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댄스스포츠는 최근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 함께 운동, 예술, 스포츠, 레크리에이션적 요 소를 갖춘 여가 활동으로 자리 잡으며 건강 증진과 즐거운 삶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 는 역할을 하고 있다. 현대인들의 건강과 행복한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댄스스포츠 는 단순한 취미를 넘어 사회·문화적·건강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세계적으로 댄스스포츠는 특정 국가나 계층에 얽매이지 않고 남녀노소 모두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 자리 매김하였으며 경제 발전과 더불어 여가 활동이 다양해지면서 건강 하고 의미 있는 취미 생활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댄스스포츠는 사회문 화적 가치를 지닐 뿐만 아니라 건강한 사회 생활체육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 고 있다(한선숙 1998, 56).
현대 사회의 기술 발전에 따라 신체 활동이 줄어드는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댄스스포츠 는 이를 보완하는 효과적인 신체 활동으로 참여자의 스트레스와 긴장을 해소하는 데 도움 을 주고 있다. 또한, 감정 표현을 통해 심신의 여유를 찾게 하며 문화와 예술을 이해하는 폭을 높여 줌으로써 직접적인 체험을 통한 아름다움의 추구를 선사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스트레스 속에서 생활하는 현대인에게 이상적인 운동으로 댄스스포츠를 권장할 수 있다. 댄스스포츠의 유연한 운동을 통하여 일상의 지루함과 단조로움을 해소하고 정서 적으로 활력을 불어넣는 생활의 윤활유 역할을 통해 심리적 안정감과 생활 만족도에 긍정 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예술적 감각을 함양하고 건전한 사교성을 형성하여 대인관계 뿐만 아니라 원만한 사회생활과 인격 성장에도 도움을 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댄스스포츠를 통한 학습은 일탈 청소년들의 자기 자신에 대한 신념과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고 댄스스포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충분한 학습과 연구의 필요성 을 주장한 바 있는 것처럼 댄스스포츠의 긍정적인 의미와 효과를 위한 발전 과정을 탐색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시점이다(이인 2011, 242; 김석일 2005, 254-255).
댄스스포츠는 리듬체조, 피겨스케이팅과 같은 스포츠 종목처럼, 음악, 기교, 체력, 의상, 연기, 무용, 신체 형태 등이 융합된 종목으로 문화 오락의 예술적 요소와 경기 스포츠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학문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댄스스포츠는 생리학, 음악학, 미술 학, 문학, 무용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가 결합된 복합 학문으로 볼 수 있다(付明忠 2013, 100). 이러한 종합적이고 다채로운 특성 덕분에 댄스스포츠는 현대 사회에서 사회성을 함 양하고 신체를 단련하는 데 효율적인 스포츠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다른 댄스스포츠 강 국에서는 오랜 역사와 문화를 바탕으로 댄스스포츠가 널리 확산되었으며 미국, 러시아, 영 국, 독일, 캐나다 등 스포츠 강국들이 세계 댄스스포츠의 발전을 선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댄스스포츠는 19세기 말 비교적 늦게 도입되었으며 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20세 기 말이 되어서야 본격화되었다. 초기에는 유교 사상의 영향으로 인해 부정적인 인식이 강했고 댄스스포츠가 바람직하지 않은 사회 풍조와 연관된다는 시각도 존재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발전 속도가 더뎠으며 완성된 댄스스포츠 문화가 형성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그러나 수십 년에 걸친 노력 끝에 기본적인 체계가 구축되었고 지도자들의 노력으로 한국 댄스스포츠의 저변은 확대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댄스스포츠 관련 연구는 다른 댄스스 포츠 강국에 비해 부족하며 관련 문헌 자료도 한정적이어서 심층적인 연구에는 한계가 있 다. 특히 한국에서 댄스스포츠가 정착하기까지 수많은 시행착오와 어려움을 겪었다. 1920년 대에 도입된 댄스스포츠는 ‘사교댄스’로 불렸으나 당시 사회적 인식 부족과 왜곡된 시각으 로 인해 비건전한 사교 행위로 오해받아 수업이 금지되었으며 이로 인해 30년 넘게 발전이 정체되어 아직까지 일부에서는 여전히 이러한 부정적 인식이 남아 있는 상황이다.
