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pISSN: 2383-5214 /eISSN: 2733-4279

HOME E-SUBMISSION SITEMAP CONTACT US

Journal Detail

Journal Detail

Export Citation Download PDF PMC Previewer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Using Korean Dance 한국춤을 활용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개발 사례연구 : ‘코로나블루 해소를 위한 소상공CEO 대상 예술치유 Dance Therapy 케어사업’을 중심으로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Asian Dance Journal Vol.67 No. pp.3-16
DOI : https://doi.org/10.26861/sddh.2022.67.3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Using Korean Dance

Kang, Jun-young*
*Ph.D. in Dance Dankook University
*

Kang Jun-young gukaki@hanmail.net


Oct. 29, 2022 Nov. 28, 2022 Dec. 28, 2022

Abstract


Through a case analysis of small business CEOs who have accumulated social stress as a result of the pandemic of COVID-19 and participated in a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this study analyzes and reconstructs Korean dance movements in order to develop a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and presents its effects. This program incorporates meditation and breathing exercises based on Oriental philosophy. In particular, the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results of the program in order to expand its scope and apply it to stress, menopausal disorders, depression, and anxiety that are common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Firstly, we found that gender neutralizing the feminine dance movements would make male participants more comfortabl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addition, the dance movement treatment program using Korean dance movements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alternative complementary therapy for relaxing muscles and solv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issues. Moreover, the Korean dance-based movement therapy program, which employs movements and sensibilities that are best suited to Koreans, can further improve the health and well-being of Koreans.



한국춤을 활용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개발 사례연구
: ‘코로나블루 해소를 위한 소상공CEO 대상 예술치유 Dance Therapy 케어사업’을 중심으로

강준영*
*단국대학교 무용학 박사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춤 동작을 분석 및 재구성하고, 동양철학 사상에 근거한 명상과 호흡운동을 적용하는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개발 및 효과를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 연구는 일반인들이 겪는 스트레스, 갱년기 장애, 우울, 불안 등을 완화시키는데 확장, 적용되길 기대하며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 및 결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여성 중심이었던 춤동작을 남성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성별의 구분이 없는 동작들로 적용하면 남성 참여자의 불편한 현상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한국춤 동작을 활용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은 점진적으로 근육을 이완시켜 신체적,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주는 대체 보완 요법으로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인에게 가장 잘 맞는 동작과 감성으로 구성된 한국 춤 기반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 램은 한국 사람이 고질적으로 가질 수 있는 수축된 신체 및 심리를 이완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나아가 국민의 건강증진에 효과를 줄 수 있다.



    Ⅰ. 서 론

    코로나19의 팬데믹(pandemic) 현상은 우리의 일상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과학 문명 의 급속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질병의 세계적 대유행에 대응하며 방역에 최선을 다하여 2 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일상은 여전히 자유롭지 못하다. 최근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2021년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초기인 2020년 3월 에 대비해 자살을 생각한 사람의 비율이 40% 증가하고, 5명 중 1명이 우울 위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이데일리뉴스 2022). 트렌드 코리아 2022(김난도 외 2022)는 ‘헬시플레 이져’라는 키워드를 제시하면서 건강관리, 피로관리, 멘탈관리에 많은 사람이 주목하고 있 다고 한다. 또한, 연령과 상관없이 유행에 맞는 관리법으로 새롭고 트렌디하게 미리 건강 을 관리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증가한다고 예측하였다. 우울증은 개인적으로 충분히 극복 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개인의 내적 요인의 차이로 극복이 어려운 사람들도 많다. 이러 한 우울증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다양한 예술치유 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고 있다.

    현대무용이 중심이 되어 시작된 무용동작치료는 1900년대부터 심리치료의 한 장르로 오랜 시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춤을 기반으로 체계화된 프로그램이 일반인들에게 확산되지 못하고 있는 현상을 보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춤 동작을 분석 및 재구성하 고, 여기에 동양철학 사상에 근거한 명상과 호흡운동을 적용하는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일반인들이 겪는 스트레스, 갱년기 장애, 우울, 불안 등을 치료하는데 확장, 적용되길 기대하며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 및 연구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블랑쉐 에반(Blanche Evan)의 무용동작치료

