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pISSN: 2383-5214 /eISSN: 2733-4279

HOME E-SUBMISSION SITEMAP CONTACT US

Journal Detail

Journal Detail

Export Citation Download PDF PMC Previewer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icheonmu’s Stage Device Use and Its Influence 비천무의 무대장치 활용 전개 양상과 영향 연구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Asian Dance Journal Vol.70 No. pp.99-113
DOI : https://doi.org/10.26861/sddh.2023.70.9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icheonmu’s Stage Device Use and Its Influence

Yiju Wang*, Ju-Hee Lee**
*Ph.D. Student, Department of Dance, Chung-Ang University
**Professor of Dance, Chung-Ang University

* Wang, Yiju wangyijuju@gmail.com


** Correspondence to Lee, Ju-Hee kintaro64@hanmail.net
July 11, 2023 August 31, 2023 September 13, 2023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stage devices used in Bicheonmu, a creative dance work, on its story development process. The study examines Dunhuang murals and flying figures, and analyzes the props-first used in Ailian’s 1954 Bicheonmu performance, as well as the stage installations repeatedly represented in various Bicheonmu performances until recently. This paper is based on the analysis of literature and images related to Bicheonmu, in addition to the performance videos and photos archived from 1951 to 2021. Since 1954, the stage installations of Bicheonmu have been constantly improved for a more realistic performance, and thus the story of the dance has also undergone changes. Various stage devices used in Bicheonmu, such as flying cars, steel wires, electronic screens, flying devices, and underwater, create a spectacular scene. The paper, which focuses on the different kinds of stage equipment and props used in Bicheonmu, will contribute to offering a reasonable development plan for the transmission and innovation of the dance.



비천무의 무대장치 활용 전개 양상과 영향 연구

왕예귤*, 이주희**
*중앙대학교 공연예술학과 무용학 박사과정
**중앙대학교 공연예술학과 교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비천무」 창작 작품에 활용된 무대장치가 현대 비천무 내용 전개에 끼친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돈황벽화와 비천상에 대해 살펴보고 1954 년 대애련의 비천무에 활용된 도구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비천무 작품을 위해 활용된 대표적인 무대장치를 분석하였다. 비천무 관련 문헌 및 도상, 1951년부터 2021년까지 공연영상 및 사진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논지를 전개하였다.



비천무의 무대장치는 1954년 이래 더욱 사실적인 표현을 위해 거듭 개량되었고, 이에 따라 춤의 내용 또한 변화하였다. 비천차(飛天車), 와이어(wire), 전자 전광판(electronic display), 비천통(飛天通) , 수중 등의 무대장치가 사용되며 멋진 스펙터클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무용적 표현을 위한 무대장치의 개발과 합리적인 활용은 춤 예술의 발전에 중요 한 요소이다. 비천무에서 활용했던 무대장치와 도구의 종류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는 무용의 전승, 창작에 합리적인 발전방안을 제공할 것이다.



    Ⅰ. 서 론

    세계예술사상의 기적으로 칭송받고 있는 돈황(敦煌)은 중국 간쑤성(甘肅省) 허시 회랑(河 西走廊)의 서쪽 끝에 있으며, 막고굴, 서천불동, 만불협 등 492개에 달하는 동굴이 있다. 이곳의 막고굴 일명 천불동(千佛洞)에서 발견된 돈황벽화는 세계역사 문화유산으로 지정되 어 있다. 돈황벽화는 중국 10개 왕조(서기 397-1368, 북량, 북위, 서위, 북주, 수, 당, 오대, 송, 서, 원)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이들 벽화는 각 시대의 회화기법과 여러 왕조를 거치며 형성된 종교 사상 및 가무 문화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역사 문화적 가치를 가진다.

    돈황벽화에 묘사된 가무백희 도상은 현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무용 창작과 훈 련을 위한 소재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돈황벽화 중 비천상(飛天像)은 그 신비로운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작품으로 많이 만들어졌으며, 무용 작품에서 하늘을 나는 장면을 표 현하는 기법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최초의 비천 작품은 1954년 대애련에 의해 창작된 비천(飛天)이다. 첫 비천작품이 만들어진 이후 중국에서는 문화대혁명을 거치며 많은 무용가의 활동이 중단되었고 이 작 품도 공연되지 못하였다. 1970년대 중국이 개혁개방 정책을 펼치면서 비천상을 소재로 한 다양한 비천무가 창작되기 시작하였다. 대표적으로 무용극 실크로드꽃비(絲路花雨) (1979), 비천(1994), 무용극 대몽돈황(大夢敦煌)(2000), 춘완판 비천1)(2008), 올림 픽 비천(2008), 수중판 비천(2021)등이다. 이러한 작품에서는 공중으로 날아오르는 비 천 이미지를 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특수한 무대장치를 개발하여 묘사하였다.

