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pISSN: 2383-5214 /eISSN: 2733-4279

HOME E-SUBMISSION SITEMAP CONTACT US

Journal Detail

Journal Detail

Export Citation Download PDF PMC Previewer
Exploring Features of Hooded Crane Dance Performed in Nantes and Suncheon 생태환경을 주제로 다룬 흑두루미춤 퍼포먼스의 특징 탐구: 낭트-순천 공연 중심으로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Asian Dance Journal Vol.61 No. pp.3-26
DOI : https://doi.org/10.26861/sddh.2021.61.3

Exploring Features of Hooded Crane Dance Performed in Nantes and Suncheon

Kang, Jihyun*, Jun, Youngcook**
Graudate of Sunchon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주저자: 강지현 sky9221@naver.com
** 교신저자: 전영국 ycjun@sunchon.ac.kr

+ 이 논문은 주저자의 석사학위논문 ‘흑두루미춤 공연 사례 연구’(순천대학교, 2020)에서 소개한 자료와 내용 일부 를 재해석하여 게재하였음.
2021-05-09 2021-05-29 2021-06-22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a case of hooded crane dance performance that deals with the ecolog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choreographing movements and gestures, the subject of hooded crane performance was featured with theatrical dialogues. The data collection included choreography notes, photos, videos, memos, dialogues, and performance pamphlets collected twice in Nantes and Suncheon city between May and August 2019.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ata were presented in the following ways.



First, by reinterpreting the story of the wounded hooded crane (Doori) found in Suncheon the performance expressed the ecological life and adversity of the hooded crane from the opposing viewpoints between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humans. Second, the reactions of spectators suggested that the hooded crane dancing performance turned out to make them feel more interested in nature and ecology. Third, due to the real story of Doori, the performance played a role in reminding the meaning of the performance (i.e., ecological sensibility) while the locals appreciated the story in a friendly way. This study indicated the parts to be supplemented in future performances and expandability by attempting performances 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Suncheon Bay (tidal flats, etc.).



생태환경을 주제로 다룬 흑두루미춤 퍼포먼스의 특징 탐구:
낭트-순천 공연 중심으로

강지현*, 전영국**
순천대학교 환경융합예술학과 석사 졸업
순천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초록


이 연구는 생태환경을 주제로 다룬 학술대회에서 공연한 흑두루미춤 퍼포먼스 사례를 살펴보고 공연 의 주요 특징과 비평적 관점을 탐색함으로써 공연의 질적 향상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순천만에 왔다가 겨울을 지내고 이듬해 봄에 시베리아로 다시 돌아가는 흑두루미의 이야기를 표현한 두 개의 공연이다. 구체적으로 2019년 5월과 8월에 프랑스 낭트시 및 순천시에서 진행하였던 흑두루미춤 공연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그에 대한 주요 특징과 생태계에 대한 인식 등에 기여하는 가치 를 탐구하였다. 두 개의 공연 과정에서 수집한 안무 노트, 사진, 동영상, 메모, 대화 및 공연 팸플릿 등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순천에서 발견된 상처 입은 흑두루미 두리 이야기를 새롭게 해석하여 몸짓과 춤 동작 등의 퍼포먼스로 표현함으로써 자연환경과 인간의 대립적 관점에서 부각되는 생태적 삶과 역경 등에 담긴 의미를 드러내었다. 둘째, 프랑스 낭트시와 순천시에서 시행한 공연을 감상한 후에 면담을 통하여 비평 적인 피드백을 들은 결과 흑두루미춤 공연이 관람객들에게 환경과 생태에 더 관심을 가지게 하는 긍정 적인 평가 외에 재미를 통한 몰입도의 보강 등 보완해야 할 부분을 포착하였다. 셋째, 순천만 생태보전 의 맥락 속에서 등장한 흑두루미 두리 실화가 지역에 관련된 소재이며 생태적인 몸짓 표현에 비중을 많이 두면서 흑두루미의 삶 속에 담긴 생태적인 순환고리가 사람들의 삶에도 존재함을 느껴보도록 한 다는 점에서 공연의 가치가 드러났다. 흑두루미춤 공연을 퍼포먼스의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 결과를 토 대로 향후 보완할 점과 순천만의 습지 공간에서 공연을 시도하는 등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I. 들어가며

    1. 연구의 배경

    최근 생태와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사람이 중심이 되기보다 자연환경의 일부 로 인간을 다루는 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례로 우포늪에서 생태관광을 하는 해설사가 직접 만든 춤을 보여주거나 순천만의 흑두루미 이야기를 다루는 춤이 그러하다. 인간 중심의 춤을 넘어서서 자연과 함께 어우러지는 춤의 세계가 넓게는 생태예술이라는 분야로 소개되고 있다.1) 춤추는 행위가 무대와 인간세계와의 관련성을 넘어서 생태계의 일부로서 춤추는 자와 그것을 보는 자 사이에 자연환경에 관한 새로운 관점과 감상을 제공 한다면 그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기존의 무용 공연 연구를 살펴보면 무용 공연의 내용을 개념적으로 접근하거나 공연의 과정을 실기 기반 관점에서 다루는 경우가 많다. 2000년부터 2013년까지 게재된 총 1590 편의 논문을 검토하여 그 중에서 질적 연구라고 밝힌 총 79편의 논문을 조사한 연구는 흥미로운 결과를 보여준다. 질적 연구라는 광범위한 범주(31편)를 제외하고 나면 생애사와 사례연구가 각 9편으로 우세를 보이고 있으며 문화기술지(6편)가 그 뒤를 따른다.2)

    공연의 주제를 살펴보면 크게 무용수의 생애를 다룬 생애사 연구를 비롯하여 무용 수업, 프로그램 및 공연 등에 관한 사례 연구 및 무용수와 관련된 문화를 다루는 문화기술지 영 역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춤추는 사람의 자아 정체성, 신명과 같은 특정 경험, 무용에 관한 인식 등 다양한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아마도 2013년 이후에 자연환경에 관한 춤, 무용교육 프로그램, 사례 등은 상당수 있을 것이라도 예측되지만 정확하게 파악 되지 않고 있다. 코로나 상황(COVID-19)의 여파가 지속되고 있는 요즘 자연환경의 중요 성을 일깨우는 춤 공연을 연구 대상으로 다루는 것도 필요하다.

