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pISSN: 2383-5214 /eISSN: 2733-4279

HOME E-SUBMISSION SITEMAP CONTACT US

Journal Detail

Journal Detail

Export Citation Download PDF PMC Previewer
A Study on the Geometric Shape of William Forsythe in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 윌리엄 포사이드의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에 나타난 기하학적 형태 연구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Asian Dance Journal Vol.70 No. pp.25-47
DOI : https://doi.org/10.26861/sddh.2023.70.25

A Study on the Geometric Shape of William Forsythe in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

Jin Wu*, Xiao XinMin**, Son KwanJung***
*Ph.D. Student, Department of Dance, Hanyang University
**Ph.D. Department of Dance, Hanyang University
***Professor. Department of Dance, Hanyang University

Jin Wu jinwu5588@naver.com




Xiao XinMin xinmin6688@naver.com


*** Correspondence to Son KwanJung 1960938@hanyang.ac.kr
July 29, 2023 August 30, 2023 September 11, 2023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William Forside’s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 from a geometric perspective. This dance is a digital work presented through an online platform, which combines various fields to produce 20 objects. The work uses geometric forms to express dancers’ movements and spatial interactions in various ways. In our study, the interaction and fusion of art and geometry are explored by analyzing the dancers’ movements by means of geometric shapes such as points, lines, and planes. It analyzes how various patterns and structures are formed in space when dancers pass each other or make synchronized movements. Therefore, this study contributes to geometrically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dancers’ movements and their uses of stage space by combining dance and geometry.



윌리엄 포사이드의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에 나타난 기하학적 형태 연구

김무*, 소신민**, 손관중***
*한양대학교 무용학과 박사과정
**한양대학교 무용학과 박사과정 수료
***한양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초록


본 연구는 미국의 윌리엄 포사이드의 작품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를 기하학적 시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작품은 온라인 플랫폼에 기반 한 디지털 작품으로서, 다양한 분야를 융합해 20가지 오브제를 제작했으 며 기하학적 형태를 활용하여 무용수들의 움직임과 공간적 상호작용을 다양하게 표현한 다. 본 연구에서는 기하학적 형태인 점, 선, 면을 기반으로 무용수들의 움직임을 분석함으 로써 예술과 기하학의 상호작용과 융합을 탐구한다. 무용수들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이나 동기화된 움직임 등을 통해 공간상에서 다양한 패턴과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밝힌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용과 기하학의 결합을 분석함으로써 무용수들의 움직임과 무대 공간을 기하학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기여한다.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본 연구는 기하학적 형태 중 기본 형태인 점, 선, 면을 바탕으로 창작한 미국의 윌리엄 포사이드(William Forsythe)의 작품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의 기하학적 형태 연구이다.

    김현종은 “예술가들은 시각적 표현을 위해서 점, 선, 면 이라는 기본적 요소를 이용해 화면을 구성하거나 표현한다”고 말했다(2014, 1). 특히 점, 선, 면은 기하학에서 가장 기본 적인 요소로서, 안무가의 안무 기법과 형식이 아무리 복잡해도 점, 선, 면의 조합과 배열로 구성된 복합체로 단순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용과 기하학의 결합을 목적으로 작품 내용이 아닌 기하학적 시각으로 무용수의 움직임 자체를 분석하고자 한다.

    윌리엄 포사이드는 현재까지도 활발하게 활동을 이어오고 있는 미국의 대표적인 현대 무용가 겸 안무가이다. 2005년에 포사이드가 자신의 무용단인 ‘포사이드 무용단’을 설립한 후, 공간의 제약을 넘어서며 다양한 매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독창적인 안무 세계를 창조했다. 신민정에 따르면 “포사이드의 작품성향은 무대 안에서 무용수의 움직임만 중점 적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신체 또한 작품 안에서 하나의 오브제로 표현되거나 오브 제로써 서로 소통하며 상호 관계를 가지는 신체로써 표현된다”(2018, 25).