    대애련의 비천에서 비단천을 활용했지만 1970년대 이후로는 비천차(飛天車), 비천통 (飛天通), 와이어(wire), 전자 전광판(electronic display)등 무대장치가 개발되었다2). 현재 는 물속에서 추는 수중 비천무까지 선보이는 등 무대장치 활용이 극대화되고 있다. 일차원 의 평면예술인 벽화 속 그림을 무대에 옮겨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삼차원의 공간으로 확장하는 표현법을 보여주었다. 무대 위에서 하늘을 날아다니는 극사실주의적 표현법의 사례로 비천에 대해 주목하여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대 중요한 비천무에서 활용했던 무대장치와 도구의 종류와 활용 방법 및 전개 양상을 분석 하여 여타 무용예술에서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그동안 비천무에 관한 연구를 정리해 보면 고진영(高金荣, 2000)은 돈황석굴 악무예술, 정여중(郑汝中, 2002)은 돈황벽화 악무 연구, 정여중(郑汝中, 2010)은 비상하는 정령, 위안화(袁禾, 2006)는 중국 고대 무용 심미 역정에서 리본을 위주로 비천무를 연구했다. 금추(金秋, 2001)의 “돈황 무용의 근원을 찾아서”, 마월교(马月娇, 2013)의 “비천의 원류 및 예술 스타일 흐름-돈황의 비천을 중심으로” 등 여러 논문에서도 비천의 기원, 비천 예술의 전파, 비천의 예술적 표현을 연구하였다. 이외에도 김량(金亮, 2013)과 양쯔예(杨梓藝, 2016) 의 석사학위 논문은 돈황무의 복식, 형태, 얼굴, 회화성, 역동성 등을 통한 각 시대별 비천의 변화와 차이와 비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는 돈황벽화의 비천상 이미지와 비천무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아 비천 이미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였지만, 비천무에 활용된 무대장치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 방법은 돈황벽화와 비천에 대해 살펴보고 1954년 대애련의 비천무에 활용된 무대 장치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비천무 작품을 위해 개발되고 활용된 대표적인 무대장치를 분 석하고자 비천무 관련 문헌 및 도상, 1951년부터 2021년까지 공연영상 및 사진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전개하였다.

    Ⅱ. 돈황벽화의 유래 및 비천상

    1. 돈황벽화의 유래

    돈황지는 고대 실크로드의 관문이자 상업의 중심지이다. 서한(西漢)의 군현제(郡縣制) 설립 이후 유라시아의 여러 민족과 문명 및 다중 교통 네트워크의 교차점이었다. 손이화는 서기 1세기 무렵 실크로드 상인에 의해 처음 불교가 중국에 전해진 이후, 돈황지 중국과 서양의 교통과 문화교류를 연결하는 요충지가 되었다. 특히 돈황지에서 ‘실크로드’ 문화와 경제가 밀접하게 교류하며 불교가 유입되었다고 하였다(손이화 2017, 45). 이후 선진(先 秦)에서 시작하여 명나라와 청나라까지 1,600년 이상 돈황지에서 문화교류가 지속되었다. 긴 시간을 거치면서 시대별 사람들이 새로운 벽화를 그려 나갔고, 벽화에는 종교 관념은 물론 당시의 회화기법이나 가무 문화의 특징이 새겨지게 되었다.

    돈황벽화는 돈황지에서 남동쪽으로 25㎞ 떨어진 명사산 절벽에 있다. 석굴은 남북 1,600여m, 상하 5층, 최고 50m에 이른다. “돈황 연구소의 분류에 따르면 총 493개의 굴감 (窟龛), 벽화(壁画), 조각상(雕刻像), 묘지(墓志), 8개의 토탑(土塔)이 있다. 석굴의 분포에 따라 남구·북구로 나눌 수 있는데, 조각상과 벽화가 있는 동굴은 주로 남구에 집중되어 있 고, 북구에는 소수의 동굴을 제외하고는 벽화가 없는 승려 활동을 위한 방, 참선, 유골, 창고용 굴이 대부분이라”고 제시하였다(채웨이당 2005, 1). 돈황학자 상서홍과 리승선 (1980)은 막고굴의 492개 동굴 중 270여 개 동굴에 비천이 그려져 있다고 주장하였다.

    2. 비천상의 변천 및 상징성

    비천(飛天)의 도상은 인도 불교의 ‘건달파’(乾闼婆)와 ‘긴나라’(緊那羅)라고 한다(이존국 2013, 382). ‘건달파’는 천가신(天歌神)으로 온몸에서 향기가 풍기는 향음신(香音神)이고, ‘긴나라’는 천락신(天樂神)으로 노래와 춤을 잘 춘다. 전설에 따르면 그들은 가무를 하며 자유롭게 날아다니는데, 부처의 나라 정토에서 즐겁게 지내는 부부로, 후대의 중국에 영향 을 끼쳐 중국적인 비천 이미지로 승화되었다. 비천은 고대 사람들의 아름다운 이상과 종교 적 신념의 산물이며, 행복과 아름다움, 행운을 상징한다고 한다(하리빙 2014, 45).

    인도 불교의 영향을 받은 돈황벽화의 비천은 10개의 왕조를 거치는 이천여 년의 역사 속에서 왕조의 교체, 경제 발전, 중서 문화의 교류 등 역사 상황의 변화로 인해 비천의 이미지와 자세는 계속 변화했다.

    최초의 비천상은 북량시대(397-439년)에 나타났다. 비천상은 서역의 불교 석굴예술에 서 나왔고, 회화 기법에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초기 발전 단계(북량시대-수나라) 비천 상의 이미지는 소박하고 거칠었다(과절 2015, 90).