    이 연구는 순천만의 생태를 주제로 실제 있었던 이야기의 내용을 토대로 창작한 춤 공연 을 사례 연구로 다룬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본 저자들은 순천만에서 월동하 는 흑두루미를 주제로 창작한 춤을 프랑스 낭트(Nantes) 및 순천에서 공연한 내용을 대비 시켜 조망하고자 한다. 흑두루미춤이란 순천만의 습지에 찾아오는 철새인 흑두루미의 이 야기를 토대로 가을에 순천만에 왔다가 겨울을 지내고 이듬해 봄에 시베리아로 다시 돌아 가기까지의 삶에 대한 내용을 무용으로 표현한 것이다.3) 생태적 관점에서 보자면 두루미 의 아버지라 불리는 조지 아치볼트 박사의 일화가 있다. 그는 오직 두루미가 멸종되는 위 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온 몸을 바쳐 기쁜 몸짓으로 두루미와 함께 춤을 추었는데 이것은 야생의 상태에서 사람의 몸짓이 춤으로 나오는 아름다운 장면이다.4)

    이 연구의 계기를 만들어 준 실화가 순천에도 있다. 흑두루미 한 마리가 순천만에 왔다 가 길을 잃고 헤매다가 위험에 빠진 중에 지나가던 시민이 구해주었는데 12년간 초등학교 새 우리에 갇혀 지내다가 발견되어 야생 적응 훈련을 통해 순천만에 방사되었다. 흑두루미 ‘두리’는 야생 무리에서 따돌림을 당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다가 이듬해에 봄바람을 타고 홀로 북쪽을 향해 비상하였다. 우리는 이 이야기를 토대로 흑두루미의 동작, 춤, 대사 등을 혼합하여 공연을 구성하였으며 준비, 연습, 리허설, 공연 시행, 마무리 하는 절차로 연구를 설계하였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흑두루미 두리 스토리를 토대로 하여 창작된 흑두루미춤 공연의 특 징을 다른 장르와 비교 고찰하였으며 자연환경을 소재로 한 공연의 의미와 시사점을 고찰 하였다. 흑두루미 두리 이야기는 철새가 오고 가는 것만 아니라 두루미의 삶 자체를 이해 함으로써 기후변화, 환경적인 요소들과의 관련성을 인식하고 인간과 타 동물이 공생하면 서 살아가는 것이 중요함을 알려 준다.5) 가을에 도래하여 겨울을 보내고 이듬해 봄에 떠나 는 흑두루미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두리는 사람들에게 자연과 생태계에 대해 진지하게 생 각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이 논문에서는 흑두루미춤 창작 공연 사례의 주요 특징을 탐색하고 다른 두루미 관련 공연(학춤)과 비교 고찰함으로써 두루미의 생태와 주위를 둘러싼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증진과 관련된 측면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다음과 같이 탐구할 사항을 구분하였다. 첫째, 낭트 및 순천에서 시행한 흑두루미춤 공연에서 나타나는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 둘 째, 흑두루미 이야기를 토대로 창작된 흑두루미춤 공연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셋째, 흑두 루미춤 공연이 관객에게 주는 감상적인 요소와 자연환경을 대하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2. 관련 연구

    무용은 시간과 공간 속에서 일회성으로 지나가며, 공연 비디오 또는 팸플릿 외에 안무자 의 노트와 현장 기록 등이 남지 않으면 공연 후에 연구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무용수 또는 안무자가 작업 과정에서 기록을 남기든지 아니면 사후에 그 개 인의 기억 속에 남아 있는 것을 자료화하여 연구를 수행한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비디오 자료, 사진, 팸플릿 등을 수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 된다. 실기 기반 연구는 작품 의 구상부터 준비, 연습, 리허설과 공연을 한 후에 감상하는 부분까지 다루는 총체적인 과 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무용 연구에 대한 토대를 형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다.6)

    실기 기반 연구를 토대로 백조의 호수에서 등장하는 오딜을 재해석한 작품은 원작에서 악을 상징하는 캐릭터인 오딜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고 새로운 오딜을 탄생시키고자 하 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7) 작품의 주제는 자신에 대한 사랑으로 인해 자아가 존재 가치를 느끼게 되면서 자기 자신에 대한 열정이 피어나는 나르시시즘에 빠진 여성을 표현하는 것 이다. 이 여성은 원작 <백조의 호수>에서 등장하는 오딜을 재해석하여 새롭게 창조된 캐릭 터로 나르시시즘에 빠져가는 오딜의 내면심리를 다루고 있다.

    또 다른 논문은 컴퓨터교육을 전공한 대학교수가 흑두루미에 대한 관심을 가지면서 그 에 관한 춤을 창작해 보고자 하는 예술 활동에 대한 동기와 과정 및 공연 경험을 다룬 것이다.8) 자전적 사례 연구를 수행한 전영국은 흑두루미의 생태와 삶에 대하여 탐구하면 서 얻게 된 의미를 토대로 몸짓을 구성하면서 몸짓을 통해 자연과 교감하고 퍼포먼스로 표현하는 과정을 묘사하였다. 흑두루미의 스토리 전개와 안무 구성을 할 때 마치 ‘두루미 의 눈’으로 자연과 세상 및 인간세계를 바라보는 듯한 관점을 취함으로써 새로운 몸짓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어나가게 된 것이다. 그는 예술가/질적 연구자/교육자의 관점이 교차하 면서 열리게 되는 새로운 경계 지점에서 흑두루미춤을 만들어가는 자신의 여정에 대한 의 미를 해석하였다.

    12년 동안 새장에 갇혀 있다가 순천만에 방사되었던 두리는 흑두루미 무리와 어울리지 못하고 날카로운 발톱과 억센 부리로 거세게 밀려난다. 이 모진 과정을 지켜보며 연민과 사랑을 느끼는 다른 한 마리의 흑두루미는 처음 느끼는 사랑의 감정에 이끌린다. 순천만의 우거진 갈대와 갯벌에서 꿋꿋히 버틴 외톨이 흑두루미는 꿈에도 그리던 머나먼 고향을 향 하여 힘찬 비상을 하면서 공연이 마무리 된다. 이 작품은 관객들에게 원치 않았던 상황에 서 슬픈 운명을 안고 살아가는 고독한 흑두루미가 역경을 헤쳐 나가면서 비상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의 내면을 차분히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 외에 자연의 철새를 다룬 것은 아니지만 영화에서 모티프를 따서 무용 창작 과정을 다룬 연구가 있다. 장정윤은 제인 캠프만 감독의 <The Piano>라는 영화를 소재로 이야기 거리를 찾아서 무용 작품으로 발전시킨 일련의 과정을 실기 기반 연구로 진행하였다.9) 그 는 지나간 영화의 소재를 창작 당시의 시점과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안무하여 작품을 공연 함으로써 텍스트의 변형과 극적 내러티브, 그리고 이와 관련된 상호성에 관객과 무용수의 상호작용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하나의 소스로 여러 장르에서 활용하여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방식(One Source Multi Use, 이하 OSMU)을 적용하였는데 다큐멘 터리에서 등장하는 위기에 빠진 철새 이야기를 소재로 춤 퍼포먼스를 창작하는 방향성을 제공해 주었다.

    3. 연구 방법

    1) 연구의 동기와 맥락

    이 연구는 제2저자의 기획으로 프랑스 낭트에서 순천만 컨퍼런스를 주최하고 순천만의 스토리텔링과 흑두루미춤 공연을 한 이후에 후속 공연을 하면서 진행되었다. 그 과정에서 제1저자는 흑두루미 두리의 이야기를 토대로 춤사위 부분을 좀 더 확장하고 관련 스토리 를 보강하는데 중심 역할을 담당하였다. 낭트시에서 만났던 관람객들 및 예술가들과 교류 를 하면서 얻게 된 경험을 토대로 우리는 귀국 후에 무용수와 조명, 연주팀을 보강한 8월 흑두루미춤 공연 콘텐츠로 발전시켰다. 이 과정에서 팀 활동을 통한 새로운 시도와 관객과 의 만남 등을 하나의 사례로 다루는 연구로 발전하게 되었다.

