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교육학적 관점에서 교사는 학습자를 지도하기 위해 특정 목적과 내용을 정하여 다양한 주제를 단계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전개(최희창 외 2016, 9; Ann L. Brown 외 2000, 20) 해야 한다. 학교에서 학습되고 있는 무용 교육과정 또한 교육 목적에 따라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해 선행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 초등학교 체육교과 무용(표현)에 대한 연구로는 교육 과정 분석,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경험을 통 한 변화 요인 분석 등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더불어 무용 교육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도 이어지고 있으며, 교사의 능력 부족, 환경적 문제, 인식 부족 등이 실제 무용 교육 의 어려움으로 나타나고 있다(황숙영, 손천택 2006; 조미혜 2018; 장병권 2022; 박혜연, 이영주 2022;이강순 2023).
무용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살펴보면, 철학적이고 교육적 근거가 부족한 단발성의 교육 프로그램이 장기적인 현장 개선 연구보다 더 많이 존재한다는 지적(김수영 2022, 2)이 있다. 학교 현장에서는 무용(표현) 학습의 실천적 어려움 때문에 수업이 비정규 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 운동회 등을 위한 일회성 수업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황숙영 2007, 41; 백혜연, 조미혜 2018, 60). 이러한 수업은 단계적인 교육 설계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경험의 과정을 통해 사고와 행동을 확장하여 창의력, 사회적 연결, 개 인 자원을 촉진하기 어려운 교육의 확장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유아기부터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동기에는 어떤 학습을 경험했는가에 따라서 이후 성장과 발달이 달라질 수 있 다(김성식 2019, 16; 이영주 2022, 200). 이러한 이유로 학습의 연계성 차원에서 일회적 경험보다는 단계적인 교육 경험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전인 교육을 지향하는 초등학교 체육과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 3학년군 표현 단원에서 여러 가지 표현 방법으로 모방 표현(사물 표현, 인물 표현, 자연 현상 표현하기)과 창작 표현을 제시하고 있다(이강순 2023, 32). 모방 표현 수업은 대상을 탐구하고 특징을 도출 하는 학습에서 시작한다. 탐구력과 분석력이 부족한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에게 모방 표 현 수업의 단계적 학습 경험은 분석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여 이후 창작 표현 수업의 학습 경험을 제공하여(황숙영, 손천택 2006, 34) 다양한 움직임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학습자는 자연적으로 움직임을 모방하고 교감하며 일상생활 속의 몸짓을 배우고 사회성을 키울 수 있다(하정연 2004, 2). 모방 표현 학습자는 이렇게 도출된 성질과 특징들을 움직임 으로 보여야 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학습 경험은 이후 학년에서 학습하는 창 작 표현의 시작점이 된다.
그러나 초등학교 표현 영역 연구에서 모방 표현 수업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모방에 대한 개념은 거울, 그림자 되기(이재 용 외 2021, 110-111)등의 따라하기 수업으로 취급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처럼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로 여겨져 왔다. 모방은 단순히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묘사를 통해 어떤 대상, 사물, 현상을 관찰하고 표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습의 단 계적 확장성과 심층적 관찰, 탐구 등을 고려한 모방 표현 수업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연구의 실제적인 방법으로 동물의 움직임을 본뜬 화타오금희(華佗五禽戱)를 활 용하여 모방 표현 수업을 실행하고 교육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1800년 전 중국 한나라때 명의로 유명한 화타(華佗)에 의하여 고안된 오금희(五禽戱: 이하 ‘화타오금희’로 표기)를 접하였다. 화타오금희는 다섯 동물(사슴⋅원숭이⋅곰⋅새⋅호랑이)의 움직임을 본뜬 84개 움직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강을 유지하고 생명을 보존하기 위한 신체 단련과 정신 수양을 목표로 하는 양생술(養生術)이다. 화타오금희를 꾸준히 수련하면 신체 기 흐름을 도와 신체 항상성에 도움(김경철 2013, 711)을 주며, 심리를 안정시키는 양생 체조의 효과 (김용재 2011, 95)가 있다. 구혜림(2020, 16-18)은 화타오금희 적용을 위한 연구에서 화타 오금희는 인체 균형 유지가 핵심이 되는 운동으로 현대 스포츠와 차별성을 가지고 있으며, 현대인의 건강관리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발전 가능성을 기대하였다. 또한 심신을 단련하며 건강향상을 위한 운동으로 노인과 성장기 어린이들에게 효과가 있으며 언제 어 디서나 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가진 운동으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해야 한다 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자는 화타오금희의 운동적인 효능과 함께 동물의 움직임을 모티브로 구성한 움 직임 배경에 주목하였다. 이는 아이들이 주로 만화 및 TV 프로그램에서 동물들이 주인공 이거나 의인화된 작품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현상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초등학교 체육 3(3-4학년군) 교과서에는 다양한 표현 방법을 익히기 위하여 동물, 사물, 상황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모방 표현 수업을 제시하고 있다(박명기 외 2021, 109). 교수자는 학습자가 다양 한 주제와 경험을 통해 핵심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관점이 강조(Ann L. Brown 외 2000, 20; 현다현 2020, 106)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동물들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고안된 화타오금희를 모방 표현 수업에 활용하였을 때, 학습자의 육체적, 심리적, 정서적 발달과 함께 탐구력 발달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화타오금희와 스토리텔링을 결합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모방 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 하여 교육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두 번째는 모방 표현 활동으로 구성한 움직임을 지속적 으로 활용하여 단발적인 활동에서 지속적이고 실용 가능한 활동으로 전개하고자 한다. 이 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동물들의 운동 형태와 생장의 특성을 기반으로 구성된 화타오 금희를 활용한 모방 표현 수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러 한 학술적인 연구는 학습자의 다양한 경험과 학습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실시한다.
Ⅱ. 연구 방법 및 과정
본 연구는 중국의 화타가 개발한 화타오금희와 스토리텔링을 결합하여 초등학교 학생들 의 모방 표현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실행연구이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화타오금희, 스토리텔링 적용 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초등학교 표현 활동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수행하 였다. 이 프로그램은 관찰, 모방, 구성, 실천의 네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는 순차 적으로 진행되어야 다음 단계로의 연계가 가능하다. 프로그램의 목표는 화타오금희를 활 용한 모방 표현 수업으로, 이는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하며 체육 3 교과에서 제시한 모방 표현의 연계성과 확장성을 추구한다. 각 차시별 학습은 동물들의 움직임 영상을 통한 관찰, 화타오금희 수행, 모둠별 움직임 구성, 발표, 그리고 체조실천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 며, 총 5차시로 차시별 40분 동안 진행되었다. 교육효과는 교사가 학습자들의 수업 과정 현황을 기록한 일지 및 모둠 발표를 통해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교수학습 방법 및 단계는 다음과 같다. 관찰 단계에서 교사와 학습자는 함께 다섯 동물 (사슴⋅원숭이⋅곰⋅새⋅호랑이)의 움직임 특성과 형태를 탐색한다. 모방 단계에서 학습 자는 화타오금희의 제1절-8절 중에서 준비 움직임에 해당하는 제1절 예비공(預備功) 움직 임을 학습한다. 구성 단계에서 학습자는 자신이 탐색한 동물들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교수 자가 제시하는 스토리텔링에 적합한 모둠별로 움직임을 구성하고 이를 발표한다. 마지막 실천 단계에서 교사는 학습자가 모방한 움직임을 정리하고, 이를 화타오금희 예비공과 함 께 체조로 구성하여 체육수업을 위한 준비운동 또는 아침 체조로 활용한다. 본 연구는 경 기도에 위치한 H초등학교 3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주 1회 체육수업에서 동물의 움직임 을 탐구하고 이를 토대로 모방하는 모방 표현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Ⅲ. 화타오금희의 이해
1. 화타(華佗)
화타(華佗, 145-208년)에 대한 기록은 『삼국지(三國志)』⋅『방기전(方技傳)』에 “이름은 원화(元化)이고 패국(沛國)의 초현(譙縣) 사람이다. 다른 이름은 부(旉)이다”(표점교감삼국 지(標點校勘三國志) 1983, 200)라고 기록되어 있다. 화타라는 이름은 ‘선생’이라는 뜻으로 중국 한나라 말기부터 지금까지 전설적인 명의(名醫)를 상징하는 인물로 중국의 역사서 『삼국지(三國志)』와 역사소설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 기록(강민휘 2019, 1-2)되어 있 으며 현재까지도 그에 대한 연구(강민휘 2019)와 의학적 연구(김경철 외 2013;구인모 외 2015;구혜림 2020)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2-3세기 중국의 정사를 다루고 있는 『삼국지』에 는 화타가 행한 16가지 의안(醫案:의사가 질병을 치료할 때에 행한 진단, 치료법, 처방약의 사용을 기재하는 진단 기록부)이 기록되어 전해진다. 화타의 의학 이론체계를 연구한 강민휘 (2019)는 약을 쓰지 않고 병을 고치는 정지(情志)요법에 대한 화타의 일화를 기록하였다.