    북위 시대(386-534년)의 비천상은 서역의 특징을 유지했지만 중원 문화의 영향으로 인해 인물 이미지에 변화가 나타났다. 무용수의 타원형 얼굴은 길쭉해지고, 이목구비가 섬세하고 더 뚜렷해지는 등, 인물 세부 묘사가 정밀해졌다. 북주(557-581년)와 수나라(581-619년) 때 만들어진 비천상은 상체를 드러낸 건장한 남성과 청초한 여성 스타일이며 침울하거나 비통했던 표정도 평온하게 변화한다. 화려하고 생동감 있는 색채배합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수나라의 비천도상은 위아래로 날아다니는 형태와 ‘U’자 모양의 신체 형태가 나타난다(리팅 팅 2010, 33).

    당나라 시대(618-907년)는 비천상 전성기에 해당한다. 당나라는 정치와 경제가 안정되 며 문화가 발전하였다.

    숭불사상은 비천 벽화를 진보시켜, 비천도상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다민족 음악과 춤 문화가 결합한 비천주악이 등장하고, 비천 인물의 이미지는 여성적인 특징을 갖기 시작했 다(왕몽영 2020, 16).

    몸매가 풍만하고 둥글며 자태가 유유하고 우아하며 정숙한 이미지로 표현되었다. 또 비 천도상은 날아다니는 모습과 강렬하고 화려한 색채, 가슴과 등, 맨발을 드러내는 사실적인 묘사가 특징적이다.

    송나라(960-1279년) 이후의 비천상은 전란과 불교의 쇠퇴 영향으로 형식화의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비천의 형상은 비대해지고 생기가 없어졌으며, 이전의 하늘을 날던 ‘V’ 자형, ‘U’ 자형 또는 ‘S’ 자형 자세의 섬세하고 부드러우며 하늘거리는 느낌이 사라졌다. 상체는 길어지고 하체는 짧아졌으며, 표정은 우울하고 생기가 없어졌다. 원나라 시기의 비천상은 조형적으로 크게 혁신적이지 못하였고, 단아하고 수려한 기질을 상실하여 우울한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난다(오가통 2018, 28).

    이상 돈황벽화에 묘사된 비천상은 몸통이 굵고 짧으며 상체는 반나체이고 하체는 양장 치마를 두르고, 어깨에는 긴 띠(巾帶)를 걸치고 있다. 어깨에 걸쳐진 나부끼는 곡선의 긴 띠는 여러 겹으로 된 곡선 형태로서 비상하는 비천을 더 사실적이고 상징적으로 묘사시킨 다. 이와 같은 형태는 당나라 이후 벽화의 쇠퇴와 함께 그 상징성이 쇠퇴하였다.

    Ⅲ. 무대장치를 활용한 비천무의 전개 양상

    1954년 대애련에 의해 창작된 비천작품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비천무에 활용된 무대 장치는 돈황벽화의 비천상을 비천무로 끌어낸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무대장치를 합리적으로 사용하면 무용수가 신체의 표현력을 향상시키고 진지한 감정을 표현하며 무용 작품에 미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왕징즈 2009, 45). 현재까지 벽화에 나타난 비천의 제한된 이미지를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비단천, 와이어, 비천차, 비천통 등의 무대장치 가 개발되었다. 이 같은 무대장치를 활용한 비천무는, 무대 공연예술로서 비천무에 그치지 않고, 신체의 한계를 느끼게 하는 파격적인 비천무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본 장에서는 무대장치의 개발 및 활용으로 전개되는 비천무의 양상을 살펴보기로 한다.

    1. 비단천 운용에 의한 비천무

    돈황벽화의 비천상을 소재로 1954년 최초로 대애련의 비천이 무대에 올려졌다. 2021 년 4월 28일에 북경무용학원(北京舞蹈學院)은 빌리빌리(Bilibili) 사이트에 의하면 중국 창 당(建黨) 100년을 경축하기 위해, 100여 편의 무용 작품전을 방영했다. 그중에서 대애련이 만든 비천무의 창작 배경을 자세히 소개했다. 창작 배경에 의하면 대애련은 1945년 화가 장다첸(張大千)의 집에서 돈황벽화 비천상을 접하게 되었고, 이를 춤으로 만들 것을 구상 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는 1950년대에는 경극 예술가를 초청해, 수건춤의 일종인 건무(巾 舞)를 젊은 무용수들에게 학습시켜 비천무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비천 은 하늘을 나는 듯한 역동적 움직임과 긴 비단을 이용해 공중을 뒤척이는 재미를 더했다. 돈황무에서 비천의 주요 특징은 날아다니는 비단과 변화무쌍한 춤사위에 있는데, 그중 긴 비단은 예술 형상의 특징을 확대하는 중요한 기초이다. 대애련은 비단을 충분히 활용했고, 명쾌한 비단 동작을 도입하여 공중에서 춤을 추는 듯한 장면을 만들어 공연되었다(산펑리 2020, 166).

