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pISSN: 2383-5214 /eISSN: 2733-4279

HOME E-SUBMISSION SITEMAP CONTACT US

Journal Detail

Journal Detail

Export Citation Download PDF PMC Previewer
The Impact of Middle-Aged Participants' Motivation in Dance Programs at the Senior University of China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uccessful Aging 중국 노인대학 중년층의 무용 프로그램 참여동기가 긍정심리자본과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Asian Dance Journal Vol.77 No. pp.123-148
DOI : https://doi.org/10.26861/sddh.2025.77.123

The Impact of Middle-Aged Participants' Motivation in Dance Programs at the Senior University of China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uccessful Aging

Cui Yalin,Cha Sujung (Cha Sujeong)
April 30, 2025 May 22, 2025 June 29, 2025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among participation motivation in dance program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uccessful aging among middle-aged adults attending seniors universities. The participants were middle-aged adults who took part in dance programs at seniors universities in four cities with a high level of aging in Jiangsu Province. A total of 312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questionnaires on participation motiva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uccessful ag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VER 27.0 and AMOS 26.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ance programs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cond, dance programs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ccessful aging. Thir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uccessful aging. This study suggests that dance programs can enhance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middle-aged adults an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successful aging.



중국 노인대학 중년층의 무용 프로그램 참여동기가 긍정심리자본과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최아린,차수정

초록


본 연구는 노인대학 중년층의 무용 프로그램 참여동기, 긍정심리자본 및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장쑤성 내 고령화 수준이 높은 도시 네 곳의 노인대학에서 무용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층으로, 총 312부의 유효 설문지 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측정도구는 참여동기, 긍정심리자본 및 성공적 노화의 설문지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 27.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무용 참여동기는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 참여동기는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은 참여동기와 성공적 노화 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무용 프로그램이 중년층의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키고 성공 적 노화를 촉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Ⅰ. 서 론

    인구 고령화는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 있다. UN.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의 2023년 세계 사회 보고서(World Social Report 2023)에 따르면, 2050년까지 전 세계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16%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World Health Organization(WHO)(2021)는 전 세계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2021-2030년 건강 노화 행동 10년(Decade of Healthy Ageing)’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2000년 공식적으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이후 노인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제7차 전국 인구 센서스 주요 데이터 공보’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중국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3.5%에 달했으며(국가통계국 2021), 국가위생건강위원회의 예측에 의 하면 2035년까지 60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이 3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어 초고령 사 회로 진입할 것이 예상된다(광명일보 2022). 이러한 인구 구조 변화는 노인 복지 서비스, 건강 관리 및 평생 교육에 대한 대대적인 조정 및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중국 내 지역별 고령화 수준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장쑤 성은 중국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성으로, 전국에서 여섯 번째로 높은 고령화율을 기 록하고 있다(신화일보 2023). 장쑤성 민정부(江苏省民政厅)가 발표한 ‘2023년 장쑤성 인구 고령화 현황’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장쑤성의 60세 이상 인구 비율은 24.5%로 전국 평균보다 3.4%p 높으며, 13개 지급시(地级市) 모두 ‘고령 사회(Aged Society)’에 진입하였 고, 특히 태주(泰州), 난퉁(南通), 양주(揚州), 옌청(鹽城) 4개 도시는 ‘초고령 사회(Super- Aged Society)’로 분류된다. 따라서 중국 내에서 고령화 비율이 높은 도시로는 태주, 난퉁, 양주, 옌청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추세는 중·노년층이 건강 관리 및 사회 적응 에 있어 더욱 큰 도전에 직면할 것임을 시사하며, 이에 따라 중·노년층의 성공적 노화를 촉진할 수 있는 변화된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에릭 에릭슨(Erik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에 따르면, 중년기(40-65세)는 청년 기와 노년기를 연결하는 핵심 시기로(1968, 94), 이 시기의 발달 과업이 향후 성공적 노화 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한창목 2019, 37). 그러나 선행 연구에 따르면, 중년층의 행복 감은 청년층과 노년층보다 낮은 경향을 보이며, 이는 주로 경제적 부담, 역할 갈등 등 다양 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Lachman, Teshale, Agrigoroaei 2015, 22). 따라 서 노년기를 앞두고 있는 중년층이 삶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긍정심리자본을 증진하며, 성공적 노화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시급한 연구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성공적 노화 개념은 존 로우(John Rowe)와 로버트 칸(Robert Kahn)이 제안한 것으로, 건강 유지, 인지 기능 및 신체 능력 보존, 적극적인 사회 참여를 통해 보다 높은 삶의 질을 실현하는 것을 강조한다(1998, 433). 성공적 노화를 촉진하는 과정에서 평생교육은 중요한 개입 수단으로 간주된다(이윤진 2024; 공경배 2024). 변정희(2022)는 중장년 학습자가 평 생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사회 적응 능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성공적인 노화를 준비할 수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57).

    1973년, 프랑스 툴루즈대학교에서 세계 최초로 ‘제3연령대학(University of the Third Age, U3A)’을 설립한 이후, 영국, 미국, 중국 등 여러 국가에서도 U3A 체계를 구축하여 노년층의 평생 학습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Swindell and Thompson 1995, 431-432). 중국에서는 노인대학이 평생교육 체계의 핵심 구성 요소로 자리 잡고 있으며, 그 발전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엽충해(叶忠海)는 노인대학이 주로 노인을 대상으 로 운영되는 교육기관이라고 간주하였으며(2014, 31), 왕궈(王阔), 한부통(韩富通)은 정부 와 사회단체가 설립한 비학위 사회 공익교육기관으로서 노인의 지식과 기술 향상 및 정신 문화생활을 풍부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하였다(2023, 9; 2023, 17).

    최근 국가 차원에서 평생교육을 적극적으로 장려하는 정책이 추진됨에 따라, 중국 노인대학 의 참여율이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노인대학협회(中国老年大学协会)(2021)가 발표한 중국 노년 교육 발전 보고서(2019-2020)에 따르면 2019년 말 기준, 중국 노인대학 재학생 수는 약 1088만 2000명으로, 2017년 대비 3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노령과학연구센터(中国老龄科学研究中心)(2024)가 발표한 중국 노인대학 발전 현황 조사 보고서에서는 무용, 서예, 성악 등의 강좌가 노인대학에서 가장 인기 있는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그중에서도 무용은 신체 건강 증진과 미적 감각 향상을 동시에 충족시키며, 자아 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인 활동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점차 중년층이 선호하는 주요 과목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김지현 2011, 2).

    중년층의 무용 참여동기는 다차원적 특성을 나타내며, 성취감 추구, 흥미, 여가 만족, 자기실현, 정서 조절, 사회적 관계 형성 등의 요인이 포함된다(조은지, 문영 2016, 163). 에드워드 데시(Edward Deci)와 리처드 라이언(Richard Ryan)의 자기결정이론에 따르면, 참여동기는 개인이 내적 흥미 또는 외적 동기에 기반하여 특정 활동에 참여하는 심리적 동력이며, 그 자율성 정도가 행동의 질과 지속성을 결정하며(2000, 69), 이는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무동기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1985, 66). 마이클 만프레도(Michael Manfredo), 비벌리 드라이버(Beverly Driver)와 마이클 테런트(Michael Tarrant)는 참여동 기가 여가 활동 연구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한 바 있다(1996, 188).

    무용 및 체육 활동 관련된 연구에서도 참여동기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입증하였다. 우지인, 민두식, 조성식(2024)은 그룹운동 참여동기가 중장년층의 신체적·정 신적 건강과 사회 적응을 촉진한다고 보고하였다(105). 최서연(2019)도 무용 체험 프로그 램의 참여동기가 노인의 자율적 삶, 자기완성 지향, 적극적 인생참여, 자녀에 대한 만족, 자기수용, 타인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하였다(7). 따라서 규칙적인 무용 참 여는 중년층의 현재 건강 및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향후 성공적 노화를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참여동기는 참여자의 긍정심리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이란 개인이 성장과 발전 과정에서 보이는 긍정적 심리 상태로, 자기 효능감, 낙관성, 희망 및 심리적 탄력성을 포함한다(Luthans, Youssef and Avolio 2006, 19). 김희 은, 장은정(2021)는 긍정심리자본이 높은 학생들은 내적동기, 동일시된 동기 등 자기결정 동기를 더 쉽게 발달시키며, 이를 통해 학습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학습 성과를 향 상시킨다고 보고하였다(396). 또한, 김종모, 추문식, 오연풍(2023)도 건강 추구, 사회적 교 류, 자기실현 등의 목표 달성을 위한 지속적인 스포츠 참여동기는 개인의 심리적 탄력성과 낙관성을 증진하는 데 기여한다고 보고하였다(315).

