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pISSN: 2383-5214 /eISSN: 2733-4279

HOME E-SUBMISSION SITEMAP CONTACT US

Journal Detail

Journal Detail

Export Citation Download PDF PMC Previewer
The Role and Tasks of the Korean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in the Artistic Development of Dance with Disabilities 비평적 관점으로 본 장애인무용의 예술적 발전에서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의 역할과 과제 +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Asian Dance Journal Vol.68 No. pp.85-104
DOI : https://doi.org/10.26861/sddh.2023.68.85

The Role and Tasks of the Korean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in the Artistic Development of Dance with Disabilities

Shim, Jeongmin*
*Lecturer,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Shim Jeongmin 21critic@naver.com


January 31, 2023 March 04, 2023 March 15, 202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role and tasks of the Korean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which has contributed to the artistic develop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ince its launch in 2016. The study explores the meaning and role of the Korean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as follows: 1) the promotion of basic cultural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2) the pivotal role of dan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3) the establishment of stable performance production conditions, 4) the promotion of social awareness and interest in dan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5) the conne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t home and abroad. Tasks to promot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dan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include the development of representative content, training and suppor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development of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This study can act as a cornerstone for the progress of discussions on dan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비평적 관점으로 본 장애인무용의 예술적 발전에서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의 역할과 과제 +

심정민*
*전북대학교 강사

초록


본 연구는 2016년 출범한 이래로 장애인무용의 예술적 발전에 기여해 온 대한민국장애인 국제무용제의 역할과 과제를 논의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실증적, 논리적 입증을 강화하 기 위해 관련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를 활용하는 한편 2016년부터 2022년까 지 해당 축제를 현장에서 참관한 경험과 관련 저술을 망라한다.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 제의 의미와 역할은 장애인의 문화기본권 신장 기대, 장애인무용의 구심점 역할, 안정적 인 공연제작 여건 확립, 장애인무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관심 고취, 국내외 장애인무용 네트워킹 등으로 살펴볼 수 있다. 장애인무용의 전문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과제로 는 대표성을 띤 콘텐츠 개발, 장애무용가 양성 및 지원, 관련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여전히 장애인무용에 대한 논의가 적은 현실에서 관련 연구의 진척에 일종의 초석으로 작용할 수 있으리라 본다.



    Ⅰ. 서 론

    한국은 오래도록 장애인 복지정책에 있어 장애인에게 당장 필요한 수당과 혜택을 주는 정도에 머물렀으며 장애인 문화예술정책에 관해서는 크게 내세울 만한 방안 모색이 없었 던 것이 사실이다. 장애인예술과 장애예술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 자체가 미비하다는 한계 도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장애인예술 및 장애인예술정책의 진화과정에서 전환점이 되는 해는 2005년으로 법과 제도, 체계, 단체, 연구, 인프라, 지원 등 그 이전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발전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본격적인 장애인예술 지원사업은 2008년 국고와 2010년 복권기금을 통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정종은 2013).

    장애인예술에 대한 본격적인 지원의 역사가 짧다 보니 2010년대 전반까지 장애인예술 의 전문화 과정은 여전히 크고 작은 과제를 안고 있었다. 장애인예술 중에서도 장애인무용 은 특히 사회적 관심과 수요가 낮은 상황이었다. 장애를 가진 이들이 과연 무용예술을 제 대로 실현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도 적지 않았다. 현실적인 난관을 헤쳐가기 위해서 장 애인무용 활동의 구심점이나 플랫폼이 될 만한 행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기도 하였다.

    2016년 출범한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는 장애인무용의 지속적인 성장 기반을 구축하 는데 주요한 역할을 해나갈 것으로 기대를 모았으며, 실제로 장애인무용 분야의 체계, 창작, 교육, 교류 등에 있어 일종의 구심점이나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무용의 예술적 발전에 있어서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의 역할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는 데 있다. 2022년 7회째를 맞이한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는 장애인 무용의 예술적 가능성을 열어준 축제로서 빠르게 자리매김했다는 점에서 연구 가치를 찾을 수 있다. 2016년 제1회부터 2022년 제7회까지 매해 해당 축제를 현장에서 참관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비평적 관점을 포함하여 접근하도록 한다. 이는 단순히 이론적인 접근을 넘어 현장적으로 장애인무용의 발전에 고무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담론을 형성하리라 본다.

    본 연구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며 장애인무용 관련 저서로 무용의 역 사와 장애인을 위한 무용요법(2005), 장애인을 위한 무용교육(2012)이 있으며 학위논 문으로 장애인 문화예술 활동에 관한 연구(2010), 장애인 문화예술 활동 제고를 위한 문화예술정책 방안 연구(2017)가 있으며 학술논문으로 장애무용교육 관련 동향을 통해 바라본 장애무용교육의 방향성(2020), 무용 및 스포츠 분야에서의 장애인과 장애인 가 족 대상 연구동향 및 과제(2017), 포용적 예술을 통한 장애 예술의 개념적 연구(2018), 전국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현황 및 운영내용 분석(2020) 등이 있다. 대부분 장애인무용교육에 관련된 연구로서 장애인무용의 예술적 역할과 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부재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가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의 선행 발제로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의 의미와 과제(대한민국장애인국제 무용제 심포지엄, 2016년 9월 5일), 장애무용예술의 확장 가능성에 대한 소고(라라미댄 스페스티벌 포럼, 2020년 6월 26일), 장애무용의 예술적 가치 향상을 위한 담론(대한민 국장애인국제무용제 국제포럼, 2022년 10월 31일) 등이 있음을 밝힌다.

    연구 방법은 실증적, 논리적 입증을 강화하기 위해 관련 저서, 논문, 평론, 기사 등 문헌 자료를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를 활용하는 한편 2016년부터 2022년까지 해당 축제를 현 장에서 참관한 경험과 관련 저술을 망라한다.

    연구의 제한점은 해당 분야에서 장애예술과 장애인예술, 장애무용과 장애인무용 등을 명확한 개념 구분 없이 혼용하여 쓰고 있는 관계로 정확한 용어를 통일하여 사용하기 어렵 다는 것이다. 방귀희(2022)에 의하면 현재 장애예술인의 예술활동을 장애예술 등으로 사용 하여 혼란을 주고 있는데 이는 영국예술위원회에서 정의한 disability art를 장애예술로 번 역한 초창기 자료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이며 예술활동의 주체가 장애인이므로 장애인예 술이 적절하다고 한다. 이러한 의견에 준하여 본 논고에서는 장애인예술과 장애인무용, 장 애예술인과 장애무용가 등으로 통일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앞으로 명확한 용어 정리나 확 립을 위한 논의는 필요하리라 본다.