    이후 대애련의 비천은 1994년 진비아(陳維亞) 감독과 무용가 사민(史敏)이 공동으로 재제작하여 또 다른 비천무로 탄생했다. 대애련의 비천무에 비하면 더욱 화려해지고 비단 천을 운용하는 기술 또한 발전하였다. 이때는 비단천을 24미터 길이로 제작하였고, 긴 비 단천을 무용수의 팔에 감아 회전 괘도를 크게 움직임으로서 하늘을 나는 동작을 표현했다. 특히 자세의 변화, 동작의 연결, 공간 배열의 재구성으로 다양한 비천상 이미지를 만들었 다. 이 24미터 비단천을 활용한 비천무는, 무용수가 소화하기에 비단의 길이가 매우 길었 기 때문에, 기술 난이도가 높았다. 비단이 얽히지 않고, 리듬에 어긋나지 않도록 주의하면 서 비천상의 특유한 자태를 비천무로 표현해야 했기 때문이다. 비단으로 원형(圓形), 물결 (波浪), 8자(8字) 등 다양한 궤적의 기법을 중첩하기 위해 무용수들은 많은 훈련을 받아야 만 비천상의 하늘을 나는 모습과 의미를 담은 비천무를 표현할 수 있었다(사민, 왕설 2018, 92).

    현재 비천무에서는 24미터 길이의 비단천을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긴 비단천 운용을 위해 이를 기준으로 하는 기본 동작 9종이 만들어졌다(사민 2012, 204). 하늘을 나는 비단천 동작으로는 ‘팔자 꽃(八字綢花)’, ‘큰 물결 꽃(大波浪花)’ ,‘작은 비단 꽃(小波 浪花)’ 등이 중심적으로 추어진다. ‘팔자 꽃’은 비단 천의 동선을 팔자 모양으로 만드는 것 인데, 비단 천의 날개를 달고 공중에서 춤을 추는 것을 연상시킨다. ‘물결 꽃’은 비천이 공중에서 빠르게 회전하거나 즐거워하는 모습 등을 나타낸다. 다른 무용과 달리 비단천을 활용하는 훈련이 필요했고, 그 길이를 수용하고 극복함으로써 춤 자세의 변화, 동작의 연 결 및 공간 배열의 재구성 등의 비천무가 새로운 표현이 만들어졌다.

    도판 1

    대애련 비천(Dai Ailian Bicheon). 2020. 6. 17. Sohu News. 중국.

    SDDH-70-1-99_F1.gif
    도판 2

    24m 비천 (24m long thick Bicheon). 2012. 7. 敦煌舞蹈教程-伎樂天舞蹈形象呈現[Dunhuang Dance Course-The Presentation of Ji-Lotte Dance Image]. 중국.

    SDDH-70-1-99_F2.gif

    2. 하늘을 나는 비천무

    긴 비단천을 사용한 비천무가 창작된 이후, 1979년 대형 민족무용극 실크로드꽃비작 품에서는 비천을 생동감 있게 연출하기 위한 무대장치로, 비천차(飛天車)가 개발되어 사용 되었다.

    1979년에 등장한 비천차는 사실적으로 하늘을 나는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모색된 무대 장치로서, 실제 하늘을 나는 모습을 표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비천차는 드라마 촬영용 카메라 로커와 비슷한 형태로 지렛대를 이용한 장치이다. 스태프 들은 작은 카트를 조정하여 지렛대를 공중으로 올리면, 무용수는 자연스럽게 하늘을 나는 다양한 동작으로 춤을 추었다. 무용수의 동작은 무대 조명을 어둡게 설정하고 드라이아이스 로 구름의 효과를 낸 무대에 스태프들이 몸을 숨긴 채 카트를 끌고 무대 위를 다닌다. 이때 조명은 무용수에게만 비치고 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은 무용수의 움직임은, 실제 하늘을 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주었다(관영리 2014, 54).

    그러나 비천차는 너무 무겁고 스태프들이 지상에서 협조해야 하는 등의 제약이 많아 비 천무를 위한 무대장치로서의 활용도가 높지 않았다.

    비천차의 등장 이후 하늘을 나는 비천무에 관한 연구는 계속되었다. 2000년 돈황 무용 극 대몽돈황에서 와이어를 본격적인 보조 무대장치로 사용하며 공중을 더욱 사실적으로 날아오르는 비천무가 등장하였다.

    와이어의 사용으로 춤의 공간은 확장되고, 무용수들은 난도가 높은 다양한 동작을 하면 서, 공중을 자유로이 비상하는 사실적인 비천의 이미지를 실현했다. 비천무의 성격이 춤이 아닌 곡예의 성격으로 평가되기도 하였으나, 와이어 사용을 통해 공중을 비상한다는 점에 서, 혁신적인 무대장치의 활용이라 할 수 있다.

    공중을 비상하며 추는 비천무는 매우 신비롭고 아름답게 보이지만, 무용수의 허리와 다 리에 와이어를 부착하고 공중에서 춤을 추기 때문에, 위험부담과 고통을 감수해야 했다. 2021년 8월 21일 중국 소후 신문에 의하면 비천무를 춘 무용수 낙문박(駱文博)은 공중에 매달린 시간이 길어지면 다리가 아프고 와이어 끈도 빡빡해진다고 말했다. 다시 와이어를 차려면 와이어 담당자와 함께 있어야 하는데, 동작이 끝날 때마다 반복해야 하며 하늘을 나는 효과를 위해 공중에서 동작하는 것은 가치가 있다고 언급하였다. 와이어의 사용은 무용수에게 번거로움과 신체적 고통을 안기고, 춤보다 곡예의 성격이 더욱 주목받은 비천 무로 비치게 한다. 와이어의 사용은 무용수에게 번거로움과 신체적 고통을 안기고, 춤보다 곡예의 성격이 더욱 주목받은 비천무로 비치게 한다.

