다. 작품에서 의상은 민족무용극의 품격과 표현력을 더욱 돋보이게 하여 관객의 시각적인 미적 욕구를 충족시킨다.
5. 조명
조명은 무대에서 장면의 전환 및 분위기 조성을 시각적으로 지원하며 민족무용극의 안 무에 현장감을 가미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운남영상」의 ‘공작’과 ‘태양’ 두 장면에서 조명 기술이 특히 돋보인다.
첫 번째, ‘공작’ 무대 세트의 모습은 <도판 5>와 <도판 6>과 같다. <도판 5>는 파란색은 인생의 꿈을 상징하며 주로 몽환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공작’ 무대 세트의 파란색 색체 는 꿈을 바탕으로 아름다운 인생의 여행과 삶의 희망을 상징하며 현실과 슬픔을 초월한 상태를 의미한다. 공작의 춤은 파란색 기조에 녹아 신비롭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도판 6>의 마지막 장면 ‘공작’의 설경은 눈발이 하늘에서 내리는 순백의 장면을 연출하며 겨울의 모티브를 살리는 동시에 생명의 소중함을 전달한다.
두 번째, 적색은 강인한 생명력을 상징하며 감정이 격동하는 장면에서 <도판 7>, <도판 8>와 같이 사용된다. 생명력은 피와 살, 만물의 생장은 태양의 육성에 의존한다. 성스러운 사랑은 뜨겁고 순수하다. 이 모든 것이 붉은빛으로 물든다(우윤명, 2010). 붉게 타오르는 빛깔이 흥겹고 격앙된 감정을 정확히 읽어냈다.
‘태양’의 무대 조명은 <도판 7>과 같다. 제1회 「태양」의 오프닝은 아름다운 투사 슬라이 드로 붉은 태양을 던진다. 태양 앞에 있는 배우가 몸을 날려 북을 두드리면 불빛도 함께 번쩍인다. <도판 7>과 같이 해가 뜨면 한 배우가 대막경 뒤에서 춤을 추며 음악에 맞춰 북을 치고, 그 뒤에 막전 배우가 등장하여 북을 친다. 싱글 드럼의 두드림은 조명과 조화를 이루며 북소리에 따라 군단의 불빛이 암암리에 반짝인다. 격렬한 분위기가 전환되고 앞 공연장의 빛은 어두워지며 공연장의 문전등 추광특필 망고 두드림과 천둥소리와 함께 푸 른 불빛이 번쩍이는 강렬한 시청각 효과로 관객들을 자극한다.
<도판 8>은 실제 빗발 아래 옆자리가 밝혀지고, 앞 공연장이 붉은빛으로 가득 차며 서서 히 빛을 거두자 마지막 배우는 북을 끌어안고 떠났다. 붉은 태양만 투영해 붉은빛을 서서 히 누른 다음 새하얀 달이 나타나 2막 ‘달’을 끌어낸다(쉬쥐안 2012). 양리핑이 안무한 「운 남영상」은 생활에서 유래된 원시적인 민간 예술로, 각 소수민족 사람들은 무대에 오르기 전에 모두 마을 안에서 조명과 무대장치 없이 공연을 하였다. 사람들의 심미적 욕구가 증대되고 무대 설비가 더욱 완벽해지며 세트와 조명기술이 선진화되자 민족무용극 작품이 춤의 아름다움, 춤의 감정 표현, 장면의 변환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되었다.
Ⅴ. 「운남영상」의 전통문화적 가치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운남영상」의 전통문화적 가치를 세분화하여 예술 적, 사회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1. 「운남영상」 의 예술적 가치
현대무용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은 자연미와 원시미를 등한시하였다. 그러나 「운남영상」 의 출현 이후, ‘자연미와 원시미’라는 표현은 최근 각종 뉴스나 신문보도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 특별히 다듬어지지 않은 채 원시적이고 향토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공연 형태로서 생태개념을 차용한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쉬쥐안 2012, 1-2).
