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무용수는 무대 위에서 자신의 내면에 존재하는 사상, 감정, 느낌 등을 깊이 인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외부에 표현해야 한다는 점에서, 무용의 예술적 가치는 단순한 기술적 능력을 넘어서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용은 단순히 동작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작품 속 다양한 캐릭터로서 존재하고 소통하는 복합적인 과정이다(강해원 외 2011, 5). 따라서 무 용수의 표현력은 작품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자기 고유의 캐릭터 정서를 충실히 전달하는 데 필수적이다(지아디 2023, 4875).
정서 표현은 개인의 내면적 상태를 외부에 나타내는 행위로, 얼굴 표정, 음성, 행동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무용에서는 동작을 통해 정서가 표현되며, 무용과 정서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정서 표현을 통해 무용수는 자신의 현재 정서 상태를 이해하고, 자 신의 경험을 통합함으로써 정서적 차원의 이해를 깊게 할 수 있다(최해연 2008, 1063).
무용정서표현성(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은 무용 동작을 통해 정서를 표현하려 는 성향을 의미한다. 모든 무용 작품은 신체의 움직임을 통한 정서의 표출이며, 이 정서적 표출이 ‘표현’이라는 개념 하에 적절한 의미를 부여하여 무용의 미를 창출한다. 무용정서표 현성을 구성하는 요인으로는 동작의 의미성, 개성, 연기력, 표현충동 등을 들 수 있다. 동작 의 의미성은 무용 동작을 통해 내면의 정서를 전달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개성은 무용수의 독특한 특성을 나타낸다. 연기력은 동작 기술과 외적으로 드러나는 표현력을 포함하고, 표 현충동은 정서 표현 상황에서 자발적이고 자유롭게 나타나는 행동을 의미한다 (최석환, 황 성우 2014, 17). 무용 전공자에게 있어 무용을 통해 표현되는 동작은 중요한 기능을 갖는 다. 이러한 동작은 감정, 정서, 의지, 사고의 활동 등을 폭넓게 표현할 수 있는 육체적 표현 으로, 개성적 마음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기술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무용 전공 자는 일상 생활 속 동작을 세부적으로 관찰하고, 보다 정확하게 탐구하는 태도를 가져야 하며, 단순한 동작일지라도 경험의 축적과 지속적인 훈련이 필요하다(최석환, 황성우, 2014).
무용정서표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용 전공자는 자신의 감정을 발견하고 훈련을 통해 감정을 자유롭게 표출해야 한다. 감정 훈련은 느낌의 장애를 해방시키고, 신체가 자유롭게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무용을 통한 감성지능(Sensory Intelligence) 은 Murray(1964), Smith(1989) 등의 연구에서도 무용 표현성이 감정 표현 능력, 상상력, 창의력 등 다양한 정서적 자질을 향상시킨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Gerhardt(1974) 는 무용이 자아 개념과 정서 발달에 기여하고, 사회적 협응 능력을 길러주며, 창의적 사고 와 상징적 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언급했다.
몰입(Flow)은 무용 전공자가 동작과 감정을 완전히 일치시키는 상태를 의미하며, 무대 에서의 최적의 성과를 이끌어내는 중요한 심리적 상태이다. 몰입은 활동과의 조화, 정신적 몰두, 사고와 행동의 일치, 시간 개념의 상실 등으로 나타나며, 무용 전공자의 무용정서표 현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정승혜, 정구인 2013, 173). 조영주 등에 따르면, 무용 전공자 는 몸과 정신의 통합된 관점을 바탕으로 감정 표현에 주의를 기울여 몰입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무용 전공자는 연기 몰입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기술을 완전히 통합하여, 무대 위에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기술적 완성도뿐 아니라, 작품에 대한 깊은 이해와 감정의 흐름을 바탕으로 무대 위에서 진정한 예술적 성과를 창출하는 데 기여한다 (조영주, 이강헌 2010, 187). 따라서 무용 전공자들은 기본적인 기술과 표현의 자유, 상상 력의 흐름을 습득하고, 몸과 정신의 통합된 경험을 통해 감정을 자유롭게 발산함으로써 연기몰입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 Csikszentmihalyi는 몰입 경험을 개인이 주어진 환경과 최적의 상호작용을 이루며 즐거움을 느끼는 상태로 설명하였다(Csikszentmihalyi, 1975). 몰입 상태에서는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행동하며, 도전과 기술의 균형 속에서 자아의식을 잃고 최적의 경험을 누릴 수 있다.