    Ⅱ. 장애인예술의 개념과 정책

    1. 장애 및 장애인예술의 개념

    일반적으로 장애라 함은 “신체 또는 정신기능의 저하, 이상, 상실 또는 신체 일부의 결 손” 등을 지시하는 협의의 정의와 더불어, 이러한 상태는 물론이고 그로부터 초래하는 생 활의 곤란까지 포괄하는 광의의 정의로 구분될 수 있다(백령 2005;정종은 2013, 12 재인 용). 전자가 의학적 차원의 접근이라면 후자는 의학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을 포괄하는 접 근이라 하겠다. 장애인의 개념은 장애인복지법 2조(법률 제1378호, 2016년 2월 3일 타법 개정 및 8월 4일 시행)에 따른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 이해할 수 있다.

    장애인 장애정도는 총 15개로 분류되어 있다.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보건복지부령 제 672호) 중 장애인의 장애정도(제2조관련, 2019년 6월 4일 개정)에 따르면 지체장애인, 뇌 병변장애인,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언어장애인, 지적장애인, 자폐성장애인, 정신장애인, 신장장애인, 심장장애인, 호흡기장애인, 간장애인, 안면장애인, 장루장애인 및 요루장애인, 외전증장애인이 있다. 그 밖에도 중복된 장애의 합산 판정이 있다.

    장애인예술은 위의 법적 정의에 따라 장애인으로 분류된 사람들의 예술 창작 및 표현활 동이라고 할 수 있다. 정종은(2013)는 전문적인 일반예술과 전문적인 장애인예술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고 있다. 우선 전문적인 일반예술은 “구조화된 예술계 속에서 전문예술인에 의 해 직업적으로 추동되는 예술활동”이며, 전문적인 장애인예술은 “구조화된 예술계 속에서 장애전문예술인에 의해 직업적으로 추동되는 예술활동”이라고 한다.

    이러한 장애인예술은 세분화되어 전문 장애인예술과 생활 장애인예술로 구분될 수 있는 데, 예술활동에 관심을 갖고 있는 장애인 중에서 전문예술인이라 하여 “소위 예술계라고 불리는 특정 제도나 집단 안에서의 활동을 추구하는 사람”이 있는 한편 생활예술인이라 하여 예술을 통해 “일, 가족, 사교 등의 사적 영역에서 자기를 계발하고 표현하는 활동에 만족하는 사람”(강윤주 2012, 1213) 이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예술인이라는 개념을 적용한다면 이중 전자에 해당하는 장애를 가진 전문예술인을 장애예술인으로 지칭 하는 것이 타당하다. 물론 장애인예술은 장애예술인과 장애생활예술인을 모두 포괄하여 전개되어왔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엄격한 구분은 어려울 수 있다.

    2. 장애인예술정책의 전개

    한국의 장애인예술정책은 독립적인 지원정책의 역사가 짧은 관계로 불가피하게 복지정 책과 엮어서 논의할 수밖에 없다. 장애인 복지라는 주제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1980년 대부터라고 할 수 있다. 정종은(2013)에 의하면 1980년대 이전까지 장애인정책이 ‘단순구 호 단계’에 머물렀다고 한다면, 1981년부터 1988년을 거쳐 1990년대 중반까지는 ‘제도도 입 단계’로 볼 수 있다. 또한 ‘제도정착 단계’는 1998년 ‘제1차 장애인 복지 발전 5개년 종합계획’이 수립되면서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주요 목적은 장애인 복지 서비스를 선진국 수준으로 신장시키고 사회통합의 단계로 진입하기 위함이다. 이어 2003년 ‘제2차 장애인 복지 발전 5개년 종합계획’은 장애인이 대등한 시민으로 참여하는 통합적 사회 실현을 모 토로 추진되었다.

    2005년은 장애인예술 및 장애인예술정책의 진화과정에서 전환점이 되는 해라고 할 수 있다. 국내에서 독립적인 장애인예술 생태계가 구축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첫째, 거버넌 스 차원에서 장애인 체육(예술 포함)에 관한 정부 업무가 복지부에서 문화부로 이관되면서 체계적인 장애인예술정책을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이러한 흐름 속에서 다양한 장 애인예술 관련 단체들이 모여 한국장애인문화예술단체총연합회, 일명 장예총을 설립하기 에 이르렀다. 장애인 예술정책의 기획과 실행 과정에서 관(官)과 파트너쉽을 이룰 민(民) 차원의 대표자가 생긴 것이다.

    법·제도와 관련하여 괄목할만한 성과와 함께 다음과 같은 변화도 잇따랐다. 관련 연구의 확대 및 정보 인프라 차원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한국문 화예술교육진흥원을 중심으로 장애인 예술과 관련한 정책들이 등장하고 자리를 잡았다. 여러 장애인 단체들이 문화부에 법인으로 등록하여 활동을 확대한 시기도 이때부터다.

    2014년 발달장애인 지원법, 정확히는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이후 17개 시·도에 발달장애인지원센터가 생겼으며 사회적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이 에 힘입어 언어를 활용한 자기 권리 주장이 어려운 발달장애인들을 위한 비언어적 표현 수단으로써 문화예술 지원사업 또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노도현 2020).

    2015년 3월 재단법인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 설립되고 같은 해 11월에 장애인문화예 술센터 이음이 개관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관으로서, 장애인예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장애예술인 및 단체 지원, 장애인예술전용극장 조성, 장애인예술 아카데미 등의 사업 을 수행하고 있다.