    무용동작치료는 1900년대 초 현대무용 분야에서 발생하였다. 초기 무용동작치료사들은 개인의 자기표현과 탐구에 초점을 맞추어 신체 움직임을 통한 무의식의 개방을 격려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무용동작치료의 이론과 실제의 토대는 마리안 체이스(Marian Chace), 블랑쉐 에반(Blanche Evan), 리잔 에스페낙(Liljan Espenak), 메리 화이트하우스(Mary Whitehouse), 투디 스쿠프(Trudi Schoop), 알마 호킨스(Alma Hawkins) 등 6명의 선구자 에 의해 구축되었고, 그들의 이론은 오늘날까지도 넓은 범위의 임상 스타일에 적용되고 있다(Levy 2012, 6). 그중 블랑쉐 에반(Blanche Evan, 1909~1982)의 이론은 도시 신경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무용동작치료에 집중한다. 에반은 사람들이 수년간 신체 훈련을 하 지 않거나 신체를 통한 표현이 없다면 근육이 탄력성을 잃거나 파괴되며, 이로 인해 몸과 정신이 분리되고 자아의 힘이 위축되어 부적절한 분노와 사랑이 발생하여 자존감이 낮아 진다고 주장하였다(Levy 2012, 44). 에반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무용동작치료를 동작에 집중하는 춤 명상을 중심으로 준비단계, 기능적 테크닉의 체계, 즉흥⋅실행, 생각과 감정의 언어화로 구성하였다. 에반의 프로그램은 특히 척추를 강화하고 정렬할 것을 강조하였는 데, 이는 그가 척추의 힘과 유연성이 떨어지면 불안정성과 두려움을 초래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는 신체의 유연성이 창의적 즉흥을 더 쉽게 발현하게 하여 내면의 긴장을 탄 력적으로 바꿀 수 있다고 보고, 해부학적 체계에서 기능적 테크닉을 구축하였다. 에반의 무용동작치료의 이론과 실제 프로그램은 신체 재활과 교육에 중요한 기점이 되었다.

    도판 1

    블랑쉐 에반의 무용동작치료 구조 (Diagram of dance movement therapy suggested by Blanche Evan)

    SDDH-67-3_F1.gif

    2. 동작치료의 주요 개념 및 방법

    1) 명상

    일반적인 의미에서 명상(meditation)의 어원은 라틴어 ‘메데리(mederi = heal)’이며, 이 는 인도-유러피언어의 ‘measure(측정하다)’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또 다른 파생어는 약(medicine), 의학(medical)이란 단어이다. 즉 ‘병을 치유(료)하다’라는 뜻이므로 스트레스 와 우울증, 편집증 등 정서장애와 성격장애를 치료하는 도구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김 상백, 2008, 20). 명상은 무의식 속에 잠재된 상처로 인해 발현되는 현상을 치유해주는 대 체요법의 하나이다. 명상은 우뇌를 많이 자극하여 부교감신경을 활성화시켜 뇌에서 모르 핀이 증가되어 건강을 향상시키고 늘 기분이 좋아져서 항상 즐겁고 행복한 생활을 하게 돕는다(정남주 2010, 16). 특히 만병의 원인인 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으 며, 자율신경계의 활성화로 긴장된 근육을 이완하여 면역력이 강해진다. 명상 훈련으로 뇌 가 바뀐다는 ‘신경 가소성’ 이론이 있다. 이는 경험에 의해 뇌가 변화되는 능력을 말한다. 즉, 외부 자극에 의해 물리적으로 변하고 두께가 달라지는 뇌의 성질을 말한다.

    2) 호흡운동

    호흡은 생명 연장의 가장 필수적인 기능이다. 호흡이 좋으면 자세가 바르게 되고 심폐기 능이 향상되어 노화 예방에 도움이 된다. 사람들은 일상적인 생활에서 무의식적으로 숨 쉬는 흉식 호흡을 주로 한다. 흉식 호흡은 숨이 얕아지며, 목, 어깨 근육을 과도하게 사용 하여 피로감이 쉽게 온다. 이에 반해 복식호흡은 횡격막을 움직여 폐의 용적을 넓혀 숨을 깊게 쉴 수 있으므로 산소가 충분히 몸에 들어오게 되고 노폐물 배출이 원활해진다. 호흡 운동의 목적은 날숨의 증대, 기침기전의 효율성증대, 폐 손상의 예방, 호흡 근육의 근력, 지구력, 협응성 증대, 흉부와 척추의 운동성 유지 및 개선, 비정상적이고 비효율적인 호흡 패턴의 교정, 이완 상태의 증진, 갑자기 호흡곤란이 왔을 때의 대처 기술, 환자의 전반적인 기능상태의 개선 등에 있다(조용선 2003, 13). 복식으로 호흡운동을 하면 허리문제를 예방 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는데 도움이 있다. 호흡운동은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위장관 연 동운동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고 심장을 천천히 뛰게 하여 소화가 잘되고 긴장을 이완할 수 있게 한다. 특히 횡격막의 활발한 움직임으로 정맥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혈액순환과 면역력이 강화된다.