감성지능은 연기 몰입에 있어서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연기 몰입은 활동에 대한 집중과 몰두 상태로, 개인의 높은 자아의식과 인지적 습관을 바탕으로 환경과 조화로운 상태를 이루는 경험이다. 이는 연기 활동에서 양적, 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환경과 도전 과제가 조화될 때 개인의 연기 수준은 높은 경지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몰입 경험 은 다시 연기 수행의 수준을 향상시키며, 몰입을 반복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한다. Mayer와 Salovey(1997)는 감성지능을 통해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고, 타인의 정서를 정확히 파악하며, 유사한 정서를 경험하거나 적절한 정서를 느낄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내적 경험에 따라 자신의 감정이나 기분을 능동적으로 활용하여 의사소통 및 행동에 반영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감성지능이 높은 무용수는 자신의 감정을 잘 조절하며, 무대 에서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는 연기 몰입을 더욱 강화하고, 무용수가 무대 위에서 최상의 퍼포먼스를 발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감성지능은 무용수의 정서적 경험을 깊이 있게 다룰 수 있도록 돕고, 이를 통해 무용 전공자가 무대에서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무용 전공자의 무용정서표현성과 연기몰입 간의 관계를 살피는 것은 무대에서 최상의 수행을 위한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으며, 관련 학문 분야에서도 연구 타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교 무용 전공자의 무용정서표현성, 감성지능, 그리고 연 기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중국 대학교 무용 전공자들은 중국의 다양한 무용 양식과 전통을 학습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은 문화와 예술적 배경을 반영한다. 따라서 이들의 무용정서표현성, 감성지능, 연기몰 입은 중국 문화와 무용 예술의 독특한 특징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연구는 무 용수의 예술적 표현력과 정서 전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며, 중국 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방법론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 무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하여 여러 측면에서 중요한 필요성을 지닌다. 선행연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무용정서표현성은 무용수의 예술적 표현력과 직결 되며, 감정과 작품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무용수는 신체를 통해 감 정을 표현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무용정서표현성을 깊이 이해하고 향상시키는 것은 무대 위에서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감성지능 또한 무용 전공자의 정서적 표현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감성지능이 높은 무용수는 감정 조절과 타인과의 상 호작용에서 우수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은 연기 몰입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무대 위에서의 몰입도를 향상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감성지능이 연기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매개효과를 분석한 점에서 선행연구들과 차별화된다. 선행연구들은 주로 감성지능이 무용 표현력이나 연기력 에 미치는 영향에 집중한 반면, 본 연구는 무용정서표현성과 감성지능 간의 관계를 구조적 으로 분석하고, 감성지능이 연기몰입에 중재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혀냈다. 이러한 결과는 감성지능이 무용수의 예술적 성과를 극대화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임을 시사한다 .
무용정서표현성과 감성지능이 연기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무용 전공자들 이 보다 효과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연기 몰입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할 수 있다. 특히 중국의 다양한 무용 양식과 전통을 학습하는 중국 대학교 무용 전공자들 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는, 이들의 문화적 배경과 독특한 예술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방법론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용 교육과 무용수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실질적 방안을 모색하고, 무용 전공자의 최상의 퍼포먼스를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수의 무용정서표현성이 감성지능 및 연기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 명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무용 교육 및 실습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 무용전공 학생들의 무용정서표현성이 감성지능을 통해 연기몰입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실증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중국 베이징시에 위치한 4개 의 대학교(중앙민족대학(中央民族大学), 북경무용학원(北京舞蹈学院), 북경사범대학(北京 师范大学), 수도사범대학(首都师范大学)의 무용전공 학과에 재학 중인 1학년부터 4학년 학 생들로 선정되었다. 전체 무용전공 학생 수는 약 1000명으로, 이들 중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23년 10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한 달간 진행되었으며, 중국의 온라인 설문조사 플랫폼인 ‘问卷星’을 통해 이루어졌다. 설문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학교 공지를 통해 설문지 링크(www.wenjuangxing.com)를 제공하였고. 최종적으로 590명의 학생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이 중 응답이 부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50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표 1>을 통해 본 인구통계학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 분포는 남성 269명 (53.06%), 여성 238명(46.94%)으로, 남성의 참여가 약간 더 많았다. 학년별로는 1학년 121명(23.9%), 2학년 130명(25.6%), 3학년 123명(24.3%), 4학년 133명(26.2%)으로, 각 학년의 참여율이 고르게 분포되었다.
표 1
빈도 | 퍼센트 | ||
---|---|---|---|
성별 | 남 | 269 | 53.06% |
여 | 238 | 46.94% | |
학년 | 1학년 | 121 | 23.9% |
2학년 | 130 | 25.6% | |
3학년 | 123 | 24.3% | |
4학년 | 133 | 26.2% | |
무용 연습경력 | 1년 미만 | 180 | 31.6% |
1년이상-3년 미만 | 238 | 46.9% | |
3년이상 | 89 | 17.5% |
무용 경력에 따른 분포를 살펴보면, 무용 연습 경력이 1년 미만인 학생이 180명(31.6%)으로 가장 많았고, 1년 이상 3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학생이 238명(46.9%)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3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학생은 89명(17.5%)으로 비교적 적은 수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 대학교 무용전공 학생들이 학년과 경력에 걸쳐 고르게 설문에 참여 했음을 나타낸다. 성별, 학년, 그리고 무용 경력에 따른 분포는 해당 대학의 무용전공 학생 들의 인구통계적 특성을 반영하며, 연구 표본이 일정한 대표성을 지닌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데이터는 무용정서표현성과 감성지능, 연기 몰입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2. 조사도구
1) 무용정서표현성
무용정서표현성은 무용 동작을 통해 정서를 표현하려는 성향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는 이영일(2017)의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를 바탕으로 무용정서표현성을 측정하였다. 무용 정서표현성의 하위 요인은 동작 의미성(4문항), 개성(4문항), 연기력(3문항), 표현충동(4문 항), 동작성(5문항)으로 총 5가지로 분류되며, 문항의 총합은 40문항이다.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1점: 전혀 아니다 - 5점: 매우 그렇다)로 응답하도록 구성하였다.