    이처럼 다수의 선행연구는 노년기 긍정적 심리 자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긍정심리자본은 성공적 노화를 직접적으로 촉진할 뿐만 아니라, 평생학습, 사회적 지지, 은퇴 준비 등의 요소를 통해 노인 삶의 질에 간접적으로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노인의 심리 자본을 강화하는 것은 건강하고 적극적인 노화를 실현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볼 수 있다(이상주, 김정훈, 제갈선아 2020; 이경란, 박지혜 2021; 오애 숙, 정민 2022).

    기존 연구에서는 성공적 노화의 영향 요인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나, 주로 사회적 요인과 정신 건강 등 거시적 차원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개인의 심리 및 행동 요인 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65세 이상 노년층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노년기에 임박한 중년층이 신체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미래 성공 적 노화를 어떻게 준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 은 주로 여가 스포츠나 서양 무용이 노년층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었 으며, 노인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중국 중년층의 무용 참여에 대한 연구는 현 저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노년기를 앞두고 있는 중년층의 무용 참여에 초점을 맞추어, 참여동기가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하여 성공적 노 화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대학에서 무용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중년층을 연구 대상으로 선 정하여, 개인적 차원의 심리 및 행동 요인에 중점을 두고, 참여동기, 긍정심리자본,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며,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 구의 목적은 중년층의 참여동기와 긍정심리자본을 기반으로 한 성공적 노화 촉진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장쑤성 내 고령 인구 비율이 높은 4개 도시의 4곳 노인대학(태주시 노인대학, 난퉁시 노인대학, 양주시 노인대학, 옌청시 노인대학)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연구 대상 도시의 고령 인구 비율이 높아 대표성을 가지는 도시 선정과 선정된 노 인대학들이 민족무용, 사교무용, 피트니스 댄스, 라인 댄스 등 다양한 무용 프로그램을 운 영하고 있어 연구 내용이 포괄적인 곳이며 수강생 규모가 안정적이고 데이터 수집이 용이 한 기관을 선정 기준으로 표집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 노인 권익 보장법 제2조에 따르면, 60세 이상 인구는 노인으로 규정 되며, 중국의 법정 퇴직 연령(여성 55세 또는 58세, 남성 63세)에 따라, 노인대학의 입학 대상 연령은 중년 과도기 인구의 평생교육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50세로 앞당 겨진다(中国全国人民代表大会常务委员会 1996). 발달심리학 관점에서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은 중년기를 40-65세로 정의한다. 이로 미루어 볼 때, 50-65세 인구 는 퇴직 전후의 사회적 정체성 전환기에 위치해 있으며, 동시에 중년기 발달 이론의 정의 에도 부합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연령대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무용 프로그램 참여 동기가 긍정심리자본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비확률표집 중 목적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무용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중년층 학습자 320명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데이터 수집 기간은 2025년 1월 5일부터 2월 5일 까지, 설문지는 중국 온라인 설문 플랫폼인 ‘문권싱’(www.wenjuanxing.com) 을 통해 배 포되었으며, 연구 대상자는 각 노인대학의 안내를 받아 설문 링크를 제공받았다. 수집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부정확하거나 완성하지 않아 신뢰도에 문제가 있는 8부는 제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12부의 유효 설문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다음 <표 1>은 참여자의 인구통계학 적 특성이다.

    표 1

    인구통계학적 분석(Demographic Analysis)

    구분 내용 빈도(명) 빈도(명) 비율(%)
    성별 8 2.56
    304 97.44
    나이 50-59세 142 45.51
    60-65세 170 54.49
    학력 초등학교 이하 6 1.92
    중학교 28 8.98
    고등학교 119 38.14
    전문대학 94 30.13
    대학교 이상 65 20.83
    거주 방식 혼자 16 5.13
    배우자와 함께 164 52.56
    자녀와 함께 37 11.86
    배우자와 자녀와 함께 95 30.45
    참여 기간 1년 미만 63 20.19
    2-3년 84 26.92
    4-5년 25 8.01
    6-7년 28 8.98
    8년 이상 112 35.90
    참여 수준 1-2 119 38.14
    3-4 114 36.54
    5번 이상 79 25.32
    건강상태 건강한 편이다 246 78.85
    보통이다 66 21.15

    <표 1>에서 연구 대상은 학력, 참여 기간 및 참여 수준 등에서 일정한 차이를 보였다. 고등학교 이상 학력자는 89.10%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참여 기간이 8년 이상인 경우는 35.90%였다. 또한 주 3회 이상 참여하는 개인은 52.89%로 나타나 일부 참여자들이 높은 교육적 배경과 프로그램 몰입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차이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연구 대상은 규모와 지역 분포 측면에서 일정한 대표성을 갖추고 있어(N=312), 연구 결과의 일정 범위 내 해석과 적용에 참고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2. 노인대학 무용 프로그램

    1) 무용 프로그램 내용

    최근 평생교육의 발전과 함께 노인대학의 무용 교육과정이 지속적으로 완성되어 가고 있으며, 각 지역의 노인대학은 참여자의 신체 기능과 문화적 요구를 고려하여 다양한 종류 의 무용 강좌를 개설하여 참여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구체적인 무용 프로그램 개설 현황은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4개 도시 노인대학의 무용 프로그램(Dance Programs at Seniors Universities in Four Cities)

    프로그램 태주시 노인대학 난퉁시 노인대학 양주시 노인대학 옌청시 노인대학
    민족무용
    사교댄스
    피트니스 댄스
    라틴댄스
    고전무용
    라인댄스

    2) 무용 프로그램 특징

    노인대학의 무용 프로그램은 다양한 스타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무용 유형은 문화적 배경, 운동 특성 및 예술적 표현 방식에서 고유한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참여 자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신체 및 정신 건강 증진에도 기여한다. 각 무용 유형 의 특징은 다음 <표 3>과 같다.

    표 3

    무용 프로그램 특징(Characteristics of Dance Programs)

    무용 유형 특징
    민족무용 지역 문화적 특색이 짙고 무용 스타일이 뚜렷하며 리듬이 다양하여 다양한 민족의 문화와 예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문화적 정체성을 강화하며 신체 협응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주요 무용으로는 티베트족 무용, 몽골족 무용, 위구르족 무용, 따이족 무용 등이 있다(刘畅, 2022, 138-139).
    사교댄스/ 라틴댄스 커플 또는 그룹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스텝 조합과 신체적 교감을 통해 사회적 능력과 감정 표현을 향상시킨다 (毛鑫莹, 2021, 17; 易琰, 封宏, 雷霞 2019, 249). 대표적인 무용으로는 룸바, 왈츠, 차차차 등이 있다.
    피트니스 댄스 음악의 리듬에 맞춰 신체 훈련을 수행하며, 주로 유산소 운동을 기반으로 하여 심폐 기능 강화, 심리 건강 개선, 인지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준다.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에어로빅과 광장무 등이 있다(夏思鸿, 陶李军, 李京平, 2015, 248).
    고전무용 전통 문화 요소가 융합되어 있으며, 신체 자세와 동작의 아름다움을 강조하여 자세를 교정하고 우아한 체형을 형성하며 운동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婧斐阮, 2024, 27-28). 주요 무용에는 신윤(身韻), 둔황(敦煌) 무용, 한당(漢唐) 무용, 수수춤(袖舞) 등이 포함된다.
    라인댄스 그룹 단위의 안무로 구성되며, 동작이 간단하고 배우기 쉬우며, 경쾌한 음악과 함께 진행된다. 집단 의식과 팀워크 협업 능력을 기를 수 있다(夏思鸿, 陶李军, 李京平, 2015, 246).