「운남영상」이 연출된 해에는 비로소 자연미와 원시미가 널리 전파된다. 양리핑은 중국 에서 ‘자연미와 원시미’의 개념을 안무 창작에 이식한 최초의 무용예술가이다. 「운남영상」 은 ‘자연미와 원시미’라는 예술적 아이콘을 탄생시켰다(금호 2007). 「운남영상」은 무용계 의 새로운 문화적 이념의 산물이면서 민족문화의 보존과 계승에 지워지지 않는 공헌을 하 고 있다. 양리핑은 운남 지역의 자연경관과 전통문화에 대한 관찰을 통해 이를 무용에 융 합함으로써 운남지역의 수려한 자연 경관과 원시적인 민족전통문화를 무용에 승화시켰다 (뤄징 2015, 2-3). 「운남영상」을 통해 ‘원시미와 자연미’의 예술적 가치를 나타냈다.
에른스트 그로스(Ernst Grosse, 1862—1927)는 ‘현대의 춤은 퇴보한 심미와 사회의 유물 일 뿐’이며 ‘원시적 춤이야말로 원시적인 심미와 감정의 가장 솔직하고 완벽하는 표현력을 갖추고 있습니다’라고 주장했다(쉬쥐안 2012, 2-6). ‘현대적인 춤’은 ‘원시적인 춤’에 대적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다른 어떤 예술도 원시적인 춤의 ‘원시적 심미와 감정’을 나타내 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무용 ‘공작’ 편에서는 공작의 본연의 모습을 모방하여 공작의 우아함 과 역동성을 관객들에게 제공한다. 관객들은 운남 지역의 독특한 자연미와 공장의 원시적 심미와 감정을 가까이에서 체험할 수 있다.
운남 지역은 아열대에 처해 있어 그곳은 삼림이 빽빽하고 식물이 풍부하여 공작과 코끼 리 등의 희귀한 동물들이 번식하고 있다. 운남의 소수민족과 동물들이 아침저녁으로 함께 살고 있다. 무용에는 자연히 이 진귀한 동물들에 대한 예술적 승화가 녹아 있다. 또한 운남 의 전통무용에는 동적인 문화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운남성 사람들은 태초부터 공작에 대한 사랑과 숭배의 정을 가지고 있다. 공작은 ‘성조 (聖鳥)’라고 불리며 민족정신의 행복과 길함을 상징한다. 공작춤은 가장 보편화된 춤이며 큰 폭으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춤 중 하나이다. 전통적인 ‘공작무용’은 과거에 남성이 머리 에 금모와 탈을 쓰고 선반에 공작새 날개를 받치는 퍼포먼스로 유명하다. 차림과 춤사위의 묘를 쓰고 공작새의 다양한 동작을 흉내낸다. 둥지를 틀고 언덕을 내려가고, 춤을 추고, 물을 찾아 마시고, 목욕하고, 날개를 펴고 날아다니는 등의 비교적 일정한 격식을 갖추어 엄격한 스텝, 방위, 동작과 조화를 이루었다.
‘삼도굽이’는 북각이 뚜렷하고, 조각적인 춤사위로 무릎의 기복이 강직하고, 손동작이 유 연하고 힘차며, 작은 발에 힘이 있어 공작의 날렵한 특징을 표현하였다. 양리핑이 지은 ‘달 빛’은 공작춤을 바탕으로 많은 혁신과 변혁을 주도했다. ‘삼도굽이’의 몸매는 구조재건에서 새로 생겨난 조형물로서 주로 손가락으로 공작 머리의 모양을 흉내고, 공작의 비상, 회전, 먹이 찾기, 서식 등 동작 특징을 손목, 팔, 어깨, 두 다리로 공작의 영성을 구현했다.
‘형식’을 통해서만 물질적 형태를 미적 표현으로 바꿀 수 있다. 영국의 미학자 클라이브 벨(Clive Bell, 1881-1964) 지적했듯이 “예술의 아름다움은 의미 있는 형식이고 의미 있는 형식은 모든 시각예술의 공통적인 성격이다.”