2) 감성지능
감성지능은 자신과 타인의 감성을 평가하고 표현하는 능력, 자신과 타인의 감성을 조절 하는 능력, 그리고 계획력, 창의력, 집중, 동기화를 통하여 감성을 활용하는 능력으로 정의 된다(Mayer & Salovey, 1997). 본 연구에서는 Mayer와 Salovey(1997)의 연구를 기반으로 김은영(2010)이 수정·보완한 감성지능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감성지능은 자기감성이해, 타인감성이해, 감성통제, 감성활용의 4가지 하위 요인으로 분류되며, 총 16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1점: 전혀 아니다 - 5 점: 매우 그렇다)로 응답하도록 설계되었다.
3) 연기몰입
연기몰입은 연기를 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일종의 정신상태로, 연기를 하면서 인지하는 즐겁고, 몰입된 상태를 의미한다(Csikszentmihalyi 1975, 47). 본 연구에서는 정 유진과 민윤미(2020)의 연구를 바탕으로 연기몰입을 사고와 행동의 일치성(3문항), 활동과 의 조화성(6문항), 시간 개념의 상실(3문항), 행위적 몰입(4문항)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하 위 요인에 따라 총 18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1 점: 전혀 아니다 ~ 5점: 매우 그렇다)로 응답하도록 구성되었다.
3.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본 연구에서 사용할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인지구조의 단순화를 위해 베리멕스(Varimax) 방식을 통해 요인회전을 실시하였으며, 요인 적재치는 기준에 맞게 설정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 검증은 크론바흐 알파 계수를 통해 산출하였으며 기본적으로 0.8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변수 | 항목 | 비표준화 요인부하(B) | 표준화 요인부하(β) | z-값 | SMC | 평균분산추 출값(AVE) | 개념신뢰도 (C.R) | |
---|---|---|---|---|---|---|---|---|
무용 정서 표현성 | 동작의 의미성 | 동작의 의미성1 | 1.000 | 0.740 | - | 0.548 | 0.765 | 0.871 |
동작의 의미성2 | 1.032 | 0.789 | 17.992 | 0.623 | ||||
동작의 의미성3 | 1.079 | 0.829 | 19.004 | 0.687 | ||||
동작의 의미성4 | 0.999 | 0.722 | 16.321 | 0.521 | ||||
개성 | 개성1 | 1.200 | 0.880 | 20.317 | 0.774 | 0.876 | 0.987 | |
개성2 | 1.134 | 0.843 | 19.368 | 0.711 | ||||
개성3 | 1.277 | 0.860 | 19.787 | 0.740 | ||||
개성4 | 1.000 | 0.853 | 18.526 | 0.728 | ||||
연기력 | 연기력1 | 0.906 | 0.792 | - | 0.627 | 0.711 | 0.939 | |
연기력2 | 0.887 | 0.763 | 19.890 | 0.582 | ||||
연기력3 | 1.000 | 0.903 | 21.098 | 0.815 | ||||
표현 충동 | 표현충동1 | 0.931 | 0.884 | - | 0.781 | 0.765 | 0.909 | |
표현충동2 | 0.893 | 0.788 | 23.562 | 0.621 | ||||
표현충동3 | 0.786 | 0.687 | 29.980 | 0.678 | ||||
표현충동4 | 0.657 | 0.716 | 28.876 | 0.598 | ||||
동작성 | 동작성1 | 0.598 | 0.876 | - | 0.711 | 0.761 | 0.897 | |
동작성2 | 0.710 | 0.881 | 27.165 | 0.687 | ||||
동작성3 | 0.698 | 0.778 | 26.098 | 0.668 | ||||
동작성4 | 0.645 | 0.687 | 24.678 | 0.699 | ||||
동작성5 | 0.667 | 0.698 | 28.987 | 0.871 | ||||
x2 =5478.348, df=75, p=.000, IFI=.678, TLI=.585, CFI=.690, RMSEA= .047 |
본 연구에서 수행된 ‘무용정서표현성 하위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CFA) 결과’는 무용정서표현성을 측정하는 설문 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근거를 제공 한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각 하위요인의 개념신뢰도(Conceptual Reliability, CR) 값이 0.7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평균분산추출값(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 0.5 이상을 기록하였다. 이는 설문 도구가 무용정서표현성의 각 하위요인을 일관되고 신뢰성 있게 측 정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CR 값은 변수의 내적 일관성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0.7 이상의 값은 충분한 내적 일관성을 의미한다. AVE 값은 각 요인이 설명하는 변량의 크기를 나타 내며, 0.5 이상의 값은 해당 요인이 측정하고자 하는 변량의 대부분을 포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설문지가 연구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변수를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모형적합도를 평가하는 여러 지표들—IFI, TLI, CFI, RMSEA—의 결과를 통해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IFI(Incremental Fit Index) 값은 0.678, TLI(Tucker-Lewis Index) 값은 0.585, CFI(Comparative Fit Index)는 0.690 으로 나타났으며,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값은 0.047로 측 정되었다. 이러한 지표들은 모형의 적합성이 전반적으로 수용 가능한 수준임을 시사한다. RMSEA 값이 0.01 이하인 경우는 모형의 적합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며 이는 연구 모형이 실제 데이터에 잘 부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볼 때, 이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무용정서표현성의 다양한 측면 을 측정하는 데 있어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표 3>에서 제시된 감성지능 하위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감성지능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이 입증되었다. 