중국 댄스스포츠는 지난 세기 중반에 적용된 이후 빠르게 발전하며 대중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현재 많은 학교에서 스포츠 예술 과목 중 하나로 입지를 다지며 학생들의 문화 활동을 더욱 풍족하게 하고 있다. 2005년 이후 중국의 최상위급 댄스스포츠 대회가 매년 증가하며 여러 차례 국제 댄스스포츠 대회를 개최함으로써 대회 운영이 점차 조직적이고 공식화되었다. 최근 중국은 국제 문화 교류의 빠른 성장과 함께 댄스스포츠 역시 제2의 성장기에 접어들었으며 국제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는 실정이다(陈志军, 翁艳 2012, 98). 오늘날 중국 댄스스포츠는 운동적 특성과 예술적 특성을 겸비한 매력적인 종목 으로 대중에게 인기 있는 스포츠로 자리 잡았다. 중국 전역에서는 공공교육, 문화 관광 홍 보 영상 등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홍보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 연령층이 댄스스 포츠에 자연스럽게 참여하고 있다. 아울러 현재 댄스스포츠는 교육, 경기, 의상, 메이크업, 문화 관광을 포함하는 공급망을 형성하고 있으며 시장 규모는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아시아의 두 스포츠 강국인 한국과 중국은 아시아 지역에서 댄스스포츠를 대중화 할 중 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이를 위한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는 교육 기관, 클럽, 경연 대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 체계를 강화하는 것이다. 또한, 비교학적 관점의 공동 연구를 통해 댄스스포츠의 연구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나라와 아시아 전반에 서 걸쳐 댄스스포츠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참고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u Xiuying, 육조영 2011, 244).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댄스스포츠가 지닌 역사적 배경, 조직 구조, 대중화 과정, 경기 기술 및 성과 그리고 문화적 요소 등의 발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탐색하여 양국의 댄스스포 츠 발전 현황과 미래 발전 방향을 다각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양국의 댄스스 포츠 문화 및 예술 체육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발전을 위한 참고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발전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및 분석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댄스스포츠 발전의 역사적 배경과 발전 과정을 고찰하기 위하 여 국내외 학위논문, 학회지 논문 등 다양한 문헌 자료와 인터넷 검색을 통해 관련 연구들 을 다방면으로 수집하였다. 이를 위해 RISS, CNKI, 네이버, 구글 등 주요 학술 포털과 인 터넷 자료를 활용해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전문 서적, 미디어 자료 중 ‘한국과 중국의 댄스스포츠’ 키워드를 중심으로 역사, 발전 과정, 조직, 경기 기술 및 성과, 문화적 요소 및 특징 등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별로 정리·분류하였으며, 댄스스포츠 발전의 역사적 배경과 시대별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양국의 댄스스포츠 발전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한국과 중국의 댄스스포츠가 시대별로 어떤 변화 과정을 거쳤는지에 중점을 두어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국내외 선행 연구와 저서, 문헌 기록을 심층적으로 검토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자료법, 비교 분석법, 논리 분석법 등의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 과 중국의 댄스스포츠의 형성 과정과 조직 구조를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1) 문헌 자료법
문헌 자료법은 한국과 중국의 댄스스포츠 역사와 발전에 관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문헌 을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대적 요약 분류 및 특성을 분석하여 지금까지 발표 된 댄스스포츠 관련 저서와 논문 그리고 간행물 등 선행연구를 폭넓게 검토하였다. 이후, 댄스스포츠 역사 전문가 자문을 통해 한국 댄스스포츠 발전, 중국 댄스스포츠 발전, 세계 댄스스포츠 발전, 이론(평론) 등으로 구분하여 자료를 선정하였다. 또한, IDSF, WD&DSC 등 국제기구 공식 홈페이지 등 댄스스포츠 관련 인터넷 자료를 통해 관련 정보를 종합적으 로 정리하였다. 자료 수집은 온라인 검색 및 방문을 통해 PDF 파일 및 복사 등의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2) 비교 분석법
비교 분석법은 한국과 중국의 댄스스포츠 발전 과정의 차이를 중심으로 각 한국과 중국 의 댄스스포츠 발전 과정 중 발생하였던 사회인지 수준과 국민 참여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그 차이점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댄스스포츠 발전의 제약 요 소들을 비교 분석하여 궁극적으로는 한국과 중국의 댄스스포츠 발전 과제 중 각 국가의 댄스스포츠 관련 현황을 중심으로 댄스스포츠 발전 배경, 조직, 경기 수준 및 문화, 대중적 저변 확대 등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활용하였다.
3) 논리 분석법
연구자는 한국과 중국의 댄스스포츠 발전을 고찰하기 위해 연구 목적과 내용에 따라 문 헌을 수집, 요약, 분류하는 과정을 거쳤다. 다양한 자료에 대하여 텍스트화 한 뒤 체계적인 분석을 위하여 전사 작업단계를 거쳐 수집한 모든 자료를 컴퓨터에 체계적으로 기록하였 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수집된 자료 중 양국의 댄스스포츠 발전 과정의 역사와 발전에 관한 제약 및 과제를 위한 내용을 분류하고 비교 분석법과 함께 논리적인 맥락과 의미를 반복적으로 검토하며 연구 결과를 재배열하고 체계화하는 순환적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 를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의 댄스스포츠 각 단계별 발전 특성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체계 적으로 정리한 뒤,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2. 연구의 진실성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주관성을 최소화하고 자료의 진실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연구 자 간 교차 검토 및 외부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다. 연구자 3인은 수집된 자료를 통해 양국 댄스스포츠 발전 과정의 각 요소별 특징에 대한 사실적 근거를 중심으로 교차 검토를 진행하였으며,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연구자 3인은 검토 결과에 따른 내용을 연구 결과로 작성하며 빠지거나 부족한 내용은 없는지, 논리적인 연구 결과물을 이끌어냈는지 등 순환적으로 교차 검토를 진행하며 연구 결과 내용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차 검토와 외부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부족했던 부분을 보완하고, 논문의 완성도를 끊임없이 제고하고자 노력하였다. 이후 스포츠 교육학 전공 교수 3인, 박사 2인, 체육 역 사·철학 박사 2인으로 구성된 외부 전문가의 검토를 통해 연구 결과물의 해석과 작성 과정 에서 외부자적인 시선으로 바라본 양국 댄스스포츠 발전 과정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며 결과에 대한 객관성과 진실성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검토 과정을 통해 본 연구 자료의 해석과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Ⅲ. 결 과
댄스스포츠 문화 발전은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으며 20세기 초 ‘영국왕립무용교사협회(Royal Academy of Dance)’ 소속의 다양한 무용 전문가들이 전통 궁중무용, 사교춤, 민속춤 등 당대에 유행하던 춤 동작과 스텝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체계 화하며 통일된 경기 규칙과 기준을 정립함으로써 댄스스포츠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발전을 거쳐 초기의 사교춤에서 점차 경기적 성격을 갖춘 현대 댄스스포츠로 발전하 였으며 세계화 흐름과 더불어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성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댄스스포츠 대회의 시작은 제1회 블랙 풀브리티시 오픈 챔피언십으로 1920년 블랙풀 ‘윈터가든(Winter Garden)’의 퀸즈 볼룸(Empress Ballroom)에서 열렸다. 1950년 영국 ICBD(세계무용기구)가 주최한 최초의 세계적인 대회인 블랙풀 댄스 페스티벌이 세계적으 로 널리 알려지면서 발전하였고 모던댄스에 비에니즈 왈츠가 추가되었다. 1960년 아프리 카와 라틴 아메리카 일부 국가의 민속춤은 표준화 과정을 거친 후 라틴 춤 경연 대회가 추가되었으며 이후 매년 5월 말 영국의 블랙풀에서 세계적인 대회가 열리고 있다. 매년 열리는 영국 블랙풀 댄스 페스티벌은 댄스스포츠의 올림픽이라 불리는 최고 권위 있는 대 회로 각국의 스탠더드 댄스 선수들의 꿈의 무대이자, 각국의 스탠더드 댄스 발전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무대이다(黄欣加, 张敏杰, 熊晓正 2006, 26). 현재 국제적으로 존재하는 두 가지 권위 있는 국제 댄스스포츠 단체로는 세계 댄스 평의회(World Dance Council)와 세계 댄스스포츠 연맹(World Dance Sport Federation)이 있다.