    3) 점진적 근육 이완요법

    점진적 이완요법(progressive muscle relaxation)은 미국의 생리심리학자인 제이콥슨(E. Jacobson)에 의해 개발된 스트레스 관리 방법으로서 신체 부위별로 근육을 점진적으로 수 축시키고 이완시키는 반복훈련을 통해 근육긴장을 완화하거나 교감신경계의 반응을 감소 시키는 이완방법을 말한다(김영재, 서남숙 2010, 172). 점진적 이완요법은 배우기 쉽고 부 작용이 없으며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중재 방안이라는 장점이 있다.

    점진적 근육 이완요법은 근육의 반복적인 긴장과 이완을 통해 근육만을 이완시키는 것 이 아니라 교감신경 항진으로 인해 심신의 긴장을 함께 저하시키는 것이다. 호흡에 집중하 면서 의도적으로 신체근육을 긴장시키고 이완함으로써 부교감신경계가 자극되어 긴장이나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있다. 김영재와 서남숙(2010)의 연구는 점진적 근육이완요법이 암환 자의 신체적 심리적 증상을 완화시키고 오심과 구토, 피로,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입증하였다. 이 연구에 따르면, 점진적 근육이완요법은 우울과 불안, 부정 정서 및 스트레 스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생리적 현상으로는 혈압이 낮아지고 스트레스 호로몬 감소, 콜레 스테롤 분비 감소, 심박 수 감소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트레스 관리에 효과가 있다고 제시하였는데, 이에 관련된 이론적 근거로는 말초 신경계와 뇌는 서로 자극 을 하는 관계이기 때문에 근육의 긴장 즉, 골 근육으로부터 유입되는 구심성 자기수용기 신경충격이 두뇌로 전달되어 긴장과 함께 스트레스도 느끼게 된다고 하였다(김지혜 2011, 17). 근육을 인위적으로 긴장과 이완을 시킴으로써 두뇌로 유입되는 신경충격이 함께 감소 되어 스트레스가 줄어드는 현상이 된다는 것이다.

    Ⅲ. 연구 방법

    이 연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한국춤 기반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코로나19의 영향으 로 2년 동안 힘든 삶을 영위하고 있는 일반 소상공CEO에게 적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한다. 연구자는 경상도 지자체 G시에서 2021년 10월부터 12월까지 9주간 ‘코로나블루 해소 예 술치유 Dance Therapy 케어사업’을 실시하였고, 이 연구는 그때의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소상공CEO 남자 6명, 여자 11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절차는 무용동작치료 프 로그램을 매주 1회 90분 동안 9주간 진행하였다. 총 17명의 체험자 중 3명은 중간 이탈하 였고, 나머지 14명은 9주를 완주하였다. 본 사례를 시작할 때 참여자들이 설문지 활용 및 사례사진 촬영에 대한 동의서를 직접 작성하고 진행하였다.

    표 1

    연구 대상 (Research participants)

    SDDH-67-3_T1.gif

    1. 연구 대상

    경상도 지자체 G시 소상공CEO 남자 6명, 여자 11명 무용동작치료에 참여하는 총 17명 의 대상자를 본인이 개발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매주 월요일 8명, 금요일 9명의 두 개 세션으로 나누어 운영하였고, 매 세션은 90분간 진행하였다.