    3) 무용 프로그램 수업 내용

    노인대학의 무용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단계별 학습을 기반으로 신체적·정신적 요소를 균형 있게 고려하는 교수법을 채택하며, 참여자의 신체 조건을 반영하여 교육 내용을 적절 히 조정한다. 노인대학마다 세부적인 교육 과정에는 차이가 있지만, 전체적인 교육 구조는 유사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수업 내용은 다음 <표 4>와 같다.

    표 4

    무용 프로그램 수업 내용(Class Content of Dance Programs)

    단계 수업 내용 수업 목표 음악의 사용
    준비 운동 관절 운동, 스트레칭 훈련 동관절 유연성과 근육 탄력성을 향상시키 고, 운동 부상 예방을 통해 본 수업을 위한 신체 준비를 돕는다. 부드럽고 느린 멜로디의 경쾌한 음악이 나 피아노곡을 재생하여 심신의 이완을 돕는다.
    기본 훈련 기본 스텝, 손 위치, 춤 자세 훈련 신체 조정 능력과 협응력을 강화하고, 기 본 동작의 정확성을 높여 올바른 신체 기초 를 확립한다. 리듬감이 강하고 스타일이 뚜렷한 음악을 활용하여 동작의 리듬감과 스타일적 특성 을 강화한다.
    무용 동작 학습 다양한 스타일의 무용 동작 학습 다양한 스타일의 무용 표현력을 풍부하게 하고, 리듬감 및 동작 기억력을 향상시켜 예술적 표현 능력을 증진한다. 춤의 종류에 따라 민족 음악이나 대중음악 등 서로 다른 음악을 선택하여 몰입감과 동작 표현력을 높인다.
    완성된 무용 연습 개별 동작을 연결하여 완성된 안무 구성 팀워크 의식을 강화하고, 성취감 및 집단 소속감을 높이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 한다. 감정이 뚜렷하고 구조가 완전한 반주 음악 을 선택하여 동작과 음악의 감정적 일치를 강조하고 무대 전체의 표현력을 높인다.
    마무리 정리 이완 스트레칭 및 피드백 운동 후 피로를 완화하고 근육을 이완시키 며, 학습 성과를 정리하고 지속적인 참여 의지를 높인다. 자연의 소리나 편안한 멜로디를 재생하여 심신의 안정과 반성을 촉진한다.

    3. 측정도구

    본 연구는 무용 프로그램 참가 중년층의 참여동기, 긍정심리자본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 를 규명하고자 측정도구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1) 참여동기

    참여동기 척도는 로버트 발레랑(Robert Vallerand)과 로버트 비소네트(Robert Bissonnette) (1992)의 스포츠 동기 척도(Sport Motivation Scale)와 엘렌 와이싱어(Ellen Weissinger)와 데보라 반달로스(Deborah Bandalos)(1995)의 여가 내재동기 척도(Leisure Intrinsic Motivation)를 기반으로 정용각(1997)이 한국어로 번역한 참여동기 척도로 구성하였다. 신서 연(2022)의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본 연구의 상황에 맞게 일부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참여동기는 사교 및 외적 과시 5문항, 건강증진 5문항, 기술발달 5문항,즐거움 5문항,무동기 4문항의 총 24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모두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2) 긍정심리자본

    긍정심리자본 척도는 프레드 루탄스(Fred Luthans), 캐롤린 유세프(Carolyn Youssef), 브루스 아볼리오(Bruce Avolio)(2006)가 개발한 척도를 임태홍(2014)이 재구성하고 이경 란(2019)이 사용한 설문지를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사용하였다. 긍정심리자본은 자기효능 감 4문항, 희망 5문항, 낙관주의 3문항, 회복탄력성 4문항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두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3) 성공적 노화

    성공적 노화 척도는 김미혜, 신경림(2005)이 개발한 척도를 토대로 김솔지(2017)가 사 용한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하위변인으로 자기효능감 느끼는 삶 5문항, 자기통제를 잘하는 삶 4문항, 자녀성공을 통해 만족하는 삶 4문항, 부부간의 동반자적 삶 3문항으로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두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4.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검증

    본 연구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통해 사용된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내용 타당성와 구성 타당성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내용 타당성 검증 단 계에서는 무용 교육, 심리학, 사회학 등의 분야에서 3명의 전문가를 초빙하여 설문지의 각 문항이 해당 측정 차원을 정확히 반영하는지 검토함으로써 문항의 과학성과 연구 적합성 을 확보하였다. 구성 타당성 검증 단계에서는 χ², CFI, TLI, RMSEA 등의 적합도 지표를 활용하여 모델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는 다음 <표 5>와 같다.

    표 5

    측정변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for Measurement Variables)

    요 인 문 항 Estimate AVE CR α
    참여 동기 사교 및 외적 과시 1. 다른 사람들과 친하게 어울릴 수 있기 때문에 0.875 0.757 0.939 0.938
    2. 무용을 멋지게 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자랑하고 싶기 때문에 0.789
    3. 무용으로 명예 또는 명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0.794
    4. 무용을 잘하면 다른 사람의 관심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0.768
    5. 다른 사람들과 사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 때문에 0.759
    건강 증진 6. 체력이 증진되어 생활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0.875 0.757 0.939 0.938
    7. 멋진(튼튼한) 몸매를 만들고 싶기 때문에 0.751
    8. 규칙적인 무용을 해야 건강해지기 때문에 0.875
    9. 무용을 하면 컨디션이 좋아지기 때문에 0.952
    10. 땀을 흘리고 나면 몸이 개운해지기 때문에 0.886
    기술 발달 11. 기대한 이상의 무용기술을 수행해 냈을 때 오는 흡족감 때문에 0.859 0.707 0.923 0.923
    12. 어려운 무용기술(동작)을 익히라는 것이 재미있기 때문에 0.825
    13. 무용기술이 점차 발전되는 느낌이 즐겁기 때문에 0.839
    14. 전에는 경험해보지 못했던 무용기술을 배우는 것이 재미있기 때문에 0.820
    15. 어려운 무용기술을 해냈을 때 느끼는 성취감 때문에 0.859
    즐거움 16. 무용을 할 때 느끼는 쾌감 때문에 0.880 0.784 0.948 0.948
    17. 무용을 하면 활기찬 기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0.925
    18. 무용보다 무용을 하면 재미있기 때문에 0.870
    19. 체력의 향상되는 느낌이 좋기 때문에 0.866
    20. 무용 후 느끼는 상쾌함 때문에 0.884
    무동기 21. 현재 무용을 하고 있지만 처음 기대했던 것과는 맞지 않는 것 같다. 0.783 0.625 0.869 0.869
    22. 초기에는 무용이 좋았었는데 요즘은 무용을 해야 할지 회의 를 느낀다. 0.747
    23. 지금하고 있는 무용이 나에게는 맞지 않는 것 같다. 0.795
    24. 지금 내가 하고 있는 무용은 아무런 의미 없이 습관적으로 하는 것 같다. 0.835
    χ²=639.493, df=242, CMIN/DF=2.643, CFI=0.937, IFI=0.938, TLI=0.929, RMSEA=0.073
    긍정심 리자본 자기 효능감 1. 우리 동네에 문제가 생긴다면 자신 있게 도울 수 있다. 0.683 0.668 0.889 0.889
    2. 나는 다른 지인들과 대화할 때 나의 장점을 자신 있게 말할수 있다. 0.827
    3. 나는 처음 본 사람들과 자신 있게 대화할 수 있다. 0.876
    4. 내가 가진 지식이나 정보를 자신 있게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다. 0.869
    탄력성 5. 나는 스트레스를 주는 사람들을 보아도 잘 견뎌낸다. 0.863 0.695 0.901 0.900
    6. 나는 젊었을 때 많은 경험이 있기 때문에 노년생활에서 힘든 시간을 잘 극복해 낼 수 있다. 0.922
    7. 나는 남에게 도움 없이 혼자의 힘으로 지낼 수 있다. 0.805
    8. 내가 주변 사람들과 사이가 나빠졌다면 해결할 수 있도록 방법들 을 생각해 풀도록 노력한다. 0.733
    희망 9. 어떤 문제가 생겨도 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많다고 생각한다. 0.861 0.753 0.938 0.938
    10. 내 삶의 어려움에 부딪혔을 때 그것을 벗어날 수 있는 방법들을 생각 해 낼 수 있다. 0.866
    11. 나는 내가 설정한 목표를 만족시키며 살고 있다. 0.883
    12. 내가 살아온 삶은 성공한 삶이라고 생각한다. 0.882
    13. 나는 내 삶의 목표를 위해 열정적으로 생활하고 있다. 0.845
    낙관 주의 14. 나는 항상 내 자신에 있어서 밝은 면을 보려고 한다. 0.898 0.759 0.904 0.902
    15. 나는 내 삶의 미래의 전망에 대해서 긍정적이다. 0.882
    16. 나는 힘든 일이 있으면 좋은 일도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0.833
    χ²=276.816, df=98, CMIN/DF=2.825, CFI=0.956, IFI=0.956, TLI=0.946, RMSEA=0.077
    성공적 노화 자기 효능감 느끼는 삶 1. 나는 매일 매일 할 일거리가 있다. 0.866 0.761 0.941 0.940
    2. 나는 몸을 움직이는 데 불편함이 없다. 0.875
    3. 나는 여러 종류의 친목모임에 꾸준히 나가고 있다. 0.809
    4. 나를 위해 무엇인가 배우고 있다. 0.901
    5. 나는 앞으로의 삶에 대해 희망을 가지고 있다. 0.906
    자기 통제를 잘하는 삶 6. 나는 건강을 위해 규칙적으로 운동을 한다. 0.875 0.786 0.936 0.935
    7. 나는 매일 규칙적으로 생활을 한다. 0.865
    8. 나는 몸이 허락하는 한 활동을 계속한다. 0.909
    9. 나는 즐거운 마음으로 살고 있다. 0.897
    자녀 성공을 통해 만족하 는 삶 10. 나는 자녀들에게 공부를 많이 시켰다. 0.802 0.698 0.902 0.903
    11. 나는 자녀들과 자주 연락하거나 만나고 있다. 0.886
    12. 나는 자녀들이 결혼해서 화목하게 잘 살고 있다. 0.822
    13. 나는 마음을 털놓고 이야기 할 자식이 나를 돌봐준다. 0.829
    부부 간의 동반자 적 삶 14. 우리 부부는 모두 건강하다. 0.891 0.809 0.927 0.927
    15. 우리 부부는 집안일을 서로 같이 한다. 0.903
    16. 우리 부부는 서로를 이해한다. 0.905
    χ²=257.161, df=98, CMIN/DF=2.624, CFI=0.966, IFI=0.966, TLI=0.958, RMSEA=0.072