마찬가지로 양리핑은 운남 사람들의 생활을 무용에 융합해 승화시킴으로써 관객들에게 운남의 민속과 전통문화를 전달하여 원시미의 예술적 가치를 구현하였다. 그의 창작 무용 ‘딸나라’는 그녀만의 배짱, 집착한 추구, 선명한 예술적 개성으로 무용무대 창작의 새로운 공간을 개척했다. ‘딸나라’는 민간의 복장, 민간의 생활 소재, 민간 배우를 채용해 원시적인 생명감을 전달하며 현대무용 의식에서 원초적 호소를 나타낸다.
20세기 초 미국 무용가 이사도라 덩컨(Isadora Duncan, 1878-1927)은 서양에는 당시 발레에 고정되어 있던 무용의 전통과 투쟁하고 춤의 생명인 자연스러움의 원시적 본초 정 신을 추구한 여성으로 현대무용의 시조로 인정받고 있다. 양리핑의 ‘딸나라’는 덩컨의 춤과 유사하며 현대무용의 강인한 의식과 정신을 내포한다.
‘딸나라’는 현대 도시 사람들이 간과하고 묻혀버린 옛 소재를 원시적, 여성적, 생명의 소급으로 재해석한 작품이지만, 단순히 옛것을 찾는 것이 아니라 옛 모습을 바꾸어 새로운 형식의 현대무용의 창작법을 고안한다. 새로운 형식의 현대무용의 창작법을 통하여 오래 된 화제를 해석하고, 현대인의 미적 시각으로 원시적 기호를 탐구한다. 오래된 것에 현대 의 옷을 입혀 새로운 효과를 창출한다. 예술적 신선과 현대 관객의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 키고, 현대적 관점에서 원시적, 본래적, 여성적 생명의 탐구로 거슬러 올라간다.
춤은 형식적인 측면에서 독창적인 면이 있다. 배우들은 타이족의 문화적 특징을 상징하 는 삿갓으로 얼굴 전체를 가리고, 예로부터 민간무용에서 보여 온 ‘1자형 웃는 얼굴’의 표 정에서 벗어나 무표정하게 말을 잃는다. 하지만 여성의 노고, 강인함, 위대함은 말없이 삿 갓에서 여성스럽고 원시적이며 신비로운 감정을 전달한다. 모든 감정이 응집되어 무한한 감정을 포용한다.
무용 중의 또 다른 신선함은 운남 타이족으로 서쌍판나 지역의 랩 예술 형식이 양리핑에 의해 적절하게 운용되었다는 것이다. 장회이 연구에서 다음과 같이
해가 쉬나나? 쉬고 있다; 달이 쉬나나? 쉬고 있다; 여자가 쉬나나? 쉬지 못하고 있다⋯(장화이 2022, 44-45)
다양한 춤동작이 랩의 내용에 따라 달라지고 있다. 이러한 랩은 작품 전체를 관통하며 작품의 구조를 잡았다. 그리고 뚜렷한 주제로 여성에 대해 해석한다. 현대무용에서 ‘다원소 (多元素)가 하나가 된다’는 이념에 걸맞게, 랩의 형식은 옛날 분위기를 담고 있다. 양리핑 은 현대무용 의식으로 원시성에 대한 호소를 실현하였다. 현대무용은 예술과 생명이 공존 하는 믿음과 시공간을 초월한 방식으로 삶의 의미에서 몸짓의 문화적 지점을 찾고 있다. 생명과 우주에 대한 탐구는 현대무용의 영원한 주제다. ‘딸나라’는 여성과 생명에 대해 탐 구한다.
이상의 관점을 종합하면 양리핑의 「운남영상」의 예술적 가치는 운남 민족의 민간무용에 대한 ‘원시미와 자연미’의 발견과 깊이 있는 채굴이다. 양리핑의 예술적 실천은 중국무용 문화의 다원적 구도 속에서 전통 민족 무용의 진흥을 위하여 선구적인 공헌을 하였다.