    2. 연구 절차

    프로그램의 순서는 경직된 신체와 위축된 심리를 이완하기 위한 준비단계, 내부 긴장의 탄력성 회복과 신체 재활의 토대인 기능적 테크닉의 단계, 자신의 내면을 자발적으로 표현 할 수 있는 춤 명상의 단계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동양의 전통적 수행기법인 명상, 호 흡운동과 서양의 심리치료 기법을 통합하고 자신의 신체 감각을 중심 매개로 인식하게 하 기 위하여 한국춤의 완만한 흐름과 장단을 재구성하였다. 신체 감각에 집중하여 알아차리 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진행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신체이완과 심리이완 두 부분을 모두 활 성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판 2

    연구 진행과정 (Research procedure)

    SDDH-67-3_F2.gif

    1) 준비단계

    준비단계는 외부의 자극으로 위축된 심리와 경직된 신체의 근육을 이완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의 동작은 오랜 시간 심리가 위축되어 있어 타인에 대한 신뢰감과 공간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경직된 신체의 근육을 이완하며 자신의 감각에 집중 하여 신체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근육을 이완하는 동작 프로그램과 호흡운동 을 통해 자신의 신체의 감각 반응에 대해 집중하며 다음 단계를 수용하는데 대한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다.

    2) 기능적 테크닉

    기능적 테크닉은 자신의 신체를 통해 결여된 자신감을 형성하여 자신의 내면을 외부로 표현할 수 있도록 만드는 수단이 된다. 이 단계는 척추의 힘과 유연성이 떨어지면 불안정 성과 두려움을 야기하므로 척추를 강하게 정열 하는 기능적 테크닉을 통해 신체의 유연성 이 창의적 즉흥을 더 쉽게 발현하게 하여 내면의 긴장과 탄력성을 유연하게 변화시킬 수 있게 한다. 본 프로그램에서 기능적 테크닉은 해부학적이고 신체를 재활하며 교육하는 체 계에 유의하여 한국춤의 기초 동작으로 재구성하였다.

    3) 춤 명상

    춤 명상은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신체 움직임을 통해 내부 에너지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밸런스를 교정해 주고, 신체 건강을 위한 근육 탄성 회복력을 돕는다. 춤 명상은 신체의 움직임으로 심리적 이완 을 통해 자존감 형성하는데 좋은 명상 기법이다. 자신의 몸에 집중하여 자신의 신체를 이 해하고 오랜 시간 위축된 신체근육과 마음의 이완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 특 히 춤 명상은 자신의 억압된 심리를 개방할 수 있는 표현기제로 작용한다. 억압된 방어기 제의 에너지 역동을 움직임으로 반영하여 비언어적 차원으로 표현하여 해소할 수 있다. 마지막 단계인 춤 명상은 신체의 움직임을 활용한 긍정적 자아정체성 확립에 가여하며, 재활 및 치유적 사회화로서의 확장 가능성을 갖고 있다.

    도판 3

    무용동작치료 단계별 임상내용 (Stages of dance movement therapy)

    SDDH-67-3_F3.gif

    Ⅳ. 연구 결과

    연구의 결과는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 체험에 대한 느낌을 심층면담 후 자필 기록하는 질문지 내용의 분석에 기반 하였다. 질문지를 통해 체험자들에게 몸 상태를 기록하는 부분에서 아픈 곳, 통증이 있는 곳, 신체의 불편한 현상, 질병유무를 기록하게 하고, 마음 상태 부분에서 본인의 심리 상태를, 내면 바라보기 부분에는 명상을 실시하는 부분에서 어떠했는지를 기록하게 했으며, 마지막으로 무용동작치료를 접해본 경험에 대해 기록하게 하였다.

    표 2

    몸 상태의 사전, 사후 결과 (Pre and post-condition of the body)

    SDDH-67-3_T2.gif
    표 3

    마음상태의 사전, 사후 결과 (Pre and post-states of mind)

    SDDH-67-3_T3.gif

    질문지의 기록을 분석한 결과, 체험자 전원이 일상생활에서 특별한 동작훈련이나 명상 등을 접해보지 않다가 이 프로그램을 통해 춤 명상을 처음 체험하게 되었다고 반응하였다. 대다수 체험자가 일상생활에서 여유가 부족하며, 심리적으로 답답한 경우가 많다고 기록 하였다. 그러나 프로그램을 체험한 후 일상생활에서 소홀했던 부분을 인식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찾게 되었다는 기록이 많았다. 또한, 내면 바라보기를 통해 심리적으로 편안 한 느낌을 얻을 수 있었고, 동작치유가 함께 진행되기 때문에 신체적, 심리적으로 안정감 을 갖는 데 효과가 있었다는 기록이 많았다.