    먼저, 참여동기 측정 문항의 구성 타당도를 검토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χ²=639.493, df=242, CMIN/DF=2.643, CFI=0.937, IFI=0.938, TLI=0.929, RMSEA= 0.073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수용 가능한 수준의 모형 적합도를 나타낸다. 또한, 수렴타당도(Convergent Validity) 검증을 위해 개념신뢰도(Construct Reliability), 평균분산 추출(Average Variance Extracted), 표준 요인 부하량(Standardized Factor Loadings)을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개념신뢰도 ≥0.7, AVE ≥0.5, 표준 요인 부하량 ≥0.5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여 본 연구의 측정 도구가 적합한 집중 타당도를 갖추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긍정심리자본 변수의 모델 적합도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χ²=276.816, df=98, CMIN/DF=2.825, CFI=0.956, IFI=0.956, TLI=0.946, RMSEA=0.077. 분석 결과, 개념신뢰도 ≥0.7, AVE ≥0.5, 표준 요인 부하량 ≥0.5의 기준을 충족하여 본 연구의 측정 도구가 적합한 집중 타당도를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성공적 노화 변수의 모델 적합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χ²=257.161, df=98, CMIN/DF=2.624, CFI=0.966, IFI=0.966, TLI=0.958, RMSEA=0.072로, 모델 적합도가 수용 가능한 수준임을 보여주었다. 분석 결과, 개념신뢰도 ≥0.7, AVE ≥0.5, 표준 요인 부하량 ≥0.5의 기준을 충족하여 본 연구의 측정 도구가 적합한 집중 타당도를 갖추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 도구는 참여동기, 긍정심리자본, 성공적 노화 변 인에서 모두 높은 적합도, 신뢰도 및 타당도를 나타내며, 이는 측정 도구가 타당하고 신뢰 할만한 안정성과 설명력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5. 자료분석

    본 연구의 자료처리를 위해 AMOS 26.0과 Window용 SPSS 2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 하였다. 우선,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여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 석하였고,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통해 설문 문항의 내적 일관성을 확보하였 으며, 타당도는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통해 검증하였다. 다중 공선성 검증은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내재되어 있는 변인과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구조 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으로 분석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 (Bootstrapping) 방법으로 참여동기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를 분석하였다.

    Ⅲ. 결 과

    1. 요인간의 상관관계

    무용 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동기, 긍정심리자본 및 성공적 노화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 하기 전, 잠재되어 있는 변수들 간의 상관성과 다중공선성을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적 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표 6>과 같이 상관계수 값 .60이하를 보여 다중공선 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6

    변인간의 상관관계(Correlation Among Variables)

    * p<0.05 ** p<0.01

    성공적 노화 참여동기 참여동기
    성공적 노화 1
    참여동기 0.226** 1
    긍정심리자본 0.355** 0.274** 1

    2. 모형의 적합도 검증

    본 연구에서는 무용 프로그램 참가 노인의 참여동기, 긍정심리자본 및 성공적 노화 간 의 구조적 관계 모델에 대해 적합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 모델의 적합도는 χ²=2531.283, TLI=0.928(≥0.9), CFI=0.931(≥0.9), RMSEA=0.048(≤0.08)로 나타났 다. 이러한 결과는 모든 적합도 지수가 기준을 충족함을 보여주며,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구 조 모델이 적합한 적합도를 갖추었음을 의미한다. 모형적합도 검증 결과는 <표 7>과 같다.

    표 7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도 지수(Goodness-of-Fit Indices for the Research Model)

    전반적 지수 CMIN DF CMIN/DF CFI IFI TLI RMSEA
    적합기준 <3 >0.9 >0.9 >0.9 <0.08
    연구모형 2531.283 1468 1.724 0.931 0.932 0.928 0.048

    3. 구조모형의 경로 검증

    <표 8>은 무용 프로그램 참가 노인의 참여동기, 긍정심리자본 및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 적 경로 관계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분석 결과, 참여동기가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345, p=.001). 또한, 참여동기가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 향을 미쳤으며(β=.201, p=.01), 긍정심리자본 역시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β=.376, p=.001). 종합적으로, 연구 결과는 참여동기, 긍정심 리자본 및 성공적 노화 간의 유의미한 경로 관계를 명확하게 검증하였다.

    표 8

    구조모형의 경로계수 분석 결과(Results of Path Coefficient Analysis in the Structural Model)

    구조경로 Std. Estimate S.E. C.R. P
    참여동기 → 긍정심리자본 0.345 0.094 4.389 0.000
    참여동기 → 성공적 노화 0.201 0.134 2.947 0.003
    긍정심리자본 → 성공적 노화 0.376 0.122 5.082 0.000

    4. 매개효과 검증

    1)매개효과 검증

    참여동기와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중재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크리스토퍼 프리처(Kristopher Preacher)와 앤드 루 헤이스(Andrew Hayes)(2008)가 제안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였 으며, 95% 신뢰구간에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표 9>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95% 신뢰구간(CI: .055, .225)이 0을 포함하지 않으며, p 값이 .001로 나타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긍정심리자 본이 참여동기와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 역할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표 9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분해(Analysis of the Mediating Rol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 참여동기 - 긍정심리자본

    b: 긍정심리자본 - 성공적 노화

    c': 참여동기- 성공적 노화(직접효과)

    axb: 참여동기 – 긍정심리자본- 성공적 노화(매개효과)

    c: 참여동기 – 긍정심리자본 - 성공적 노화(총효과)

    Parameter Estimate Lower Upper P
    a 0.345 0.198 0.498 0.000
    b 0.376 0.173 0.580 0.001
    c' 0.201 0.047 0.370 0.009
    axb 0.130 0.055 0.225 0.001
    c 0.331 0.175 0.490 0.000

    2) 경쟁모형 비교

    긍정심리자본이 참여동기와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긍정심리자본이 부분매개인지 또는 완전매개인지 추가적으로 검토하 였다. 이를 위해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을 경쟁모형으로 설정하고, χ²차이검정을 통해 두 모형을 비교하였다. 검증결과에 따르며, 자유도가 1 증가할 때 χ²값이 9.729 증 가하여 임계값 3.84를 초과 하였으며, 이에 따라 부분매개모형이 최적 모형으로 선택되었 다. 경쟁모형을 비교한 검증결과는 <표 10>과 같다.