각 요인의 개념신뢰도(CR) 값이 0.7 이상으로 나타나고 평균분산추출값(AVE)도 0.5 이상을 기록함으로써, 해당 도구가 감성지능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일관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분석 결과 각 항목들은 높은 요인부하값을 보이며, z-값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안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감성지능의 각 구성요소가 잘 정의되고, 연구 설계에 적합하게 구성되었음을 의미한다. 특히, 감성통제와 감성활용의 높은 요인부하값과 CR 값은 이 변수들이 감성지능 측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모형 적합도를 평가하는 지표들에서는 IFI (Incremental Fit Index)가 0.587, TLI (Tucker-Lewis Index)가 0.487, CFI (Comparative Fit Index)가 0.635로 나타났으며, RMSEA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는 0.071로 측정되었다. 이 지표들은 모형의 적합성이 완벽하지는 않으나 수용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을 나타낸다. 특히 RMSEA 값이 0.08 미만인 것은 모형의 오차가 비교적 낮음을 시사하며, 연구가 실제 데이터를 합리적으로 잘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에서 사용된 감성지능 측정도구는 감성지능의 여러 하위요인을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 로 측정하며, 연구 설계의 타당성을 지원하는 강력한 도구임을 입증한다.
표 3
변수 | 항목 | 비표준화 요인부하(B) | 표준화 요인부하(β) | z-값 | SMC | 평균분산추 출값(AVE) | 개념신뢰도 (C.R) | |
---|---|---|---|---|---|---|---|---|
감성 지능 | 자기감성 이해 | 자기감성이해1 | 0.962 | 0.823 | - | 0.677 | 0.699 | 0.876 |
자기감성이해2 | 0.982 | 0.865 | 28.530 | 0.748 | ||||
자기감성이해3 | 0.926 | 0.828 | 25.930 | 0.686 | ||||
자기감성이해4 | 1.008 | 0.844 | 24.629 | 0.712 | ||||
타인감성 이해 | 타인감성이해6 | 0.980 | 0.876 | - | 0.767 | |||
타인감성이해8 | 1.000 | 0.856 | 25.369 | 0.733 | 0.673 | 0.923 | ||
감성 통제 | 감성통제9 | 1.274 | 0.998 | - | 0.996 | |||
감성통제10 | 0.849 | 0.636 | 16.496 | 0.404 | ||||
감성통제11 | 1.265 | 0.999 | 36.796 | 0.998 | ||||
감성통제12 | 0.875 | 0.671 | 17.745 | 0.450 | ||||
감성 활용 | 감성활용13 | 0.785 | 0.676 | - | 0.457 | |||
감성활용15 | 1.000 | 0.876 | 17.941 | 0.767 | 0.725 | 0.913 | ||
감성활용16 | 1.011 | 0.808 | 22.821 | 0.653 | ||||
x2 =1244.587, df=35, p=.000, IFI=.587, TLI=.487, CFI=.635, RMSEA= .071 |
<표 4>에서 제시된 연기몰입 하위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연구에서 사용된 연기몰입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보여준다. 분석 결과, 각 하위요인의 개념신뢰도 (CR) 값은 0.7 이상으로 나타나고, 평균분산추출값(AVE)도 0.5 이상을 기록하였다. 이는 연기몰입 측정도구가 각 요인을 일관되고 정확하게 측정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연구 설계 에 적합하게 구성되었음을 시사한다. 각 항목의 비표준화 요인부하(B)와 표준화 요인부하 (β) 값은 각각의 변수가 연기몰입의 구성요소를 얼마나 잘 설명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높은 요인부하값은 해당 항목이 해당 요인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z-값의 통계적 유의성은 이러한 요인부하가 신뢰할 수 있는 결과임을 확인한다. 모형 적합도 지수 결과는 IFI가 0.536, TLI가 0.585, CFI가 0.721, 그리고 RMSEA가 0.057로 나타났다. 이 지표들은 모형의 적합성이 완벽하지는 않으나, 특히 RMSEA 값이 0.08 미만인 것은 모형의 오차가 비교적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연구 모형이 실제 데이터에 적절히 부합하고 있음을 나타낸 다. 하지만, IFI, TLI, CFI 값이 비교적 낮게 나타난 것은 모형의 전반적인 적합성이 더 개선될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연기몰입 측정도구는 연기몰입의 다양한 구성요 소들을 신뢰성 있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연기몰입에 관한 더욱 깊이 있는 연구와 이해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표 4
변수 | 항목 | 비표준화 요인부하(B) | 표준화 요인부하(β) | z-값 | SMC | 평균분산추 출값(AVE) | 개념신뢰도 (C.R) | |
---|---|---|---|---|---|---|---|---|
연기 몰입 | 사고와 행동 일치성 | 사고와 행동 일치성1 | 0.582 | 0.852 | - | 0.528 | 0.825 | 0.925 |
사고와 행동 일치성2 | 1.200 | 0.880 | 26.369 | 0.685 | ||||
사고와 행동 일치성3 | 1.256 | 0.769 | 28.530 | 0.714 | ||||
시간 개념 상실 | 시간개념상실5 | 2.365 | 0.693 | - | 0.752 | 0.798 | 0.876 | |
시간개념상실6 | 0.963 | 0.756 | 26.369 | 0.465 | ||||
시간개념상실8 | 0.685 | 0.856 | 30.256 | 0.369 | ||||
행위적 0몰입 | 행위적 몰입9 | 0.698 | 0.778 | - | 0.668 | 0.690 | 0.911 | |
행위적 몰입10 | 0.645 | 0.687 | 24.678 | 0.699 | ||||
행위적 몰입11 | 0.667 | 0.719 | 26.098 | 0.712 | ||||