    그러나 와이어는 춤의 공간을 확장하고 비천을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적절한 무대 장치로 사료된다. 무용수들은 공중을 나는 비천을 사실적으로 승화시키기 위해 와이어로 인한 불편과 신체적인 고통을 감수하는 것에 대해, 무용수로서 자부심을 품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이 작품에서 돈황벽화에 묘사된 비천상의 춤사위는 거의 추어지지 않았다. 이는 와이어를 무대장치로 사용하여 실제 공중을 날아오르는 비천상만을 연출하고, 무용극의 전개에만 의미를 두었기 때문이다(양쯔예 2016, 50).

    3. 기예(技藝)적인 비천무

    2008년에는 ‘비천통(飛天通)’이 개발되어 이전의 비천무와는 다른 무용이 창작되었다. 비천통이란 무용수가 한쪽 다리를 통에 넣어 고정할 수 있게 만든 무대장치이다. 2008년 춘절 CCTV에서 7명의 무용수가 회전무대 위에 설치된 비천통을 사용해 형이상학적인 동 작으로 추는 비천무가 방영되었다. 무용수들은 비천통을 사용하여 신체를 무대와 가까이 평행하게 옆으로 기울여, 날아가는 동작을 연출하였는데, 실제 하늘을 나는 비천을 연상하 게 하였다(진싱웨이 2008, 36). 무용에 있어서 무대장치의 선택과 활용은 춤의 표현 영역 을 넓히고 신체의 기예성을 향상한다. 비천무를 위한 보조 무대장치의 개발은, 비천무의 스타일과 동작을 더욱 다양하게 하는 것은 물론, 기존의 고정된 동작의 틀에서 벗어나게 한다(기란유 2016, 162). 그래서 이 무대장치의 설치에 비천무의 기본 s형 춤사위가 더해 져 비천무의 다양성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한쪽 다리를 비천통에 넣어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반신을 거의 90도로 비스듬히 뉜 자세로 하는 고난도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무용수는 신체의 고통을 감수해야 했는데, 2008년 2월 21일 중국 소후 신문은 이에 대해 7명의 무용수는 다음과 같이 인터뷰하였다.

    한쪽 다리를 비천통에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원활하게 움직일 수 없고, 마음껏 춤 동작을 표현하기도 어렵다. 몇 달에 걸친 오랜 훈련을 거쳐 무대에 올랐을 때, 이미 허벅지 감각을 느끼지 못했고, 하늘을 나는 동작을 위한 상체의 기본 S자형 자세도 수행하기 어려웠다. 동작 을 할 때마다 하반신의 고통을 참아야 한다. 또한 무릎 전체가 고정돼 있기 때문에 무릎부터 종아리까지 움직일 수 없고 골반과 무릎 관절만 붙어 있다. 무릎 관절, 골반, 허리를 다친 적이 있었다. 인체의 생리적 구조에 완전히 위배된다. 처음에 묶을 때는 피가 안 나고 묶고 나면 종아리가 부어오르기 때문에 굉장히 힘들고 이게 바뀔 수가 없고 무용수만 바뀌니까 적응을 조금씩 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무용수 중 한 명이 크게 다쳐 반월판이 찢어졌다.

    위의 인터뷰를 통해 비천통으로 하체를 고정한 상태에서 하늘을 나는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상체 동작만을 더욱 부각한 것을 알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와이어 사용은 신체의 자유로움을 극대화했지만, 비천통은 상체 동작을 극대화한 것이다. 그러나 신체의 자유가 제한된 비천무를 소화하고 표현하기 위해 무용수들은 신체의 손상은 물론 정신적인 고통 도 초래한다.

    비천통의 개발이 혁신적으로 평가되고는 있으나, 신체의 한 부분을 억압하고 그로 인해 커다란 신체의 손상을 입는 것은 무용수에게는 치명적인 일이다. 또 비천통의 무대장치 활용은 고정된 틀에서 동작하게 되므로, 무대의 사용과 동작에 제약이 있으며 장소를 벗어 나기 어려운 비천무를 만든다는 단점이 있다.

    도판 3
    SDDH-70-1-99_F3.gif

    2008년 8월, 장이머우(張藝謀) 감독은 올림픽 개막식에서 고공 무대의 설계와 멀티미디 어 기술을 사용하여 비천무를 연출했다. 여기서 사용된 무대장치는 거대한 전광판으로 만 들어진 도화지(圖畫紙)가 사용되었다. 멀티미디어 기술과 고공 무대의 디자인을 융합한 이 작품은, 커다란 도화지 한 장 위에 향음신(香音神)으로 분장하여 비천무를 추는 무용수를 수백 명이 하늘로 받쳐서 들고 있는데, 마치 하늘을 나는 고요하고 평온하고 아름다운 비 천무를 표현하여 마치 서광이 비치는 듯한 느낌을 주었다(후웨이 2018, 115).

    3m 상공의 LED 스크린 위에서 기다란 채색 비단이 날아다니며 갖가지 비천 춤사위를 추었다. 전광판 위에서 마음껏 춤을 추며 마치 옛 사막의 하늘에 떠 있는 것처럼 땅 밑을 바라보며 사람들의 복을 빌었다. 2020년 12월 4일 중국 왕이 신문에 의하면 정해진 각본에 따라 무용수는 3m 높이에서 다른 플랫폼으로 점프하여 움직이는 차량으로 만들어진 플랫폼에 도착하도록 안무하였다. 그러나 무용수는 3m 공중에서 다음 플랫폼으로 점프할 때, 실수로 인해 발을 헛디뎌 땅으로 추락하여 평생 하반신마비라는 크게 다치는 사고가 있었다.