    표 10

    긍정심리자본의 경쟁모형 모델 비교(Comparison of Competing Model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모형 χ² df
    불완전 매개효과 2531.283 1468
    완전 매개효과 2541.012 1469

    Ⅳ. 논 의

    본 연구는 중국 노인대학 중년층의 무용 프로그램 참여동기, 긍정심리자본, 그리고 성공 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중년층이 무용을 통해 미래의 성공적 노화를 촉진 할 수 있도록 이론적 근거와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 비교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대학 중년층의 무용 프로그램 참여동기는 긍정심리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은 적극적인 신체 활동의 한 형태로서 자기효능감, 희망, 낙 관주의, 그리고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며, 이를 통해 심리자본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결과는 루탄스 외(Luthans et al.)(2006)의 긍정심리자본 이론과 부합하며, 무용이 단순한 신체 단련의 수단을 넘어 긍정심리자본을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무용은 문화적 표현 방식으로서 학습 과정에서 참여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소속감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며, 이는 회복탄력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崔亚琳, 2025, 20). 또한, 김양언과 김경미(2024)는 내재적 동기가 높은 개인일수 록 긍정심리자본을 더 쉽게 축적할 수 있으며, 이는 그들이 수행하는 활동에 대한 높은 관심과 몰입도를 바탕으로 한다고 주장하였다(184). 이러한 견해는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 를 더욱 공고히 하며, 심리자본 축적 과정에서 내재적 동기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관련 선행 연구에서도 여가 참여동기가 노인의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탐구해 왔다. 공경배(2022)는 여가 참여동기가 노인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 라, 사회 활동에서 바람직한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자신감을 강화하여 궁극적으로 행복감 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고 밝혔다(40). 백할(2022)김종모, 추문식, 오연풍 (2023)의 연구에서도 스포츠 활동 참여동기가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및 회복탄력성 을 유의미하게 강화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94, 315). 이러한 연구들은 본 연구 결과와 높 은 일치성을 보이며, 참여동기가 긍정심리자본 증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추가적으로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중년층이 무용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장려하는 것은 단 순히 개인적 흥미를 충족시키는 것을 넘어, 심리자본 향상의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건강한 정신적 태도로 노화 과정을 적응해 나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노인대학 중년층의 무용 프로그램 참여동기는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즐거움, 사교 및 외적 과시, 건강증진을 주요 동기로 참여하는 사람들은 보다 높은 삶의 질을 실현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더 안정적 인 사회적 관계, 강한 자기효능감, 그리고 높은 생활 자율성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데시(Deci)와 라이언(Ryan)의 자기결정 이론과 일치한다. 해당 이 론에 따르면, 즐거움과 만족감과 같은 내재적 동기는 긍정적 행동과 심리적 건강을 촉진하 는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2000, 71). 무용 활동 분야에서도 최미영(2022)은 무용 활동이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여 노인이 긍정적인 정서와 심리적 안정을 유지하고, 외로움과 우울 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한 바 있다(176). 또한 신서연(2022)도 무용 활동 참여 자의 건강증진 및 즐거움 동기가 생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 다(73). 백성익과 윤상호(2017)는 노인의 일상생활 무용 참여만족도가 재미요인 및 성공적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혔다(420).

    한편, 로버트 하비허스트(Robert Havighurst)의 활동 이론에 따르면, 노인은 지속적인 사회 및 신체 활동 참여를 통해 자기 정체성과 생활 만족도를 유지해야 하며, 성공적 노화 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사회적 상호작용과 역할 대체가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1961, 8). 즉, 사교 동기는 중년층이 탄탄한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이끌며, 이는 노년기 사 회적 지원 체계의 기반이 된다. 김선희(2021), 종방민(钟方敏)(2023), 곽강월(郭江月)과 성 희령(成喜玲)(2023)의 연구도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으며, 사교 및 외적 과시와 건강 증진 동기는 단순히 사회적 관계와 신체 건강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성공 적 노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 강조된다.

    기존 선행 연구들도 이러한 변수 간의 관계를 지지하고 있다. 김솔지(2024)는 65세 이상 노인이 한국 전통 무용에 참여한 후 여가 정체성이 강화되었으며, 이는 자기효능감, 부부 관계 및 생활 만족도를 향상시켜 성공적 노화를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고 보고하였다(3). 이채원과 박명선의 실증 분석에서는 문화예술 교육 학습 동기가 노인의 사회적 참여 욕구 를 증대시키고, 궁극적으로 성공적 노화를 촉진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2020, 72). 본 연구는 무용이 개인의 심리적 및 사회적 적응을 촉진하는 중요 한 수단임을 추가적으로 검증하였으며, 특히 중국 노인대학 중년층 집단에서의 실천적 가 치를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긍정심리자본은 참여동기와 성공적 노화 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는 참여동기가 성공적 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할 때 그 영향이 더욱 강하게 나타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노인대학에서 무용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장년층의 참여동기가 성공적 노화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긍정심리자 본이 중요한 중재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김희은와 장은정(2021), 백할(2022), 김종모, 추문식, 오연풍(2023) 의 연구에서 참여동기가 긍정심리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 일치하며, 또 한 공경배(2020)의 연구에서 참여동기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킨다는 연구 결과로 지지된 다(30). 즉, 참여동기는 심리적 동력으로 작용하여 참가자가 내재적·외재적 동기를 통해 지속적으로 무용 활동에 몰입하게 만들며, 이를 통해 생활 속에서 적극적으로 사회적 교류, 문화 학습 및 신체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다. 궁극적으로 무용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동기는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키고, 중년층이 보다 높은 삶의 만족도를 경험하며 성 공적 노화를 이룰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이 유추된다. 다시 말해, 참여동기는 성공적 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긍정심리자본을 증진시키는 경로를 통 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무용이 개인의 심리적·사회적 적응을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 확인된 것이다.

    무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기존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일부 연구에서는 무용이 효과적 인 개입 방법으로 작용하여 노인의 노화 태도를 개선하고, 사회적 자본을 증대시키며, 우 울 증상을 완화하여 궁극적으로 성공적 노화를 촉진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다(신석환 2020, 469; 이문숙 2024, 49). 윤닝닝(2023)은 광장무가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여가 몰입을 강화하는 매개 효과를 통해 간접적 으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하였으며, 특히 광장무가 집단적 여가 활동으 로서 노인의 심리적·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입증하였다(8). 이러한 연구들 은 무용이 노인층에게 이상적인 여가 활동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근거가 된다.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노인대학 중년층의 무용 프로그램 참여동기는 긍정 심리자본과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으로 작용하며, 긍정심리자본은 성공 적 노화를 촉진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무용 참여동기는 중년층의 긍정 심리자본을 강화하고, 사회적 관계를 확대하며,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뿐만 아 니라, 노년기로의 원활한 이행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 인 교육과 건강 개입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며, 무용이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기여 하는 실천적 가치를 강조한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중국 노인대학 중년층의 무용 프로그램 참여동기, 긍정심리자본, 그리고 성공 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연구 과정과 방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노인대학 중년층의 무용 프로그램 참여동기는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적극적인 무용 참여는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를 증진시키 며, 이를 통해 긍정심리자본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둘째, 노인대학 중년층의 무용 프로그램 참여동기는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 활동을 통해 중년층은 개인적 흥미를 충족할 뿐만 아니라, 사회 적 관계를 강화하고 건강관리 능력을 향상시켜 성공적 노화 수준을 높일 수 있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은 참여동기와 성공적 노화 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는 참여동기가 성공적 노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뿐만 아니라, 긍정심리자본을 향상 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긍정심리자본이 양자 간 의 핵심 기제로 기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는 무용이 성공적 노화를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참여동기와 긍정심리자본이 핵심 요인으로 작용함을 강조하였 다. 또한, 무용이 중년층의 신체·정신 건강 증진 및 사회적 적응을 돕는 효과적인 수단임을 입증하였으며, 노인 교육 및 건강 개입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나타난 제한점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장쑤성 노인대학의 무용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중년층을 대상으로 진행 되었으며, 그 결과가 보다 광범위한 노인 집단에 일반화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 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의 지역적 범위를 확대하여 데이터의 대표성을 높이는 것 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무용 활동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기타 여가 스포츠 활동은 다루지 않았 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무용 유형과 운동 방식에 따른 긍정심리자본 및 성공 적 노화에의 관련성 및 영향력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연구의 시야를 확장할 필요성이 제기 된다.