행위적 몰입12 | 0.698 | 0.718 | 0.776 | |||||
활동과 조화 | 활동과조화성13 | 0.698 | 0.789 | - | 0.813 | 0.698 | 0.891 | |
활동과조화성14 | 0.768 | 0.698 | 31.456 | 0.773 | ||||
활동과조화성15 | 0.698 | 0.778 | 26.098 | 0.668 | ||||
활동과조화성16 | 0.645 | 0.687 | 24.678 | 0.699 | ||||
활동과조화성17 | 0.660 | 0.711 | 28.098 | 0.781 | ||||
활동과조화성18 | 0.669 | 0.879 | 0.776 | |||||
x2 =1368.689, df=35, p=.000, IFI=.536, TLI=.585, CFI=.721, RMSEA= .057 |
4. 자료 처리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sion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빈 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분산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또한 AMOS 7.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p<0.05에서 검증하였다. 일원 분산분석 시 사후 검증은 Scheffe검증법을 사용하였다.
Ⅲ. 결과
1. 차이분석
인구통계학적에 따른 무용정서표현성, 감성지능, 연기몰입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 검정, One-Way ANOVA 및 Scheffe test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표 5
인구통계학적 | 평균치±표준편차 | F(T)값/유의확률 | Scheffe | |
---|---|---|---|---|
무용정서표현성 | 남(a) | 3.42±0.53 | 2.285/0.023* | a<b |
여(b) | 3.79±0.49 | |||
1학년(a) | 3.46±0.91 | 5.047/0.002** | a<c<d | |
2학년(b) | 3.53±0.73 | |||
3학년(c) | 3.68±1.09 | |||
4학년(d) | 3.71±0.76 | |||
1년 미만(a) | 3.61±0.84 | 4.989/0.002** | a<c | |
1년이상-3년 미만(b) | 3.56±0.88 | |||
3년이상(c) | 3.62±0.89 | |||
감성지능 | 남(a) | 3.45±0.76 | 2.582/0.005** | a<b |
여(b) | 3.66±1.04 | |||
1학년(a) | 3.57±0.87 | 4.998/0.001** | b<d | |
2학년(b) | 3.58±0.99 | |||
3학년(c) | 3.79±0.77 | |||
4학년(d) | 3.81±0.89 | |||
1년 미만(a) | 3.61±0.92 | 6.988/0.000*** | a<b<c | |
1년이상-3년 미만(b) | 3.74±1.10 | |||
3년이상(c) | 3.87±0.84 | |||
연기몰입 | 남(a) | 3.70±0.93 | 2.461/0.007** | a<b |
여(b) | 3.89±0.86 | |||
1학년(a) | 3.73±0.92 | 3.604/0.007** | a<b,c<d | |
2학년(b) | 3.85±0.89 | |||
3학년(c) | 3.77±0.96 | |||
4학년(d) | 3.84±0.90 | |||
1년 미만(a) | 3.67±1.01 | 4.866/0.001** | a<c | |
1년이상-3년 미만(b) | 3.79±0.99 | |||
3년이상(c) | 3.88±0.99 |
이를 통해 인구통계학적에 따라 무용정서표현성, 감성지능, 연기몰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에서는 무용정서표현성, 감성지능, 연기몰입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자 <표 6>과 같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6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
---|---|---|---|---|---|---|---|---|---|---|---|---|---|
|
|||||||||||||
1. 동작의 의미성 | 1 | ||||||||||||
2. 개성 | .362** | 1 | |||||||||||
3. 연기력 | .324** | .304** | 1 | ||||||||||
4. 표현충동 | .223** | .152** | .249** | 1 | |||||||||
5. 동작성 | .401** | .352** | .344** | .254** | 1 | ||||||||
6. 자기감성 이해 | .328** | .325** | .410** | .232** | .141** | 1 | |||||||
7. 타인감성 이해 | .217** | .351** | .123** | .195** | .207** | .126** | 1 | ||||||
8. 감성통제 | .264** | .301** | .175** | .288** | .251** | .188** | .112** | 1 | |||||
9. 감성활용 | .330** | .269** | .284** | .311** | .226** | .211** | .451** | .415** | 1 | ||||
10. 사고와 행동 | .267** | .267** | .277** | .301** | .398** | .327** | .377** | .334** | .192** | .305** | 1 | ||
11. 시간개념 상실 | .341** | .220** | .238** | .217** | .327** | .281** | .277** | .254** | .247** | .300** | 1 | ||
12. 행위적 몰입 | .241** | .348** | .315** | .288** | .274** | .352** | .333** | .222** | .267** | .373** | .281** | 1 | |
13. 활동과 조화 | .224** | .263** | .312** | .215** | .153** | .324** | .217** | .351** | .294** | .333** | .288** | .154** | 1 |
*p<.05**p<.01
이를 통해 각각의 주요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변수들 의 상호연관성은 모두 긍정적이고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결과를 보였으며, 각 변수들 간의 상관 계수가 0.8보다 낮아 다중 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무용 전공자의 무용정서표현성이 감성지능에 (+)의 영향