    2) 연구 방법

    우리는 이 논문에서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여기서 사례란 2019년 5월 낭 트시와 8월 순천시에서 진행되었던 두 개의 흑두루미 공연을 대상으로 공연의 구상, 준비, 연습과정(리허설 포함), 공연 진행 및 감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해석하고 소개하는 방법이다. 연구를 하는 현재의 시점에서 지나간 공연 자료(메모, 팸플릿, 사진, 비디오)를 수집하고 내용분석을 하였으며 그 당시에 출연한 사람들(공연팀과 관객 일부)을 대상으로 면담하여 자료 해석을 보완하였다. 또한 연구자 자신의 기억 속에 있는 회상자료를 기록하 여 공동연구자 2인이 상호 검토하는 작업을 병행하였다.

    3) 자료의 수집 및 자료 해석

    우리는 2019년 4월부터 진행한 연습과 5월 낭트 공연과 8월의 순천 공연에 대한 사진 및 동영상을 비롯하여 팸플릿 등 홍보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외에도 공연에 관한 대본과 안무 스케치를 한 기록을 비롯하여 기타 메모 자료 등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런 자료 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5월과 8월 공연의 시작, 과정 및 공연 후의 결과까지 하나의 사례 로 통합적으로 고찰하였으며 공연의 주요 특징을 포착하고자 노력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하나의 주제(순천만 흑두루미)를 대상으로 약 5개월의 시차를 두고 시행되었던 두 개의 공연을 하나의 연장선에 두고 생태적 관점에서 조망한 점이 타 사례 연구와 차별화되는 지점이다.

    자료의 해석과 글쓰기에서 자칫 소홀하기 쉬운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공연의 다양한 자 료를 상호 교차하여 대비시키고 두 명의 연구자가 해석한 바를 상호 검토하는 방식을 채택 하였다.10) 공연 사례에 대하여 구체적인 해석과 검토가 끝난 후에 독자가 현장감을 느낄 수 있도록 글을 쓰고자 노력하였다.

    II. 낭트 5월 흑두루미춤 공연

    우리는 2019년 순천 방문의 해 기념으로 문화교류를 위하여 공연단의 일원으로 프랑스 낭트를 방문하였다. 5월 17일과 18일에 프랑스 낭트시의 국제교류센터인 코스모폴리스에 서 두 번에 걸쳐 생태 수도 순천의 관광 콘텐츠를 소개하면서 흑두루미 두리의 실화에 바 탕을 둔 무용 공연을 선보였다. 이 공연의 전체과정을 살피기 위하여 셰크너가 제시한 퍼 포먼스 연구 방법으로 준비과정, 공연과정 및 공연 이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11) 공연 전 에 준비 과정은 공연계획, 대본구성, 제작회의를 거쳐 연습과정(트레이닝), 워크샵 진행 및 최종연습(리허설) 등으로 이루어진다. 공연과정은 의상 준비 및 화장 등의 워밍업, 본 공연 진행 후에 마무리되며 공연 이후에 전문가와 관객만족도 등의 평을 통해 공연이 미치는 파장을 가늠하고 향후 보완할 점을 발견하였다.

    1. 흑두루미춤 공연의 준비와 전개

    순천만 흑두루미 이야기를 모티브로 창작된 흑두루미춤은 흑두루미 두리가 겪은 시련과 다시 비상하여 시베리아로 날아가기까지의 과정을 그렸다. 공연단은 낭트시와 국제문화교 류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공연 일정에 맞추다 보니 트레이닝(training), 워크샵(workshop) 을 생략하고 리허설에 치중하게 되었다. 낭트 5월의 공연에서 다룰 흑두루미 이야기를 각 색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흑두루미 둥지를 발견한 도깨비들은 흑두루미 알을 잃어버리게 되고 매우 당황해 어쩔 줄 몰라 한다. 그러던 중 멀지 않은 곳에서 알을 찾게 된다. 관객과의 소통을 위하여 알둥 지는 객석에 놓아두고 관객 중 한 명이 무대까지 가져다준다. 도깨비들이 알을 둥지에 내 려놓자 저 멀리에서 흑두루미 한 마리가 알을 품기 위해 등장한다. 두리는 태어나 성장하 다가 다리를 다치고 역경에 처하게 되지만 사람의 도움으로 회복하고 마침내 순천만을 떠 나게 된다.”

    그런 다음 공연팀은 5월 10일에 순천대학교 국제컨벤션센터 소극장에 모여서 국악 연주 팀과 배우들과 함께 극의 흐름을 바탕으로 여러 번에 걸쳐 연습하면서 조율의 과정을 거쳤 다. 두 명의 연극배우와 함께 우리는 고요한 순천만에서 알을 품고 있는 흑두루미와 천적 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공연의 초반부에 흑두루미는 알을 부화하기 위하여 긴장감을 늦추 지 않고 주변을 살피다가 저 멀리 천적의 등장으로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흑두루미와 천적의 충돌하는 모습을 큰 날갯짓과 검은 장삼으로 표현하였으며 흑두루미와 천적의 의 상 색상을 대비시켜서 충돌의 이미지를 부각하였다.

    도판 1.

    흑두루미춤 5월 공연 리허설 (촬영: 서근석 순천대학교 소극장 2019.05.10.)

    SDDH-61-1-3_F1.gif

    천적 역할을 맡은 무용수는 붉은 천을 사용해 흑두루미를 위협하듯 좌우로 뿌리고 주변 을 돌아다닌다. 붉은 천은 기후 변화, 생태계 파괴 등의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기도 한다. 붉은 천이 흑두루미의 몸 위로 높이 날아오를수록 두루미의 동작은 아래로 가라앉는다.

    워밍업 단계에서 공연 단원들은 정식 무대가 아닌 코스모폴리스 국제교류센터의 공간에 적응하면서 추가적으로 리허설을 하였으며 분장을 하였다. 그리고 순천만의 자연환경을 사진과 영상으로 소개하고 난 후에 수의사가 흑두루미 두리 프로젝트의 과정과 두리 실화 에 대한 다큐멘터리 자료를 발표하였다.12) 그는 12년 동안 초등학교의 새장 속에서 갇혀 있다가 발견된 흑두루미 두리를 자연 방사하기 위하여 순천만 인근 공터에 공간을 만들어 직접 같이 뛰면서 날 수 있는 고된 연습을 하였던 실제 인물이라서 스토리텔링에 생생함을 더해주었다. 그 다음 발표에서 제2저자는 흑두루미춤을 만든 계기와 과정 등에 대한 경험 을 이야기하면서 프랑스 관객들과 공유하였다.

    사전 준비과정을 통해 프랑스 관객들과 충분히 교감하고 소통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흑두루미춤 퍼포먼스가 시작되었다. 두 명의 배우가 관객과 상호작용하면서 두루미 알과 둥지를 찾아서 무대로 올려놓고 대금과 장고 반주에 어우러진 흑두루미춤 퍼포먼스를 진 행했다.

    도판 2.

    순천 컨퍼런스 팸플릿(좌)-그림책 소개(중)-공연 소개(우) (촬영: 서근석 낭트시 코스모폴리스 2019.05.17.)

    SDDH-61-1-3_F2.gif

    공연 중반에 도깨비들이 역경에 처하여 쓰러져있는 흑두루미를 발견하고 다시 등장하였 다. 붉은 천에 온몸이 감겨 움직일 수 없는 흑두루미가 쓰러지며 강하고 절도 있는 음악이 흐르는 가운데 도깨비들은 악의 기운(붉은 천)을 몰아내려 안간힘을 쓰자 드디어 흑두루미 를 억압하고 있던 것들을 풀어내고 다시금 날아오르기 시작하였다. 흑두루미 두리는 화답 하듯 희망의 춤을 추고 사람(도깨비)들과 이별하며 순천만을 떠나 시베리아를 향해 힘차게 날아올랐다.