    저자소개

    최아린은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무용학 박사과정 중에 있다. 태주대학교에서 무용 강사로 재직 중이며, 주로 민족 민간무용과 고전무용 등을 강의하고 있다.

    Cui Yalin is currently in the middle of a Ph.D. in Dance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he is working as a dance instructor at Taizhou University, where she mainly teaches ethnic, folk, and classical dance.

    차수정은 숙명여자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무용과에서 교수로 재직중이며 숙대 창의융 합연구소 운영위원, 무용역사기록학회 회장과 대한무용학회, 한국춤협회 부회장이다.

    Cha Sujung [Cha Sujeong] received her Ph.D. from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is currently a professor in the dance department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he is also a committee member of the Sookmyung RICO (Research Institute for Creativity and Convergence), president of SDDH (The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History), and vice president of KSD (The Korean Society of Dance) and KDA (Korean Dance Association).

    Figure

    Table

    인구통계학적 분석(Demographic Analysis)

    4개 도시 노인대학의 무용 프로그램(Dance Programs at Seniors Universities in Four Cities)

    무용 프로그램 특징(Characteristics of Dance Programs)

    무용 프로그램 수업 내용(Class Content of Dance Programs)

    측정변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for Measurement Variables)

    변인간의 상관관계(Correlation Among Variables)

    * p<0.05 ** p<0.01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도 지수(Goodness-of-Fit Indices for the Research Model)

    구조모형의 경로계수 분석 결과(Results of Path Coefficient Analysis in the Structural Model)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분해(Analysis of the Mediating Rol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 참여동기 - 긍정심리자본
    b: 긍정심리자본 - 성공적 노화
    c': 참여동기- 성공적 노화(직접효과)
    axb: 참여동기 – 긍정심리자본- 성공적 노화(매개효과)
    c: 참여동기 – 긍정심리자본 - 성공적 노화(총효과)

    긍정심리자본의 경쟁모형 모델 비교(Comparison of Competing Model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Reference