<표 7>에서 제시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정서표현성이 감성 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각 독립변수인 무용정서표현성의 하위요인들이 감 성지능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무용정서표현성이 감성지능을 상당 부분 설명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개성’이 가장 큰 표준화계수(β = .354)를 보여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이어 표현충동 (β = .219), 동작성 (β = .187), 동작의 의미성 (β = .164), 그리고 연기력 (β = .145)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표 7
종속변수 | 독립변인 | 비표준화계수 | 표준화계수 | t | 유의확율 | VIF | |
---|---|---|---|---|---|---|---|
B | 표준편차 | B | |||||
감성지능 | (상수) | 2.088 | .392 | 5.118 | .000 | ||
동작의 의미성 | .125 | .076 | .164 | 1.725 | .000 | 1.886 | |
개성 | .292 | .090 | .354 | 3.783 | .000 | 1.212 | |
연기력 | .223 | .078 | .145 | 2.876 | .000 | 1.987 | |
표현충동 | .118 | .067 | .219 | 1.878 | .000 | 1.277 | |
동작성 | .119 | .043 | .187 | 2.187 | .000 | 1.098 | |
R2 | .448 | ||||||
adj.R2 | .292 | ||||||
F(p) | 79.976(P<0.001) |
무용정서표현성의 다섯 가지 하위요인 모두 감성지능에 유의한 양적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무용을 통한 감정의 표현과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는 것이 감성지능 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 요인의 영향력이 다르긴 하지만, 무 용의 다양한 측면이 감성지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분석에서 도출된 무용정서표현성의 설명력은 R2 = .448로, 이는 모형이 전체 감성지능 의 약 44.8%를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높은 설명력은 무용정서표현성이 감성지능을 형성하고 발달시키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각 하위 요인의 유의 미한 영향력은 무용 활동이 단순한 신체적 활동을 넘어서 감성적, 인지적 영역에서의 발달 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 무용을 통한 자신의 감정 표현과 개성의 발휘는 자기 이해를 증진시키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도 긍정적인 감성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으며, 이는 감성지능의 주요 구성 요소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무 용 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감성지능 증진을 목표로 한 교육적 접근이 중요 하며, 무용이 감성지능의 개발에 기여하는 방식을 더욱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연구하는 것 이 필요하다. 중국 내 무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하여 감성지능 증진을 목표로 한 교육적 접근을 예시로 들면, 중국 전통 무용과 현대 무용의 융합 교육이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무용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을 키우도록 돕는다.
4. 무용 전공자의 감성지능이 연기몰입에 (+)의 영향
<표 8>은 감성지능이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연기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중요하게 조명하 고 있다. 감성지능의 네 가지 하위 요인-자기감성이해, 타인감성이해, 감성통제, 감성활용-이 연기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감성지능이 연기몰입을 증진시키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분석에서 타인감성이해가 가장 큰 표준화 계수(β = .311)를 보여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감성통제 (β = .232), 감성활용 (β = .201), 자기감성이해 (β = .187)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다. 각 요인들의 유의확률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t 값은 이들 요인이 연기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신뢰할 수 있음을 보증한다. 감성지능이 연기몰입을 설명하는 R2 값은 0.350로, 이는 모형이 전체 연기몰입의 약 35%를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감성지능이 무용 수업 및 연습에 있어서 단순히 기술적 스킬의 습득을 넘어서 학생들의 몰입을 극대화하고, 그들의 예술적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표 8
비표준화계수 | 표준화계수 | t | 유의확율 | VIF | |||
---|---|---|---|---|---|---|---|
종속변수 | 독립변인 | B | 표준편차 | B | |||
감성지능 | (상수) | 1.765 | .298 | 7,.877 | .000 | ||
자기감성이해 | .119 | .043 | .187 | 2.187 | .000 | 1.098 | |
타인감성이해 | .287 | .047 | .311 | 1.098 | .000 | 1.009 | |
감성통제 | .067 | .076 | .232 | 2.456 | .000 | 1.110 | |
감성활용 | .198 | .088 | .201 | 1.987 | .000 | 1.098 | |
R2 | .350 | ||||||
adj.R2 | .276 | ||||||
F(p) | 110.987(P<0.001) |
연구 결과에 따르면, 특히 타인의 감성을 이해하는 능력이 연기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용수가 무대 위에서 다른 무용수들과의 상호작용 및 공감 능력이 연기의 질과 깊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감성을 효 과적으로 통제하고 활용하는 능력 역시 개인의 연기몰입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 며, 이러한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작용할 때 연기몰입은 더욱 강화된다.