    도판 3.

    힘겨운 역경을 딛고 다시 회복한 두리의 모습 (사진: Anizon 낭트시 코스모폴리스 2019.05.17.)

    SDDH-61-1-3_F3.gif

    공연이 끝난 후에 프랑스 관객들과 대화를 나누는 시간을 가지면서 공연 소감을 들을 수 있었다. 가족 단위 관객들과 청소년 및 성인들은 순천만 생태환경과 흑두루미 이야기를 창의적으로 표현한 점이 인상적이었으며 언어적인 설명 없이 어린이들도 쉽게 공감할 수 있는 공연(non-verbal performance)이었다고 평을 해 주었다.

    2. 흑두루미춤 퍼포먼스의 특징

    여기서 낭트 5월 공연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리차드 셰크너(Richard Schechner)가 제시한 퍼포먼스를 다루는 여섯 가지 방법 중에서 전체 공연 과정 외에 다섯 가지 부분을 추가로 고찰하였다.13) 첫째, 공연 전의 단계에서 단원들은 작품 속의 다리를 다친 흑두루 미 두리의 상황과 사람들간의 갈등 속에 12년 동안 초등학교의 새장 속에서 갇혀 있다가 발견된 흑두루미 두리를 상상하면서 그가 처한 상황과 인간과의 대립 관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감정 상태에 이입하는 등 공연자로서 의식의 변환 상태를 짧게나마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공연과정에서 자연환경(순천만)과 철새의 멸종위기종의 보전에 대한 가치를 느끼 면서 공연에 들어갈 수 있었다. 국악 연주단의 대금과 장고 반주는 무용수의 움직임에 맞 추어 순천만 갈대밭에 이는 바람을 연상시켰다.

    둘째, 공연의 전체 흐름과 몰입에 관한 부분은 흑두루미와 인간의 천적 관계, 순천만에 방사된 이후에 역경에 처하는 모습 등에서 긴장감이 고조되어 나타났다. 공연 후반부에 도깨비들의 도움을 받아서 회복하여 비상하는 두리의 모습에서 억압된 상태가 풀리는 몸 짓으로 관객의 몰입도를 높였다. 셋째, 공연자와 관객과의 상호작용은 마당극을 연상하는 듯한 연극배우의 대사와 흥을 북돋우는 관객 참여형(흑두루미의 둥지 찾기 등)의 대사 전 개로 이어졌다. 실제 관객 중의 한 명이 무대에 나와서 잃어버린 둥지와 알을 찾아주는 역할을 하였다.

    넷째, 공연의 전수 과정은 대본(텍스트)을 토대로 몸짓과 동작의 즉흥성을 가미하여 국 악 연주단원들과 조율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공연 영상을 촬영하여 보완하였으며 주 요 아이디어와 대본 등을 기록으로 남겨서 전승할 수 있도록 대비하였다. 다섯째, 공연 가 치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하여 축제 관계자들 및 공연단원들과 내부자적 관점에서 비평적 견해를 주고받았다. 생태환경을 소재로 한 한국의 창작 공연이 파리에서 약 380km 떨어진 낭트시에서 아마도 거의 처음 선보였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낭트시 곳곳에 정원 을 조성하는 등 녹지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낭트시 관계자는 가을에 시행하는 한국 정원 행사에 참여할 것을 요청하였다. 프랑스 축제 담당자들은 공연의 성장 가능성이 있음 을 알려주었고 공연 중에 나오는 대사를 스크린에 프랑스어 자막을 추가하고 프랑스 관객 들에게 공연 내용을 예술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부분을 고민할 것을 제안했다.

    3. 귀국 후 낭트 5월 공연의 보완 과정

    귀국 후에 우리는 공연 여파의 일환으로 순천만국가정원에서 후속 공연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5월 낭트 공연에 출연진을 비롯하여 순천대학교의 환경융합예술학과 교수들과 작 품을 리뷰하는 시간을 가지면서 보완해야 할 부분을 공유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7월 9일에 준비 회의를 통해 낭트공연 후속 작업으로 두리 이야기를 좀 더 확장시켜서 두리와 주변 생태와의 어우러짐과 다른 흑두루미 무리와의 교감과 갈등 에 관한 내용을 토대로 새로운 군무진을 투입해 이미지화하는 작업을 전개하였다. 2019년 7월 24일 연습을 통해 어린 두리의 등장 부분의 안무를 경쾌한 발동작 위주의 춤동작으로 만들어 보고 연습하였다. 그리고 7월 31일, 8월 11일과 12일에 연주팀에서 아쟁과 해금 등의 국악기를 보강하여 연주가 더 풍성해지고 군무 장면에서 더 웅장해지는 연출을 하였다.

    어린 두리가 등장하면 관악기의 경쾌한 음악에 맞추어 발동작 위주로 빠르게 움직임을 표현해 보고 무대 상하좌우를 오가며 순천만의 너른 들을 만끽하는 모습을 춤으로 연결하 였다. 그러다가 다리를 다친 두리는 원치 않는 닭장 속에 갇힌 뒤에 좁은 공간 속에서 겪게 되는 고난과 괴로움을 몸부림으로 표현하였다. 창살을 나타내는 조명을 이용하여 좁은 닭 장을 표현하였다. 마침내 새장을 벗어나 고즈넉한 순천만에서 자유의 몸이 된 두리는 한가 로운 한때를 보내는 있지만 저 멀리서 견제하듯 다른 무리의 흑두루미가 등장하며 지켜보 다 충돌할 기회를 엿보고 있다. 뒤를 보며 등장하는 무리는 무대 중앙으로 이동하며 두리 를 주시하고 견제한다. 두루미 무리의 동작으로 서로 엮이며 돌고 뛰면서 위협적인 날갯짓 을 하며 대립하는 모습이 긴장을 고조시켰다.

    III. 순천 8월 흑두루미춤 공연

    다음은 <8월 흑두루미춤 공연>의 준비 과정을 내용별로 소개하고 작품의 특징을 탐색하 고자 한다.

    1. 전체 줄거리와 안무 의도

    8월의 흑두루미 날아오르다

    • *소요시간: 15분

    • *연출 및 안무: 강지현

    • *출연진: 주역 무용수 2명, 군무진 2명, 연주팀 5명, 연극 2명, 무대진행 및 조명 등 보조 2명

    8월 공연은 순천만의 자연환경과 흑두루미의 삶(생태 등)에 대한 이야기 속에 사람들이 생태적인 순환과 연결고리가 존재함을 느껴보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 공연은 다친 흑두루미가 다시 새 장에 갇히며 어려움을 겪고, 순천만에 방사된 후에도 따돌림으로 불행 한 삶을 살았지만 결국 이겨내고 비상한다는 줄거리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제2저자는 안무자(제1저자)와 연극배우에게 흑두루미 두리 이야기를 상세하게 소개하면서 안무의 맥 락과 배우 연기의 방향에 대하여 협의하였다. 아래 부분은 낭트 5월의 공연 줄거리를 수정 보완하여 작성한 내용이다.14)

    • 전반부: [배우 두 명이 순천만에 대하여 소개하면서 흥을 북돋운다] 봄에 흑두루미 한 마리가 알을 품고 있다가 천적을 만나서 위기에 빠진다. 흑두루미는 알을 지키기 위해 과장된 날갯짓으로 한동안 대립하다가 천적을 쫓아내고 알이 무사히 부화하 기만을 기다린다. 고요한 순천만에 흑두루미 한 쌍이 등장하여 사랑과 안도의 2인무를 춘다.