    이 연구는 일반인들이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쉽게 접할 수 없는 지역적 현실을 고려 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 사후 느낌도 기록하게 하였다. 사전의 느낌에 대해 대다수가 생소한 프로그램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큰 기대를 하지 않고 시작하였다는 기록이 많았다. 또한, 동작이 쉽고 편안하여 힘들이지 않고 참여할 수 있지만, 운동 효과가 있을지 회의적 이라는 기록도 있었다. 그러나 9주 후에 체험자들은 신체가 한결 유연해졌으며, 특히 평소 움직이지 않던 근육을 자주 사용함으로써 불편한 신체 부분이 상당히 개선되는 효과를 보 았다고 운동효과도 있다고 기록하였다. 이외에도 “몸과 마음이 많이 풀렸음”, “기분이 좋 아지고 행복함”, “선물처럼 나에게 여유와 치유를 준 시간”, “짧은 시간에 운동 강도가 높 고 몸이 개운해짐”이라고 기록하며 무용동작의 치료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 었다.

    Ⅴ. 결 론

    이 프로그램을 2021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CEO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점진적인 근력 이완 작용이 나타나면서 면역력이 강화되고 심리적 불안 문제를 해결 및 보완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자료분석 진행 은 첫째, 우울불안 척도는 백우울불안척도(김지혜・이은호・황순택・홍상황) 자기 진단식 검 사지를 활용하였고, 둘째, 스트레스 반응척도(고경봉・박중규・김찬형 2000) 검사를 프로그 램의 사전, 사후로 검사하였다. 세 번째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종료한 후 사전, 사후 비교 설문지를 자필로 기록하게 하여 총 3건의 임상사례를 분석하였다. 그중 본 연구 논문 은 체험자들이 직접 작성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 체험에 대한 느낌을 기록 한 비교 설문지를 바탕으로 분석한 내용이다.

    코로나19의 팬더믹 현상으로 사회적 스트레스가 누적된 소상공CEO를 대상으로 한 사 례분석을 통해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은 개인의 삶을 파괴하는 근본 요인인 신체적, 정신 적 피로도를 해소하는데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춤 기본동작을 재정비하고 호흡운동과 명상을 적극적으로 배치하면 통합예술동작치유로 일반인들에게 쉽 게 접근할 수 있으며, 그 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 중심이었던 무용동작을 남성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성별의 구분이 없는 동작들로 적용하면 남성 참여자의 불편한 현상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춤 동작을 활용한 무용동작치 료 프로그램은 점진적으로 근육을 이완시켜 신체적,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상당한 도 움을 주는 대체 보완 요법으로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한국인에게 가장 잘 맞는 동작과 감성으로 구성된 한국춤 기반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은 한국 사람이 고질적으로 가질 수 있는 수축된 신체 및 심리를 이완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나아가 국민의 건강증진에 효과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를 보강하여 더욱 다양한 대상들에게 적용해서 국민들의 스트레스, 우울, 불안 등을 해소시키면서 사회적 회복 탄력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도판 4

    한국춤 무용동작치료 통합예술동작치유 임상 결과 (Clinical results of Korean dance movement therapy integrated art movement therapy)

    SDDH-67-3_F4.gif
    도판 5

    한국무용동작치료 통합예술동작치유 사전 사후 질문지 (A before-and-after questionnaire of Korean dance movement therapy integrated art movement therapy)

    SDDH-67-3_F5.gif

    Figure

    SDDH-67-3_F1.gif

    블랑쉐 에반의 무용동작치료 구조 (Diagram of dance movement therapy suggested by Blanche Evan)

    SDDH-67-3_F2.gif

    연구 진행과정 (Research procedure)

    SDDH-67-3_F3.gif

    무용동작치료 단계별 임상내용 (Stages of dance movement therapy)

    SDDH-67-3_F4.gif

    한국춤 무용동작치료 통합예술동작치유 임상 결과 (Clinical results of Korean dance movement therapy integrated art movement therapy)

    SDDH-67-3_F5.gif

    한국무용동작치료 통합예술동작치유 사전 사후 질문지 (A before-and-after questionnaire of Korean dance movement therapy integrated art movement therapy)

    Table

    연구 대상 (Research participants)

    몸 상태의 사전, 사후 결과 (Pre and post-condition of the body)

    마음상태의 사전, 사후 결과 (Pre and post-states of mind)