1. 한국 댄스스포츠 발전 과정
1) 도입기
한국 댄스스포츠는 1880년대 후반 외래문화의 일환으로 도입된 이후, 1880년대 후반에 서 1940년대 중반으로 한국 사회의 상류층에 의해 사교댄스로 발전하였다. 주로 외교관이 나 유학생, 상류층 사이의 사교 문화로 자리 잡았으며 당시 사교댄스에 대한 사회적 인식 은 서구 문물로 여겨져 신여성, 신남성 등 일부 계층에서만 수용되었다. 이후 댄스스포츠 는 일제강점기와 군사정권 시기를 거치며 일시적인 사회적 억압을 받았다.
1945년 해방 이후 한국전쟁(1950-1953)과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사회 전반적인 여유가 없었으며 유교 문화의 배경인 한국 사회는 남녀가 함께 춤추는 문화에 대한 사회적 거부감 이 크게 작용하였다. 또한, 당시 군사정권의 영향으로 사교댄스는 사회악으로 간주되어 탄 압받았고 일부 호텔, 외국인 전용 클럽 등에서만 이뤄졌으며, 거의 금지 시 되었다. 게다가 한국 댄스스포츠는 유교 사상의 영향으로 인해 초기에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인식되었지만 선진국 등에서 유행한 춤 문화는 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며 특히 일본에서 활발하게 발전하게 된다. 한국은 댄스스포츠의 발전이 더디고 건전한 댄스스포츠 문화가 부재한 채 댄스학원에 의존한 불건전한 사회 풍토가 만연해 있기도 하였다.
댄스스포츠는 19세기 말-20세기 초 사교춤 또는 사교댄스로 불렸으며 이 시기에 볼룸 댄스라는 용어도 함께 사용되었다. 일본이 미국 문화 도입 시 일본 기준의 명칭으로 만들 었으며 일본 문화의 영향을 받은 한국에서 그대로 적용되었다. 볼룸댄스 설명 시 사회적이 고 사교적이란 의미에서 ‘Social Dance’라 표현한 것을 한국도 그대로 적용하여 사용한 것 이다(신주희 2003, 78).
2) 성장기
한국 댄스스포츠는 1980년 이후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면서 발전의 계기를 맞이하게 되었으 며, 1988년 서울올림픽 기념 국제 댄스스포츠 경기대회 직후 댄스스포츠 학원 양성화 노력을 계기로 대중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면서 댄스스포츠는 본격적인 성장기를 맞이하게 된다(한상호 2016,49). 한국 댄스스포츠 단체는 1990년 류우봉 대표가 있는 한국아마추어스 포츠댄스위원회(KASDC)가 형성되어 ICAD(국제아마추어댄스연맹, 현 WDSF)에 가입하였 다. 같은 해, 천정태가 형성한 한국무도평의회(KNCBD)가 한국 협의회(WD&DSC)에 가입하 면서 명칭을 한국 댄스스포츠평의회(KDC)로 변경하였다. 이후 한국아마추어댄스협의회도 류우봉을 회장으로 IDSF(국제아마추어댄스연맹, 현 WDSF) 한국연맹에 가입하면서 한국댄스 스포츠연맹(KDF)으로 명칭을 변경하였고(신주희 2003, 84), 1996년 한국에서 열린 IDSF 제3회 아시아태평양 챔피언십을 성황리에 개최하며 이를 계기로 아시아댄스스포츠연맹 (ADSF)이 창립되었다. 이로써 한국의 댄스스포츠는 국제 교류가 활발해졌으며 댄스스포츠는 각종 미디어를 통해 확산이 되며 각광을 받게 되었다.
1990년대 초, 국제무도평의회(ICAD, 현 IDSF)가 ‘볼룸댄스(Ballroom Dance)’ 대신 ‘댄 스스포츠(DanceSport)’라는 용어 사용을 공식적으로 권장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발맞추어 한국에서도 1990년대 중반부터 ‘댄스스포츠’라는 명칭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 다. 1991년 ‘체육시설의 설치와 이용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댄스스포츠가 합법적인 체육 활동으로 인정받았고(한상호 2016, 50), 1997년 대한체육회 준가맹단체로 대한댄스스포츠 연맹(KFD)이 승인되면서 정부와 체육계에서 ‘댄스스포츠’라는 명칭이 공식화되었다. 이후 방송, 대회, 교육기관 등에서도 통일된 명칭으로 자리잡게 되었을뿐만 아니라, 공식적인 종목으로 자리잡게 됨에 따라 교육, 대회, 동호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장하게 되었다. 특히 1998년 방콕 아시안게임에서 댄스스포츠가 시범종목으로 채택되면서 국제적 위상도 높아져 갔다.