    • 후반부: 그러나 이곳에서의 즐거움과 행복도 잠시 흑두루미에게 닥치는 시련[비유: 환경오 염, 신축건물 등으로 생존터를 위협받음]이 다가온다. 조명 속에 흑두루미가 쓰러 지며 정적이 흐른다[새 장 속에 갇힌 조명]. 강하고 절도 있는 음악이 흐르고 강인 한 느낌의 군무가 등장하면서 위기를 맞은 흑두루미 두리는 그 자신을 억압하고 있던 것들을 풀어낸다. 서서히 힘을 얻게 된 흑두루미는 날갯짓을 하다 마침내 날아오르기 시작한다[다시 일상으로 돌아온 듯 평온의 음악이 흐르며 무대 서서히 어두워진다.]

    안무 작업은 공연 줄거리(텍스트)에 그대로 재현하기보다는 흑두루미의 생태적 삶에 대 한 맥락과 주요 감정 등을 춤과 배우의 연기 등으로 표현하도록 유연하게 진행되었다. 따 라서 제1저자는 다큐멘터리 실화에 담겨있는 이야기와 생태적 맥락을 토대로 몸짓과 춤 동작을 구성하면서 3인 군무에 대한 안무 작업을 하였다. 제2저자는 공연의 초반과 종반부 에 흑두루미가 알을 품고 천적에 대항하는 장면 등에서 몸짓과 동작을 구성하였다. 전반적 으로 흑두루미춤의 안무는 연극 배우의 대사와 연기가 연계되면서 무용 동작과 음악이 상 호 교감하는 방식으로 유연성 있게 확장되어 나갔다.15)

    2. 창작 과정: 안무 스케치

    고요한 순천만에 흑두루미가 둥지로 날아와 알을 보호하듯 주변을 살피며 서성이다 큰 날갯짓을 하며 머리를 좌우로 돌려 깃털을 가다듬는다. 천적의 등장으로 둥지 주변을 위협 하며 서로 대립하는 부분을 저고리 소매가 긴 검은 의상(장삼)을 입고 흑두루미를 위협하 는 동작으로 장삼을 던진다. 이때 강하고 긴박한 타악기가 연주되자 흑두루미는 서로 둥지 를 돌며 대립하다가 천적을 쫓아내고 퇴장한다.

    어린 두리가 등장하는 장면은 경쾌한 음악에 맞추어 뒷짐을 지고 발동작 위주로 빠르고 경쾌하게 움직이며 즐거운 느낌으로 표현하였다[자연에서 즐겁고 편하게 놀고 있는 생태 적 모습]. 무대 중앙에서 앉고 뛰기, 돌기, 겹 디딤과 잔걸음 등[흑두루미의 생태적인 움직 임을 모방]을 하며 무대 상하좌우를 오가고 가벼운 느낌으로 즐겁게 표현하였다. 다리를 다친 두리를 새장에서 치료하는 부분은 조명을 이용하여 새장을 만들었고 새장 속 솔로 동작은 고난, 괴로움의 몸부림으로 표현하였다. 우리는 새 장 속에 갇혀 역경에 처한 흑두 루미의 생태적인 움직임이 사람(관객)들의 관점에서 볼 때 괴롭고 힘든 인간의 모습으로 받아들이고 공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다른 흑두루미 무리가 저 멀리서 어린 두리를 견제하듯 지켜보다 충돌할 기회를 엿보고 있다. 어린 두리를 견제하듯 뒤를 보며 등장하여 무대 중앙으로 이동한다. 두리를 주시하 다 두루미 무리 동작으로 서로 엮이며 돌고 뛰고 날갯짓하는 무리의 동작을 두리가 모방하 듯 따라 한다[무리에 섞이고 싶은 생태적 움직임이 인간에게도 원초적인 본능을 일깨운 다]. 돌고 뛰고 날며 무리에 섞이고 싶어 모방 행동을 하는 두리와 서로 견제하다가 마음을 열고 받아들이며 서로 화합의 춤을 춘다.

    어린 두리는 흑두루미들과 두 팔을 벌려 같이 날기, 등을 보며 서로 돌기, 시간 차 두며 각자 제자리 뛰기 동작을 하며 어우러진다. 두리는 흑두루미 무리와 무대를 같이 이동하면 서 서서히 무대 전체를 선회하다가 날갯짓 동작으로 드디어 비상하면서 퇴장한다.

    이 장면은 흑두루미가 따돌림을 당하는 역경 속에도 무리와 잘 어울리려고 하는 생태적 인 몸짓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를 바라보는 두 명의 배우(마을 사람들)는 봄바람을 타고 시베리아로 타고 가을에 다시 순천만으로 더 많은 무리를 데리고 돌아왔으면 하는 사람들 이 바람을 표현한다-이것은 흑두루미와 같은 철새들이 철마다 이동하면서 생태계에 선순 환하는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인데 생태적으로 존재하는 모두에게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3. 안무 노트와 8월 공연의 전개

    다음에 제시하는 안무 스케치 노트(Act 1 - Act 7)와 공연 장면은 서로 대비되어 나타 난다.16) 막이 오르면 짙게 깔린 안개와 갈대가 무성하고 푸르게 물든 순천만의 모습이 보 인다. 무대 한쪽 단위에 대금, 장구, 아쟁, 건반 등 악기가 놓여 있고 연주가 시작된다. 도 깨비 혹은 신령들이 신명 나는 가락에 맞춰 노래하며 등장하여 관객들과 호흡하고 흑두루 미 이야기를 풀어놓으며 극의 흥미와 앞으로 전개될 극의 기대감을 상승시킨다. 고요한 순천만에 흑두루미(좌장)가 둥지로 날아와 알을 보호하듯 주변을 살피며 서성이다 알을 품는다(<도판 4> 장면 1).

    도판 4.

    안무 노트: 봄 장면 1 (노트: 강지현 2019.07.24. 촬영: 서근석 순천대학교 우석홀 2019.08.19.)

    SDDH-61-1-3_F4.gif

    고요함도 잠시 천적의 등장으로 서로 대립한다. 둥지를 지키려는 강한 몸짓을 하다가 두 팔(날개)로 과장된 날갯짓과 얼굴(부리), 다리를 높이 치켜들며 크고 강하게 움직인다. 흑두루미의 성난 몸짓에 천적은 도망치듯 퇴장하고 다시 평화로운 순천만 들녘에서 고요 하게 알을 품는다(<도판 5> 장면 2).

    도판 5.

    안무 노트: 봄 장면 2 (노트: 강지현 2019.07.24. 촬영: 서근석 순천대학교 우석홀 2019.08.19.)

    SDDH-61-1-3_F5.gif

    어린 두리가 등장하여 경쾌한 음악에 맞추어 뒷짐을 지고 발동작 위주로 빠르고 경쾌한 움직임을 즐겁게 표현한다(<도판 6> 장면 3).

    도판 6.