어느 군의 태수가 병에 걸렸다. 화타는 그 사람이 격노하면 나을 것이라 생각하여 돈만 많이 받고 치료를 하지 않고서는 아무런 약속도 없이 떠나면서 편지에 악담을 써 두었다. 군수는 예상대로 격노했으며 사람을 보내 화타를 쫓아 죽이려 하였다. 군수의 아들이 그것을 알고는 속리에게 추적을 그만두게 하였다. 화를 참을 수 없게 되었을 때, 검은 피를 몇 되나 토하고는 나았다(강민휘 2019, 112에서 재인용).
중의학에서는 사람이 너무 심한 자극을 받으면 인체의 평형이 무너져 병이 생기게 되지 만 그에 준하는 자극을 받으면 인체 내부가 평형을 되찾아 병이 치료된다는 요법으로 심신 상호간의 밀접한 관련성을 중시하는 동양 심리학적 접근 방식(김종두 2017, 344)을 정지 (情志)요법이라고 한다. 이렇듯 무작정 의술을 행하기보다는 정신과 신체가 하나로 작용한 다는 심신일원론(心身一元論)(첸진징 2019, 155)과 기가 소통하여 영양을 공급받는다는 (구인모 외 2015, 52) 화타의 철학을 엿볼 수 있다. 더불어 화타는 경험과 요법을 바탕으로 건강하게 심신을 유지하고 기르는 기술을 행하고 이를 전수하였다. 『삼국지』의 「방기전」 에는 “화타는 양생의 방법에 밝으며 나이를 가늠할 수 없는 용모를 지녔다” 는 기록이 전 해진다. 또한 자신의 비법을 제자인 오보(吳普)에게 사슴⋅원숭이⋅곰⋅새⋅호랑이 모습 을 본뜬 ‘오금희(五禽戱)’라는 양생술을 전하였는데, 오보 또한 눈이 맑고 치아가 완전하며 견고했다고 한다(장경영 2011, 63).
14세기 『삼국지』를 기본으로 나관중이 쓴 역사소설 『삼국지연의』에는 화타가 독화살에 맞은 관우(關羽)를 수술해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같은 내용이 중국의 정사를 기록한 『삼 국지』에도 나와 있으나 “관우가 독화살을 맞아 의사에게 이를 가르게 하였다” 라는 기록만 남아 있을 뿐이다. 중국에서 가장 인기 있고 존경받는 관우와 명의로 이름을 떨치던 화타 의 만남은 삼국지연의의 독자들에게 우호적이며 소설의 신뢰성을 높여 주었다.
이후 화타는 조조의 두통을 치료해 주었지만 명령에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죽임을 당 하였고 그의 의술서는 불태워졌다고 기록되어 있다(삼국지연의보증본(三國志演義保證本) 2007, 450). 이런 이유로 화타 의술에 관한 연구는 각종 문헌 기록을 토대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의학과 더불어 무용학에서도 화타에 의해 구안 된 오금희(五禽戱)가 연구되고 있 다(하정연 2004;첸진징 2019;구혜림 2020).
2. 오금희(五禽戱) 원리
오금희(五禽戱)는 의학, 오행, 운화의 법칙에 의거하여 자연 속에서 살고 있는 사슴⋅원 숭이⋅곰⋅새⋅호랑이 다섯 동물의 운동 형태와 생장의 특성을 본뜬 양생술이다(김용재 2014, 81). 화타오금희는 문헌상에 기록으로 남아 있을 뿐 그 원형은 알 수 없지만 중국 본토와 대만의 두 갈래로 전승, 수련되고 있다(구혜림 2020, 4). 1800여년의 오랜 시간 동안 발전하여 양생 보건에 대한 독특한 공법과 심법 그리고 효능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 니라 각종 도인술(導引術)의 초기 형태이다(장경영 2011, 234). 대만에 화타오금희를 처음 전파한 장경영(2011)은 오금희의 기본 심법을 네 가지로 하였다.
첫 번째, 허기심(虛其心 : 마음을 텅 비우다), 두 번째, 실기복(實其服 : 배를 든든하게 채우다), 세 번째, 강기근(强其筋: 근육을 강하게 하다), 네 번째, 약기골(弱其骨 : 관절을 부드럽게 풀어주다)(2011, 65-66)
첸진징(2019)은 바티니에프와 오금희의 연관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화타의 고향인 안후 이성 후이저우시(安徽省亳州市)에 방문하여 오금희와 관련된 문헌을 열람한 후 오금희 기 본 공법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오금희의 공법은 인간과 자연이 하나임을 가리키는 ‘천인합일’ 사상을 내포하고, 중의학의 기초이론에 부합하며, 오금의 병성 특징을 지닌 중의학의 폐부, 경락학설에 배합하여 관절을 움직이고, 혈관을 통하게 하여 병이 발병할 수 없게 하는 보건 작용을 한다(2019, 148).
기록서와 선행연구를 종합하면 오금희를 꾸준히 수행하였을 때 효능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전신의 관절과 경직된 근육을 풀어주며 척추와 관절의 바른 정열 상태를 유지 시켜 요추, 경추의 통증 및 관절염에 효과가 있다(유경곤 외 2014, 135; 구혜림 2020, 15). 두 번째, 호흡과 움직임을 통해 전신에 공기를 공급해 주어 호흡기계통의 기능 강화와 혈액순 환과 기의 흐름을 도와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청 농도를 낮출 수 있다(김경철 2013, 711; 이재준 2015, 71). 세 번째, 장과 위의 운동을 도와 소화기관, 비뇨기관을 강화시켜 장내 이로운 미생물 수치와 유산균이 증가하며 발기부전과 변비, 설사에 효과가 있다(이재 준 2015, 72; 구혜림 2020, 15). 네 번째, 정서의 조절과 정신적인 안전감을 주어 자신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된다. 이러한 능력은 오금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였을 때 그 효과와 능력은 더욱 강화된다고 하였다(유경곤 외 2014, 135; 이재준 외 2015, 73; 첸진징 2019, 155; 구혜림 2020, 15).
Ⅳ. 화타오금희를 활용한 모방 표현 수업 모형
1. 움직임 표현 영역의 내용 및 활동
초등학교 교육에서 체육교과는 건강, 도전, 경쟁, 표현, 안전 5개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 으며(교육부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교육부 학생평가 지원 포털; 이대형 외 2018 ; 이재 용 2022), 무용 교육은 ‘표현’ 단원에서 학습되고 있다. 표현 단원의 학습 목표는 표현 의 미, 표현 양식, 표현 창작, 감상하기며 이를 학년별로 세분화하여 지도하고 있다. 그리고 표현 단원을 학습한 이후에는 움직임 원리를 이해하고 신체를 통한 느낌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으며 감성적인 소통을 지향한다(고문수 2018, 140).