    Reference

    1. 고경봉 Go, Kyungbong. 2000. “스트레스반응척도의 개발 Seuteureseubaneungcheokdoui gaebal” [Development of Stress Response Scale]. 『신경정신의학 Sin-gyeongjeongsinuihak』 [Neuropsychiatry] 157(4): 707-719.
    2. 김난도, 권정윤, 서유현, 이수진, 이준영, 이향은, 이혜원 외 Kim, Nando, Jeon, Kwon Jungyoon, Seo Yuhyeon, Lee Sujin, Lee Joonyoung, Lee Hyangeun, Lee Hyewon et al. 2021. 『트렌드 코리아 2022 Teurendeu koria 2022』 [Trend Korea 2022]. 서울: 미래의 창 [Seoul: Mireuichang].
    3. 김상백 Kim, Sangbaek. 2008. “동작명상치료 프로그램이 시설 청소년의 부적 정서와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Dongjakmyeongsangchiryo peurogeuraemi siseol cheongso-nyeonui bujeok jeongseowa daein-gwangye-e michineun hyogwa” [The Effects of Motion Meditation Therapy Program on Negative Emo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olescents in Institutions]. 동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hD dissertation, Dongbang Graduate University].
    4. 김영재, 서남숙 Kim, Youngjae, Seo Namsook. 2010. “점진적 근육이완요법이 항암화학요법환자의 오심과 구토, 피로,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Jeomjinjeok geunyuk-iwan-yobeop-i hang-amhwahak-yobeoph wanjaui osimgwa guto, piro, buran mit uul-e michineun hyogwa” [Effects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on Nausea, Vomiting, Fatigue, Anxiety and Depression in Chemotherapy Patients]. 『중앙간호학회지 Jung-angganhohakhoeji』 [Journal of the Central Academy of Nursing] 10(2): 171-179.
    5. 김지혜 Kim, Jihye. 2011. “음악을 사용한 점진적 근육이완법이 사회복귀시설 정신분열증 환자의 불안과 스트레스 에 미치는 영향 Eumageul sayonghan jeomjinjeok geunyuk-iwanbeop-i sahoebokgwisiseol jeongsinbunyeoljeung hwanjaui buran-gwa seuteureseue michineun yeong-hyang” [The Effects of Musical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on Anxiety and Stress in Schizophrenic Patients in Rehabilitation Facilities]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6. 정남주 Jung, Namjoo. 2010. “명상수련에 따른 뇌지수의 변화가 집중력, 학습 태도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Myeongsangsuryeone ttareun noejisuui byeonhwaga jipjungryeok, hakseup taedo mit simnijeok annyeonggame michineun hyogwa” [Effects of Changes in Brain Index According to Meditation Training on Concentration, Learning At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PhD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7. 조용선 Cho, Yongseon. 2003. “운동선수군과 비선수군의 안정 시 운동 에너지 소비에 관한 연구: 남자학생을 중심으로 Undongseonsugungwa biseonsugunui anjeong si undong eneoji sobie gwanhan yeongu: namjahaksaeng-eul jungsimeulo” [A Study on Exercise Energy Consumption at Rest in Athletes and Non-Athletes: Focusing on Male Students].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8. Levy, Fran J. 1992. 『무용동작치료: 치유의 예술 Muyongdongjakchiryo: chiyuui yesul』 [Dance Movement Therapy: The Art of Healing]. 고경순, 김나영, 남희경, 이상명, 최희아 역 2012 [Translated by Ko, Kyungsoon, Kim Nayoung, Nam Heekyung, Lee Sangmyeong, Choi Heeah]. 서울: 시그마프레스[Seoul: Sigeumapeureseu].
    9. “코로나보다 우울증이 더 위험, 자가진단 어떻게? koronaboda uuljeung-i deo wiheom, jagajindan eotteoke?” [Depression is More Dangerous than Corona, How to Self-diagnose?]. 2022. 『이데일리』 [E-Daily], 2022. 02.13.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085686632230192&mediaCodeNo=257 [검색일: 2022.02.19.].

    저자소개

    강준영은 단국대학교 무용학과에서 “한국무용과 ICT융합 콘텐츠 개발에 관한연구-K-Arirang Show 개발과 사례분석을 중심으로”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사)예락의 이사장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전통춤을 중심으로 ICT융합 콘텐츠, 웰니스 동작치유 콘텐츠를 연구 개발하고 있다. 특히 지역의 특수한 문화를 중심으로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춤 콘텐츠를 개발연구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K-Arirang show”, “여원무”를 기획연출하였으며, 웰니스 콘텐츠로는 “통합예술동작치유 비경테크닉”을 연구개발하였다

    Footnote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