    1. 공경배 Kong, Kyoungbae [Gong, Gyeongbae]. 2022. “노인의 여가 참여동기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에 대한 매개효과 연구 Noinui yeoga chamyeo donggiga haengbokgame michineun yeonghyang: jagi hyoneunggame daehan maegae hyogwa yeon-gu”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Leisure Motivation of the Elderly upon Happines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n Self-Efficacy]. 「플랫폼기술저널 Peulraetpom gisul jeoneol」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10(3):30-43.
    2. _____. 2024. “베이비부머 세대의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Baeibi bumeo sedaeui pyeongsaeng gyoyuk chamyeo donggiga seonggongjeok nohwae michineun yeonghyang: hakseup molipgwa jagi hyoneunggamui maegae hyogwa” [The Effect of Baby Boom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on Successful Aging: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Commitment and Self-Efficacy].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hD diss., Kongju National University].
    3. 김미혜, 신경림 Kim, Meehye [Gim, Mihye], and Shin Kyungrim [Sin Gyeongrim]. 2005.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Han-guk noinui seonggongjeok nohu cheokdo gaebale gwanhan yeon-gu]”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uccessful Aging’ Scale for Korean Elderly]. 「한국노년학회 Han-guk noyeon hakho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5(2): 35-52.
    4. 김선희 Kim, Sunhee [Gim, Seonhui]. 2021. “중년여성 참가자의 커뮤니티댄스에 대한 관여도가 사회적 위축과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Jungnyeon yeoseong chamgajaui keomyuniti daenseue daehan gwanyeo doga sahoejeok wichukgwa seonggongjeok nohwae michineun yeonghyang” [The Effect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nts' Involvement in Community Dance on Social Atrophy and Successful Aging]. 「한국체육과학회지 Han-guk cheyuk gwahak hoeji」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30(1): 767-778.
    5. 김솔지 Kim, Solji [Gim, Solji]. 2017. “한국무용 참여 노인의 라이프 스타일이 여가정체성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Han-guk muyong chamyeo noinui raipeu seutaili yeoga jeongcheseong mit seonggongjeok nohwae michineun yeonghyang” [The Effect of the Lifestyle of Elderly Participants of Korean Dance on Leisure Identity and Successful Aging].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6. 김양언, 김경미 Kim, Yangun [Gim, Yang-eon], and Kim Kyoungmi [Gim, Gyeongmi]. 2024. “대학생의 내적동기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된 매개효과 Daehaksaengui naejeok donggiwa jillo taedo seongsukui gwan-gye: geungjeong simni jabonui maegae hyogwawa bulhwaksilseonge daehan innaeryeok bujokui jojeoldoen maegaehyogwa”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Motiva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n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 Lack of Tolerance for Uncertainty]. 「지역과 세계 Jiyeokgwa segye」 [Locality and Globality] 48(4): 169-200.
    7. 김종모, 추문식, 오연풍 Kim, Jongmo [Gim, Jongmo], Choo Moonsik [Chu Munsik], and Oh Yeonpoong. 2023. “생활체육 탁구참여자의 참가동기와 심리적웰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과 분석 Saenghwal cheyuk takgu chamyeojaui chamga donggiwa simnijeok welbingui gwan-gye-eseo geungjeong simni jabonui maegae hyogwagwa bunseok”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able Tennis Participants in Sport for Life]. 「한국스포츠학회지 Han-guk seupocheu hakhoeji」 [The Korean Journal of Sport] 21(4): 307-318.
    8. 김지현 Kim, Jihyun [Gim, Jihyeon]. 2011. “중년여성의 전통무용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Jungnyeon yeoseongui jeontong muyong chamyeoga saenghwal manjokdoe michineun yeonghyang” [The Influence of the Middle-aged Women's Participation in Traditional Dances on The Satisfaction With Their Life]. 원광대학교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9. 김희은, 장은정 Kim, Heeeun [Gim, Huieun] and Jang Eunjung. 2021. “대학 학습지원 프로그램 참여자의 긍정심리자본 이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Daehak hakseup jiwon peurogeuraem chamyeojaui geungjeong simni jaboni jagi gyeoljeongseong donggiwa hakseup molipeul maegaero hakseup seonggwae michineun yeonghyang”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Participants in the University Learning Support Program on Learning Performance Mediated by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Learning Flow].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Hakseup jajongsim gyogwa gyoyuk yeon-gu」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5): 383-401.
    10. 백성익, 윤상호 Baek, Seongik, and Yoon Sangho [Yun Sangho]. 2017. “노인의 생활무용 참여만족이 재미요인과 성공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 Noinui saenghwalmuyong chamyeo makjoki jaemi yoin-gwa seonggongjeok nohwa insike michineun yeonghyang” [The Influence of Older Adults’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Daily Life Dance upon Enjoyment Factors and Successful Aging Awareness]. 「한국스포츠학회지 Han-guk seupocheu hakhoeji」 [The Korean Journal of Sport] 15(2): 413-423.
    11. 백할 Bai, Jie. 2022. “중국 생활체육 농구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긍정심리자본 의 매개효과 Jungguk saenghwal cheyuk nonggu chamyeojaui chamyeo donggiga simnijeok haengbokgame michineun yeonghyang: sahoejeok jijiwa geungjeong simni jabonui maegaehyogwa”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Psychological Happiness in Chinese Sports Basketball Participants: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우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PhD diss., Woosuk University].
    12. 변정희 Byeon, Jeonghee [Byeon, Jeonghui]. 2022. “중장년 학습자의 교육 참여 동기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참여 활동의 매개효과 Jungjang-nyeon hakseupjaui gyoyuk chamyeo donggiga seonggongjeok nohwae michineun yeonghyanggwa sahoechamyeo hwaldongui maegae hyogwa” [The Effect of Middle-Aged Learn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on Successful Ag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중앙대학교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13. 신서연 Shin, Seoyeon [Sin, Seoyeon]. 2022. “무용 활동 참여자의 참여동기, 신체만족도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 Muyong hwaldong chamyeojaui chamyeodonggi, sinche manjokdo mit saenghwal manjokdoui gwan-gy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Physic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Dance Activities]. 서강대학교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14. 신석환 Shin, Seakhwan [Sin, Seokhwan]. 2020. “댄스중심의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성숙한 노화태도와 우울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라인댄스와 리듬체조 참여자를 중심으로 Daenseu jungsimui sinche hwaldonge chamyeohaneun noindeului seongsukhan nohwa taedowa uul mit seonggongjeok nohwaui gwan-gye: rain daenseuwa rideum chejo chamyeojareul jungsimeuro” [Relationship among Matured Aging Attitude, Depression, and Successful Aging of Elderly Participating in Dance-Oriented Physical Activity: Focused on Line Dance and Rhythmic Gymnastics]. 「디지털융복합연구 Dijiteol yungbokhap yeon-gu」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10): 469-477.
    15. 오애숙, 정민 Oh, Aesook [Oh, Aesuk], and Jeong Min. 2022. “신중년의 평생교육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Sinhungnyeonui pyeongsaeng gyoyuk chamyeoga seonggongjeok nohwae michineun yeonghyang: Sahoejeok jijiwa geungjeong simni jabonui maegae hyogwa” [The Effect of Participation of the New Middle Age in Lifelong Education on Successful Aging: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인문사회21 Inmun sahoe21」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13(6): 4035-4045.
    16. 우지인, 민두식, 조성식 Woo, Jiin [U, Jiin], Min Doosik [Min Dusik], and Cho Seongsik [Jo Seongsik]. 2024. “중장년층의 그룹운동 참여동기와 성공적 노화 간 영향관계 고찰: 운동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Jungjangnyeoncheungui geurup undong chamyeo donggiwa seonggongjeok nohwa gan yeonghyang gwan-gye gochal: Undong molipui maegae hyogwareul jungsimeuro”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Exercise (GX) Participation and Successful Aging among Active Senior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Exercise Commitment]. 「한국융합과학회지 Han-guk yunghapgwa hakhoeji 」 [Korean Journal of Convergence Science] 13(10): 105-125.
    17. 윤닝닝 Yun, Ningning. 2023. “광장무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여가만족이 여가몰입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Gwangjangmue chamyeohaneun noindeului yeoga manjoki yeoga molip mit seonggongjeok nohwae michineun yeonghyang” [The Effects of Leisure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Square Dance on Leisure Commitment and Successful Aging]. 명지대학교박사학위논문[PhD diss., Myongji University].
    18. 이경란 Lee, Kyungran [Yi, Gyeongran]. 2019. “고령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학습몰입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Goryeong hakseupjaui geungjeong simni jabon, sahoejeok jiji, hakseup molip mit seonggongjeok nohwaui gwan-gye” [Relationships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Support, Learning Flow, and Successful Aging of Older Adult Learners]. 국민대학교박사학위논문[PhD diss., Kookmin University].
    19. 이경란, 박지혜 Lee, Kyungran [Yi, Gyeongran] and Park Jihye [Bak Jihye]. 2021. “고령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학습몰입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Goryeong hakseupjaui geungjeong simni jabon, sahoejeok jiji, hakseup molip mit seonggongjeok nohwaui gwan-gye” [Relationships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Support, Learning Flow, and Successful Aging of Older Adult Learners]. 「평생학습사회 Pyeongsaeng hakseup sahoe」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7(1): 147-172.
    20. 이문숙 Lee, Moonsook [Yi, Munsuk]. 2024. “라인댄스 참가 초고령 노인의 사회적 자본과 우울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Raindaenseu chamga chogoryeong noinui saehoejeok jabon-gwa uul mit seonggongjeok nohwaui gwan-gye” [The Relationship among Line Dance Participants’ Social Capital, Depression, and Successful Aging of the Oldest Old]. 「한국무용학회지 Han-guk muyong hwakhoeji」 [Korean Journal of Dance] 23(4): 49-64.
    21. 이상주, 김정훈, 제갈선아 Lee, Sangjoo [Yi, Sangju], Kim Jounghoon [Gim, Jeonghun], and Jegal Seona. 2020. “은퇴자와 예비은퇴자의 은퇴준비, 긍정심리자본 및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 Euntoejawa yebi euntoejaui euntoe junbi, geungjeong simni jabon mit seonggongjeok nohwawaui gwan-gye” [Preparation for Retirement of Retirees and Prospective Retir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Relationship to Successful Aging]. 「문화기술의 융합 Munhwa gisului yunghap」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6(4):267-274.