3학년을 위한 표현 단원은 체육교과 3-4학년 군에 속하며 움직임 표현(3학년)과 리듬 표현(4학년)로 구성되어 있다. 움직임 표현의 구체적인 내용은 신체 표현을 위한 움직임의 의미를 알고, 움직임의 기본 움직임을 익히며, 학습된 기본 움직임들을 어떻게 구성하여 표현하는지 학습한다. 그리고 리듬 표현 단원은 리듬의 의미를 알고, 리듬을 이용한 기본 움직임을 익히며, 리듬을 이용한 움직임들을 활용하여 자신만의 리듬 표현을 구성하는데 중점을 둔다(학생평가 지원 포털). 그리고 교육부는 표현 단원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각 활동의 예시 움직임을 제시하고 있다(교육부 학생평가 지원 포털).
3학년 군에 속하는 움직임 표현은 ‘여러 가지 움직임’과 ‘신체 움직임 표현’으로 구성되 어 있다(교육부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여러 가지 움직임에서는 움직임 언어와 표현 요 소를 탐색하고,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움직임으로 표현하기 위한 기본 움직임을 적합한 상황에 적용한다(박명기 2018, 199). 신체 움직임에서는 개인이나 모둠별로 움직임 언어와 표현 요소를 적용하여 작품을 구성, 발표, 감상한다. 그리고 이를 수행하며 자신의 신체 움직임과 변화를 인식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박명기 2018, 190). 교육부가 제시하고 있 는 위 단원의 신체 활동 예시는 제자리 또는 이동하면서 움직이기(서기, 구부리기, 펴기 돌기, 뛰기, 이동하며 돌기 등)와 혼자, 모둠별, 도구를 이용하여 모방하기와 표현하기(사 람, 동물, 사물, 상황, 날씨, 자연 등)를 제시하고 있다(박명기 외 2020, 96-112).
2. 화타오금희 활용한 교수학습 지도 모형
화타오금희를 활용한 모방 표현 수업을 위하여 본 연구자는 첫 번째, 화타오금희, 스토 리텔링 적용 교육 프로그램, 초등학교 표현 활동 등의 선행연구를 조사하였다. 두 번째, 화타오금희 움직임의 기본 원리인 ‘사슴⋅원숭이⋅곰⋅새⋅호랑이’의 움직임을 탐구하였 다. 세 번째, 다섯 동물들을 이용한 스토리텔링을 구성하였다. 이는 학습자들이 동물들의 움직임을 모방하면서 동물들의 행동을 탐구하고 스토리텔링에 적합한 움직임을 상상하며 다양한 움직임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화타오금희는 1800여년의 오랜 시간 동안 발전하여 양생 보건에 대한 독특한 공법과 심법 그리고 효능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의학, 오행, 운화의 법칙에 의거하여 자연 속에서 살고 있는 사슴⋅원숭이⋅곰⋅새⋅호랑이 다섯 동물의 운동 형태와 생장의 특성을 본뜬 84개 움직임들로 이루어져 있다(김용재 2014, 89). 김용재(2014)는 화타오금희의 움직임 연구 과정을 세 단계로 나누었으며 예를 들어 주었다.
-
첫째, 생물의 원형을 연구하고 ⇨ 새가 비상하는 움직임을 학습한다.
-
둘째, 논리적 틀을 건립하며 ⇨ 새가 날아가는 신운(新韻)을 모방 연구하고, 내기(內氣)의 운행을 느끼다
-
셋째, 실물 모형의 방식을 구조화 한다 ⇨ 공법(公法)과 요점을 확립한다
움직임을 완성하는 것이다 ⇨ 조희(鳥戱)를 완성한다(2014, 96-97).
이처럼 화타오금희는 단순히 동물들의 움직임을 따라 하기보다는 동물과 자연의 상호작 용과 오행(五行)과의 연계성을 이해(김용재 2014, 98)하려는 연구에서 시작하고 만들어진 양생술이다. 이러한 화타오금희를 활용한 움직임 표현 수업은 성장기 학습자에게 동물 움 직임을 다양한 관점에서 탐색하고 이를 표현하면서 자연과 동물을 존중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
본 수업을 통하여 타 교과 연계 및 기대되는 능력은 다음과 같다. 역사서에 기록된 화타 에 관한 탐색은 역사적 인물과 관련 서적을 소개하며 학습자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다. 이러한 수업은 독서영역과 연계하였을 때 통합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화타오금희 움직임 을 수행하면서 기대되는 능력은 수준에 맞는 체조를 수행하면서 신체에 집중하고 자신의 건강을 지키는 다양한 방법이 있음을 인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수업은 체육교과 건강영역 과 통합하여 수업하였을 때 효과가 기대된다. 실제적인 수업을 위하여 구성한 사슴⋅원숭 이⋅곰⋅새⋅호랑이의 움직임 탐구와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기대되는 능력은 관찰력과 창 작력의 증진이다. 동물들의 움직임 탐구는 사진이나 영상을 이용하여 모습과 특징들을 알 아볼 수 있다. 이 수업은 과학 또는 미술 영역과 통합하여 수업하였을 때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동물들의 움직임을 이용한 스토리텔링의 구성은 이야기를 만들고 이야기 에 걸맞은 움직임을 창작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하여 기대되는 능력은 이야기 및 움직임 창작 능력이며 국어영역과 통합하여 수업하였을 때 효과가 기대된다.
1) 차시별 수업목표
화타오금희를 활용한 모방 표현 수업은 일주일 1차시 5회 수행한다. 1차시 수업에서는 사진, 영상들을 활용하여 동물(사슴⋅원숭이⋅곰⋅새⋅호랑이)의 움직임 및 특징을 탐구 하고 학습자는 움직임을 모방한다. 2차시 수업에서는 1차시에서 수행하였던 움직임을 바 탕으로 화타오금희 제1절(예비공) 움직임을 수행한다. 3차시 수업에서 교사는 동물(사슴⋅ 원숭이⋅곰⋅새⋅호랑이)들을 주제로 ‘동물원으로 소풍가는 날’이라고 가정한 다음, 다섯 동믈로 모둠을 나누고 스토리텔링을 구성한다. 교사는 학습자에게 동물의 다양한 움직임 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면서 스토리텔링을 이야기한다. 4차시 수업에서는 3차시에서 구성한 움직임을 정리하여 발표하고 감상한다. 마지막 수업인 5차시에서는 4차시에서 발 표한 동물들의 움직임을 사슴⋅원숭이⋅곰⋅새⋅호랑이 순서로 움직임을 정리한 다음 음 악과 함께 수행한다. 모방 표현 수업을 위한 차시별 주제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표 1
차시 | 수업주제 및 목표 |
---|---|
1차시 | 다섯(사슴⋅원숭이⋅곰⋅새⋅호랑이) 동물의 움직임을 관찰하며 움직임을 따라 할 수 있다. |
2차시 | 동물들의 움직임을 생각하며 화타오금희 제1절 움직임을 익힌다 |
3차시 | 스토리텔링에 맞는 움직임을 모둠원과 구성할 수 있다. |
4차시 | 모둠원과 구성한 움직임을 발표하고 감상할 수 있다. |
5차시 | 발표한 움직임을 체조로 재구성하고 음악과 함께 실천할 수 있다. |
2) 스토리텔링 구성
모방 표현 수업을 위한 스토리텔링 구성은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다섯(사슴, 원숭 이, 새, 곰, 호랑이 동물의 독립적인 움직임을 모방하기 쉽게 구성하였다. 모방 표현 수업은 ‘사슴⋅원숭이⋅곰⋅새⋅호랑이’ 모둠으로 학습자들을 나누어 움직임을 탐구하고 모둠 구 성원들이 회의하여 움직임을 모방하고 창작하였다. 모방 표현 수업을 위한 스토리텔링은 화타오금희 예비공(제1절)움직임 해설을 기반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각 모둠 구성원은 교사가 제시하는 스토리텔링을 확장하여 움직임을 구성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을 구성하 기 위한 화타오금희 예비공 움직임 설명, 확장 움직임 설명, 화타오금희를 활용한 모방 표 현 수업을 위한 스토리텔링 구성은 곽정헌(郭廷獻)이 집필한 ‘화타오금지희도해(華他五禽 之戱圖解)’의 다섯 동물의 움직임 해석과 움직임 설명을 기반으로 구성하였다. 화타오금지 희도해는 김성기와 박윤선에 의하여 ‘(기공의 원류)화타오금지희도해’로 번역되어 출판되 어 있다. 원전에 대한 해석은 〈부록 1〉, 스토리텔링 수업계획안은〈부록 2〉에 수록하였 다. 모방 표현 수업을 위한 움직임 설명은 아래〈표 2〉,〈표 3〉,〈표 4〉와 같다.