    도판 4

    올림픽 비천(Olympic Bicheon). 2020. 12. 4. NetEase News. 중국.

    SDDH-70-1-99_F4.gif

    2021년 6월 12일 밤에 중국 허난(河南) 위성 TV에 의하면 “수중(水中) 비천무”를 제작 하여 방영하였다. 방송 매체를 통해 방영된 수중에서 추어진 비천무는 시청자들에게 적지 않은 충격을 주었다. 수중에서 비천무를 추는 무용수는 물의 저항을 이겨내야 할 뿐만 아 니라 표정 관리는 물론 유려한 동작을 보여주어야 했다. 물속의 부력으로 인해 무용수의 몸에 부착된 6미터 길이의 긴 천과 여러 개의 비단 천은 사방으로 퍼지고 무용수의 몸에 휘감기어 춤 동작을 조절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장시간에 걸친 수중 촬영으로 이명, 눈 혈 관 파열 등의 질환을 앓게 되었는데, 이 같은 어려움을 동반한 수중 촬영은 26시간 동안 진행되었다(중국 남방도시신문, 2021.06.14). 이 외에도 수십 미터 물속에서의 부력과 숨 막힘은 물론, 가는 낚싯줄로 무용수의 허리를 조여 신체를 유지함으로 발생하는 무용수 허리의 상처 및 고통도 감수해야 한다.

    수심 10미터까지 잠수하여 비천무를 추는 무용수는 대중의 뜨거운 호평과 사랑을 받았 으며, 비천무의 혁신적인 발전에 적지 않은 충격을 준 것은 사실이다(왕윤람 2021, 72). 수중 비천무가 방영되기 전까지 다양한 무대장치를 활용하여 표현된 비천무는 공중을 비 상하는 동작을 예술적으로 승화시켰으나, 수중 비천무를 위한 무대장치의 활용은 공연예 술로서의 가치보다는 오락성이 강조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과 같은 무대장치 개발은 사 실적으로 하늘을 날아오르는 모습을 위한 더욱 기예적인 모습으로 전개될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을 것이다.

    Ⅳ. 결론

    1954년 대애련에 의해 창작된 비천무는 돈황벽화의 비천상을 사실적으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역사적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중국 전통문화를 현실적이고 감각적인 무용 작품으로 변화시켰다. 비천무 작품은 돈황벽화의 비천상을 더욱 사실적으로 표현하 기 위해 특수한 무대장치를 활용하였고, 무대장치로는 비단 천을 시작으로 비천차, 비천통, 와이어, 전자 전광판, 수중촬영 등이 개발되었다. 이 같은 비천무를 위한 무대장치와 춤의 융합은 무용의 창작 영역과 무대 및 공간 활용을 확대하여 하늘을 날아오르는 비천무를 표현하기 위한 개발로 이어졌다. 다양한 무대장치에 의해 전개된 비천무로는, 와이어를 부 착하고 공중을 날아다니는 비천무, 한쪽 다리를 비천통으로 고정시켜 형이상학적 표현을 극대화한 비천무, 3미터 높이의 대형 전광판 위에서의 환상적인 비천무, 수중에서 추는 비 천무 등이 파악되었다.

    무대장치를 활용한 비천무는 화려하고 경이로운 동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색다른 감동 을 준다. 무대장치는 춤의 형상을 구성하는 유기적인 구성 요소이며, 인물의 형상화 및 성 격을 부각시키는 보조 수단이고, 환경을 표현하고 분위기를 고조시킨다(왕커펀, 유은백, 쉬 얼충, 펑솽바이 2010, 550). 그러나 혁신적인 무대장치를 보조 수단으로 활용하여 하늘을 날아오르는 사실적인 비천무는 관객에게 감동과 경이로움을 주지만, 과도한 무대장치의 활용으로 인해 무용수에게 신체적 위험부담을 주고, 무대공연예술 성격의 저해 요인이 된 다. 물론 사실적으로 비천상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무대장치를 개발하여 적용해 작품화 한 비천무는 비천 예술의 계승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 그러나 진정한 비 천 예술의 계승을 위해서는 무용수와 공연예술을 중심에 두고 합리적으로 무대장치를 활 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야말로 춤과 무대장치가 공존해야 하는 진정한 의미라고 사료 된다.

    비천무의 창작과 발전을 중심으로 무대장치의 활용과 변화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사실적 표현을 위한 노력을 살펴볼 수 있었다. 다양한 무대장치를 활용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비천무의 전승, 창작, 보호에 무용 무대장치의 활용은 예술에 대한 합리적인 흡수가 필요 하다.

    Figure

    SDDH-70-1-99_F1.gif

    대애련 비천(Dai Ailian Bicheon). 2020. 6. 17. Sohu News. 중국.

    SDDH-70-1-99_F2.gif

    24m 비천 (24m long thick Bicheon). 2012. 7. 敦煌舞蹈教程-伎樂天舞蹈形象呈現[Dunhuang Dance Course-The Presentation of Ji-Lotte Dance Image]. 중국.