「운남영상」 가무집은 의미심장한 색채와 시각 예술을 사용하여 민족 내적 정신을 표현 하였다. 적색, 청색, 황색 세 가지 색체의 조화가 작품의 의미를 더한다. 삼색의 운용은 깊은 민족 내면의 정신을 함축하고 있다(석유조 2005, 3-4). 적색은 생명의 힘을 나타내는 감정 방출이며 무용집에서는 주로 격렬한 장면에 사용되었다.
첫 번째 「태양」과 네 번째 「화제」에서는 적색의 색채미가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태양」은 북소리를 시작으로 운남 각 지역의 다양한 북형이 나타난다. 네 번째 ‘화제’는 격앙된 북소리는 각 지역 인민의 심경을 반영하고, 북소리와 붉은 불빛은 강렬한 생명의 빛이 펼쳐지는 듯한 상징성을 나타낸다.
청색은 이상의 상징으로 아름답고 환상적인 춤의 장막에 많이 쓰인다. 종달새의 영에 많이 활용되며 아름답고 새하얀 공작 날개는 이상을 상징하며 사람들의 마음을 다독인다. 황색은 경건하고 숭고한 정신의 대표색으로 비교적 숙연하고 장중한 장면에 활용된다. 세 번째 ‘집터’와 다섯 번째 ‘조성’에서 모두 나타나는데, ‘집터’ 의 사람들은 삶의 터전이 황색 이고 인간의 영혼의 서식지이다. 다섯 번째 ‘조성’은 황색이 두드러지며, 노란 기조의 조명 과 황금색 전경통, 배우들의 검은색의 은포를 배합하여 불교에 대한 티베트인들의 신앙과 숭배와 경외심을 표현하였다. 회화 분야에서는 색채를 정서적 지명 정신으로 기탁하는 표 현이 비일비재 하지만 가무예술에 활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2. 「운남영상」 의 사회적 가치
주사가 「대형 가무집 「운남영상」 예술 연구」에서 「운남영상」 무용집의 예술적 가치와 사회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운남영상」은 소수민족의 전통무용을 무대화시켜 전 통무용을 보호했다. 이는 「운남영상」의 사회적 가치이다.
여러 유명한 매체나 문화 명인들이 「운남영상」에 관한 인터뷰에서 운남의 소수민족 문 화에 대한 존숭을 표현하였다. 「운남영상」은 문화 분야에 사람들의 문화 각오를 일깨웠다 (궈인 2008, 1-7). 「운남영상」은 소수민족의 문화와 풍조에 대해 깊이 알게 하고 소수민족 문화에 대한 존경과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운남영상」을 통해 소수민족 문화를 감상하고 존경하기를 배운다. 문화전승에 대한 믿음과 용기를 굳건히 하며 문화적 다원성을 촉진하 는 중요한 의미를 느낀다.
「운남영상」의 성공은 중국의 전통적인 민족 가무 예술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해 재 고할 것을 제시한다. 「운남영상」상연으로 인해 소수민족 전통무용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으며 표현, 서술방식, 가무형태, 물미적 복식 등에서 민족문화의 존중이 전승의 기본 요구로 판단된다.
양리핑은 소수민족 전통춤의 가장 본질적인 모습을 살리기 위해 민족의 뿌리와 영혼을 떠나지 않고 무집(舞集)의 창작 수법에 대해 모우(2007)는 “무용 자체가 민간에서 나온 것이며 그 본질과 원태는 다시 만들 필요없이 그대로 가져올 수 있다”고 하였다. 양리핑의 예술적 주장은 소수민족의 전통춤과 민족문화에 대한 존중이다. 무용집의 생활 노작, 축제, 제사 등의 많은 소재가 민간 민속 의식에서 유래되며 한 민족의 정서적 생활과 지역문화의 상징성과 민족문화의 함의를 가진다(쉬예 2006, 9-11). 양리핑은 민족문화 존중을 핵심으 로 하여 민간무용 예술을 보호하고, 신체를 매개로 한 가무와 민족의식의 전승을 목적으로 소수민족의 전통무용 전승의 기본요구를 충족하였다(류융메이 2008, 4-6).