    2020년에는 장애인예술에 관해 또 하나의 이정표가 될 수 있는 지원법이 제정되었다. 장애인예술에 대한 첫 번째 독립적인 법률인 ‘장애예술인 문화예술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 (장애예술인 지원법)’이 시행된 것이다. <연합뉴스> 2020년 5월 20일자에 실린 장애인 문화예술 촉진 획기적 계기…장애예술인 지원법 통과라는 기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20년 5월 20일 국회 본회의에서 ‘장애예술인 문화예술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장애예술인 지원법)’ 제정안이 통과함에 따라 장애인 문화예술 활동을 촉진하는 획기적 계기가 마련됐다고 밝혔다. 문체부에 따르면 장애예술인 지원법은 장애예술인들의 문화예술활동 실태조사 및 지원계획 수립, 창작 활동 지원, 작품 발표 기회 확대, 고용 지원, 문화시설 접근성 제고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장애예술인들은 그동안 공연장 등 문화 시설에 접근하기 어렵고 창작·연습 공간과 작품 발표 기회의 부족 등으로 열악한 환경에서 활동해왔다. 그러나 이번 장애예술인 지원법 제정에 따라 창작 환경이 개선되고, 작품 활동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장애예술인 지원법 제정을 계기로 장애인의 문화예술 활동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계획을 수립해 창작·연습 공간 확충, 문화시설 접근성 개선, 일자리 확충 등 장애예술인에 대한 지원을 지속해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다소 늦은 감이 없지 않으나 관련 법이 제정된 것은 매우 고무적이며 장애인의 문화예술 활동을 촉진하는 데 있어 하나의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러한 장애예술인 지원법은 2020년 12월에 시행되었다. 그 영향으로 관련 예산도 꾸준히 증가하여 장애예술 인 지원법 제정 이전인 2019년 138억 원이었던 지원액이 2022년에는 260억 원으로 두 배가량 늘어났다(박정선 2022).

    Ⅲ. 장애인무용의 정착 및 발전

    오래도록 장애인예술 중에서도 특히 장애인무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수요는 낮을 수 밖에 없다. 장애인무용 활동에 구심점, 플랫폼이 될 만한 단체나 행사가 뚜렷하지 못했다 는 점도 있다. 음악이나 미술은 움직임이 한정되어 있기에 상대적으로 접근하기 용이한 측면이 있는 반면에, 무용은 전신을 종합적으로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장애인이 그런 움직임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을까 의구심이 사회적으로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1990년대 중엽부터 장애인무용의 정착과 발전에 있어서 짚어봐야 할 단체와 행 사라고 한다면 다음과 같다.

    1. 장애인문화예술진흥개발원 설립

    장애인문화예술진흥개발원은 1996년 문화관광체육부에 정식으로 설립된 최초의 장애인 문화예술복지 사단법인으로, 장애인의 예술적 재능을 발굴하고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장애인예술 및 장애인예술정책에서 본격적으로 법, 제도, 체계, 단체, 연구, 인프라, 지원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시작한 때가 2005년부터임을 감안하면 그 10년 전인 1990년대 중엽부터 장애인예술 특히 장애인무용에 관한 선구적인 활동을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장애인과 함께하는 한국창작무용 공연이 있으며, ‘비욘드예술단’이라는 장애예술인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단체가 있다. 주기적으로 토론회를 통해 장애인 문화예술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도 하고, 교육 쪽으로는 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도 제공하고 있다.

    2. 2016년 장애인무용 단체와 문화체육관광부 장애인무용 지원사업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가 2016년에 제공한 무용 관련 현황분석이라는 자료에는 장애인무용을 하는 공연단체를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표 1

    2016년 장애인무용 단체 (2016 Disabled Dance Group)

    SDDH-68-85_T1.gif

    문화체육관광부는 2016년에 보조사업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국고보조사업 가이드북 2016을 발간한 바 있다. 그 책자에는 전체 보조사업 현황을 일괄 공개하여 국민은 물론 보조사업자들이 보조사업에 관한 전체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했다. 문화체육관광부 보조사 업 현황을 보면 공모사업에 지자체보조 48건과 민간보조 239건, 지정사업에 지자체보조 124건과 민간보조 401건으로 이를 모두 합치면 총 812건임을 알 수 있다. 각 보조사업 부문에서 문화예술 분야의 장애인 관련 사업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2

    2016년 문화체육관광부 보조사업 현황 (2016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upport Project Status)

    SDDH-68-85_T2.gif

    2016년에 문화예술 분야의 장애인 관련 사업이 총 812건 중 15건 정도에 불가함을 알 수 있다. ‘장애’란 용어를 포함하는 사업만을 추린 것이므로 실제로 장애인에게 혜택을 주 는 사업의 건수를 늘어날 수 있다. 더욱이 위에 표에 의하면 장애인무용에 대한 지원은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1건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개최

    지난 반 세기가량 비약적인 경제 성장으로 인해 국민의 생활 수준은 향상되었고 이에 따라 개인의 여가생활 더 나아가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장애인 의 문화예술활동 욕구를 만족시킬만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문화예술정책은 전무하다시피 하였으며 2005년 이후에나 확립되어왔다고 할 수 있다. 그 10년 후인 2016년 대한민국장 애인국제무용제의 개최는 장애인무용의 지속적인 성장 기반을 구축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해나갈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해당 축제에 대해서는 다음 장에 구체적으로 논의하도록 한다.

    4. 한국장애인무용협회와 라라미댄스페스티벌 발족

    2020년 초에 장애인무용 관련해서는 최초의 협회인 ‘한국장애인무용협회’가 발족하여 체제를 정비하고 있다. 한국장애인무용협회의 주요 행사인 라라미댄스페스티벌은 장애인 특성화 축제로서 2020년 6월 제1회를 맞이하였다. 예전에는 몇몇 단체나 행사가 장애인무 용 전체를 책임지고 이끌어가야 하는 중책을 맡고 있었다면 이제부터는 장애인무용에 관 심 있는 사람들(무용가, 장애무용가, 장애인을 아울러서)이 다양한 경로로 단체나 행사를 결성하여 장애인무용 영역을 확장시켜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에이블뉴 스> 2020년 6월 4일자에는 장애인특성화 무용축제 라라美 댄스페스티벌 개최라는 기사 가 올라왔다.