표 2
동물 | 예비공 | 확장 움직임 |
---|---|---|
사슴(鹿) | 녹참원조(鹿站遠眺) | 녹참미동(鹿站尾動) |
원숭이(猿) | 백원헌과(白猿獻果) | 백원추과(白秋收果) |
곰(熊) | 웅부신요(熊俯身腰) | 웅부낚시(熊俯낚시) |
새(鳥) | 조전쌍시(鳥展雙翅) | 조전쌍비(鳥展雙飛) |
호랑이(虎) | 호송견배(虎鬆肩背) | 호송거자(虎鬆姬姿) |
표 3
동물 | 예비공 | 확장 움직임 |
---|---|---|
사슴(鹿) | 사슴이 서서 멀리 바라보다 | 꼬리를 움직이다 |
원숭이(猿) | 흰 원숭이가 과일을 바치다 | 나무 위에서 과일을 딴다 |
곰(熊) | 곰이 몸과 허리를 구부리다 | 강에서 물고기를 사냥하고 있어요 |
새(鳥) | 새가 양쪽 날개를 펼치다 | 가슴을 펴고 날갯짓을 하며 날고 있다 |
호랑이(虎) | 호랑이가 어깨와 등을 부드럽게 풀어주다 | 들판을 걸어가 몸을 웅크리며 나무 밑에 앉는다 |
표 4
호랑이 | 움직임 기본 설명 | 넓은 들판에 호랑이 가족들이 나무 그늘 밑으로 걸어가고 있네요. | |
호송견배 (虎鬆肩背) | 예비공 | 호랑이가 어깨와 등을 부드럽게 풀어주다 | |
호송거자 (虎鬆姬姿) | 확장움직임 | 들판을 걸어가 몸을 웅크리며 나무 밑에 앉는다 |
<부록 1>
제 1 절 예비공(預備功) | |
1. 녹참원조(鹿站遠眺) | 사슴이 서서 멀리 바라보다. |
2. 웅부신요(熊俯身腰) | 곰이 몸과 허리를 구부리다. |
3. 백원헌과(白猿獻果) | 흰 원숭이가 과일을 바치다. |
4. 조전쌍시(鳥展雙翅) | 새가 양쪽 날개를 펼치다. |
5. 호송견배(虎鬆肩背) | 호랑이가 어깨와 등을 부드럽게 풀어주다. |
제 2 절 단봉조양(丹鳳朝陽): 봉황새가 해를 바라보다. | |
1. 원비정거(猿臂正擧) | 원숭이가 팔을 바로 들다. |
2. 백학장흉(白鶴長胸) | 흰 학이 가슴을 펴다. |
3. 호송견배(虎鬆肩背) | 호랑이가 어깨와 등을 부드럽게 풀어주다. |
4. 웅반족첨(熊攀足尖) | 곰이 발끝을 잡다. |
5. 녹운척미(鹿運脊尾) | 사슴이 등뼈와 꼬리를 움직이다. |
6. 원비우거(猿臂右擧) | 원숭이가 팔을 오른쪽으로 들다. |
7. 우호박식(右虎撲式) | 오른쪽으로 호랑이가 치는 형세를 하다. |
8. 학전좌시(鶴展左翅) | 학이 왼쪽 날개를 펼치다. |
9. 좌운웅경(左運熊經) | 좌측으로 곰이 몸통을 움직이다. |
10. 우유녹경(右揉鹿頸) | 오른쪽으로 사슴이 목을 휘게 하다. |
11. 학전우시(鶴展右翅) | 학이 오른쪽 날개를 펴다. |
12. 박협강간(拍脇强肝) | 옆구리를 두들겨 간을 강하게 하다. |
제 3 절 금계부단(金鷄孵蛋): 금닭이 알을 까다. | |
1. 호거침좌(虎踞沈坐) | 호랑이가 깊숙이 걸터앉다. |
2. 원서우비(猿舒右譬) | 원숭이가 오른팔을 펴다. |
3. 원서좌비(猿舒左譬) | 원숭이가 왼팔을 펴다. |
4. 웅준우포(熊蹲右抱) | 곰이 쭈그리고 앉아 오른쪽으로 감싸 안다. |
5. 원서좌비(猿舒左譬) | 원숭이가 오른팔을 펴다. |
6. 금게독립(金鷄獨立) | 금께가 외발로 서다. |
7. 학선우시(鶴煽右翅) | 학이 오른쪽 날개를 퍼덕이다. |
8. 우선녹분(右旋鹿奔) | 사슴이 오른쪽으로 돌아서 달리다. |
9. 노호수산(怒虎搜山) | 성난 호랑이가 산을 훑어보다. |
10. 원서우비(猿舒右譬) | 원숭이가 오른팔을 펴다. |
11. 웅준좌포(鹿蹲右抱) | 곰이 쭈그리고 앉아 왼쪽으로 감싸 안다. |
12. 백학포흉(白鶴抱胸) | 백학이 가슴을 감싸 안다. |
13. 영원적과(靈猿摘果) | 영민한 원숭이가 과일을 따다. |
제 4 절 대붕전시(大鵬展翅): 대붕이 날개를 펴다. | |
1. 호선우좌(虎旋右坐) | 호랑이가 돌아서 오른쪽으로 앉다. |
2. 원섬좌반(猿閃左盤) | 원숭이가 재빨리 왼쪽으로 돌아앉다. |
3. 금계독립(金鷄獨立) | 금계가 외발로 서다. |
4. 영원지일(靈猿指日) | 영민한 원숭이가 해를 가르키다. |
5. 녹앙회고(鹿仰回顧) | 사슴이 우러러 뒤돌아보다. |
6. 웅운요과(鹿運腰舿) | 곰이 허리와 사타구니를 움직이다. |
7. 금계독립(金鷄獨立) | 금계가 외발로 서다. |
8. 서우망월(犀牛望月) | 물소가 달을 쳐다보다. (오른쪽) |
9. 서우망월(犀牛望月) | 물소가 달을 쳐다보다. (왼쪽) |
10. 백학포단(白鶴抱丹) | 백학이 단전을 감싸다. |
11. 원리삼초(猿理三焦) | 원숭이가 삼초를 다스리다. |
12. 웅연장부(鹿蠕臟腑) | 곰이 내장을 꿈틀거리게 하다. |
13. 맹호하산(猛虎下山) | 용맹한 호랑이가 산을 내려오다. |
14. 녹인우반(鹿引右盤) | 사슴이 끌어당기고 오른쪽으로 돌아앉다. |
15. 백학요보(白鶴拗步) | 백학이 꼬듯이 걷다. |
16. 웅고호거(熊靠虎踞) | 곰이 기대어 서고 호랑이가 걸터앉다. |
제 5 절 공작개병(孔雀開屛): 공작이 병풍처럼 꼬리를 펼치다. | |
1. 원비반신(猿臂反伸) | 원숭이가 팔을 거꾸로 뻗다 (오른쪽) |
2. 웅운견과(熊運肩跨) | 곰이 어깨와 다리를 움직이다. |
3. 호장조박(虎掌抓撲) | 호랑이가 발톱으로 집어올리고 내리치다. |
4. 백학잔흉(白鶴張胸) | 백학이 가슴을 펴다. |
5. 치안고반(鴟眼顧盼) | 올빼미 눈으로 뒤돌아보다. |
6. 백망번신(白蟒翻身) | 흰 구렁이가 몸을 뒤집다. |
7. 흑웅도반(黑熊倒攀) | 흑곰이 거꾸로 타고 오르다. |
8. 원비반신(猿譬反伸) | 원숭이가 팔을 거꾸로 뻗다. (왼쪽) |
9. 영원적과(靈猿摘果) | 영민한 원숭이가 과일을 따다. |
제 6 절 희작등지(喜鵲登枝): 까치가 나뭇가지에 오르다(앉다) | |
1. 호박녹분(虎撲鹿奔) | 호랑이가 내리치고 사슴이 달리다. |
2. 우학독립(右鶴獨立) | 학이 오른쪽 외발로 서다. |
3. 녹저둥제(鹿觝蹬躋) | 사슴이 버티며 발굽을 뻗다. (왼쪽) |
4. 웅좌반좌(熊左盤坐) | 곰이 왼쪽으로 돌아앉다. (다리를 굽히다) |
5. 좌학독립(左鶴獨立) | 학이 좌측 외발로 서다. |
6. 녹저둥제(鹿觝蹬躋) | 사슴이 버티며 발굽을 뻗다. (오른쪽) |