    본 연구에서 분석하는 작품은 안무가 포사이드가 2009년에 발표한 작품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이다. 이 작품은 안무가 포사이드가 2000년에서 창작한 작품 One Flat Thing, Reproduced를 중심으로,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첨단 예술 디자인 센터 ACCAD (Advanced Computing Center for Arts and Design)과 공동 작업하 여 만들어졌으며 디지털 온라인 작품으로 재탄생되었다. 이 작품은 비디오, 디지털 작업, 애니메이션, 그래픽 등 다양한 매체들과의 융합을 통해 독특한 예술적 경험을 제공하며, 영상을 기반으로 형성된 기하학 시각적인 표현을 중심으로 선보인다. 기하학적 시각은 공 간 내의 형태, 구조, 위치, 크기, 및 관계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둔 시각적 접근이 고 이것은 기하학적 형태와 개념을 활용하여 현실 세계를 모델링하고 설명하는 데 사용된 다. 또한 작품에서는 무용수들이 동시에 평면 위에서 춤을 추기 때문에 시간적 상호작용도 중요한 기하학적인 형태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무용수들이 동시에 다른 움직임을 하면서 서로 교차하는 부분이 있을 때, 이를 통해 공간상에서 다양한 패턴이 생성된다. 이러한 기 하학적 형태들은 작품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무용수들의 움직임에 큰 영향을 미치며, 무용 수들이 테이블과 상호작용하면서 생성하는 다양한 패턴은 작품의 아름다움과 독창성을 더 해준다. 따라서, 작품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는 기하학 적인 형태를 다양하게 활용하여 무용수들의 움직임과 공간적인 상호작용을 더욱 풍부하게 표현한 작품으로서, 무용 분야뿐 아니라 예술, 디자인,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기하학 적인 요소를 다루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 많은 참고가 될 수 있다. 또한 무용수들의 운동 궤적을 탐색할 때 공간 구성과 상호작용은 무용수 간의 인과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포사이드는 다양한 분야의 융합을 강조하며 무용 경계를 넘어 다양한 영역의 형태를 통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하학적 형태의 개념을 이용하여 복잡한 안무기법을 시각적으로 단순화하려는 시도이며, 안무기법과 학습 능력 향상에 의 의가 있다.