    안무 노트: 여름 장면 3 (노트: 강지현 2019.07.24, 촬영: 서근석 순천대학교 우석홀 2019.08.19.)

    SDDH-61-1-3_F6.gif

    어느덧 흑두루미가 성장해 순천만으로 날아들어 온다. 긴 여정에 지칠 대로 지친 흑두루 미는 순천만의 아름다움과 주변에 대한 호기심으로 신이나 다시 날기 시작하지만, 다리를 다쳐서 새장에 갇히게 된다. 새장 속에 갇힌 흑두루미의 고난과 역경에 대한 괴로움을 독 무로 표현한다(<도판 7> 장면 4).

    도판 7.

    안무 노트: 가을 장면 4 (노트: 강지현 2019.07.24, 촬영: 서근석 순천대학교 우석홀 2019.08.19.)

    SDDH-61-1-3_F7.gif

    새장에서 벗어난 두리가 무대 상수 쪽으로 돌며 이동하며 직선으로 팔을 감고 던지는 동작과 제자리에서 뛰고 날갯짓을 하다가 흑두루미 무리를 발견하고 견제한다(장면 5). 흑 두루미 무리의 돌고 뛰고 날갯짓하는 동작을 따라 하는 모방 행동을 하면서 무리에 섞이고 싶어 한다. 어린 두리와 흑두루미 무리가 서로 견제하고 충돌하며 화합하고 비상하는 모습 이 펼쳐진다(장면 6).

    도판 8.

    장면 5 가을의 시련을 겪고 이듬해 봄에 떠나는 안무 스케치 (노트: 강지현 순천대학교 2019.07.24.)

    SDDH-61-1-3_F8.gif

    견제하던 흑두루미 무리는 서로 엮이며 돌고 뛰고 날갯짓한다. 그 모습을 먼발치에서 지켜보던 어린 두리가 무리의 흑두루미 행동을 따라 하자 두리를 서서히 받아들인다. 경쾌 하고 활발한 동작을 시작으로 서로 엮이고 흩어지면서 흑두루미 군무가 시작된다. 흑두루 미들과 어린 두리는 두 팔 벌려 같이 날아오르기도 하고 등을 맞대고 서로 돌기도 하면서 화합의 군무를 시작한다.

    도판 9.

    장면 6 흑두루미 무리들이 갈등 속에 어울리다가 비상하여 떠남 (촬영: 서근석 순천대학교 우석홀 2019.08.19.)

    SDDH-61-1-3_F9.gif

    두리는 흑두루미 무리와 무대 전체를 이동하며 힘찬 날갯짓을 하다가 무대 한쪽에서 등 장하여 좌장과 합류하고 화합의 커다란 날갯짓을 하며 무대를 자유롭게 이동하다가 비상 하는 무리와 함께 퇴장한다. 다른 한쪽에서 순천만의 주민 두 사람이 기쁨과 아쉬움 속에 손을 흔들면서 배웅한다.

    4. 8월 공연의 특징과 비평적 관점

    리차드 셰크너가 제시한 퍼포먼스를 다루는 방법을 차용하여 다음과 같이 8월 공연에 대한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째, 공연 전의 단계에서 단원들은 낭트 공연의 경험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흑두루미 두리가 처한 상황(힘듦, 고립, 갈등, 화합, 비상) 등에 대하여 짧게나 마 감정이입을 할 수 있었다. 다만 새로 추가된 무용수 한 명과 아쟁-키보드 연주가들은 사전 모임에서 두리 이야기를 통해 충분히 공감대를 형성하여 큰 공연을 준비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둘째, 공연의 전체 흐름은 흑두루미가 새장에 갇혀서 홀로 고독한 상황 에 처하는 모습과 순천만에 방사된 이후에 무리로부터 따돌림을 받는 부분에서 조명의 극 적인 효과를 통해 몰입감을 더해주었다. 셋째, 공연자와 관객과의 상호작용은 공연 초반에 두 명의 연극배우가 대사를 하면서 흥을 북돋워 주었으며 순천만 보전의 가치와 흑두루미 의 중요성에 대하여 짧게 소개하는 내레이터 역할을 맡았다. 넷째, 공연의 전수 과정은 5월 낭트에서 사용한 대본(텍스트)을 토대로 무용 안무 부분을 보강하여 진행되었다. 8월 공연 에서 해금/아쟁과 키보드 연주가 추가되면서 무용수들의 몸짓과 움직임에 즉각적으로 반 응하는 즉흥 연주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공연 대본과 안무 스케치 등을 기록으로 남겼으며 무대 전체가 나올 수 있도록 공연 영상을 촬영하였다. 다섯째, 8월 공연은 흑두루미의 외롭 고 힘든 상태에서 점점 회복되고 비상하는 이야기 전개에 연극적 표현과 무용, 국악 반주 등 다양한 장르를 묶어서 풍성하게 표현함으로써 5월 낭트 공연에 비하여 향상되었음이 드러났다.

    공연의 질적 향상에 대한 비평적으로 조망하기 위하여 우리는 내부자적 관점에서 솔직 한 의견을 듣기 위하여 낭트 5월 공연과 8월 순천 공연을 관람한 두 명을 섭외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참여자들은 다양한 표현 방식(장르)이 어우러진 작품을 감상하면서 몰입 할 수 있었으며 라이브 국악연주 자체가 하나의 볼거리를 제공하였다고 말해주었다. 그러 나 습지 관련 국제학술대회 행사의 오프닝 공연 장소가 “전문공연장이 아니어서 공연자와 관객이 함께 하기 어렵고 몰입에 방해가 되었다”고 느낀 응답과 “처음부터 전문 배우의 대사와 관객과의 상호작용으로 몰입은 잘 되었다”는 상반되는 의견이 나왔다. 그 중 한 명은 “너무 단순하고 예측하기 쉬운 스토리 구조가 아쉬웠다”고 하면서 작품의 내용의 보 완을 통해 극적 효과를 높이는 방안을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IV. 나가며: 논의 및 제언

    이 연구는 순천만의 자연환경에 대한 컨퍼런스 행사가 개최되었던 낭트와 순천에서 흑 두루미춤 공연을 진행하였던 과정과 공연 결과를 하나의 통합적 사례로 다루면서 공연(퍼 포먼스)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낭트 ‘한국의 봄’ 축제에서 순천만 컨퍼런스에 프랑스 관객 들이 주로 관람한 반면에 8월 순천 공연의 경우에 이 국제 습지 관리자 학술대회의 참가자 인 생태 관련 학자,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이 주 관객층이었다. 두 공연의 공통점은 연극적 대사와 함께 국악 반주에 맞추어 춤사위가 펼쳐지면서 순천만의 깃대종인 흑두루미 두리 의 험난한 삶을 통해 인간의 무지가 얼마나 자연환경을 해치고 있는지에 대한 울림이 전달 되도록 하였다.17)

    또한 낭트 5월 공연과 국악연주, 여성 군무의 춤사위 및 조명을 보강한 순천 8월 공연은 다음과 같은 감상적인 측면을 제공하였다. 첫째, 순천만 생태와 관련된 스토리(두리 실화) 가 지역에 관련된 소재이다 보니 관객들이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다. 둘째, 공연 초반에 배우가 대사하면서 스토리를 알려주므로 관객들은 이야기를 듣는 느낌으로 무용 공연을 감상할 수 있었다. 셋째, 흑두루미 공연 그림책으로 스토리텔링을 함으로써 관객들이 환경 과 생태에 관심이 생기는데 기여하였다.