    한국장애인무용협회가 오는 24일부터 26일까지 노원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과 피노파밀 리아에서 장애인 특성화 무용축제인 ‘2020 라라美 댄스페스티벌’을 개최한다. 이번 페스티벌 은 특정 장애를 중심으로 다른 유형의 장애예술가들이 함께 협력하고 공감할 수 있는 프로그 램으로 구성됐다. 올해는 ‘발달장애’를 주제로 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라라미 댄스페스티벌은 24일 오후 7시 30분 노원문화예술회관에서 ‘음악의 숲에 춤의 꽃 을 피우다’ 주제의 개막식을 시작으로, 김용우와 고아라의 사회와 발달장애인 30명으로 구성 된 하트하트 오케스트라(지휘 안두현), 케인앤무브먼트(안무 김형희), 댄스 샤하르(안무 지우 영) 등이 노원문화예술회관 대극장을 채운다. 이어 25일 오후7시 30분 노원문화예술회관 대 공연장에서 대구 파릇 무용단(안무 이미경)과 미라클 보이스 앙상블, 발달장애 기타리스트 김지희의 연주, 예하예술학교 등 다채로운 무용음악축제가 펼쳐진다. 마지막날인 26일 폐막 식은 오후 2시부터 피노파밀리에서 ‘몸소리, 꽃으로 피어나다’ 주제로, 교육워크샵, 포럼, 시 각과 청각장애인들의 초청 공연 등 불암산 자락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한 피노파 밀리아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라라미댄스페스티벌은 개최 당시 매해 다른 유형의 장애에 초점을 맞추어 행사를 진행 할 예정이었으나 2022년부터 발달장애 중심으로 전개할 것임을 표명하였다.

    5. 2022년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무용부문 지원 현황

    장애인예술 관련 지원을 가장 활발하게 전개하는 기관으로서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의 2022년 무용부문 지원선정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3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022년 무용부문 지원선정 현황 (2022 Dance Sector Support Selection Status of Korea Disabled Arts & Culture Center)

    SDDH-68-85_T3.gif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공개한 ‘2021년 장애예술인 문화예술활동 실태’를 살펴보면, 장애 예술인 709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주요 활동하고 있는 예술분야는 서양음악, 미술, 대중음악, 국악, 공예 등 순이었다. 장애 유형별로 많이 실행하는 예술분야가 두드러지기도 했는데 지체·청각·언어장애인은 미술에서, 시각장애인은 서양음악과 국악에서, 지적·자폐 성 장애인은 서양음악과 미술에서, 뇌병변장애인은 문학과 연극에서 주로 활동한 것으로 파악되었다(박정선 2022). 여기서 장애인무용 분야는 상대적으로 활동 인구가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Ⅳ. 비평적 관점에서 본 장애인무용의 예술적 발전에 있어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의 역할과 과제

    1.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개관

    장애인예술은 2005년 독립적인 장애인예술 생태계가 구축되면서 체계적인 장애인예술 정책이 추진됨에 따라 성장의 토양을 마련하였다. 그 10년 후인 2015년 한국장애인문화예 술원과 장애인문화예술센터 이음이 개관하여 장애인예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여러 사업을 수행하기 시작한 점은 장애인예술의 전문화된 성장에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2023년 2월 28일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에 의하면 장애인예술에 대한 국가적 지원과 사회 적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상황에서 (사)빛소리친구들은 동시대의 장애무용가 사이 에 초국가적 협업을 시도하여 상호이해를 높이고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세계인의 장애인 무용제를 만들고자 기획했는데 그것이 한국 최초의 국제 장애인 종합무용제인 대한민국장 애인국제무용제다. 그리고 2016년 문화체육관광부 보조사업의 지정사업 중 민간보조사업 문화예술 분야에서 3억 원을 지원받으면서 제1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를 개최할 수 있게 되었다. 아래는 제1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의 개관을 정리한 것이다.

    표 4

    제1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개관 (Opening of the 1st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SDDH-68-85_T4.gif
    표 5

    제1회제7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공연프로그램 일시 및 장소 (Performance Program Dates and Places of the 1st7th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SDDH-68-85_T5.gif
    표 6

    제1회제7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국내 단체 현황 (Status of domestic dance companies of the 1st7th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SDDH-68-85_T6.gif

    2. 비평적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의 공연프로그램

    2016년 제1회부터 2022년 제7회까지 매해 현장에서 해당 축제를 참관한 경험을 바탕으 로 각 회차의 주요 특징을 비평적 관점으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이에 대한 심층적인 저술을 찾아보기 힘든 관계로 필자의 평론에 상당 부분 근거를 둘 수밖에 없으며 그밖에 관련 총평, 심사평, 평가서 등을 포괄하였음을 밝힌다.

    제1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의 해외초청작들 중에는 장애무용가를 무대 위에 세운 다는 것 이상으로 큰 의미를 찾기 힘든 작품도 있는 한편, 국내선정작들은 전반적으로 장 애무용가의 움직임을 예술적인 안무나 연출이라는 틀 안에서 짜임새 있게 어우르고 있다. 따라서 참여팀마다 편차가 있었던 해외초청작들보다 국내 작품들은 안정적으로 예술적 수 준을 유지했다고 할 수 있다. 장애인무용의 예술적 가능성과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은 하나의 수확이다. 이러한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가 갖는 의미는 장애인무용을 집 약해 놓은 축제로서, 다양한 교류와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장애무용가의 창작활동을 고취 하고, 장애인무용의 현장 체계를 확립하는 한편, 장애인무용의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심정민 2016b). 특히 전 세계적으로도 장애인무용 제를 제대로 활성화하고 있는 나라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한국 장애인의 위상을 드높이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제2회는 다수의 비장애인이 소위 주류를 이루는 불가피한 현실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 었던 장애인이 주체가 되는 축제로서 사회적 다양성을 실현한 장으로 가치를 지닌다. 공연 프로그램은 한국적 정서를 담은 작품, 장애무용가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본 작품, 극복할 것은 신체가 아닌 마음임을 표명한 작품 등으로 특징된다. 제언으로는 첫째, 한국 장애무 용가들의 예술성과 창조력을 고양할 수 있는 단계별 교육체계를 구축하여 지속적인 성장 을 이끌어 갈 필요가 있다. 또한 재능있는 신진 장애무용가들을 발굴하여 성장시키는 역할 도 고려해야 한다. 둘째, 단체 선정 기준에 대한 엄격한 잣대가 필요하다. 셋째, 홍보의 전문화와 인력 증원 그리고 기간 및 범위 확장이 필요하다(주송현 2017).