    월리엄 포사이드의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에 대한 연 구는 이미 몇 가지 존재한다. 포사이드의 2000년 작품 One Flat Thing, Reproduced를 디지털화 한 영상 기반의 프로젝트이기에, 다른 연구자들의 대부분은 정보예술, 무용 기록, 디지털 예술 등과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지선(2013)의 논문은 작품에 나타난 총체 정보 예술적 속성과 매체 미학의 의미를 해석하는 연구이다. 김태희(2016)의 논문은 작품 에 등장하는 오브제의 표현 특성을 분석하고 오브제들이 어떻게 무용 작품에서 작품을 자 극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신상미(2017)의 논문은 라반 움직임 이 론을 통해 작품을 분석하고 오브제들과 포사이드의 움직임 특성이 서로 친화적이라는 결 론에 도달한 연구이다. 위의 논문들은 모두 포사이드의 작품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를 분석하였는데, 본 논문은 이와는 전혀 다른 관점에서 기 하학적 형태의 관점에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포사이드 무용단과 ACCAD 예술디자인 센터가 공동으로 제작한 20 가지 오브제들을 이용하고 점, 선, 면을 결합하여 기하학적 관점에서 작품을 분석한다. 기 하학은 여러 학문(수학, 과학, 미술, 건축, 조형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주로 예술의 분야에서 인간의 정신적 탐구에 대한 욕망의 도구로써 사용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과정에서는 무용분야의 관련 기하학적 참고문헌이 제한되어 있어 기하학적 연구를 보다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기타(미술, 건축, 조형 등)분야의 기하학 관련 연구 성과를 참고 하여 연구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미술 분야에서 김민정(2003)의 논문은 자연의 형상과 구조를 점, 선, 면과 같은 기하학적 개념을 활용하여 분석하여 자연에 속해 있는 나뭇잎의 아름다움과 복잡성을 기하학적 시각을 통해 다시 한번 탐구하고 이해하는 연구이다. 건축 분야에서 이민영(2013)의 논문은 도시풍경을 점, 선, 면을 통해 추상적이고 아름답게 표현하면서, 도시의 내면과 본질적인 특성을 탐구하는 연구이다. 조형 분야에서 정지은(2018)의 논문은 점, 선, 면의 조합과 표현 방법을 통해 예술적 창의성을 계발하고, 의인화 기법을 통해 감정과 아이디어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탐구하는 연구이다. 위의 논문들은 서로 다른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이 세 논문은 기하학적 형태인 점, 선, 면과 같은 기초적인 시각 요소를 통해 해석하고 이해하는 데 주력한다. 또한 시각적 표현을 강조하며, 각자의 분야에서 점, 선, 면을 활용하여 예술적 감성과 아이디어를 전달 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이는 미술, 건축, 조형 작품의 복잡한 특성을 추상적인 기하학적 형태로 단순화시키고, 이를 통해 깊은 이해와 표현의 공동 노력을 실현하려는 시도가 본문 의 접근법과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 기하학적 형태 분석은 점, 선, 면 형태를 기반으로 한 연구로 제한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무용수들의 운동궤적과 움직임을 20가지 오브제를 이용하여 분석 할 때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을 배제하기 어려워 연구의 한계가 있다. 이러한 연구의 제 한점을 감안할 때 향후 연구에서는 무용과 기하학의 상호작용에 대한 더 다양한 지식을 고려하고 주관성을 줄이기 위한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방법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Ⅱ. 이론적 배경

    본 연구는 기하학적 점, 선, 면의 형태로 안무가 포사이드가 제작한 디지털 예술작품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핵심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기하학적 형태를 이론적 배경으로 탐구하여 기하학적 형태에서 점, 선, 면으로 범위를 좁히고, 기하학적 형태에서의 기본 형태 점, 선, 면에 대하 여 이론적으로 정립하였다. 우선 기하학적 형태의 정의 및 특성에 대해 이해해볼 필요가 있다. 그다음으로 기하학적 형태는 예술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하거나 탐구하는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1. 기하학적 형태의 정의 및 특성

    우시우스 웡(Wucius Wong)은 “기하학은 본래 땅을 측정하기 위하여 필요했던 학문으 로 고대 이집트인의 토지 측량에 의한 도형의 연구를 기하학적인 기원이라고 보고 있다”라 고 하였다(1994, 15). 신권희, 한석우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기하학(Geometry)이란 ‘사물의 형과 크기를 취급하는 과학’으로 정의되며 기하학의 어원 은 토지(Geo)라는 말과 측량(Metry)이란 말이 합쳐진 것으로 Geometry라 한다(신권희, 한석 우 1986, 96).