소비문화의 관점에서 「운남영상」이 주는 영감을 살펴보면 오늘날 중국 문화는 포스트모 던 문화의 두드러진 특징을 부각시켰고 소비와 문화의 평면화는 오랫동안 사람들의 관심 을 끄는 문화 현상이 되었다. 정신의 관점에서 여가생활은 소비문화에 두드러지며 도시의 빠른 속도와 고효율로 인해 사람들이 ‘여가의 가치를 점점 더 중시하고’ 예술여가 생활에 더 많이 몰입하게 되었고,「운남영상」은 무대를 빌려 예술의 매력에 힘입어 현재 문화 소비 시장을 활성화시켰다. 양리핑이 생각하는 것처럼 가치 있는 예술 작품도 상업적 가치가 있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그녀가 발굴한 원래 생태 및 개인의 매력적인 가치 자원은 시장, 자체 마케팅, 포장 및 판촉을 통해 원래 생태 및 춤의 산업 운영을 수행했으며 ‘순수 비즈니스’로 ‘순수 예술’을 탈바꿈하고 있다.
Ⅵ. 결 론
본 연구는 양리핑의 활동경력과 예술세계에 대해 정리하고 이어서 「운남영상」의 작품 내용과 구성을 분석하였다. 작품의 전통문화적 가치를 예술적, 사회적 측면에서 탐구하였 다. 중국의 소수민족 전통무용의 현 상황은 그리 녹록지 않지만, 여전히 모색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운남영상」의 성공적인 흥행을 통해 소수민족 전통무용의 매력을 알 리고, 전통무용을 대하는 자세와 행태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운남영상」의 전통문화적 가치를 탐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 다. 첫째, 예술적 가치 방면에서 「운남영상」의 동력은 운남의 옥토를 깊게 심은 소수민족 전통춤 고유의 생명력에서 비롯됐다. 양리핑은 운남 민족의 민간무용을 계승적으로 채집 하는 기조 위에서 소수민족의 전통무용의 심미적 가치 취향을 정확히 파악하였다. 그 속의 ‘양질의 유전자’를 추출하여 춤, 노래, 읊조림, 음악, 소리, 아름다움을 긴밀하게 하나로 만 들고, 강렬하고 집요하게 생명에 대한 깨달음과 신앙을 표현하였다. 무용 예술의 원래 형 식을 기초로 하고 표현된 생활에 따라 예술이 가공, 발전, 표현기법, 기술수단의 혁신으로 무용 예술의 표현력을 크게 증대시켰다. 둘째, 사회적 가치에서 소수민족 전통무용은 민간 에서 가장 원시적이고 자연스러운 춤 형태이며, 각 민족 인민들의 지혜의 결정체이다. 서 로 다른 역사 시기의 사람들의 생활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운남영상」은 창조로 전승 이 이루어졌다. 전승을 이용하여 보호를 실현하였으며, 이러한 보호는 자국의 사람들이 우 리 민족문화를 사상적으로 소중히 여기도록 하였다.
「운남영상」은 중국 소수민족의 전통무용을 현대화하여 무대에 결합하는 등 새로운 예술 형식과의 편성을 통해 대중으로 하여금 어떻게 소수민족 전통무용을 발전시키고 보호할 것인가에 대한 사색을 일깨워 주었다. 무용극 「운남영상」은 현대의 무대에 힘입어 소수민 족 전통문화의 매력을 맘껏 뽐내며 오늘날 문화소비의 시장을 활성화시켰다. 중국 문화산 업과 문화시장의 발전을 위한 전형적인 사례들을 제시하면서 무용예술 작품의 시장 진입 의 필연성과 타당성을 입증하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중국의 소수민족 전통무용 계승 발전의 공통적인 요소에 대한 분석이 추가되어 수행될 수 있기를 바란다. 본 연구는 장래의 소수민족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무용계와 예술계에도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