    흑두루미춤 퍼포먼스에서 나타나는 생태환경적 특징은 살펴보면 생태적으로 자연스러 운 모습의 몸짓과 화합의 춤에서 나타났다. 우리는 이러한 두루미의 몸짓을 ‘두루짓’이라고 이름하여 퍼포먼스의 관점에서 기존 전통학춤(동래학춤과 울산학춤)18)과 차별화하였다. 또한, 전통학춤은 굿거리, 자진모리장단, 휘모리장단 등의 국악전통의 장단에 맞추어 추어 졌다면 8월 공연은 흑두루미가 추는 춤에 가락이 따라가듯이 즉흥에 가까운 연주곡을 사 용하여 관객의 호응과 소통을 유도하였다.

    흑두루미춤 퍼포먼스에 대한 공연학적 특징과 안무적 보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원 들은 공연 전의 단계에서 흑두루미의 생태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감정이입을 통해 공연에 참가함으로써 그들의 생태환경에 대한 인식이 서서히 증가하였다. 둘째, 공연의 전체 흐름 전개에서 생명과 시간의 순환성을 사실적인 몸짓언어와 함께 마임과 추임새로 보여주는 연극적 요소를 더하여 관객의 몰입도를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셋째, 공연 초반부에 공연자 와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장면은 중반부에도 추가하여 수동적인 감상자 아닌 능동적 참여자로서의 관객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한다. 넷째, 대본, 안무노트, 영상기록 외에 음악 반주 및 조명 사용에 대한 기록을 추가하여 공연의 이벤트에 관여하는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하고 향후의 작업 및 연구에 반영할 예정이다. 다섯째, 생태수도인 순천시가 추구하는 생태환경 보전에 대한 가치를 알려주는 이야기를 소재로 생태환경 공연 콘텐츠를 개발하 였다는 점에서 지역사회에서의 예술의 역할과 가치를 제고하였다. 여섯째, 흑두루미의 이 야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국악기와 양악기를 섞어 생태적인 몸짓 언어로 표현함으로 써 관객이 스스로 작품과 자신의 삶을 연결시키고, 세상에는 순환 고리가 존재함을 느끼도 록 해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흑두루미춤 공연을 향상시킬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흑 두루미의 여러 생태적 몸짓을 사람의 관점에서 몸으로 표현해 가고자 하는 과정은 순천만 과 생태적 삶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토대로 춤 동작을 서서히 발현시켜 나가야 하는 작업이 다. 만약 무대의 공연이 순천만 갯벌로 확장된다면 흑두루미가 갯벌에서 생태적 활동을 하면서 살아가는 것처럼 무용수도 자연환경 속에서 관계성을 맺으면서 몸짓과 춤으로 생 태적 감수성을 오롯이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19) 둘째, 무용수와 배우 및 음악연주가들은 생태에 관한 관심을 가지고 공연 주제에 대한 자료 수집, 해석(드라마투르기)을 통해 충분 히 공감한 후에 소통하면서 안무 작업 및 몸짓 표현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연극, 음악, 무용 등의 예술 분야들이 서로 협업하는 과정에서 각자 장르별 역할을 내세우기보다 공연 내용의 주요 전개에 따라 역할 비중을 적절히 조절하는 연출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전반적으로 5월과 8월의 공연 사례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이 사례는 순천만 생태 보전의 스토리를 토대로 지역의 행사 또는 학술회의 등과 연계하여 창작 활동의 진화, 발전의 양상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지역에서 전문적으로 활동하는 국악 연주가 및 연극배우, 무용수 등과 함께 활동함으로써 글로컬한 무용 콘텐츠를 개발하고 전문예술가들을 지원하고 양성하는데 기여하였다. 이 연구는 무용 전용 무대가 아닌 컨퍼 런스가 개최되는 공간에서 연극적 대사, 몸짓과 춤사위, 음악, 조명 등이 어우러지며 셰크 너가 제안한 것과 같이 춤의 공연을 제한하는 틀을 넘어 퍼포먼스로 확장되는 차별성을 보여주었다.

    Figure

    SDDH-61-1-3_F1.gif

    흑두루미춤 5월 공연 리허설 (촬영: 서근석 순천대학교 소극장 2019.05.10.)

    SDDH-61-1-3_F2.gif

    순천 컨퍼런스 팸플릿(좌)-그림책 소개(중)-공연 소개(우) (촬영: 서근석 낭트시 코스모폴리스 2019.05.17.)

    SDDH-61-1-3_F3.gif

    힘겨운 역경을 딛고 다시 회복한 두리의 모습 (사진: Anizon 낭트시 코스모폴리스 2019.05.17.)

    SDDH-61-1-3_F4.gif

    안무 노트: 봄 장면 1 (노트: 강지현 2019.07.24. 촬영: 서근석 순천대학교 우석홀 2019.08.19.)

    SDDH-61-1-3_F5.gif

    안무 노트: 봄 장면 2 (노트: 강지현 2019.07.24. 촬영: 서근석 순천대학교 우석홀 2019.08.19.)

    SDDH-61-1-3_F6.gif

    안무 노트: 여름 장면 3 (노트: 강지현 2019.07.24, 촬영: 서근석 순천대학교 우석홀 2019.08.19.)

    SDDH-61-1-3_F7.gif

    안무 노트: 가을 장면 4 (노트: 강지현 2019.07.24, 촬영: 서근석 순천대학교 우석홀 2019.08.19.)

    SDDH-61-1-3_F8.gif

    장면 5 가을의 시련을 겪고 이듬해 봄에 떠나는 안무 스케치 (노트: 강지현 순천대학교 2019.07.24.)

    SDDH-61-1-3_F9.gif

    장면 6 흑두루미 무리들이 갈등 속에 어울리다가 비상하여 떠남 (촬영: 서근석 순천대학교 우석홀 2019.08.19.)