3) 확장기
한국 댄스스포츠는 2000년을 기점으로 생활체육으로써의 확장과 댄스스포츠의 전문성 및 예술성을 중심으로 확장기에 접어들게 된다. 2000년대 이후 댄스스포츠는 정식 생활체 육 종목으로 자리 잡고, 대한체육회 정회원 단체로 인정받게 되었으며 댄스스포츠는 스포 츠와 예술을 결합한 용어로 자리 잡고 교육 및 생활체육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한 상호 2016, 46). 한국 댄스스포츠는 2003년 처음으로 IDSF 국제대회를 성공리에 개최한 이후 대한민국 댄스스포츠협회(KFD) 주관으로 매년 국가대표 선발전인 ‘댄스스포츠 전국 선수권 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 댄스스포츠 발전과 국제적 경쟁력 증진에 중요 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를 통해 댄스스포츠는 생활체육과 전문성을 동시에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댄스스포츠는 스포츠와 문화가 결합된 스포츠 예술의 형태로 우리 사회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으며 빠르게 발전하며 전국적으로 댄스스포츠 클럽이 활성화되고 다양한 연령층이 참여하는 스포츠가 되었다. 이후 전국체전, 전국생활체육대회 등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 되어 선수층이 두터워졌으며 체계적인 제도와 교육, 다양한 대회 개최 등으로 대중화 및 전문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한국 선수들이 아시아, 세계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경쟁력도 갖추게 되었다(한상호 2016, 47-52).
2000년 중반 이후 댄스스포츠는 문화콘텐츠 발전과 예능 프로그램 홍보를 통해 생활체 육으로 즐기는 동호인이 13만 명으로 증가하고 초·중·고·대학교와 평생교육기관, 기업·단체 등의 교육프로그램으로 활용되었으며 2007년에는 정식 가맹 단체로 대한체육회(KOC)의 승인을 받았다(한상호 2016, 51). 이후 대중화와 국제화 과정을 통해 경쟁 스포츠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동시에 예술성과 여가 활동의 측면에서도 사회적 가치를 인정받으며 오 늘날 대표적인 생활체육이자 문화예술로 자리 잡게 되었다.
댄스스포츠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한국은 은메달 7 개, 동메달 3개를 획득함으로써 댄스스포츠 아시아 강대국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2012 년 한국스포츠대회인 전국체전에 정식종목으로 채택되는 쾌거를 이루게 된다(한상호 2016, 51). 이러한 발전 과정은 한국 댄스스포츠가 국내외로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성장 해 온 과정을 보여주며, 국제기구와의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세계적으로 성장하는 기반이 되었다(인천일보 2022, 11. 24).
2. 중국 댄스스포츠 발전 과정
1) 도입기
중국의 댄스스포츠 도입은 1883년 청나라 말 황협훈(黃協埙)은 『송남몽영록(松南夢影 錄)』에서 ‘서양인의 사교춤이 상하이(上海)에 전해진 이때부터’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댄스스포츠는 유학자, 관료, 대학, 사회단체 등을 통해 공연을 펼치면서 상하이로 유입되고 확산되었지만 당시에는 상류사회와 귀족계급의 오락거리로만 활용되었다. 1949년 중화인 민공화국이 수립된 이후 댄스스포츠는 더욱 널리 보급되었으며 주요 도시의 주요 축제에 서 무도회 및 레크레이션 형태로 정착되었다. 평일이나 휴일을 막론하고 공장, 기업, 학교, 군부대 등에서 댄스스포츠를 추는 사람이 많아지기 시작하였으며 시민들이 쉽게 배울 수 있도록 스텝 도안을 신문에 게재하기도 하였다. 1953년 국경절에는 천안문 광장에서 군중 무용 파티가 열렸고 댄스스포츠는 점차 대중문화의 주요 활동이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정치적으로 소수의 지식인과 권력층 등이 참여하는 댄스스포츠는 근대 중국과 서양 정치 및 상업계 엘리트들의 공간 거리를 좁혔을 뿐만 아니라 중국과 서양의 정치, 경제, 문화, 역사 등 다양한 방면에서 상호 이해와 다방면의 상호작용을 더 넓게 구축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付明忠 2013, 100). 1960년대에는 ‘문화대혁명’의 영향으로 댄스스포츠의 발전이 정체되었으나 1978년까지 개혁 개방이 시작되면서 댄스스포츠는 다시금 활발해지기 시작 하였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중국도 이 시기 볼룸댄스와 사교춤이라는 용어를 함께 사용하 였지만 댄스의 대중화와 국제 교류 및 전문 기술의 지속적인 강화로 전문 용어와 국제 표 준으로 댄스스포츠로 통일되었다(董童 2016, 436).

도판 2
1950-60년대 중국 댄스스포츠 열풍에 관한 사진(Photographs on the Chinese dance sports craze in the 1950s and 1960s). 『베이징 일보』, 1953. 3. 27.
2) 성장기
중국 댄스스포츠는 1980년대 이후 사회 전반적인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중국에서 점차 대중화되고 발전하게 되며 가장 공식적인 댄스스포츠 기구 두 곳인 국가체육총국소속의 중국댄스스포츠연맹(CDSF)과 중국문학예술계연맹소속의 중국국가표준무용총회(CBDF)의 설립과 운영으로 구체적인 성장기를 맞이하게 된다. 중국에서는 국제기구 WDC의 역할을 CDSF가 계승 및 발전시키고 있으며, WDSF는 CDSF가 계승하고 발전시키고 있다. 중국국가표 준무용총회(CBDF)는 1986년에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댄스스포츠에 참여 하기 시작하였고 전국 댄스스포츠 대회 개최뿐만 아니라 교사, 심판, 선수단 양성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또한, 댄스스포츠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지속적으로 해외를 방문하거나 전문가를 초청하여 기술과 이론을 향상시켜 중국의 일부 예술대학교와 체육대학교에서 댄스스포츠 과정을 설립하여 전문 댄스스포츠 교사와 선수들을 훈련시키기 시작하였다. 이후 개인 댄스스포 츠 교육 기구도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댄스스포츠를 홍보하고 전문 수준을 높이기 위해 1986년 중국 무용가 협회(CDA)는 최초로 ‘전국 댄스스포츠 선수권 대회’를 개최하였으며 이는 중국 댄스스포츠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되며 댄스스포츠가 중국에서 경쟁화되고 체계화되었음을 명시한다(舞蹈 8 2018. 11. 8).