    제3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KIADA 2018)는 국제적인 장애 춤 축제로 한층 정비 되고 무르익었다고 할 수 있다. 다양한 스타일의 작품들로 장애인무용의 예술적 가능성을 넓혀주었으며, 장애인무용의 수준을 높이 끌어올리거나 예술적으로 승화시킨 작품들도 눈 에 띄었고, 작품을 주체적이고 주도적으로 이끌어간 전문 장애무용가들의 활약 역시 돋보 였다. 이와 더불어 장애인들에게 치유와 참여의 기회를 제공한다든가 그들과 고군분투하 여 하나의 창작물을 만들어내는 것 또한 장애인무용에서 주요한 영역을 차지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내용적인 면뿐 아니라 홍보‧마케팅에 있어서도 전문성이나 세련미를 더함으로 써 행사의 퀼리티를 한층 끌어올렸다(심정민 2018). 앞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면, 장애 인무용은 자체적인 특수성으로 인해 단발적인 형태로는 작품성을 갖추기 어렵기 때문에 장기적인 목표와 지속적인 노력으로 저변확대를 도모해가야 한다는 것이다. 좋은 작품이 나 무용가가 축적될수록 장애인에 대한 편견에서 벗어나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축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김미영 2018).

    2019년 제4회 내부 평가서를 살펴보면, 많은 관객이 객석을 채웠으며 호응도 상당한 가 운데 장애 및 비장애를 넘어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라든가 새로운 몸에 대한 탐색이 두드러 졌다. 구체적으로는 장애를 한계가 아닌 도전으로 표현하는 작품, 장애인 및 비장애인의 협업이 돋보이는 작품, 새로운 예술적 시도를 담은 다매체적인 작품도 있었다(심정민 2019). 해외초청작 중에는 오래도록 함께 활동해온 경우가 적지 않다 보니 상호소통적 작 업방식이 어느 정도 자리 잡은 듯하다. 국내에서는 장애 및 비장애인 간에 소통의 경험이 적기 때문에 창작에 있어서 시행착오를 보이는 경우도 확인할 수 있다. 장애인에게 최소한 의 부분만 담당하게 하거나 장애 및 비장애무용가의 주객이 전도되기도 하는 사례가 매해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장애인무용의 주체적인 실현에는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

    제5회에서는 해외초청작이 팬데믹으로 인해 무산되면서 언택트 한 대안으로 국내 장애 인무용의 영상콘텐츠와 아카이빙 확립에 주력하였다. 이는 기록 및 보존 측면을 넘어서 장애인무용의 국내외적인 저변 확대, 관객 개발, 인식 개선 등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칠 수 있다. 한편, 국내선정작을 통해 장애인무용의 예술적 가치를 높여줄 수 있는 레퍼토 리를 발굴 및 확립하고자 하는 노력을 읽을 수 있었다(심정민 2020). 6개의 작품은 각각 안무적 색깔과 함께 깊이 있는 주제나 가치를 갖추었다. 장애인무용의 특성상 창의적인 접근이 어려운 상황도 빈번할 텐데 안무가들이 각각 이에 대처하는 역량이 발전하고 있음 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안무가와 장애무용수의 상호소통을 통해 나름의 표현 어휘를 만 들어간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해당 축제에 참여할 수 있을 만한 장애무용가가 한정적이 고 제작 여건의 열악함으로 인해 전문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단체가 적을 수밖에 없는 한 계가 느껴지기도 한다(유선식 2020).

    전년도에 이어 코로나 팬데믹으로 크고 작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공연예술계와 마찬가 지로, 제6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역시 여러 가지 어려움에 노출되었다. 해외초청작 이 불가능해진 상태에서 국제 춤 축제를 국내선정작으로만 채운다는 것은 상당한 부담이 아닐 수 없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작품을 중심으로 내실을 다져갔으며 장애인무용이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목표로서 주체성을 띤 창작을 여럿 소개함으로써 장애인무용의 예술적 가치를 한층 높였다(심정민 2021).

    가장 최근인 2022년 제7회에서는 다양성과 확장성을 갖춘 공연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전 세계 장애인무용의 현재를 살펴보고 미래를 조망하기 위한 목표로, 해외 장애인무용의 다채로운 주제 의식과 표현 방법을 확인시켰으며 국내의 경우 새로 만들어지거나 진입하 는 단체들이 두드러짐을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심정민 2022b). 내용적인 특질로는 ‘다양 한 움직임 예술의 집합’, ‘몸의 가능성을 넘어 춤의 미학으로’, ‘주체성을 담아낸 춤의 진정 성’으로 정리할 수 있다. 다만, 14개 공연프로그램 중 10개의 국내 작품에서 비장애안무가 는 8명인데 반해 장애안무가는 2명에 불과하였다. 비장애안무가가 장애무용수와 함께 하 는 작품도 의미와 가치가 있지만 장애안무가에 의한 몸의 철학과 움직임 연구도 중요하리 라 본다. 장애안무가 인큐베이팅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리라 본다(전미라 2022).

    3.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의 의미와 역할

    2010년대 중엽 장애인 무용제가 생긴다고 했을 때, 장애인을 단순히 사회적으로 도움을 주어야 하는 대상이 아닌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비장애인과 동등한 수준의 문화예술을 누려야 하는 대상으로 인정한다는 측면에 긍정적인 반응이 조성되었다. 우리 사회의 성숙 도, 더 나아가 한국의 선진화 정도를 확인시킨다는 점에서 고무적이기까지 했다. 2016년 출범한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는 장애인무용의 지속적인 성장 기반을 구축하는데 주요 한 역할을 해나갈 것으로 기대를 모았으며, 실제로 장애인무용 분야의 체계, 창작, 교육, 교류 등에 있어 일종의 구심점이나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2022 년 제7회를 맞이한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의 의미와 역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장애인의 문화기본권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장애인의 문화예술 표현 과 향수의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문화기본권 신장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는 문화 사각지대 를 해소하여 통합적 사회 발전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둘째, 그동안 소규모 점조직으로 활동해온 장애인무용을 한 자리에 집약적으로 펼쳐 보임으로써 장애인무용의 현황과 예술 적 수준 그리고 나아가야 할 방향 등을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셋째, 국내 장애인무용과 해외 장애인무용, 장애무용계와 비장애무용계, 장애무용가와 비장애무용가, 장애인무용과 관객 등 사이에 다양한 교류와 소통과 교감의 장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장애인무용과 장 애무용가의 성장에 긍정적인 자극을 줄 수 있다. 넷째, 보다 안정적인 공연제작 현장을 제 공함으로써 장애무용가의 창작활동을 고취할 수 있으며, 신진 장애무용가에게 자기표현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창작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다섯째, 대규모 복합 행사를 준비하 면서 장애인무용에 특성화된 기획, 행정, 홍보·마케팅 등의 체계를 확립할 수 있으며 관련 인력의 숙련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여섯째, 장애인무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 키고 사회적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심정민 2019). 마지막으로, 국내외 장 애인무용의 네트워킹을 형성함으로써 국제교류 측면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 에서는 유일한 국제 장애인무용제이며 전 세계적으로 흔치 않은 규모와 체제를 갖추고 있 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는 비교적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무용의 예 술적 수준을 높이는 역할을 하였다. 더 나아가 장애계를 넘어 무용계와 일반 사회에 장애 인무용의 예술적 가치를 널리 알림으로써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끄는 데 일정부분 영 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4. 고려해야 할 사항 및 과제