    SDDH-70-1-99_F3.gif

    춘완 비천(Spring Festival gala Bicheon). 2008. 2. 6. Sina News. 중국.

    SDDH-70-1-99_F4.gif

    올림픽 비천(Olympic Bicheon). 2020. 12. 4. NetEase News. 중국.

    SDDH-70-1-99_F5.gif

    수중 비천(Underwater Bicheon). 2021. 6. 14. Southern Metropolis Daily. 중국.

    Table

    Reference

    1. 高金榮 Gao, Jinrong. 2000. 『敦煌石窟舞蹈藝术』 [Dance Art in Dunhuang Grottoes]. 蘭州, 甘肃:甘肃人民出版社 [Lanzhou, Gansu: Gansu People's Press].
    2. 過杰 Guo, Jie. 2015. “淺析中國古典舞飛天的審美意趣” [An Analysis of the Aesthetic Interest of Chinese Classical Dance Bicheon]. 『北京舞蹈學院學報』 [Journal of Beijing Dance Academy] 1: 90-93.
    3. 關櫻麗 Guan, Yingli. 2014. “中国經典舞劇《絲路花雨》创作研究” [A Study on the Creation of Chinese Classical Dance Drama Silk Road Flower Rain]. 석사학위논문, 서복시범대학 [Master’s thesis, Northwest Normal University].
    4. 金秋 Jin, Qiu. 2001. “尋找敦煌舞蹈的源頭” [Searching for the Source of Dunhuang Dance]. 『敦煌研究』 [Dunhuang Research] 2: 32-35.
    5. 紀嵐幽 Ji, Lanyou. 2016. “淺談舞蹈形式的創新-以舞蹈飛天為例” [Innovation in Dance Form - Taking Bicheonmu as an Example]. 『大眾文藝』 [Popular Literature and Art] 1: 162.
    6. 金亮 Jin, Liang. 2013. “敦煌壁畫舞姿與敦煌舞蹈” [Dunhuang Mural Dance and Dunhuang Dance]. 석사학위논문, 서복민족대학 [Master’s thesis, Northwest Nationalities University].
    7. 李婷婷 Li, Tingting. 2010. “论敦煌舞蹈中飛天伎樂獨特的表現手法” [On the Unique Expression Techniques of Ji-Lotte in Dunhuang Dance]. 『西北成人教育學報』 [Journal of Northwestern Adult education] 2: 33-34.
    8. 馬月嬌 Ma, Yuejiao. 2013. “飛天的源流與藝術風格流變” [The Origins and Artistic Style Changes of Bicheonmu]. 석사학위논문, 란저우 대학 [Master’s thesis, Lanzhou University].
    9. 史敏 Shi, Min. 2012. 『敦煌舞蹈教程-伎樂天舞蹈形象呈現』 [Dunhuang Dance Course-The Image Presentation of Ji-Lotte Dance]. 北京:世界圖書出版社[Beijing: World Book Publishing House].
    10. 史敏, 王雪 Shi, Min and Wang Xue. 2018. “飛天長綢技的技法呈現及審美研究”[Technique Presentation and Aesthetic Research of Bicheon Long Silk Technology]. 『北京舞蹈學院學報』 [Journal of Beijing Dance Institute] 1: 88-93.
    11. 陝鵬莉 Shan, Pengli. 2020. “敦煌舞蹈中道具的作用” [The Role of Props in Dunhuang Dance]. 『黃河之聲』 [The Voice of the Yellow River] 3: 166.
    12. 常書鴻, 李承仙 Chang, Shuhong and Li Chengxian. 1980. 『敦煌飛天』 [Dunhuang Bicheon]. 北京:中國旅遊出版社 [Beijing: China Tourism Publishing House].
    13. 孫毅華 Sun, Yihua. 2017. 『創造敦煌』 [Creating Dunhuang]. 上海:人民出版社[Shanghai: People's Publishing House].
    14. 楊梓藝 Yang, Ziyi. 2016. “敦煌飛天研究” [A Study on Bicheon in Dunhuang]. 석사학위논문, 서복민족대학 [Master’s thesis, Northwest Nationalities University].
    15. 吳佳桐 Wu, Jiatong. 2018. “敦煌壁畫中飛天舞者形象演變特徵研究” [A Study on the Evolution Characteristics of Bicheonmu dancers in Dunhuang Mural]. 석사학위논문, 길림예술대학 [Master’s thesis, Jilin University of the Arts].
    16. 王夢瑩 Wang, Mengying. 2020. “探究敦煌壁畫舞姿的形象特徵與審美內涵-以唐代及宋元時期為例” [On the Imag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Connotation of Dunhuang Mural Dancing: Taking Tang Dynasty and Song and Yuan Dynasties as an Example]. 석사학위논문, 북방민족대학교 [Master’s thesis, Northern Nationalities University].
    17. 王韻嵐 Wang, Yunluan. 2021. “當傳統文化與科技融合-評水下飛天舞” [When Traditional Culture and Technology Blend - Comments on Underwater Bicheonmu]. 『上海藝術評論』 [Shanghai Art Review] 10: 72-73.
    18. 王景志 Wang, Jingzhi. 2009. 『中國蒙古族舞蹈藝術論』[The Art of Mongolian Dance in China]. 呼和浩特:內蒙古大 學出版社[Hohhot: Inner Mongolia University Press].