    22. 이윤진 Lee, Yoonjin [Yi, Yunjin]. 2024. “평생교육 기반의 성공적 노화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Pyeongsaeng gyoyuk gibanui seonggongjeok nohwa yeon-gu donghyang bunseok: gungnae haksulji nonmuneul jungsimeuro” [Analysis of trends in successful aging research based on lifelong education: Focusing on papers from domestic academic journals]. 「노년교육연구 Nonyeon gyoyuk yeon-gu」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Gerontology] 10(1): 122-149.
    23. 이채원, 박명선 Lee, Chaewon [Yi, Chaewon], and Park Myungsun [Bak Myeongseon]. 2020. “액티브 시니어의 문화예술교육 학습 동기가 사회참여 욕구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Aektibeu sinaeoui munhwa yesul gyoyuk hakseup donggiga sahoe chamyeo yokgu mit seonggongjeok nohwae michineun yeonghyang” [The Effect of Active Seniors' Culture and Arts Education Learning Motivation on Social Participation Needs and Successful Aging]. 「플라스틱 미디어 연구 Peullaseutik midieo yeon-gu」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23(1): 72-80.
    24. 임태홍 Lim, Taehong [Im, Taehong]. 2014. “한국판 긍정심리자본척도(K-PPC) 타당화 검증” Han-gukpan geungjeong simni jabon cheokdo (K-PPC_ tadanghwa geomjeung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K-PPC)]. 「코칭능력개발지 Koching neungryeok gaebalji」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16(3): 157-166.
    25. 정용각 Jeong, Yonggak. 1997. “여가운동 참가자의 스포츠 참여동기, 각성추구, 정서의 요인이 스포츠 몰입에 미치는 영향 Yeoga undong chamgajaui seupocheu chamyeo donggi gakseongchugu, jeongseoui yoini seuprocheu molipe michineun yeonghyang” [The Effect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Sport Participation Motivation, Arousal Seeking, and Emotional Factors on Sport Flow]. 부산대학교박사학 위논문[PhD diss., Pusan National University].
    26. 조은지, 문영 Jo, Eunji, and Moon Young [Mun Yeong]. 2016. “중년의 무용활동 참여동기와 지속요인에 관한 연구 Jungnyeonui muyong hwaldong chamyeodonggiwa jisok yoine gwanhan yeon-gu” [Factors Influencing on Participation Motives and Retention of dance among the Middle Aged People]. 「대한무용학회논문집 Daehan muyonghakhoe nonmunjip」 [The Korean Journal of Dance] 74(4): 153-166.
    27. 최미영 Choi, Miyoung [Choe, Miyeong]. 2022. “생활스포츠 참여자의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대처 과정: 댄스 중심으로 Saenghwal seupocheu chamyeojaui seonggongjeokin nohwareul wihan chacheo gwajeong daenseu jungsimeuro” [A Study on the Coping Process for Successful Aging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 Focusing on Dance]. 「한국사회체육학회지 Han-guk sahoe cheyuk hakhoeji」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88: 171-183.
    28. 최서연 Choi, Seoyeon [Choe, Seoyeon]. 2019. “무용체험 프로그램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Muyong cheheom peurogeuraemi seonggongjeok nohwae michineun yeonghyang” [The effects of dance experience program on successful aging].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9. 한창목 Han, Changmok. 2019. “신중년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Sinhunghyeongui seonggongjeok nohwae michineun yeonghyang yoin bunseok”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Aging in early middle Age]. 「국정관리연구 Gukjeong gwalli yeon-gu」 [Journal of Governance Studies] 14(2): 37-62.
    30. 崔亚琳 Cui Yalin. 2025. “社区舞蹈活动对老年人社会参与和心理健康的作用分析 Shèqū wǔdǎo huódòng duì lǎoniánrén shèhuì cānyù hé xīnlǐ jiànkāng de zuòyòng fēnxī” [Analysis of the Role of Community Dance Activities in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Mental Health of Older Adults]. 「时代教育前沿 Shídài Jiàoyù Qiányán」 [The Forefront of Time Education] 7(1): 19-21.
    31. “国家卫健委:近十年我国老龄工作取得显著成效 Guójiā Wèijiànwěi: Jìn shí nián wǒguó lǎolíng gōngzuò qǔdé xiǎnzhù chéngxiào ” [National Health Commission: Significant Progress Achieved in China’s Elderly Work over the Past Decade]. 2022. 「光明日报 Guangmin ribo」 [Guangming Daily], 2022. 9. 21. [검색일: 2024. 11. 24.]. https://www.gov.cn/xinwen/2022-09/21/content_5710849.htm.
    32. 郭江月, 成喜玲 Guo Jiangyue, Cheng Xiling. 2023. “社会参与对老年人心理健康的影响研究 Shèhuì cānyù duì lǎoniánrén xīnlǐ jiànkāng de yǐngxiǎng yánjiū” [Research on the Impa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Mental Health in Older Adults]. 「老龄化研究 Lǎolínghuà yánjiū」 [Aging Research] 10(3): 751-761.
    33. 韩富通 Han Futong. 2023. “积极老龄化视野下昆明市老年大学生命教育现状研究” [Research on the status quo of life education in Kunming's universities for the elderly from the perspective of active ageing]. 云南师范大学 成人教育学 硕士学位论文[Master’s thesis, Yunnan Normal University].
    34. 婧斐阮 Jing Pei Ruan. 2024. “中国古典舞身韵在形体训练中的创新与实践” [The Innovation and Practice of Chinese Classical Dance Body Rhyme into Body Training]. 「教育理论观察」 [Educational Theory Observation] 2(9): 27-29.
    35. 刘畅 Liu Chang. 2022. “新时期民族舞的特点和发展趋势研究”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Trends of Ethnic Dance in the New Era]. 「戏剧之家」 [Drama House] 32: 138-140.
    36. 毛鑫莹 Mao Xinying. 2021. “在当代社会大发展的背景下对拉丁舞美学特征的研究”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Latin Dance in the Context of the Great Development of Contemporary Society]. 「艺术评鉴」 [Art Review] 07: 17-19.
    37. 王阔 Wang Kuo. 2023. “人口老龄化背景下S市老年大学发展问题及对策研究” [A Study on the Development Issues and Countermeasures of S City's Seniors University under the Background of Population Aging]. 河北师范大学 公共管理 硕士学位论文[Master’s thesis, Hebei Normal University].
    38. 夏思鸿, 陶李军, 李京平 Xia Sihong, Tao Lijun, Li Jingping. 2015. “排舞与广场健身舞的比较与分析” [Comparison and Analysis of Line Dance and Square Fitness Dance]. 「当代体育科技」 [Contemporary Sports Technology] 5(32): 246-248.
    39. 叶忠海 Ye Zhonghai. 2014. 老年教育学通论 [General Theory of Elderly Education]. 上海: 同济大学出版社 [Shanghai: Tongji University Press].
    40. 易琰, 封宏, 雷霞 Yi Yan, Feng Hong, Lei xia 2019. “体育舞蹈中各舞种的特点及价值分析”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Various Dance Forms in Sports Dance]. 「当代体育科技」 [Contemporary Sports Technology] 9(12): 247-249.
    41. 钟方敏 Zhong Fangmin. 2023. “社会参与对老年人精神健康的影响研究-基于2018年CHARLS数据的实证分析” [Influence of Social Participation on Mental Health of the Elderly-Empirical Analysis Based on 2018 CHARLS Data]. 「运筹与模糊学」 [Operations Research and Fuzziology] 13(6): 7425-7438.
    42. 中国老年大学协会 China Association of the Universities For The Aged. 2021. 「中国老年教育发展报告(2019-2020)」 [Report on the Development of Elderly Education in China (2019-2020)]. 北京:中国商务出版社 [Beijing: China Commerce Press].
    43. 中国全国人民代表大会常务委员会 [Standing Committee of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of China]. 1996. 「中华人民 共和国老年人权益保障法」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Elderly]. 北京: 全国人民代表大会常务委员 [Beijing: Standing Committee of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44. Deci, Edward, and Richard Michael Ryan.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Press.
    45. _____.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1): 68-78.
    46. Erikson, Erik Homburger. 1968. The Life Cycle: Epigenesis of Identity,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W. W. Norton Press.
    47. Havighurst, Robert James. 1961.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1: 8-13.
    48. Lachman, Margie, Salom Teshale and Stefan Agrigoroaei. 2015. “Midlife as a Pivotal Period in the Life Course: Balancing Growth and Decline at the Crossroads of Youth and Old Ag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9(1): 20-31.
    49. Luthans, Fred, Carolyn Youssef, and Bruce Joseph Avolio. 2006. Psychological Capital: Developing the Human Competitive Edg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50. Manfredo, Michael, Beverly Lee Driver and Michael Tarrant. 1996. “Measuring Leisure Motivation: A Meta-Analysis of the Recreation Experience Preference Scal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8(3): 188-213.
    51. Rowe, John Wallis, and Robert Louis Kahn. 1998.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4): 433-440.
    52. Swindell, Richard, and Jean Thompson. 1995.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the University of the Third Age.” Educational Gerontology 21(5): 429-447.
    53. UN.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2023. World Social Report 2023 : Leaving No One Behind in an Ageing World. New York: United Nations publication. 2023. 1. https://digitallibrary.un.org/record/4000104?v=pdf.
    54. Vallerand, Robert, and Robert Bissonnette. 1992. “Intrinsic, Extrinsic, and Amotivational Styles as Predictors of Behavior: A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60(3): 599-620.
    55. Weissinger, Ellen, And Deborah Bandalos. 1995. “Develop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Scale to Measure Intrinsic Motivation in Leis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7(4): 379-400.
    5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Decade of Healthy Ageing: Baseline Repor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1. https://www.who.int/publications/i/item/9789240017900.
    57. 国务院第七次全国人口普查领导小组办公室 Guówùyuàn dì qī cì quánguó rénkǒu pǔchá lǐngdǎo xiǎozǔ bàngōngshì [Office of the Leading Group for the Seventh National Population Census of the State Council]. 2021. 「第七次全国人口普查主要数据公报 Dì qī cì quánguó rénkǒu pǔchá zhǔyào shùjù gōngbào」 [Major Figures on 2020 Population Census of China]. 北京:中国统计出版社 Běijīng: Zhōngguó Tǒngjì Chūbǎnshè[Beijing: China Statistics Press]. [검색일 accessed on: 2024. 11. 24.]. https://www.stats.gov.cn/sj/pcsj/rkpc/d7c/202303/P020230301403217959330.pdf.
    58. 江苏省民政厅 [Jiangsu Provincial Department of Civil Affairs]. 2024. “2023年江苏省人口老龄化情况“ [The population aging situation in Jiangsu Province in 2023]. [검색일: 2024. 12. 20.]. https://mzt.jiangsu.gov.cn/art/2024/11/15/art_78624_11420268.html.
    59. 新华日报 [Xinhua Daily]. 2023. “江苏老年人口绝对数量居全国第二, 老龄化率居全国第六, 当老龄化列车呼啸而来” [Jiangsu has the second largest elderly population in China and ranks sixth in the aging rate. As the train of aging roars forward, it is unstoppable]. 2023. 10. 18. [검색일: 2024. 11. 24.]. https://www.jiangsu.gov.cn/art/2023/10/18/art_84323_11043081.html.
    60. 中国老龄科学研究中心 [China Research Center on Aging]. 2024. “我国老年大学发展状况调查报告” [Survey Report on the Development of Universities for the Elderly in China]. [검색일: 2025. 01. 05.]. http://www.crca.cn/index.php/14-activity/1142-2024-12-25-03-54-42.html.

    저자소개

    Footnote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