7. 원우타호(猿右打虎) | 원숭이가 오른쪽으로 호랑이를 때리다. |
8. 웅좌항고(熊左抗靠) | 곰이 왼쪽으로 버티어 기대다. |
9. 요보조신(拗步鳥伸) | 새가 꼬듯이 걸으며 날개를 펴다. |
10. 호박반추(虎撲反捶) | 호랑이가 내리치고 반대로 치다. |
11. 녹선좌반(鹿旋左盤) | 사슴이 돌아서 왼쪽으로 앉다. |
12. 웅우항고(熊右抗靠) | 곰이 오른쪽으로 버티어 기대다. |
13. 웅좌항고(熊左抗靠) | 곰이 왼쪽으로 버티어 기대다. |
14. 원섬녹인(猿閃鹿引) | 원숭이가 재빨리 돌고 사슴이 끌어당기다. |
15. 우전호좌(右轉虎坐) | 호랑이가 오른쪽으로 돌며 앉다. |
16. 전후호장(前後虎掌) | 호랑이가 앞뒤로 손바닥을 치다. |
17. 백학비상(白鶴飛翔) | 백학이 비상하다. |
제 7 절 단봉조양(丹鳳朝陽): 봉황새가 해를 바라보다. | |
1. 원비좌거(猿臂左擧) | 원숭이가 팔을 왼쪽으로 들다. |
2. 호조하좌(虎抓下坐) | 호랑이가 발톱으로 집어 아래로 앉다. |
3. 학전우시(鶴展右翅) | 학이 오른쪽 날개를 펼치다. |
4. 우운웅경(右運熊經) | 곰이 오른쪽으로 중심을 이동하다. |
5. 좌유녹경(左揉鹿頸) | 사슴이 목을 왼쪽으로 휘게 하다. |
6. 원비좌거(猿譬左擧) | 원숭이가 팔을 왼쪽으로 들다. |
7. 호조하죄(虎抓下坐) | 호랑이가 발톱을 집어 아래로 앉다. |
8. 원비우거(猿譬右擧) | 원숭이가 팔을 오른쪽으로 들다. |
9. 전신수세(轉身收勢) | 몸을 돌려 자세를 거두어 들이다. |
제 8 절 수공(收功) | |
1. 선유녹경(旋揉鹿頸) | 사슴이 목을 돌리며 휘게 하다. |
2. 웅황치고(熊晃鴟顧) | 곰이 몸을 흔들고 올빼미가 뒤돌아 보다. |
3. 선호배월(仙狐拜月) | 신령한 여우가 달을 보고 절하다. |
<부록 2>
과목 | 체육 | 수업자 | 수업자 김문선 | |
단원 | 표현/모방 표현 | 학년 | 3 | |
주제 | 동물들의 움직임을 모방할 수 있다. | |||
학습자료 | 동물들의 움직임 사진, 영상, 음악, 칠판, 매직 | |||
도입 | 오늘은 에버랜드로 소풍을 갑니다(에버랜드 노래를 함께 부른다). 에버랜드에 가기 위해서는 기차를 타야 하는데 우리에겐 기차표가 없지요? 하지만 우리가 양발을 어깨 넒이로 벌리고, 양손은 가지런히 허벅지 옆에 가지런히 두면 기차가 우리 앞에 멈출 거예요. 그럼 한 사람도 빠지지 말고 에버랜드로 출발. |
|||
전개 | 예비공 움직임 | |||
녹참원조 (鹿站遠眺) | 동물원 앞에 도착했어요. 여기 동물원은 넓은 초원으로 이루어졌으며, 동물들도 모두 뛰어 놀고 있어요. 저기 언덕 위에 사슴이 보이네요 사슴이 우리에게 인사하네요. 사슴이 어떻게 생겼어요? (학생들의 대답을 들으며 특징들을 따라한다) 기다란 목과 동그란 눈으로 우리를 보고 있어요. 우리가 사슴이 되어 봐요 -사슴이 서서 멀리 바라보다. |
|||
백원헌과 (白猿獻果) | 나무 위에서 이 모습을 보고 있던 원숭이가 ‘여기에 과일이 있어’ 라며 우리에게 과일을 주네요. -흰 원숭이가 과일을 바치다 |
|||
웅부신요 (熊俯身腰) | 저기 곰 가족이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어요. 곰의 모습은 어떤가요? (가족 곰의 모습을 발표하고 모습과 몸짓을 상상하며 움직여 본다. 아빠 곰이 강에서 생선을 주우려고 허리를 굽히고 있네요 -곰이 몸과 허리를 구부리다 |
|||
조전쌍시 (鳥展雙翅) |
원숭이 옆에 학이 있네요. 학은 어떻게 생겼어요?(학생들의 대답을 들으며 특징들을 따라한다) 학이 기분이 너무 좋은 가봐요. -새가 양쪽 날개를 펼치다 |
|||
호송견배 (虎鬆肩背) |
언덕위에 호랑이가 있어요. 호랑이는 어떻게 생겼어요?(학생들의 대답을 들으며 특징들을 따라한다) ‘어흥’ 소리를 낸다. -호랑이가 어깨와 등을 부드럽게 풀어주다 |
|||
확장 움직임 | ||||
녹참미동 (鹿站尾動) | 사슴이 꼬리를 어떻게 움직일까요? 움직임을 구성해본다. -사슴이 서서 꼬리를 흔든다 |
|||
백원추과 (白秋收果) | 원숭이가 나무 위에서 과일을 따네요 어떻게 움직일까요? 움직임을 구성해본다. |
|||
웅부낚시 (熊俯낚시) | 아빠 곰이 강에서 물고기 사냥을 하고 있어요 어떻게 움직일까요? 움직임을 구성해본다. |
|||
조전쌍비 (鳥展雙飛) | 새가 양쪽 날개를 펼치고, 날개를 파닥거리기도 하네요. 어떻게 움직일까요?움직임을 구성해본다. |
|||
호송거자 (虎鬆姬姿) | 호랑이가 산에서 내려와요. 어떻게 움직일까요? 움직임을 구성해본다. 그리고는 호랑이가 몸을 웅크리고 앉네요 어떻게 움직일까요? 움직임을 구성해본다. |
|||
정리 및 발표 | 동물들의 움직임을 늘려가며 모둠별 스토리 구성 | |||
모둠 창작 움직임 발표 |
3) 교수학습지도안
이와 같이 화타오금희를 활용한 모방 표현 수업은 3학년 체육교과 표현 단원에서 제시 하는 신체 움직임 표현을 위한 모방 표현 수업으로 교수학습지도안 <표 5>⋅<표 6>⋅<표 7>⋅<표 8>⋅<표 9>을 구성하였다. 오랜 시간 동안 중국을 중심으로 발전한 화타오금희는 동물의 특징과 생활을 모방한 움직임이다. 화타오금희는 건강증진을 위한 양생 수련법(郭 廷獻 2008, 28)으로 신체 움직임 표현을 위한 체육교과 수업에 활용하였다. 본 수업은 학 습자들이 동물의 움직임을 모방하기 위하여 움직임 탐구와 스토리텔링에 적합한 움직임을 상상하여 다양한 움직임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수업을 실천하기 위하여 관찰 – 화타오금 희 예비공 움직임 익히기 – 움직임 구성하기 – 발표하기 – 실천하기로 5차시 수업목표 를 설정하였다. 화타오금희를 활용한 모방 표현 수업 3차시에는 움직임 구성을 위하여 다 섯 동물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스토리텔링을 구성하고 모둠으로 발표하였다. 수업 마지막 에는 각 모둠이 구성한 움직임을 음악과 함께 체조로 실천한다.