    19. 王克芬, 劉恩伯, 徐爾充, 馮雙白 Wang, Kefun, Liu Enbo, Xu Erchong and Feng Shuangbai. 2010. 『中國舞蹈大辭典』[Dictionary of Chinese Dance]. 北京:文化藝術出版社[Beijing: Culture and Arts Publishing House].
    20. 易存國 Yi, Cunguo. 2013. 『敦煌藝術美學: 以壁畫藝術为中心』 [Dunhuang Artistic Aesthetics: Focusing on Mural Art]. 上海:上海人民出版社[Shanghai: Shanghai People's Publishing House].
    21. 鄭汝中 Zheng, Ruzhong. 2002. 『敦煌壁畫樂舞研究』 [A Study on the Music and Dance of Dunhuang Mural]. 蘭州, 甘肃:甘肃教育出版社[Lanzhou, Gansu: Gansu Education Press].
    22. . _________2010. 『飛翔的精靈』 [The Flying Spirit]. 上海:華東師範大學出版社[Shanghai: East China Normal University Press].
    23. 陳行薇 Chen, Xingwei. 2008. “08年央視春晚電視舞蹈‘飛天’的藝術魅力探析” [An Analysis of the Artistic Charisma of CCTV Spring Festival Evening TV Dance ‘Bicheonmu’ in 2008]. 『東方藝術』 [Oriental Art] 2: 34-36.
    24. 蔡偉堂 Cai, Weitang. 2005. “重訂莫高窟各家編號對照表說明” [Notes on Redefining the Reference Table for Mogao Grottoes]. 『敦煌研究』 [Dunhuang Study ] 6: 1-30.
    25. 何利兵 He, Libing. 2014. “探析敦煌壁畫中飛天的發展演變” [Exploring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Bicheon in Dunhuang Mural]. 『美與時代』 [Beauty and the Times] 5: 45-47.
    26. 胡偉 Hu, Wei. 2018. “美美與共的‘飛天‘之舞” [The Beautiful Dance of Bicheonmu]. 『中國文藝評論』 [Chinese Literature and Art Review] 11: 111-117.
    27. Southern Metropolis Daily. 「수중 비천」 (Underwater Bicheon), 2021. 6. 14, 사진, 중국, https://new.qq.com/rain/a/20210614A05REL00.
    28. Sohu News. 「대애련 비천」 (Dai Ailian Bicheon), 2020. 6. 17, 사진, 중국, https://www.sohu.com/a/402372193_120748207.
    29. Sina News. 「춘완 비천」 (Spring Festival gala Bicheon), 2008. 2. 6, 사진, 중국, http://ent.sina.com.cn/v/p/2008-02-06/22391905284.shtml.
    30. NetEase News. 「올림픽 비천」 (Olympic Bicheon), 2020. 12. 4, 사진, 중국, https://www.163.com/dy/article/FT14SLAO053748QS.html.
    31. “訪談:飛天演員揭不倒之謎練舞破壞生理結構”[“Interview: Bicheonmu dancers Explains Mystery: Dancing Practice Destroys Physiological Structure”]. 2008. 『중국 소후뉴스』 [China Souhu news], 2008. 2. 21. http://yule.sohu.com/20080221/n255287089.shtml.
    32. “對話水下洛神舞主創, 舞者是花游冠軍 腰上系魚線完成飛天動作”[Dialogue with the underwater Roselle, the dancer is the champion of flower swimming, with a fish line around his waist to complete the flying motion]. 2021. 『중국 남방도시신문』 [China south china metropolis news], 2021. 6. 14. https://new.qq.com/rain/a/20210614A05REL00.
    33. “北舞慶祝建黨百年百部作品展播—戴愛蓮《飛天》高清版”[Beijing Dance Academy Celebrate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 Dai Ailian's "Bicheonmu" HD Edition]. 『Bilibili』 [빌리빌리], 2021. 4. 28. https://www.bilibili.com/video/BV1Ti4y1U7Yb/?spm_id_from=333.788.
    34. “专访“美出圈”的七夕节目《龙门金刚》领舞:复刻了石窟雕塑”[Interview with "Beauty Out of the Circle" Tanabata show "Dragon Gate King Kong" lead dance: the reproduction of grotto sculpture]. 2021. 『중국 소후뉴스』 [China Souhu news], 2021. 8. 21. https://www.sohu.com/a/483358584_161795.
    35. “2008年奧運彩排發生意外,舞者刘岩从3米高空墜落,導致終身殘疾”[Dancer Liu Yan fell from a height of 3 meters in an accident during the 2008 Olympic rehearsal, causing a lifelong disability]. 2020. 『중국 왕이뉴스』 [China NetEase news], 2020. 12. 4. https://www.163.com/dy/article/FT14SLAO053748QS.html.

    저자소개

    Footnote

    • 춘완(春晚)은 ‘春节联欢晚会’ (설맞이 특별 공연)의 준말. [음력설 전야 특집 프로그램].
    • 1954년 대애련의 <sup>「</sup>비천<sub>」</sub>은 베이징에서 첫 공연을 했는데, 처음으로 비단천을 사용했다. 1979년 대형 민족무용 극 <sup>「</sup>실크로드꽃비<sub>」</sub>에서 하늘을 나는 모습을 표현할 수 있는 비천차를 처음 사용했다. 2008년 춘절 CCTV에서 비천통을 처음 사용했다.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