5. 매개효과
중국 대학생의 무용정서표현성과 연기몰입 간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기 위해 Process macro의 모형 17번을 이용하였고, 부트스트래핑 지정 및 신뢰구간 95%를 설정하였다. 모델 1에서는 무용정서표현성이 연기몰입을 설명하는 R2가 31.52%이 며, 모델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F 값은 65.86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이는 무용 정서표현성이 연기몰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모델 2에서는 무용정서 표현성과 연기몰입 간의 관계를 다루며 감성지능의 매개 역할을 추가로 고려하였다. 이 모델에서 R2는 45.72%로 증가하였고, F 값은 66.825로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이는 감성지능이 무용정서 표현과 연기몰입 사이에서 중요한 매개 역할을 수행함을 보여준다.
표 9
구분 | 변인 | β | se | t | p | LLCI* | UCLI* | R(R2) | F(p) |
---|---|---|---|---|---|---|---|---|---|
Stage1 | 매개변인 모형(종속변수: 연기몰입) | ||||||||
상수 | .586 | .112 | 5.088 | .000*** | .396 | .762 | .3152 (.0468) | 65.865 (.000***) | |
무용정서표현성 | .171 | .028 | 6.123 | .000*** | .326 | .144 | |||
Stage2 | 매개변인 모형(종속연수: 연기몰입) | ||||||||
상수 | 3.950 | .112 | 37.892 | .000*** | 3.738 | 4.067 | .4572 (.2686) | 66.825 (.000***) | |
무용정서표현성 | .153 | .061 | 2.508 | .014* | .131 | .227 | |||
감성지능 | .130 | .062 | 2.087 | .040* | .110 | .281 |
*p<.05, **p<.01, ***p<.001
이 결과는 감성지능이 무용 수업 및 연습에서 무용정서 표현성과 연기몰입 사이의 중요 한 매개 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한다. 감성지능의 구성 요소인 자기감성의 이해, 타 인감성의 이해, 감성의 통제 및 활용 능력이 연기몰입을 촉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연기몰입이 단순히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감성적인 요소에도 크 게 의존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무용 수업이나 공연에서 무용수들은 기술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감정을 표현하고 이해하는 데 감성지능의 능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무용 교육 및 훈련 과정에서 감성지능을 강화하는 것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무용학습자들에게는 단순히 기술적인 훈련뿐만 아니라 자신 및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중국 내 무용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전통적으로 기술적 교육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많은 교육 프로그램에서 기술적 훈련이 교육 과정의 50% 이상을 차지하 고 있으며, 감정 표현 교육은 부차적인 위치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중국의 전통 적 무용 교육이 기술적 완성도를 중시하는 경향과 연관이 있다. 그러나 무용이 단순한 기 술적 퍼포먼스에서 감정과 이야기를 전달하는 예술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감정 표현 교육 이 필수적이다. 감정 표현이 부족한 기술적 무용은 학습자들이 진정한 몰입감을 느끼기 어렵게 하며, 관객과의 정서적 연결이 약해질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중국 전통 무용과 현대 무용의 융합 교육 프로그램은 감정 표현을 강화하는 좋은 예시이다. 이 프로그램은 기술적 훈련과 함께 정서 표현을 교육의 주요 요소로 포함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감정을 무용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키우도록 설계되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단순히 동작을 반복하는 것이 아닌, 감정과 이야기를 담은 예술적 표현을 익힐 수 있다. 감정 표현 교육을 포함한 무용 프로그램이 기술적 훈련만을 강조한 프로그램에 비해 더 높은 예술적 성취를 이끌어낸다 는 연구 결과는 매우 유의미하다. 이는 무용 교육에서 감정 표현 교육이 필수적이라는 사 실을 뒷받침하며, 중국 내 무용 교육 프로그램에서 감정 표현 교육의 비중을 확대할 필요 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중국 내 무용 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기술적 교육과 감정 표현 교육 간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며, 감정 표현 교육의 비중을 늘리고 이를 체계적으 로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도입함으로써, 학습자들이 보다 완성도 높은 무용가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Ⅳ. 결 론
이 연구는 중국 대학교 무용 전공 대학생의 무용정서표현성이 감성지능과 연기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며 이는 무용정서표현성이 감성지능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로, 연기몰입이라는 성과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 해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징의 무용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무용정서표현성(동작의 의 미성, 개성, 연기력, 표현 충동, 동작성)이 감성지능에 유의하게 정적 (+) 영향을 미쳤으며, 동작의 의미성 β=.164, 개성 β= .354, 연기력 β= .145, 표현 충동 β= .219, 동작성 β= .187순으로 나타났다. 무용정서 표현성이 감성지능을 설명하는 R2=.448으로서 44.8%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결과는 무용을 통한 감성적 표현이 감성 지능과 관련이 깊다 는 것을 시사한다. 즉, 무용을 통해 감정을 표현하고 이해하는 과정은 개인의 감성지능을 형성하고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작의 의미성, 개성, 연기력, 표현 충동, 동작 성 등의 다양한 측면이 감성 지능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성적 표현이 지능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무용 수업이나 연습이 감성지능을 향상시키는 데 유익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따라 서 무용 교육과 연습 프로그램은 단순히 기술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감성적인 표현과 이해 를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감성지능(자기감성이해, 타인감성이해, 감성통제, 감성활용)이 연기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감성지능의 하위요인은 연기몰입에 유의하게 정 적 (+)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감성이해 β= .187, 타인감성이해 β= .311, 감성통제 β= .232, 감성활용 β= .201, 순으로 나타났다. 무용정서표현성이 감성지능을 설명하는 R2= .350으로서 35%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자기감성이해, 타인감성이해, 감성통제, 감성활용 등의 감성지능이 연기몰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무용 학습자들이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통제하며, 감성을 활용하는 능력이 높을 수록 연기몰입도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무용 교육이 단순히 기술적인 측면뿐 아니라 감성적인 측면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강조한다.