    Table

    Reference

    1. 강기화[Kang, Kiwha], “동래학춤에 담긴 풍격(風格)의 미(美)”[Dongraehakchume damgin punggyeok-ui mi, The Aesthetics of Appearance in the Dance of Dongraehak], 한국무용연구[Hangukmuyong-yeongu, The Journal of Korean Dance] 31(3), 2013: 1-21.
    2. 김소양[Kim, Soyang], “울산학춤에 관한 연구”[Ulsanhakchume gwanhan yeongu, The Study on Ulsan crane dance],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7.
    3. 김신환, 김인철, 전영국 외[Kim, Shinhwan; Kim, Inchul; Jun, Youngcook, et al.], 두루미, 하늘길을 두루두루[Durumi, haneulgireul duruduru, Crane, Through the Sky]. 파주: 들녘출판사[Paju: Deullyeokchulpansa], 2015.
    4. 김재리[Kim, Jaelee], “확장된 안무의 장에서 수행적 드라마투르기”[Hwakjang-doen anmu-ui jangeseo suhaeng-jeok deuramatureugi, The Performative Dramaturgy in the Field of Expanded Choreography], 무용역사기 록학[Muyong-yeoksagirokhak, The Journal of SDDH] 54, 2019: 81-108.
    5. 강지현[Kang, Jihyeon]. “흑두루미춤 공연 사례 연구”[Heukdurumichum gong-yeon sarye yeongu, A Case Study on Performing Hooded Crane Dance],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2020.
    6. 김정태[Kim, Jeongtae], “전라북도립국악원 창작창극 <어매 아리랑>의 공연학적 특성 연구”[Jeollabukdodoripgugagwon changjakchanggeuk <Eomae Arirang>eui gong-yeonkhakjeok teukseong yeongu, Th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Studies on <Eomae Arirang>, Created Changgeuk of Jeollabuk-do Gukak Center], 공연문화연구[Gong-yeonmunwhayeongu, The Research of Performance Art and Culture] 31, 2015: 251-282.
    7. 조경만[Cho, Kyoungmann], “생태예술, 북미원주민 의례 속의 비의도적 구현과 현대사회의 의도적 실천”[Saengtaeyesul, bukmiwonjumin uirye sok-ui biuidojeok guhyeon-gwa hyeondaesahoi-ui uidojeok silcheon, Eco-art. Unintentional Realization in the Rituals of North American First Nations and Intentional Praxis in the Modern Societies], 무용역사기록학[Muyong-yeoksagirokhak, The Journal of SDDH] 36, 2015: 9-48.
    8. 장정윤[Chang, Chung Yoon], “OSMU 방식을 적용한 무용작품 <피아노>의 창작 과정 연구”[OSMU bangsik-eul jeok-yonghan muyongjakpum <piano>ui changjakgwajeong yeongu, Creating Dance <Piano> through OSMU Method, 무용역사기록학[Muyong-yeoksagirokhak, The Journal of SDDH] 23, 2011: 137-154.
    9. 장지혜, 조기숙[Jang, Jihye; Cho, Kisook], “‘오딜’을 재해석한 무용작품 <나에게 스며들다>의 창작과정에 관한 연 구”[‘Odil’eul jaehaeseokhan muyongjakpum <na-ege seu-myeodeulda>ui changjakgwajeong-e gwanhan yeongu, A Study on the Creation Process of the Dance Piece by the Reinterpretation of ‘Odile’, <Permeating into Myself>], 무용역사기록학[Muyong-yeoksagirokhak, The Journal of SDDH] 27, 2013: 125-149.
    10. 전영국[Jun, Youngcook], “순천만 흑두루미춤을 추는 자전적 경험에 관한 예술 기반 탐구 사례”[Suncheonman heukdurumichumeul chuneun jajeonjeok gyeongheome gwanhan yesul giban tamgu sarye, Art-based Case Study for Auto-biographical Dancing Experiences for Hooded Cranes in Suncheon Bay Wetland], 내러티브와 교육연구[Naereotibeuwa gyoyuk-yeongu, The Korean Society for Narrative Education] 5(3), 2017: 219-247.
    11. _______________________, “흑두루미춤 창작 동기, 과정 및 공연에 관한 자전적 사례 탐구”[Heukdurumichum changjak donggi, gwajeong mit gong-yeone gwanhan jajeonjeok sarye tamgu, Autobiographical Case Study on Motivation, Progress and Performance of Creating Hooded Crane Dancing], 무용역사기록학 [Muyong-yeoksagirokhak, The Journal of SDDH] 57, 2020: 167-191.
    12. _______________________, “낭트-순천 한불 국제문화교류 사례 탐구: 순천만 콘텐츠 중심으로”[Nangteu-suncheon hanbul gukjemunhwagyoryu sarye tamgu: suncheonman contencheu jungsimeuro, Exploring the case of international exchange between Nantes and Suncheon based on ecological culture and arts],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Munwha-gyoryuwa damunwha-gyoyuk,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9(5), 2020: 329-350.
    13. 조기숙[Cho, Kisook], “무용에서 ‘실기에 기반을 둔 연구’에 관한 고찰 - 개념과 과정을 중심으로”[Muyong-eseo ‘silgie gibaneul dun yeongu’e gwanhan gochal gae-nyeomgwa gwajeong-eul jungsimeuro, A Study of “Practice Based Research” in Dance - Focusing on the Concepts and Process], 무용역사기록학 [Muyong-yeoksagirokhak, The Journal of SDDH] 31, 2013: 229-255.
    14. 한만석, 신주영[Han, Manseok; Shin, Jooyoung], “무용학 질적연구의 주제 및 동향 분석”[Muyonghak jiljeok-yeonguui juje mit donghyang bunseok, Theme and Trend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 Dance], 한국무용연 구[Hangukmuyong-yeongu, The Journal of Korean Dance] 32(1), 2014: 189-219.
    15. Archibald, George, My Life with Cranes: A Collection of Stories, Baraboo: International Crane Foundation, 2016.
    16. Schechner, Richard, 민족연극학 - 연극과 인류학 사이[Minjokyeongeukhak - yeongeukgwa inryuhak sai, Between Theatre and Anthropology](2004), 김익두 역[Trans. Kim Ikdu], 서울: 한국문화사[Seoul: Hangukmunhwasa], 2004.
    17. 강지현, 전영국 외[Kang, Jihyeon; Jun, Youngcook, et al.], 흑두루미 창작춤 공연[Heukdurumi changjakchum gong-yeon, The Black Crane Dance Performance], 순천: 순천대학교 우석홀 대극장[Suncheon, Suncheondaehakgyo useokhol daegeukjang], 2019.08.18.
    18. 전영국, 정윤희 외[Jun, Youngcook; Jung, Yunhi, et al.], 흑두루미창작춤공연[Heukdurumi changjakchum gong-yeon, The Black Crane Dance Performance], 낭트: 코스모폴리스[Nantes: Cosmopolis], 2019.05.17.-05.18.
    19. 흑두루미의 꿈, 두리날다[Heukdurumiui kkum, durinalda, A Dream of Black Crane], [검색일: 2021.02.10.], YouTube video, 10:15 min. https://www.youtube.com/watch?v=lUGlpspkoEU.
    20. 흑두루미춤 공연 순천대 우석홀 2019년 8월 19일[Heukdurumichum gong-yeon suncheondae useokhol 2019nyeon 8wol 19il, Black Crane Dance Performance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19th August, 2019], [검색일: 2021.02.10.], https://www.youtube.com/watch?v=47ljuwBJP9s.

    저자소개

    강지현은 전북대학교 무용학과 학사 학위 취득 후에 순천시에서 순천무용협회 사무국장을 맡으면서 지역의 예술활동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2021년 2월 순천대학교 환경융합예술학과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전영국은 미국 일리노이(어바나-샴페인)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 취득 후에 순천대학교 컴퓨터교육과에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4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질적탐구학회 학회장을 맡으면서 심층면담 기반의 초상화법 및 예술기반연구 등 질적 연구 방법론과 사례에 관한 논문을 다수 출판하였다. 또한 2019년부터 환경융합예술학과의 석사과정에서 순천만 생태예술에 관한 연구 및 강의를 병행하면서 순천만 두루미를 소재로 창작춤 퍼포먼스와 공연을 하고 있다. 2019년에 “심층 면담을 활용한 질적 연구의 수행”을 출간하였으며 주요 논문으로 “흑두루미춤 창작 동기, 과정 및 공연에 관한 자전적 사례 탐구”와 “학무와 연화대 합설의 역사적 변용과정 고찰 및 현대 창작 가능성 탐구” 등이 있다. 주된 관심사는 인간과 철새의 상호 관계망에서 춤, 연극, 시, 그림, 음악, IT 등을 융합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활동 등이다.

    Footnote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