2000년대 이후 중국은 세계화에 발맞춰 활발한 교류를 시작하였고 중국 선수들은 국제 무대에서 자주 출전하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국제 댄스스포츠 대회에 적 극적으로 참여하며 중국 선수들의 경기 수준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기술과 교육 이념 의 교류와 발전도 촉진하였다(国靖 2021, 1). 2001년 중국 무용체육연맹은 ‘청소년 훈련 교재’를 제정하고 일부 대도시에서 심판 및 교사 교육과정을 개최하였으며 2003년에는 ‘국 가 댄스스포츠 등급 시험 교육 교재’를 발간하고 ‘국가 댄스스포츠 기술 등급 표준 및 복장 규정’을 공포하고 시행하였다. 이어, 2005년 14세 미만 어린이의 규정 동작을 표준화하여 제정하고 댄스스포츠의 예술성과 발전을 위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기반을 마련하였다(方 文洲 2020, 265). 댄스스포츠 항목은 민간의 자발적이고 무질서한 상태에서 규범화와 직업 화가 공존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하지만 이 단계에서 학습자와 코치는 댄스스포츠에 대한 인식과 학습이 모방에만 집중할 뿐, 혁신적인 교육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댄스스포츠는 중국 각 지역에서 발전 수준이 불균형해졌고, 댄스스포츠에 대한 보 급률이 낮아졌으며 댄스스포츠를 배우는 성비의 불균형이 초래되었다(陈立农 2001, 115).
중국 댄스스포츠는 사회, 경제, 정치, 문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뚜렷한 역사적 단계성을 가지고 있다. 사회적 측면에서 중국의 개혁·개방이 지속적으로 추 진됨에 따라 댄스스포츠가 귀족 문화에서 대중문화로 확산되었다. 문화적 측면에서 학습 자들은 세계 민족 문화를 깊이 이해함에 따라, 과거 저속하고 노골적으로 인식되던 댄스스 포츠 문화가 점차 사람들의 내면세계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하기 시작하였다. 정치적 측면 에서 중국 댄스스포츠가 빠르게 발전할 수 있는 기회로 국가 정책적 지원에 의존하고 있으 며, 댄스스포츠 교육 기구의 발전과 세계 댄스스포츠와의 융합을 통한 혁신적인 발전의 기회로 제공하고 있다.
3) 확장기
2000년 중반 이후 중국댄스스포츠협회는 지속적인 조직 체계 강화와 관리 규정 및 운영 방침을 정비를 통해 댄스스포츠 위원회 구성, 조직 구조, 운영 목적, 등록 절차 등 다양한 규정을 발표하며 체계적인 제도 기반을 구축해 왔다. 이러한 제도적 정비와 조직적 발전을 통해 중국 댄스스포츠는 점차 국제 교류를 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에는 세계 주요 대회에 서 중국 선수들이 두드러진 활약을 보이고 있다.
국제 댄스 교류가 심화됨에 따라 중국 선수들은 해외 무용 거장들과 교류하고 학습할 기회가 더 많아졌다. 이러한 기회는 선수들의 무용 기술 향상뿐만 아니라 무용 스타일의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문화 간 교류는 다양한 스타일의 융합과 혁신을 촉진하였 으며, 중국 선수들은 댄스스포츠 종목에 대한 깊은 이해와 애정을 바탕으로 국제무대에서 의 자신감과 실력 향상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특히 2009년 이후 중국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기술 수준은 크게 향상되었으며, 선수들의 하루 평균 훈련 시간은 8시간을 넘으며, 일부 선수들은 ‘스포츠 과학+예술적 표현’을 합친 훈련 방식을 도입하여, 기술 동작의 정밀성을 국제 표준에 맞게 훈련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 중국 선수들은 국제대회에서 우수한 성적 을 거두며 댄스스포츠 분야에서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세계 최상위 수준과 비 교하였을 때 여전히 큰 격차가 존재하며 이는 중국 선수들의 예술적 표현력 부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李旭 2020, 1).
최근 댄스스포츠는 중국 전문 대학교에 설립되면서 더 많은 전문 인재들을 양성하고 있 는 추세이다. 중국은 현재 명실상부한 댄스스포츠 대국으로 발전하였으며 가장 큰 댄스스 포츠 시장과 소비자 단체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중국의 예술 체육 분야 중·고등학교 대학 교 대부분 댄스스포츠 전공을 개설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베이징 무용학원, 상하 이 연극학원, 베이징 체육대학, 상하이 체육 학원 등은 중국 댄스스포츠의 발전을 위한 견 고한 학문적 기반을 형성하고 있다. 현재 중국 전역 약 100여개 대학이 댄스스포츠 관련 전공 또는 과정을 개설하였으며 약 1,000만 명 정도가 댄스스포츠 학습 및 훈련에 참여하 고 있다(李旭 2020, 1). 또한, 전국도시체육대회, 전국 대중 피트니스댄스대회, 전국 청소 년 댄스스포츠 선수권 대회 개최 등을 통해 댄스스포츠 관련 경기와 이벤트가 활발히 이루 어지고 있다. 특히 라틴댄스 중심으로 한 아동 댄스스포츠 부문은 큰 발전을 보이고 있으 며 국가 어린이팀과 국가 청소년팀 등 전문 선수들의 기술 수준은 이미 아시아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높은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
댄스스포츠는 어려운 기술과 난이도를 동시에 요구하는 종목으로 참가자는 뛰어난 기술 뿐만 아니라 뛰어난 예술적 표현 능력도 동시에 갖추어야 한다. 중국은 서양의 댄스스포츠 를 도입하고 학습하는 과정에서 전통 중국 문화 요소를 창의적으로 융합하여, 중국 특성이 반영된 독창적인 댄스스포츠 작품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다(方文洲 2020, 265). 최근 전통 복장을 착용하거나 중국 춤의 특정 요소를 라틴댄스와 결합한 공연은 라틴댄스 특유 의 열정과 활력을 유지하면서도 중국 문화의 우아함과 함축성을 잘 보여준 사례라고 볼 수 있다.