    현시점에서 장애인무용의 전문적인 발전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 및 과제는 무엇인지 를 진단해볼 필요가 있다. 여러 사항이 존재하겠지만 여기서는 가장 시급하고 필수적인 요소들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사실 이는 하나의 축제가 아닌 장애무용계 전체의 과제라고 할 수 있으나 장애인무용의 공연 현장에서 주요한 위치를 확립하고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 용제에서도 짚어봐야 할 부분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거론하는 바다.

    첫째, 수준 높은 창작활동을 고취함으로써 대표성을 띤 장애인무용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장애인이 무용공연을 펼친다는 것은 한계를 극복하여 예술표현을 한다는 점에서 큰 감동을 줄 수 있다. 다만 그것만으로는 일시적인 관심만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관객 더 나아가 사회의 지속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서는 장애, 비장애를 넘 어 보편적인 감흥을 줄 수 있는 창의적인 작품을 제작하여 이를 콘텐츠화시키는 것이 중요 하다. 비장애무용계와의 면밀한 접촉을 유지함으로써 장애인무용의 예술적 수준을 높이고 창작적 범위를 넓혀가려는 노력은 지속해야 한다.

    둘째, 대표성을 띤 훌륭한 창작물을 내기 위해서는 그 생산 주체인 장애무용가의 양성 및 지원이 필수적이다. 전문 장애무용가 창작활동 고취라든가 신진 장애무용가 발굴 및 양성을 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장애무용가를 단기-개별적으로 지원하는 방 안도 있겠지만 보다 중장기적인 지원 목표를 가지고 장애인무용 단체를 지원하는 방안도 고려할만하다. 장애무용가의 훈련과 공연을 위한 연습실과 공연장 대여 지원 또한 생각해 볼 만하다. 궁극적으로는 장애무용가의 전문화, 직업화라는 큰 목표를 향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심정민 2016a).

    셋째, 장애인무용의 특수성을 고려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소개가 시급하다. 법적 장애 구분은 16개로 나뉘는데 이를 장애정도에 따라 세분화한다면 상당히 다양한 형태의 장애 를 고려해야 한다. 실제로 지체장애를 가진 무용수와 청각장애를 가진 무용수가 있다고 할 때 상당히 다른 접근이 요구되는데, 그들이 각각 잘 표현해낼 수 있는 동작 자체가 상당 히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장애구분과 장애정도에 따른 특수성을 이해하고 이를 반영 한 장애인무용 교육프로그램 개발은 시급하다. 뿐만 아니라, 장애무용가와 비장애무용가 사이에 춤적 상호작용을 돕는 교육프로그램이라든가, 장애인무용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와 관심을 도모하는 교육프로그램 역시 필요하다.

    넷째, 발달장애로 치우친 국내 장애인무용 추세에 대한 면밀한 파악과 함께 개선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제2회의 해외초청작과 국내선정작에 출연한 무용수들의 장애 유형을 정 리해보면 비장애 8명을 제외한 장애 27명 중에서 다운증후군 5명, 발달장애 1명, 지적장애 3명. 지체장애 5명, 자폐성장애 2명, 뇌병변장애 4명, 시각장애 2명, 청각장애 4명, 소아마 비 1명으로 확인된다. 여기서 넓은 범주의 발달장애에 들어갈 만한 다운증후군, 발달장애,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뇌병변장애, 소아마비를 합치면 총 16명에 달한다. 뿐만 아니라, 제 7회의 국내선정작을 보더라도 장애 32명 중에서 발달장애 범주에서 뇌병변장애 4명, 지적 장애 15명, 자폐성장애 1명 등 총 20명에 달한다. 그밖에는 시각장애 4명, 지체장애 4명 장루장애 1명, 청각장애 3명 등 총 12명의 분포를 보인다.

    다섯째, 중장기적인 계획 수립과 지원 확립이 요구되는 바다. 무용제 주최 측에서는 중장기 적인 비전을 제시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단계별로 실행해감으로써 장애인무용 분야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지원기관 측에서는 해당 무용제에 대한 중장기적인 지원방 향을 확립한 후 꾸준하고도 전폭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일반적 인 예술과는 다른 장애인예술만의 특이성을 고려하는 지원방향과 방안이 필요하다.

    여섯째, 정부와 지원기관, 무용계, 장애인소사어티, 사회의 지속적이고 궁극적인 관심은 장애무용가와 장애인무용제에 무엇보다도 큰 힘을 실어줄 수 있다. 물론 이들의 맹목적인 관심만을 요구할 수는 없는 관계로 그러한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장애인무용만의 고유한 예술활동 또한 이루어져야겠다. 유사한 맥락에서, 장애인예술을 널리 알릴 수 있는 효과적인 매체로서 언론 및 평론의 주목을 이끌어낼 만한 차별화된 예술활동이 요구되는 바다.

    Ⅴ. 결론

    지난 반 세기가량의 비약적인 경제 성장으로 인해 국민의 생활 수준은 향상되었고 이에 따라 개인의 여가생활 더 나아가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장애인 의 문화예술활동 욕구를 만족시킬만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문화예술정책은 전무하다시피 하였으며 2005년 이후에나 확립되어왔다고 할 수 있다. 그 10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대한 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의 개최는 장애인무용의 지속적인 성장 기반을 구축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해나갈 것으로 사료되는 바다. 특히 장애인무용에 대한 체계, 창작, 교육, 교류 등에 있어서 다각적이면서도 종합적인 역할을 기대할 수 있겠다.