    ‘사물의 형(Shape)과 크기(Size)를 취급하는 과학’ 또는 ‘공간의 수리적 성질을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로 정의되며, 이는 고대 이집트인들의 나일강 범람으로 인한 토지 측량에 서 유래된 말이다(최미희 2017, 6). 김미현은 “기하학이란 본래 물건의 형상, 크기, 위치 그 밖의 공간에 관한 성질을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부분으로 정의 된다”고 말했다(2010, 3). 지금은 수학 분야뿐만 아니라 기하학이 여러 분야에 융합돼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현실 세계의 다양한 현상을 이해하고 모델링할 수 있으며, 수학, 공학, 물리학, 컴퓨터 그래픽스,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러한 개념을 활용한다. 기하학적 형태는 이러한 점, 선, 면을 조합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점과 선을 사용하여 도형을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기본 형태들을 조합하여 복잡한 기하학적 구조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기하학적 형태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하학적 형태의 크기와 형태는 그것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나타내고 크기는 길이, 면적, 부피 등으로 표현되며, 형태는 도형의 모양과 구조를 나타낸 다. 둘째, 기하학적 형태는 공간 내에서의 위치와 방향을 특정하여 이것은 물체나 점이 어 디에 있는지, 어떤 방향을 향하는지를 나타낸다. 셋째, 대칭성은 기하학적 형태에서 중심축 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특성을 의미한다. 넷째, 거리와 각도는 기하학적 형태에서 중요한 측정 요소이고 거리는 두 점 사이의 길이를 나타내며, 각도는 두 선분이나 방향의 차이를 표현한다. 다섯째, 기하학적 형태는 차원에 따라 나누고 0차원은 점, 1차원은 선, 2차원은 면, 3차원은 공간을 나타낸다. 여섯째, 기하학적 형태는 다양한 변환을 통해 다른 형태로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회전, 축소, 확대 등의 변환을 통해 형태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주변을 살펴보면 기하학적 형태가 존재하지 않는 곳이 없다. 가오 양(Gao Yang)은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예를 들어 의류의 도트, 삼각형 장식, 건축의 유선형 디자인, 제품 포장의 기하학적 면 분할, 또 쇼핑몰, 레스토랑의 인테리어, 정원 경관의 도로, 바닥, 녹화 식생, 그리고 서적 디자 인, 로고 디자인, 글자체 디자인, 포스터 디자인 등과 같이 모두 추상적인 점, 선, 면 요소와 현대 디자인을 충분히 융합하였다(가오 양 2019, 2).

    이러한 사물들은 직접적인 기하학적 형태를 통해 우리의 생활에 어울리는 조화와 아름 다움을 제공한다. 그리고 정수진은 “이 형태들은 점, 선, 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점, 선, 면들은 역으로 재구성하여서 상호 관련된 형태의 제작도 가능하다”라고 하였다(2006, 8).

    점, 선, 면은 기하학적 형태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기하학적으로 정의된 점 (Point)의 개념은 하나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크기나 방향이 없다. 선분이나 도형의 (시작, 중심, 종결)를 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학 좌표 평면에서는 (x, y)와 같이 좌표로 표현된다. 점은 무한히 많이 존재하며, 길이, 폭, 깊이와 같은 크기나 형태가 없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다. 점은 어떠한 방향이나 형식을 가지지 않으며, 독립적인 존재로서 물체 의 기하학적 요소를 형성한다. 선(Line)은 점들의 연결체이며 두 개 이상의 점을 연결한 직선으로 점의 운동에 의한 궤적이다. 점이 길, 폭, 깊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라면 선은 길이만을 갖고 폭은 관찰할 수 없는 개념적인 객체로서 정의된다. 그러나 선은 방향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짧아지거나 길어지는 유동성의 특성을 보인다. 선은 무한히 많을 수 있 으며, 평면상에서 두 점을 잇는 가장 짧은 거리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면(Plane)은 몇 개 이상의 선분이 만나는 평면적인 도형으로, 차원의 공간을 가지고 있다. 면은 무한히 많 을 수 있으며, 평면을 사용하여 공간을 구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면은 평행선 과 교차하거나, 직선과 만나는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면은 표면적과 부피 를 가지고 있으며, 다각형이나 원, 타원 등의 도형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점, 선, 면 형태는 현대의 무질서한 혼돈 상태를 일정한 법칙에 근거하여 균형으로 조화시키며 실제적인 표 현 수단에 있어서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역할을 해준다(정수진 2006, 8). 따라서 다음 장에 서는 예술에서의 기하학적 형태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는데 중점적으로 예술에서 점, 선, 면 형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예술에서의 기하학적 형태

    데이비드 A. 라우어(David A. Lauer)는 “자연의 모든 형태나 복잡한 어떠한 형태라도 기본적으로는 간단한 기하학적 형태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기하학적 형태로의 환원이 가 능하다”라고 하였다(2002, 185). 기하학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기하 학은 수학에서뿐만 아니라 예술에서도 미적 표현의 한 양식으로 나타났다. 기하학자가 탐 구하는 영역은 공간이고, 공간도 예술가들이 관심을 두는 것이다. 예술에서 기하학적 형태 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고 대표적인 예술 분야로는 다음과 같다.