Ⅳ. 논의
1. 한국과 중국의 댄스스포츠 발전 과정의 차이
한국과 중국의 댄스스포츠는 비교적 늦은 시기인 19세기 말에 도입되었으며, 학문적 연 구는 20세기 말에 이르러 시작되었다. 수십 년간의 걸친 발전을 통해 양국은 모두 일정한 발전 체계를 구축하였으나, 다른 댄스스포츠 강국에 비해 연구의 역사적 깊이가 상대적으 로 짧고, 댄스스포츠의 발전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역시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비교 연구의 수가 매우 적고 참고문헌도 제한적인 상황이다. 이러한 한국과 중국의 댄스스포츠 발전 과정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은 서구 댄스스포츠 중심의 정통적인 안무 구성, 음악 해석, 리듬 감각, 춤 표현력 등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중국은 정통적인 댄스스포츠에 중국 전통성을 가 미하고 재해석한 댄스스포츠로의 발전을 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한국과 중국 댄스스포츠 문화는 사회 조직 단체 및 사회 교류에 의해 빠르게 발전 하고 있다. 즉, 인간 교류 및 문화 전파 측면에서 주로 교육 활동, 각종 대회, 공연 등을 통해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조직적 전파 측면에서 볼 때 한국은 주로 댄스스포츠협회 및 관련 민간 클럽 중심으로 문화가 전파되고 있으며 중국은 주로 대학, 협회, 관련 클럽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매체를 통한 전파 방식에서는 양국 간 차이가 두드러진다. 한국은 주로 신문, 서 적, 텔레비전, INSTA000, You000 등의 다양한 전통 및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고, 중국은 잡지, 틱0, 위0, 웨00 등의 주로 인터넷 기반의 뉴미디어를 중심으로 댄스스포츠 문화를 확산시키고 있다.
2. 한국과 중국의 댄스스포츠 발전의 제약
1) 한국 댄스스포츠 발전의 제약
한국의 경우 댄스스포츠는 아직 대중적으로 높은 인지도를 얻지 못하고 있어 몰입을 떨 어트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대부분 댄스스포츠 선수는 종목에 대한 개인적인 애착을 토대 로 훈련을 받기 때문에 클럽 중심의 교육에 의존하고 있다. 대중의 이해는 낮고, 아마추어 회원의 비율은 높아지는 반면, 전문 선수층은 매우 한정적이다. 이는 댄스스포츠 스포츠 산업으로서의 성장 가능성을 제한하고 있는 현실적 요인으로 보고 있다.
이은혜, 이주희, 임다연(2023)은 댄스스포츠는 예술적 요소와 경기 스포츠의 특징을 동 시에 갖추고 있음에도 불균형이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런 불균형의 주원인으로 다 음 세 가지를 지적하였다. 첫째, 지도자의 지도 방식 및 교육적 가치관의 차이, 둘째, 제도 적 기반의 불안정성과 체계 미흡, 셋째, 댄스스포츠의 비활성이다(29). 한국의 댄스스포츠 는 생활 속 스포츠 문화로 정착된 해외와는 다르게, 댄스스포츠의 정착을 위한 과도기적 시기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여러 연구에서 제기해 왔다(이인 2016, 924). 이에 따라, 한국 댄스스포츠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댄스클럽의 전문 기술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관련 규제 정비와 제도 개혁, 국제대회 적극 참가 및 우수한 성적 달성 등을 통해 피겨스케이팅과 같은 수준의 높은 스포츠로 성장해야 할 것이다(신주희 2003, 86-87).
댄스스포츠는 부정적인 인식을 해소하며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대중화가 어려운 이유는 대중의 인식 부족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현재까지도 지도자 양성 과정 미흡, 지도자 자격 불충분, 지도자의 사회적인 낮은 지위 및 보수 등의 부정적인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또한, 한국 댄스스포츠의 단체 설립 및 운영의 전문성 이 부족하고 공식적인 인재 양성 기관의 부재, 비합리적 경기 운영 및 판정 기준의 불명확 성, 체계적이지 않은 제도적 환경, 선수와 일반인을 위한 프로그램 부족, 지도자 자격 규정 및 선수 평가 기준의 불명확성 등 한국 댄스스포츠 발전을 위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2) 중국 댄스스포츠 발전의 제약
중국은 인구 기반이 크고 지역 간 차이가 심해 댄스스포츠 시장의 조직적 체계가 비교적 부족한 실정이다. 국가 중심적인 댄스스포츠협회 운영은 체계적인 규정 적용의 어려움과 일관된 운영 기준의 부재로 대회 조직과 운영의 일관성이 떨어지고, 심사 평가의 전문성 및 표준 수준 또한 미흡한 원인이 되고 있다. 넓은 중국과 많은 인구는 댄스스포츠의 더딘 확장성, 중앙집권적 협회 운영의 일관성 결여 등으로 이어져 중국 댄스스포츠 발전의 걸림 돌로 여겨지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은 댄스스포츠의 발전에 상대적으로 성숙한 단계에 진입하였으며, 대중화되어 많은 청소년층 사이에서 좋아하는 스포츠 종목으로 자리 잡았다. 현재 많은 초·중·고등학교와 대학에서 댄스스포츠를 배우고 있으며, 거의 모든 대학에서 댄스스포츠 관련 전공이 신설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외부적인 확산에도 불구하고 전문 수준의 댄스스포츠 교원 양성 제도는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아직까지 중국의 댄스스포츠 보급률은 낮고 교사와 코치의 불안정성, 통일된 교재 부재 로 인한 규범적인 관리 부족, 경기 수준의 미흡함 등의 문제가 있다. 현재 중국은 댄스스포 츠에 대한 학습과 연구가 여전히 학습 탐색 단계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며 특히 일부 지역 에서는 전문 댄스스포츠 교원 부족 현상으로 인해 교육의 질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여기고 있는 실정이다(赵莉 2003, 3). 댄스스포츠 교원 부족과 함께 교원의 전문성 수준은 지역과 기관 간에 큰 격차를 보이며, 전반적으로 전문 인력의 충원이 불균형한 실정이다.