표 5
과목 | 체육 | 수업자 | 김문선 | |||
단원 | 표현/ 모방 표현 | 학년/차시 | 3/1 | |||
주제 | 신체를 활용하여 동물의 움직임 표현하기 | |||||
학습목표 | ‘사슴, 원숭이, 호랑이, 새, 곰’의 움직임을 탐구하고 모방할 수 있다. | |||||
학습자료 | 스토리텔링 계획안, 동물 사진 및 영상, 음악 | |||||
학습과정 | 학습요소 | 교수・학습 활동 | 시간 | 준비물(◦) 및 지도상의 유의점(※) | ||
교사 | 학생 | |||||
도입 | 준비운동 | 준비운동 영상과 음악에 맞추어 스트레칭 | 3분 | 준비운동 영상 | ||
주제탐색 및 동기유발 | 5분 | 동물 사진 | ||||
전개 | 움직임 탐색 및 춤추기 | 27분 | 동물 영상 | |||
정리 | 생각나누기 | 5분 | 정리운동 음악 | |||
정리운동 | 음악에 맞추어 정리운동을 한다. |
표 6
과목 | 체육 | 수업자 | 김문선 | |||
단원 | 표현/모방 표현 | 학년/차시 | 3/2 | |||
주제 | 신체를 활용하여 동물의 움직임 표현하기 | |||||
학습목표 | 스토리텔링에 맞는 동물의 움직임을 모방할 수 있다. | |||||
학습자료 | 스토리텔링 계획안, 동물 영상, 음악 | |||||
학습과정 | 학습요소 | 교수・학습 활동 | 시간 | 준비물(◦) 및 지도상의 유의점(※) | ||
교사 | 학생 | |||||
도입 | 준비운동 | 준비운동 영상과 음악에 맞추어 스트레칭 | 3분 | 준비운동영상 | ||
주제탐색 및 동기유발 | 5분 | 동물 영상 | ||||
전개 | 움직임 탐색 및 춤추기 | 27분 | 스토리텔링 계획안 음악1(에버랜드 음악) 음악2 (화타오금희) |
|||
정리 | 생각나누기 | 5분 | 정리운동 음악 | |||
정리운동 | 음악에 맞추어 정리운동을 한다 |
표 7
과목 | 체육 | 수업자 | 김문선 | |||
단원 | 표현/모방표현 | 학년/차시 | 3/3 | |||
주제 | 신체를 활용하여 동물의 움직임 표현하기 | |||||
학습목표 | 모둠원이 함께 스토리텔링에 맞는 동물의 움직임을 모방할 수 있다. | |||||
학습자료 | 스토리텔링 계획안, 관련 영상, 음악 | |||||
학습과정 | 학습요소 | 교수・학습 활동 | 시간 | 준비물(◦) 및 지도상의 유의점(※) | ||
교사 | 학생 | |||||
도입 | 준비운동 | 화타오금희 체조 | 3분 | 화타오금희 음악 | ||
주제탐색 및 동기유발 | 5분 | 동물 사진 | ||||
전개 | 움직임 탐색 및 춤추기 | 27분 | 스토리텔링 계획안 음악 | |||
정리 | 생각나누기 | 5분 | 정리운동 음악 | |||
정리운동 | 영상과 음악에 맞추어 정리운동을 한다. |
표 8
표 9
Ⅴ. 모방 표현 수업 실행
화타오금희를 활용한 모방 표현 수업의 실행은 단계별로 관찰 – 모방 – 구성 - 실천의 절차로 전개되며, 각 단계에서는 명확한 학습 목표가 설정되었다. 또한, 하위단계의 학습 목표를 성취함으로써 다음 상위단계로의 연계가 이루어진다.
1. 관찰
이 수업에서는 관찰을 통한 학습의 초기 단계로 동물들의 움직임을 이해하고 모방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목표이다. 이는 모방 표현의 기초를 다지는 중요한 과정이며, 교사는 학습자를 파악하고 이해하여 그에 맞는 지도를 제공해야 한다(Ann L. Brown 등, 2000, 15).
그러나 학습자들이 사진 자료를 활용하여 동물의 특징과 움직임을 모방할 때 일반적이 고 형식적인 수준으로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학습자들은 원숭이의 특징적인 움직임으로 한 손으로 양 볼을 잡고 반대 손으로 뺨을 문지르는 동작을 주로 보여 주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사는 동영상 콘텐츠를 활용하여 다양한 동물들의 움직임을 담 은 영상을 학습 자료로 활용하였다. 학습자들은 영상에서 직접 실제 움직임을 관찰한 후에 이를 모방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는 학습자들이 일반적이고 형식적인 수준에서 벗어나 실 제 동물들의 특징적인 움직임을 모방하도록 유도할 수 있었다.
수업 전 교사는 학습자의 동물 이해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교사는 동물들의 다양한 행동, 예를 들어 잠자는 모습, 걷기, 아기 돌보기, 낚시하기 등의 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이해 수준을 높이려고 노력하였다. 이 수업을 통해 교사는 학습자가 관찰 대상을 탐구하고 특징을 도출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풍부한 학습 자료를 제공해야 함을 깨달았다. 학습자의 이해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효과적인 교육자료 제공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2. 모방
모방 단계의 학습 목표는 다섯 동물이 되어 움직임을 탐구하고, 특히 화타오금희 움직임 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사는 스토리텔 링을 활용한 모방 표현 수업을 도입하여 학습자가 탐구한 동물들의 움직임을 현실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동기부여를 제공하였다. 이현주가 STEAM 프로그램을 위한 모형 개발을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의 세계관 형성과 구체적 조작기 아동의 특성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초등 저학년 학생은 ‘나’ 중심적 세계관이 가족, 또래 친구, 등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확장되어 가는 시기이다. 내가 직접 경험한 이야기, 내가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 가장 친근하 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되고 친근한 의사소통 방식 인 스토리텔링을 통해 자연스럽게 다양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들은 아직 형식적 조작(추상적 사고)이 완성되지 않은 시기이기 때문에 구체물을 통한 사고 가 개발되어야 한다(이현주 2021, 330).