    건축에서는 기하학적인 형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파리의 에펠 탑 이나 각 나라의 무용극장 등이 있다. 이러한 건축물은 기하학적인 3가지 점, 선, 면 형태를 융합하여 아름다운 모양과 안정감을 부여한다. 미술에서도 기하학적인 형태가 사용된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현대미술에서 많이 사용되는 추상화 작품 피트 몬드리안 검정, 빨강, 회색, 노랑, 파랑의 구성(1921), 마르셀 뒤샹 계단을 내려오는 누드, No. 2(1921), 바실 리 칸딘스키 연속(1935) 등)이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도형이나 선 등의 기하학적인 형 태를 이용하여 창의적인 작품을 만들어 낸다. 패턴 디자인에서는 의상 디자인이나 집기 디자인 등에서도 기하학적인 형태가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명품 가방이나 카펫, 장식 품 등에서는 특정한 패턴으로 기하학적 형태를 반복하여 사용한다.

    무용에서 기하학으로의 접근에 대해 작품 사례는 다음과 같다. 김현종은 예로부터 발레 형식에서는 ‘프웽트(Pointe)’라는 단어가 있었고 이것은 ‘프웽(Point)’에서 파생했다고 생각 되는 발레 용어라고 지적한다(2013, 15). 무용가의 몸 전체는 매 순간 끊임없는 선의 구성 을 형성하며, 이는 손가락 끝이나 발가락 끝까지 이어진다. 특히 점, 선, 면은 추상적이지만 각각의 속성이 있으며 교묘한 조합을 통해 시청자에게 특정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무용 공간으로 구성된 연습에서 추상적이고 구상적인 점, 선, 면 형태를 통해 장면 구조를 표현 하며, 주로 중복, 발사, 대비, 연결 구성을 나타낸다. 안무가들에게 이런 추상적인 요소는 시각적 표현의 언어이며, 이를 추출해 조합하고 배열해 안무의 무대 공간을 만들어 준다.

    박상준(2022)의 논문은 칸딘스키 회화의 구성요소인 점, 선, 면 (1923) 저서를 활용한 작품 Drawing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이고 작품 Drawing은 임신 여성의 초음파 영상 을 주제로 칸딘스키의 회화 이론인 점, 선, 면을 활용해 움직임 도출 가능성을 확인했다. 작품 Drawing에서 움직이는 무용수들은 점, 선, 면의 구조를 통해 동작을 도출하는 연구 는 점, 선, 면 이론 융복합 무용의 첫 사례가 된 연구이다. 본 연구와 박상준의 논문은 점, 선, 면을 통해 작품을 분석했지만, 그의 연구는 회화의 관점에서, 본 연구는 기하학적 관점 에서 작품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다르다. 요문립(2022)의 논문은 기하학적 다면체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해 연구자의 창작 작품<Line>의 창작 과정을 분석한 연구로 기하학적 형태의 균형성, 질서성, 단순성의 특성을 통해 작품 소품, 음악, 조명 등을 분석했다. 요문립의 논 문 연구 방식은 기하학적 점, 선, 면에서 분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포사 이드의 작품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를 기하학적 점, 선, 면의 형태로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이렇듯 예술에서 기하학적 형 태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며, 창의적인 작품을 만들어 내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다. 이러한 형태는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안정감, 질서, 조화 등의 개념을 나타내며,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작품을 만들어 내는 데 큰 도움이 된다.