셋째, 중국 대학생의 무용정서표현성과 연기몰입 간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감성지능이 무용정서표현성과 연기몰입 간의 관계 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무용을 통한 감성적 표현과 연기몰입은 감 성지능을 통해 중재되고 조절될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무용정서표현성과 연기몰입 사이 의 관계가 감성지능을 거쳐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감성지능은 자기감성이해, 타인감성 이해, 감성통제, 감성활용 등 다양한 측면을 포함하며, 이러한 다중 요인들이 무용정서표현 성과 연기몰입 사이의 관계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무용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이 감성지능을 향상시키고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진화해야 함을 시사한다. 감성지능을 향상시키는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의 무용정서표현성과 연기몰입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무용정서표현성, 감 성지능, 연기몰입에서 더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이는 감성 표현 능력에서 여성이 남성보 다 우위에 있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부분이다. 무용 활동에서 여성 무용수는 동 작을 통한 감정 표현과 타인과의 정서적 교류에서 더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는 경향이 있으 며, 이는 연기몰입에서도 여성이 더 높은 성과를 보이는 이유로 설명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중국 베이징에 있는 무용 전공 대학생들이 어떻게 감정을 표현하고, 이것이 그들의 감정 이해 능력과 연기에 몰입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무용을 통해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은 학생들이 감정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연기에 얼마나 잘 몰입할 수 있는지를 예측하는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또한, 감정을 잘 이해하는 능력인 감성지능도 연기에 몰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는 무용 교육이 예술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감정표현 및 이해 능력과 연기에 더 잘 몰입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교육 방법이나 교과과정을 개발 하는 데 있어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무용은 학생들이 자신의 감정을 몸으로 표현하는 법을 배우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연 기 몰입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무용을 통해 학생들은 감정의 흐름을 신체적으로 표현하 는 능력을 기르며, 이는 연기할 때 더 깊은 감정적 몰입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예술 전공 학생들에게 무용 교육이 중요한 이유는 연기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서이다. 이는 단순 히 동작을 배우는 것을 넘어, 감정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을 준다. 무용 교육이 연기 몰입을 돕는 것에 더해, 정서적 프로그램을 통합하는 것은 학생들이 감 정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더욱 강화시킨다. 단순히 기술적 동작을 배우는 것만으로 는 감정의 깊이를 표현하기 어렵다. 따라서, 정서적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다양한 감정을 탐구하고 이를 무용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는 연기와 예술적 표현 능력을 종 합적으로 향상시킬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무용 교육과정에서 감성지능 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는 무용수들이 자신의 감정을 보다 자유롭게 표현하고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연기몰입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한 맞춤형 교육 방법론이 필요하다. 여학생의 감성지능과 정서표현력이 높은 반면, 남학생은 이러한 측면에서 훈련이 더 필요할 수 있음을 감안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무용정서표현성과 감성지능을 중시하 는 교육 방식은 무용수들이 예술적 성과를 넘어 무대에서 깊은 몰입 상태를 경험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더 높은 예술적 성취를 이끌어낼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할 것이다 .
중국의 예술 교육에서는 전통적으로 기술적 훈련에 중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연기 몰입 을 위해서는 감정 표현이 필수적이며, 무용 교육이 이 부분을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중 국의 예술 교육 과정에서도 무용 교육의 비중을 확대하여 학생들이 연기와 무용 모두에서 감정 몰입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중국의 무용 교육에서 정서적 프로 그램을 강화하는 것은 학생들이 단순히 기술을 넘어 감정의 깊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 력을 기르는 데 필수적이다. 이는 학생들이 예술적 성취를 이루고, 다양한 예술 형태에서 감정적 연결을 더 잘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한계점을 바탕으로, 향후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면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할 수 있다. 무용정서표현성, 감성지능 그리고, 연기몰입과 관련된 선행 연구의 부족함 을 인지함에 따라, 이들 주제에 대한 연구 대상과 분석 방법을 다양화하여,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실들을 보다 세밀하게 탐구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무용정서표현성은 무용 수행 시 표출되는 감정의 정교함과 깊이를 의미하며, 감성지능은 개인이 자신 및 타 인의 감정을 인식, 이해, 관리하는 능력을 가리킨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가 설문조사 방법 에만 의존했기 때문에, 각 변인에 대한 개인별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이 부족했다. 따 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종단적 연구나 질적연구를 연구 설계 과정에 포함시켜 수행함으로 써, 보다 풍부한 결과와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