3. 한국과 중국의 댄스스포츠 발전 과제
1) 한국 댄스스포츠 발전 과제
한상호(2016)는 세계 댄스스포츠의 발전 흐름에 맞춰 한국 발전 방향을 정립해야 한다 고 주장하였으며 특히,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승인 종목으로 자리 잡은 댄스스포츠 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제도적 개선을 지속적으로 시행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53). 따라 서, 한국 댄스스포츠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 구축, 지도자 역량 강화, 사회적 인식 개선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이인, 김경숙 2012, 46).
한국 댄스스포츠의 대중화와 높은 인지도를 위해 댄스스포츠에 대한 긍정적이고 올바른 인식을 확립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댄스스포츠의 예술적 요소와 스포츠 특성을 융합한 순 기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보급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댄스스포츠에 대한 효율적이고 긍정적인 인식의 전환은 궁극적으로 댄스스포츠가 지닌 고유한 정체성과 특징 을 드러내고 그 사회적 가치가 더욱 드러날 수 있을 것이다(이은혜, 이주희, 임다연 2023, 33). 이에 따라, 지도자들은 건강한 학원 분위기를 조성하고 행동·언행·복장을 관리하고 에 티켓 준수, 전문성을 강조하는 노력을 하며 댄스스포츠의 건전한 문화와 전문성을 확립하 는 데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댄스스포츠의 위상을 높이는 동시에 지도자 스 스로의 자존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이인, 김경숙 2012, 58). 또한, 댄스스포츠 지도자 양성의 개선 방안을 위해 자격 검정제도의 확립, 국가 공인 자격증 제도, 지도자 양성 프로그램 차별화 및 재교육 장치 등(이은하,임수원 2011, 499-500)의 여건을 마련함으로써 댄스스포츠의 저변 확대를 위한 지도자 확대 및 질적 도모에 힘써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은 댄스스포츠의 대중화를 위해 온라인 매체와 다양한 홍보 수단을 활용하여 한국 댄스스포츠를 효과적으로 알리며 참가자들이 댄스스포츠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 도록 해야 한다. 중국의 댄스스포츠가 학교 정규 과정으로 포함되어 활성화되는 것처럼 댄스스포츠가 가지는 교육적인 의미를 한국 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 마련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댄스스포츠가 대학교와 더불어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 포함될 수 있 는 방안과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조미혜, 김민정 2006, 22). 또한, 기존 댄스스포츠의 특징 을 부각시키기 위한 예술성과 스포츠로써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평가의 다양성 및 스포츠 로써의 체계적인 변화도 고민하고 실천해봐야 할 것이다(김경래 2004, 23). 이를 통해 한 국 댄스스포츠는 새로운 인식 전환과 함께 시대에 맞는 새로운 교육과 지도법이 체계적으 로 정립될 것이며, 댄스스포츠의 새로운 문화를 창출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중국 댄스스포츠 발전 과제
중국은 인구 기반에 따른 지역 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각 지역 간 댄스스포츠협회 조직 및 권한 부여가 집중되어야 한다. 각 지역의 댄스스포츠협회의 체계적인 운영과 프로 그램 보급, 지도자 양성, 대회 홍보 및 운영 등의 권한을 통해 지역에서부터의 활성화를 꾀하고 이후 국가주도적인 협회 중심의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현재 초·중·고등학교와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댄스스포츠 수업을 위한 지원과 다양한 프로 그램 개발 등이 이루어지게 되면 교원 전문가 양성과 더불어 대중화를 위한 활성화에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 댄스스포츠는 문화적 형성과 기술적 동작의 식별 및 발전을 통해 시각적 효과 등 문화적 이미지를 창출하고, 이를 더욱 심화시키고 정제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민족적 특색이 뚜렷한 문화적 특성을 구축하고, 댄스스포츠의 예술적 매력을 한층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자국의 민족적 특성과 문화적 분위기를 반영함으로써 중국 고유 문화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중국 댄스스포츠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한국 댄스스포츠의 활성화 주요 요인인 온라인 미디어와 다양한 외부 홍보 수단을 활용하여 댄스스포츠를 효과적으로 알리고 참가자들이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댄스스포츠 문화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명확하고 일관된 개념 정립이 가능해질 것이며 궁극적으로 댄스스포츠의 문화적 이미지를 형성하고, 국가 고유의 특색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3) 양국 댄스스포츠 발전 과제
한국과 중국은 유럽 및 미국의 다른 댄스스포츠 강국 관리 시스템을 벤치마킹 함으로써, 댄스스포츠의 제도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양국의 댄스스포츠 협회는 주도적인 역할을 강화하여 댄스스포츠의 구체화, 전문화, 사회화를 촉진할 수 있다. 댄스스포츠 클럽 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클럽 운영에 대한 감독과 점검을 강화하고 건전한 발전 환경을 만들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관련 규정은 지속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며 세계 댄스스포츠 발전을 위한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댄스스포츠 강국의 교육과정, 역량 강화 교육, 훈련 방식 등을 적극적으로 벤치마킹하여 전문 선수 양성을 위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훈 련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한다. 이는 댄스스포츠 선수들에게 전문기술 향상과 선수들의 심 리적 역량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 댄스스포츠 지도자는 댄스스포츠의 원활 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지만, 선수들의 댄스스포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높아져 야 하는 것처럼(전선혜, 김영주, 김양례 2000, 235) 전문선수 양성은 지도자 역량 함양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과 중국은 댄스스포츠 대중화를 위해 ‘브랜드 전략’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댄스스포츠 참여자의 요구를 신속히 해결하고, 참여자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인 발전에 적합한 학습 계획 과정을 수립할 수 있다. 