    본문에서는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의 의미와 역할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장애인의 문화기본권 신장, 둘째 장애인무용을 집약해 놓은 축제, 셋째 다양한 교류와 소 통의 장, 넷째 장애무용가의 창작활동 고취, 다섯째 장애인무용의 현장 체계 확립, 여섯째 장애인무용의 사회적 인식 고취, 일곱째, 국내외 장애인무용 네트워크 형성이 그것이다. 더 나아가, 장애인무용의 전문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당면 과제로는 대표 성을 띤 장애인무용 콘텐츠 개발, 생산 주체인 장애무용가의 양성 및 지원, 장애인무용의 특수성을 고려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발달장애에 치우친 추세 극복을 위한 방안 모색, 중 장기적인 계획 수립과 지원 확립, 각계각층의 지속적이고 궁극적인 관심 유도를 꼽을 수 있다. 이는 비단 장애인무용 분야만의 과제가 아닌 정부와 지원기관, 무용계, 장애인소사어 티, 사회 등이 서로 힘을 합쳐서 개선하고 실천해가야 할 과제다.

    이와 같은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의 의미와 과제는 서로 연동되는 개념으로써 유기 적인 균형과 조화를 이루면서 고려되거나 추진되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 대한민국장 애인국제무용제의 성공적인 정착은 장애인무용의 예술적, 교육적, 사회적 발전에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장애인무용 활동의 하나의 구심점이나 플랫폼으로서 국내외 장애인무용, 장애 및 비장애무용가, 장애인무용과 사회를 아우르고 장애무용가의 전문화와 저변확대를 위해 나아가야 할 텐데 이는 단지 한 무용제의 성과에 그치는 것이 아닌 장애인무용 전체의 성과로 확립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어려움은 장애인무용에 대한 예술적, 현장적으로 접근하는 저서, 논문, 평론, 기사가 거의 없다는 점으로 앞으로 해당 영역에 대한 전문적, 심층적 논의의 확산이 필요 하리라 본다.

    Figure

    Table

    2016년 장애인무용 단체 (2016 Disabled Dance Group)

    2016년 문화체육관광부 보조사업 현황 (2016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upport Project Status)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022년 무용부문 지원선정 현황 (2022 Dance Sector Support Selection Status of Korea Disabled Arts & Culture Center)

    제1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개관 (Opening of the 1st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제1회제7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공연프로그램 일시 및 장소 (Performance Program Dates and Places of the 1st7th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제1회제7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국내 단체 현황 (Status of domestic dance companies of the 1st7th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Reference