이 수업에서 교사는 동물원으로 소풍 간다는 설정을 통해 다섯 동물(사슴⋅원숭이⋅곰 ⋅새⋅호랑이)들을 주인공으로 스토리텔링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화타오금희 예비공(預備 功:제1절-8절까지 구성된 화타오금희 중 제1절, 예비공 수련을 위한 준비 움직임으로 구 성되어 있다) 움직임을 기반으로 스토리를 전개하여 학습자들이 실제 움직임을 쉽게 이해 하고 모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업 시작 시, 교사는 동물원으로 가는 기차를 탈 때 몸의 바른 정렬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는 설정을 통해 학습자들을 참여하게 유도하였다. 이는 학습자들이 웃음과 재미를 느 끼면서도 동시에 신체 정렬 상태를 유지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하였다. 수업 마지막 에는 열흘 후의 소풍을 기대하는 이야기와 함께 손가락을 꼽는 움직임을 통해 학습자들에 게 기대감을 고취 시킬 수 있었다. 교사는 스토리텔링을 구성할 때 학습자들이 유치하게 느낄까 걱정했지만, 오히려 학습자들은 손가락을 꼽는 움직임에 흥미를 가지고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동물원에 도착한 학습자들은 각각의 동물로 상상하며 교사가 제시하 는 움직임을 모방하는 경험을 하였다. 학습자들은 호랑이가 어슬렁어슬렁 걸어와 시원한 나무 밑에서 잠을 자려고 누웠다는 스토리에 “호랑이가 잠을 잘 때, 어떻게 자지? 하고 물으며 강아지처럼 몸을 동그랗게 말고 자나? 서로에게 물으며 움직임을 도출하였다. 이러 한 상상과 모방을 통해 학습자들은 실제 동물들의 움직임을 표현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교사는 동물들의 특징과 소리를 모방하며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수업의 재미를 증 진 시킬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음악과 함께 화타오금희를 수행하며 학습자들에게 이전에 탐구한 동물들의 움직임을 생각해 보도록 지도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창의적이고 활동적인 방식으 로 동물의 움직임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었다.
3. 구성
구성 단계의 학습 목표는 모둠원과 스토리텔링에 적합한 움직임을 구성하고 이를 발표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는 각 동물별 모둠을 구성하고, 교사가 제공 한 예비공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스토리텔링에 모둠원의 이야기를 추가하여 움직임을 구 성하는 경험을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는 학습자가 직접 이야기를 만들고 움직임을 창의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기대하였다.
예를 들어, ‘원숭이가 무서운 호랑이에게 과일을 바친다는 움직임(예비공: 백원헌과)’를 확장하여 과일을 따는 활동(확장 움직임: 백원추과)으로 스토리텔링을 확장하는 형식을 도 입하였다. 학습자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자신들만의 스토리텔링을 창조하고 이를 통해 움 직임을 발표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 모둠 발표를 위해 학습자들은 동물들의 움직임을 탐구하고 상상하며 서로의 의견을 나누었다. 곰 가족의 움직임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학습 자들은 영상에서 보았던 동물 움직임 기억을 되살리며 “곰 가족이 나무에 올라 꿀을 먹고 있어요”라는 이야기에 역할을 정하여 움직임을 수행하였다. 원숭이를 담당한 모둠에서는 영상에서 보았던 계급 집단을 이루며 살고 있는 원숭이 사회를 묘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상황을 설정하여 스토리를 확장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서로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자신의 상상력을 발휘하여 움직임을 확장하는 데에 기여한 것으로 보 여진다.
모둠으로 구성된 모방 표현 수업은 학습자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의 학습을 유도하 고 상호보완하게 하였다. 스토리텔링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모둠원은 회의를 통해 이야기 들을 서로 확장하고 정리하는 데에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행위는 복합성을 포함 한 학습적 상호작용을 나타내며, 학습 환경에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결합하고 조율하는 과 정에서 촉진되었다. 교사는 학습 환경의 유지를 위해 각 모둠별 학습 진행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문제가 발생할 때 신속한 해결을 도와주었으며, 학습에 참여하지 못하는 학습자 가 있는지 주의 깊게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개인별 역할을 정하고 풍부한 스 토리를 구성하며 움직임을 표현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
4. 실천
마지막 실천 단계의 학습 목표는 체조로 구성한 우리들의 움직임을 음악과 함께 호흡하 며 즐길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교사는 전 시간에 발표한 모둠별 움직임을 사슴⋅ 원숭이⋅곰⋅새⋅호랑이 순서로 정리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이 구성한 움직임을 한자 4개 로 구성된 움직임 용어(이하 한자용어로 표기)로 바꾸었다. 교사는 한자 뜻을 설명하면서 해당 한자 용어에 맞는 움직임을 보여 주었다. 예를 들어 “‘녹’ 사슴이, ‘참’ 서서, ‘원조’ 멀리 바라보고 있어요.”라는 설명과 함께 학생들이 움직임을 수행하면서 칠판에 움직임 설 명과 함께 한자용어를 적어 두었다. 학습자들은 대부분 한자를 모르고 있었지만 교사의 안내에 따라 하면서 즐거워하는 학습자들이 많았다. 특히 남자 학습자 중에는 ‘백원헌과’를 따라 하면서 “백원(동전)을 준다고” 말하는 학습자도 있었다. 이러한 수업은 화타오금희를 통한 움직임을 한자 용어로 익히고, 이를 체조로 구성하여 음악과 함께 즐길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학술적인 측면에서 교과과정 간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한 학습은 학습 자들에게 다양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이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화타오금희를 활용하여 동물들의 움직임을 모방하고 창작하 여 이를 준비운동으로 만들어 학교 수업 중에 연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학습자들이 창작한 준비운동(움직임)을 지속적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이를 체조로 재구성하여 누구나 수행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체육과 무 용 전담 교사 수업이 1학기 동안 주 1회 수업으로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학습자들이 창작 한 준비운동(움직임)은 지도교사 부재로 연속적인 수행이 어려웠다. 이는 무용 수업을 통 한 학습이 학교에서 연속적으로 활용되기 어렵고, 지난 수업과의 연계가 어려워 단절되면 서 단계적인 적용에 방해 요소가 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화타오금희를 활용한 모방 표현 수업은 관찰, 모방, 구성, 실천의 네 단계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접근은 학습자들이 동물들의 움직임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그것을 실제 체조 활동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표 10
단계 | 수업 목표 |
---|---|
관찰 단계 | 학습자들은 다섯 동물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이 단계에서는 동물들의 자연스러운 동작과 특징을 주목하여 기록하고 이해한다. |
모방 단계 | 학습자들은 자신의 신체를 사용하여 동물의 동작을 모방한다. 이를 통해 동물의 동작을 체화하고 익힌다. |
구성 단계 | 각 모둠은 관찰한 동물 움직임을 기반으로 스토리텔링을 확장하고, 모방 움직임을 구성한 다음 이를 발표한다. 경험을 통해 학습자들은 창의적인 표현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 |
실천 단계 |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은 음악과 함께 체조를 실천한다. 친구들과 동물의 움직임을 모방하여 만든 체조와 화타오금희를 음악과 함께 즐길 수 있다. |
Ⅵ. 모방 표현 수업 프로그램 평가
본 연구에서는 화타오금희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5차시 동안 모방 표 현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과(표현) 수업의 기초 단계로 동물들의 움직 임을 모방하고, 스토리텔링에 맞는 움직임을 구성하여 음악과 함께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수업을 위해 화타오금희와 스토리텔링을 결합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의 목적은 초 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모방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 장에서는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수행하였을 때, 나타나는 교육효과를 교사가 학습자들의 수업 과정과 현황을 작 성한 일지 및 모둠 발표를 통해 프로그램 구성과 실행으로 분류하여 정성적으로 평가하였 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프로그램 구성
화타오금희를 활용한 모방 표현 수업 프로그램은 화타오금희, 스토리텔링 및 모둠 학습 을 결합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구성 요인을 세부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1) 풍부한 학습자료 효과
가장 초기인 관찰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동물들의 움직임을 이해하고 모방하는 능력과 호기심을 자극하기 위해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다양하고 풍부한 학습자료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교사는 모방 수업을 위해 각 동물들의 사진 자료를 제공했으나, 학습자들이 이를 활용하 여 동물의 특징과 움직임을 모방하는 과정에서 형식적인 수준으로 제한되는 문제를 발견 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교사는 동영상 콘텐츠를 활용하여 다양한 동물들의 움직임을 담은 영상을 학습 자료로 제공하였다. 이로써 학습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움직임의 풍부하고 다양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은 학습자들이 보다 현실적이고 다채로운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도와주었 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습득한 학습은 학습자 자신이 모방하고자 하는 움직임의 근거가 되며 함께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2) 움직임에 동기를 부여한 스토리텔링
화타오금희와 스토리텔링을 결합한 모방 표현 수업은 학습자들이 모방하고자 하는 동물 들의 움직임에 대한 방향성과 확장성을 유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학습자들이 더욱 창의적이고 다양한 움직임을 경험하며 자신의 표현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돕는 데 기여했다.