특히 청소년 대상 댄스스포츠 전문 클럽의 서비스 품질 향상은 필수적이며, 학생과 학부모와의 지속적인 소통과 피드백을 통한 신뢰를 바탕으로 관계를 형성하고 참여자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브랜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방과 후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결과 평가, 학생 심사 등과 같은 종합적인 서비스 체계를 도입해야 하며 클럽 운영의 체계화 및 실속화 등을 통해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지역 기반 클럽 훈련 기관의 운영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지도자의 전문성을 확보한다면 댄스스포츠는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대중화를 이룰 수 있으며, 이는 표준화되고 발전된 시장 질서 확립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양국 간 효율적인 의사소통과 교류 활성화를 토대로 댄스스포츠 발전 과정 에서 보이는 구조적 한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각국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본질적인 댄스스포츠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댄스스포츠의 역사적 배경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 인 전문 댄스스포츠 발전 현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양국의 댄스스포츠 발전 양상을 탐색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한국 댄스스포츠는 1880년대 후반 외래문화의 일환으로 도입되어 한국 사회 상류층에 의한 사교댄스로 발전하기 시작하였으며 일제강점기와 군사정권 시기 사회적 억압을 받게 된다. 이후 1990년대 초 댄스스포츠의 합법적인 체육 활동 인정과 단체들이 형성되면서 확장성을 이루게 된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의 많은 메달 획득을 통해 한국 댄 스스포츠는 아시아 강대국으로 자리 잡으며 현재 전국체전 정식종목으로 전문성을 더해가 고 있다. 최근에는 각종 미디어를 통한 댄스스포츠의 대중화와 전문성이 더욱더 체계적으 로 발전해가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 댄스스포츠는 서양의 사교춤으로 유입되어 최초 상류 사회와 귀족계급의 오락거리로 활용되었다. 이후 무도회 및 레크레이션 형태로 전국적으 로 발전해 나갔지만, 1960년대 문화 대혁명의 영향으로 잠시 정체되었다. 1980년대 이후 사회 전반적인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대중화와 전문 스포츠로써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 으며 2000년대 세계화에 따른 국제 댄스스포츠 대회 참가와 대중문화 확산 과정을 거쳐 2020년대 학교 정규 교육과정과 대회, 민족성이 결합한 예술성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과 중국 댄스스포츠는 최근 세계화에 따른 국제무대 출전을 통해 그 전문성을 확립해 나가고 있으며 다양한 대중매체 발달을 통해 대중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과 중국 댄스스포츠는 비교적 역사가 짧아 전문성 및 체계적인 발전 방안 등에 대한 어려움을 보이고 있지만, 최근 미디어 발달에 따라 대중화를 통한 전문성이 확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댄스스포츠는 전문 대회가 체계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인식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국 댄스스포츠는 초·중·고·대학교를 중심으로 클럽 활성화가 잘 이루 어져 있고, 중국 전통문화를 접목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양국은 아직까지 댄스스 포츠의 대중화와 전문성, 문화 형성 등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한국과 중국 댄스 스포츠 발전을 위한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댄스스포츠에 대한 대중적 인지도 향상을 위한 변화가 필요하다. 온라인 미디어 등 다양한 홍보 매체를 통해 댄스스포츠를 효과적으로 홍보함으로써 대중이 보다 직관적 으로 이해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참여자들이 보 다 적극적이고 열정적으로 댄스스포츠에 참여할 수 있으며, 댄스스포츠 문화에 대한 올바 른 인식을 확립할 수 있다. 또한, 효율적인 홍보와 인프라 확대, 관련 대회 개최 수 확대를 통한 참여 기회를 넓히고, 교육 방법 및 훈련에 대해 상호 교류하며 댄스스포츠의 사회적 가치와 의미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초·중·고·대학 내 댄스스포츠 교육 강화 및 지원이 요구된다. 초·중·고·대학에서 댄 스스포츠를 표현 활동 및 교양 과목으로 개설함으로써 학생들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긍정적 인식을 전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문 교원을 양성하고, 학교에서 댄스스포츠 교육을 대중화함으로써 문화예술 교육의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 나아가 우수 선수 양성을 위해 체계적인 이론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과학적 연구를 위한 자본 투입 및 해외 우수 사례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국제 경쟁력을 제고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댄스스포츠의 전문화 및 일반화·사회화 방향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지도자 전문 성 향상을 위한 교육 시스템을 마련하고, 제도적 기반을 확립함으로써 지도자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댄스스포츠의 지도 방법, 안무, 기초기술 등 세부 영역을 구분하여 지도자 와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넓히고 학원 간 교류가 가능한 개방형 교육 체계를 도입해야 한다. 또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훈련을 통해 국제대회 참가 기회를 증진시키며, 심리적 역량 증진과 예술적 표현력 강화 등을 통해 학습자의 전문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확립할 수 있다. 현직 지도자 및 교수진의 실기 역량 강화를 통해 체계적인 교육적 이론 체계를 구축하고, 해외 우수 선수와의 교류를 통해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높일 필요가 있다.
넷째,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댄스스포츠 발전 방안이 요구된다. 댄스스포츠의 움직임 및 이미지 표현에 민족 문화 특성을 융합함으로써 문화적 이미지를 창조하고 창의적인 예술 활동을 통해 한국과 중국 특성이 반영된 예술 작품을 구성해야 한다. 의상 및 스타일 측면 에서 중국의 브랜드 협업 마케팅 사례를 모방하되, 각국 고유의 패션 감각을 토대로 현대 의 트렌드를 반영한 창의적 디자인 보완이 요구된다. 또한, 홍보 방법 강화, 인프라 확대, 관련 대회 개최 수 증가 등을 통해 대중의 참여도를 향상시키고, 교육 방법 및 훈련 방법을 국제적으로 상호 교류하며 댄스스포츠의 발전을 촉진해야 한다.
끝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경험이 많은 전문가의 실무 경험과 이론적 기반을 토대로 댄스 스포츠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킴으로써 한국과 중국 댄스스포츠의 공동 발전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