    1. 강윤주 Gang, Yunju. 2012. 『생활예술 지원정책 방안연구 Saenghwalyesul jiwonjeongchaek bang-an yeon-gu』 [Research on Support Policies for Lifetime Arts].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지원팀 [Gyeonghui Cyber University Research Support Team].
    2. 김정애 Gim, Jeong-ae. 2010. “장애인 문화예술 활동에 관한 연구 Jangaein munhwayesul hwaldonge gwanhan yeon-gu” [A study o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for the disabled].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Gyeongnam University MA thesis].
    3.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Daehan Minguk jaeaein gukje muyongje ][the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2016-2022. 『제1회제7회 프로그램 북 및 보도자료 Je1hoeje7hoe peurogeuraembuk mit bodojaryo』 [Press releases and program books from the 1st to 7th festival].
    4. 방귀희 Bang, Gwihee. 2022. “2021년 장애예술인 실태조사 결과 함의 분석 2021nyeon jangaeyesulin siltaejosa gyeolgwa hamui bunseok” [Implication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2021 survey of disabled artists]. 『한국장애학 Han-guk jang-aehak』 [Korean Disability Studies], 7(1): 135-160.
    5. 백령 Baek, Ryeong. 2005.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Jangaein munhwayesulgyoyuk jonghab gyehoek suribeul wihan gichoyeon-gu』 [Basic research for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plan for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for the disable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Han-guk munhwayesul gyoyuk jinheungwon [Korea Culture and Arts Education Agency].
    6. 송경화 Song, Kyeonghwa. 2017. “장애인 문화예술 활동 제고를 위한 문화예술정책 방안연구 Jangaein munhwayesul hwaldong jegoreul wihan munhwayesuljeongchaek bang-an yeon-gu” [A Study on Culture and Arts Policies for Improving Culture and Arts Activities for the Disabled].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Gyeonghui University MA thesis].
    7. 심정민 Sim, Jeongmin. 2016a.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의 의미와 과제 Daehan Minguk jangaein gukjemuyongjeui uimiwa gwaje” [Meaning and Tasks of the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대한민국장 애인국제무용제 심포지엄 Daehan Minguk jaeaein gukje muyongje simpojieom [the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Symposium], 2016. 9. 5.
    8. _____________. 2016b. “복지를 넘어 또 하나의 예술로 향하는 장애무용 Bokjireul neomeo tto hanaui yesulro hyangha-neun jangae muyong” [Disability dance going beyond welfare to another art]. 『춤』 [Chum], 2016. 10.
    9. _____________. 2018. “국제적인 장애 춤 축제로 무르익다 Gukjejeokin jangae chum chukjelo mureuikda” [International Disabled Dance Developed by Festival]. 『춤』 [Chum], 2018. 9.
    10. _____________. 2019. “Nothing is Impossible”. 『춤』 [Chum], 2019. 9.
    11. _____________. 2020. “총평 장애무용의 예술적 가치를 높인 축제 Chongpyeong jang-ae muyongui yesuljeok gachireul nopin chukje” [Overall Review: A festival that enhances the artistic value of dance for the disabled].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Daehan Minguk jaeaein gukje muyongje [the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2020. 12.
    12. _____________. 2021. “장애무용예술이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목표로서 주체성 Jang-ae muyong yesuli gunggeukjeokeuro chu-guhaeya hal mokpyoroseo jucheseong” [Subjectivity as the ultimate goal that dance art with disabilities should pursue]. 『춤』 [Chum], 2021. 12.
    13. _____________. 2022a. “장애무용의 예술적 가치 향상을 위한 담론 Jangae muyongui yesuljeok gachi hyangsang-eul wihan damnon” [Discourse to improve the artistic value of disability dance].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 제 국제포럼 Daehan Minguk jae-aein gukje muyongje [the international forum of the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2022. 10. 31.
    14. _____________. yesuljeok gachi hyangsang e giyeohaneun chukje” [A festival tha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artistic value of disability dance]. 『춤』 [Chum], 2022. 12.
    15. 유선식 Yu, Seonsik. 2020. “제5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총평 Je5hoe Daehan Minguk jangaein gukje muyongje chongpyeong” [Overall Review of the 5th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대한민국장 애인국제무용제 Daehan Minguk jae-aein gukje muyongje [the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16. 전미라 Jeon, Mira. 2022. “제7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평가서 Je7hoe Daehan Minguk jangaein gukjemuyongje pyeonggaseo” [Evaluation Report of the 7th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대한민국 장애인국제무용제 Daehan Minguk jae-aein gukje muyongje [the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17. 정종은 Jeong, Jongeun. 2013. “장애예술 생태계 지원방안 연구 Jangaeyesul saengtaegye jiwonbang-an yeon-gu” [A study on the support plan for the disabled art ecosystem]. 국회의원 이상일 정책 심포지엄 [National Assembly member Yi Sangil Policy Symposium].
    18. 주송현 Ju, Songhyeon. 2017. “총평_인간 존재 양식을 무용으로 풀어낸 제2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Chongpyeong ingan jonjae yangsikeul muyongeuro puleonaen je2hoe Daehan Minguk jae-aein gukje muyongje” [Overall Review_ the 2nd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Unraveling Human Existence through Dance].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Daehan Minguk jae-aein gukje muyongje [the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19. 김미영 Gim, Miyeong. 2018. “제3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심사평 Je3hoe Daehan Minguk jangaein gukjemuyongje simsapyeong” [Review of the 3rd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the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20. 김준억 Gim, Jun-eok. 2020. “장애인 문화예술 촉진 획기적 계기…장애예술인 지원법 통과 Jangaein munhwayesul chokjin hoekgijeok gyegi…jangae yesulin jiwonbeop tonggwa” [Groundbreaking opportunity to promote culture and arts for the disabled… Passed the Disabled Arts Support Act]. 『연합뉴스』 [Yeonhap News], 2020. 5. 20. [검색일: 2023. 2. 28.], URL https://www.yna.co.kr/view/AKR20200520186500005?input=1195m.
    21. 노도현 No, Dohyeon. 2020. “실감하기 힘든 발달장애인 지원책 Silgamhagi himdeun baldaljangaein jiwonchaek” [Support measur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are difficult to realize]. 『경향신문』 [Gyeonghyang Sinmun], 2020. 6. 13. [검색일: 2023. 2. 28.], URL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006131713011.
    22.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Daehan Minguk jaeaein gukje muyongje [the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2016a. 『무용 관련 현황분석 Muyong gwallyeon hyeonhwangbunseok』 [Dance related status analysis].
    23.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Daehan Minguk jaeaein gukje muyongje [the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2016b. 『2016 사업개요 및 일정 2016 Sa-eopgaeyo mit iljeong』 [2016 Project Overview and Schedule of the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24.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홈페이지 Daehan Minguk jae-aein gukje muyongje hompeiji [the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homepage] [검색일: 2023. 2. 28.], URL https://kiada.co.kr/.
    25. 라라미댄스페스티벌 Rarami daenseu peseutibeol [Laramie Dance Festival]. 2020. 『보도자료 Bodojaryo』 [Press release].
    26. 문화체육관광부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6. 『국고보조사업 가이드북 2016 Gukgobojosa-eop gaieubuk 2016』 [Government Subsidy Business Guidebook 2016].
    27.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 Munhwa cheyuk gwangwangbu hompeiji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ebsite] ‘대한민국장애인국무용제 사진전’ [Photo exhibition of the Korea International Accessible Dance Festival] [검색일: 2023. 2. 28.], URL https://www.mcst.go.kr/kor/s_culture/culture/cultureView.jsp?pSeq=21402.
    28. 박정선 Bak, Jeongseon. 2022. “한국의 장애예술, 지금부터가 시작 Han-gukui jangaeyesul, jigeumbuteoga sijak” [Disabled art in Korea starts now]. 『데일리안』 [Dialian], 2022. 5. 11. [검색일: 2023. 2. 28.], URL https://www.dailian.co.kr/news/view/1112217.
    29. (사)빛소리친구들 홈페이지 (sa) bitsori chin-gudeul hompeiji [Light Sound Friends homepage] [검색일: 2023. 2. 28.], URL http://lsf.kr/.
    30. 이슬기 Yi, Seulgi. 2020. “장애인특성화 무용축제 라라미댄스페스티벌 개최 Jangaein teukseonghwa muyongchukje raramidaenseu peseutibeol gaechoe” [Laramie Dance Festival, a dance festival specializing in the disabled]. 『에이블뉴스 Eibeul nyuseu』 [Able News], 2020. 6. 4. [검색일: 2023. 2. 28.], URL http://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8721.
    31. 장애인문화예술진흥개발원 홈페이지 Jangaein munhwa yesul jinheung gaebalwon hompeiji [Center for Arts and Culture for the Disabled homepage] [검색일: 2023. 2. 28.], URL http://www.cacd.co.kr/.
    32. 장애인복지법 Jangaein bokjibeop [Disabled Welfare Act] [검색일: 2023. 2. 28.], URL https://www.law.go.kr/LSW/lsInfoP.do?efYd=20221222&lsiSeq=238111#0000.
    33. 장애인복지법시행규칙 Jangaein bokji beom sihyeong gyuchik [Disabled Welfare Act Enforcement Rules] [검색일: 2023. 2. 28.], URL https://www.law.go.kr/LSW/lsInfoP.do?efYd=20221230&lsiSeq=247323#0000.
    34.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홈페이지 Han-guk jangaein munhwa yesulwon hompeiji [Korea Disabled Arts & Culture Center homepage]. [검색일: 2023. 2. 28.], URL http://www.i-eum.or.kr/main/view.

    저자소개

    심정민은 무용평론가이자 비평사학자로서 현재 한국춤평론가회 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숙명여자 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등에 출강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무용비평과 감상”, “우리시대를 빛낸 무용가들”, “뉴욕에서 무용가로 살아남기”, “춤을 빛낸 아름다운 남성무용가들”, “서양 무용비평의 역사” 외 다수가 있다.
    Shim Jeongmin is a dance critic and critic historian and currently serves as the president of the Korean Dance Critics Association. Dr. Shim attend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Univers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ungshin Women’s University, and is an author of many books including “Dance Criticism and Appreciation,” “Dancers who Shined Our Times,” “Survived as Dancers in New York,” “Beautiful Male Dancers Who Shined Dance,” and “History of Western Dance Criticism.”

    Footnote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