교사는 수업을 시작할 때 ‘소풍가는 날’이라는 상황 설정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수업 참여에 도움을 주었다. 처음에는 스토리텔링에 대하여 학습자들이 유치하게 여길까 우려하였지만, 교사의 지도 아래 학습자들은 거짓임을 알면서도 활발하게 수업에 참여하였다. 또한 각 동물들로 나눈 모둠 발표에서는 학습자 스스로 스토리텔링을 확장하여 자신들이 관점에서 본 동물 이야기와 움직임들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들이 동물 모방에 동기를 부여받아 다양한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3) 복합성과 상호보완성의 효과를 보여 준 모둠활동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으로 수행한 모방 표현 수업은 모둠 학습 형태에서 복합성과 상호 보완성에 효과를 보여 주었다.
화타오금희와 스토리텔링을 결합한 모방 표현 수업은 화타오금희에서 다루고 있는 다섯 동물(사슴, 원숭이, 곰, 새, 호랑이)을 주인공으로 스토리텔링을 구성하였습니다. 그리고 각 동물별로 모둠을 나누어 학습자들이 해당 동물들의 움직임을 탐구하고 구성하여 발표하였 습니다. 특이한 점은 교사의 지도 없이도 학습자들이 스스로 스토리를 만들고 이를 기반으 로 움직임을 구성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것이다. 학습자는 수업 진행 중 모둠원들과 상호작 용을 통해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받으며 서로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학습을 유도, 보완해 주었다.
또한 움직임을 구성하는 동안 움직임 수행 능력에 따라 모둠원들이 교수자 역할을 맡아 도움을 주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학습 방식은 가르치는 학습자가 움직임을 깊이 고민하고 숙고할 기회를 얻어 움직임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고 움직임 기능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배우는 학습자들은 책임감을 덜고 자신이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움직임을 수행하며, 동료 모둠원들은 이를 조력하여 협력적인 학습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2. 프로그램 실행
화타오금희를 활용한 모방 표현 수업을 실행하면서 관찰된 프로그램의 연구 평가는 다 음과 같다.
1) 타 교과와의 연계
화타오금희를 활용한 모방 표현 수업은 타 교과와 연계할 수 있는 통합 교육의 다양한 방법을 제시해 주었다.
이 수업에서는 화타오금희의 예비공 움직임 한자용어를 기반으로 스토리텔링으로 구성 하였고, 동물들의 움직임이 추가됨에 따라 스토리텔링이 확장되었다. 그리고 이를 다시 한 자용어로 변환하여 수업에서 사용하였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학생들의 한자에 대한 흥미 를 유발하고, 한자의 뜻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또한, 학생들은 직접 한자용 어를 만들고 신체를 움직이며 한자를 배우는 활동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즐거워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체험 중심의 교육은 주입식 교육의 제약을 극복하고, 학생들에 게 창의적이고 경험 중심의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2) 담임교사 무용 소양 겸비
무용 교육의 연속성과 단계적 적용을 강조하기 위해, 담임교사가 무용에 대한 기본 소양 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용 수업이 학교에서 연속적으로 활용되기 어려우며, 지난 수업과의 연계가 어려워 단 절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대부분의 초등학교 체육과 무용 전담 교사 수업은 1학기 동안 주 1회 수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창작한 준비운동(움직임)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창작한 준비운동(움직임)을 체조로 재구 성하여 누구나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사들이 무용을 가르치기 힘든 분야(송미숙 2016, 116)로 여겨 전담 교사에게 의지하고 있어 활동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학교에서 무용은 전담 교사 에 의한 일회적인 수업으로 진행되거나 학예회나 운동회를 위한 결과물 발표 수업의 형태 로 자주 존재한다. 그 결과 무용 지도 경험이 부족한 교사에게 무용 수업은 부담으로 작용 (송미숙 2016, 117)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무용 교육의 연속성과 단계적 적용을 위해 담임교사가 무용교육에 대한 애정 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Ⅶ.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모방 표현 능력 향상과 무용 수업의 연계성 을 강조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화타오금희와 스토리텔링을 결합한 모방 표현 교 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였다. 이후, 프로그램의 교육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교사는 학습자들의 수업 과정 현황 일지와 발표 자료를 기반으로 정성적 평가를 진행하였다. 교육 효과는 프로그램의 구성과 실행으로 분류하였다.
화타오금희를 활용한 모방 표현 교육 프로그램 수행 결과는 움직임에 동기를 부여한 스 토리텔링, 복합성과 상호보완성의 효과를 보여 준 모둠활동, 무용과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학습 능력 향상의 세 가지 교육효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학습자 수준에 맞는 다양 하고 풍부한 교육자료 제공과 초등학교에서 무용 수업의 단계적 적용과 지속적 학습을 위 해 담임교사가 무용 교육에 대한 기본 소양을 함양해야 함을 깨닫게 되었다. 연구 결과의 세부 내용은 아래와 같다.
화타오금희를 활용한 모방 표현 수업 프로그램은 화타오금희, 스토리텔링, 그리고 모둠 학습을 결합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구성 요인을 분석적으로 평가한 결과, 두 가 지 교육효과와 한 가지 필요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학습 방법 은 학습자들에게 자발적인 학습을 유도하는 데 효과를 보여 주었다. 학습자들은 스토리텔 링을 통해 주제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구체적인 대상을 통한 사고와 상상력을 증가시킴 으로써 학습 의욕을 촉진할 수 있었다. 둘째, 모둠 학습을 통해 학습자들 간의 협력과 소통 능력이 향상되었다. 모둠별로 동물들의 움직임을 탐구하고 구성하여 발표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토론하며 함께 문제를 해결하고 움직임을 확장하 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교육효과와 함께, 본 연구자는 다양한 학습자료를 활용하 는 데 있어서 보다 체계적이고 풍부한 자료가 필요함을 인식할 수 있었다. 수업에서 활용 되는 학습자료는 학습자들의 학습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여 제공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화타오금희를 활용한 모방 표현 수업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한 가지 교육효과와 필요 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화타오금희를 활용한 모방 표현 수업은 타 교과와 연계할 수 있는 통합 교육의 방법을 제시해 주었다. 화타오금희의 움직임은 한자용어로 해석되어 있으며, 본 수업을 위한 스토리텔링 또한 화타오금희의 한자용어를 근간으로 구성하였다. 수업 실 행에 있어서 이러한 접근 방식은 학생들의 한자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한자의 뜻을 쉽 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또한, 학생들은 직접 한자용어를 만들고 신체를 움직이 며 한자를 배우는 활동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즐거워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체험 중심의 교육은 주입식 교육의 제약을 극복하고, 학생들에게 창의적이고 경험 중심의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무용 교육의 효과적인 실천과 체계적인 지도를 위하여 한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대다수의 교사들이 무용 교육을 가르치기 어려운 분야(송미숙 2016, 116)로 여기고 있어서 전담 교사에게 의존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활동의 연계가 부족한 상황이다. 학교에서 무용은 주로 전담 교사에 의해 단일한 수업 형태로 진행되거나, 학예회나 운동회 를 위한 결과물 발표 수업의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무용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교사들에게는 무용 수업이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는 실정이다(송미숙 2016, 117).
따라서 본 연구자는 무용 교육의 연속성과 단계적 적용을 위해 담임교사가 무용에 대한 기본 소양을 갖추기를 권장한다. 이를 통해 교사들이 무용 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