    3. 윌리엄 포사이드(William Forsythe)의 예술성향

    20세기 안무의 전설적인 인물로 알려진 윌리엄 포사이드는 미국의 무용가 겸 안무가로 1949년 뉴욕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무용에 대한 열정은 10대 초반부터 생긴 것이었고 그 는 영화 속에 미국의 무용가이자 배우 겸 가수인 프레드 애스테어(Fred Astaire)를 보고 매료된 후, 고등학생 시절부터 뮤지컬의 무용 장면을 직접 안무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열 정과 끼는 고등학교 무용대회에서 우승함으로써 입증되었다. 고등학교를 마친 뒤, 1967년 에 발레를 전공으로 선택하여 플로리다의 잭슨빌 대학교(Jacksonville University)에 입학했 고 조프리 발레학교(Joffrey Ballet School)와 아메리칸 발레 학교(American Ballet Theater School)에서 무용을 공부하며, 조프리 발레단(Joffrey Ballet)에 합격하여 무용 활동을 시작 하게 되면서 이후 다양한 무용 공연에 참여하며 경험을 쌓았다(김태희 2016, 13).

    포사이드의 안무 작업을 시기별로 살펴보자면, 초기는 1976년부터 1980년대 말까지로 무용수로만 활동하던 포사이드가 슈투트가르트 발레단의 상임 안무가로 부임한 시기이다. 그 후, 프랑크푸르트 발레단의 예술 감독으로 취임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이나현은 중기는 1990년 초부터 2004년까지로, 프랑크푸르트 발레단이 문을 닫는 시점까지의 기간으로 정 의되며, 후기는 2005년 이후에 포사이드 무용단(Forsythe Company)을 창단한 이후로 구 분한다고 말했다(2012, 107).

    포사이드가 작품을 창작하는 데 있어 가장 큰 변화를 드러낸 것은 2005년 자신의 무용 단을 창단하고 난 후부터였다. 안현민은 “프랑크푸르트 무용단의 예산 삭감 등의 문제로 2004년 무용단의 마지막 공연을 마치고 다음 해 포사이드 무용단, 그의 이름을 건 무용단 을 창단했다”라고 하였다(2022, 52). 그는 무용단의 초창기부터 과감하고 탈장르적인 시도 를 했고 신체의 안무에서 뻗어나간 설치 작업을 시작했다. 포사이드는 이러한 작업을 ‘안 무 오브제(Choreographic Object)’라고 명명했다. 김태희는 “ ‘안무 오브제’는 일련의 물체 나 신체들 혹은 환경예술의 공간적 표현의 설치를 통해 또 다른 신체의 움직임을 유발할 수 있는 작업 전반을 가리킨다”라고 하였다(2016, 38).

    포사이드는 무용수의 신체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물체, 테크놀로지, 환경 등을 활용하여 오브제 설치를 통해 안무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신체 각 부위를 강조 하는 형태를 탐구하며 실험적인 작품을 많이 제작했다. 특히 윌리엄 포사이드는 2005년에 포사이드 무용단을 창단한 이후 현대무용 안무의 특성을 다양한 방식으로 탐구하고 실험 했다. 예를 들어 포사이드는 안무에서 기하학적 형태와 움직임을 중요한 요소로 사용하고 그의 작품은 기술과 현대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프로젝션 매핑, 센서 기술, 컴퓨터 그래픽스 등을 통해 무용을 확장하고 현대적으로 표현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사이 드가 2005년에 자신의 무용단 창단 후 2009년에 재창작한 작품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를 선정하였고 기하학적 형태의 시각으로 분석하여 그의 ‘안 무 오브제’라는 안무개념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Ⅲ. 작품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에 나타난 기하학적 형태

    1. 작품 내용 및 전개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 홈페이지에 의하면 작품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는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첨단 예술디자인 센터 ACCAD (Advanced Computing Center for Arts and Design)의 디자인, 무용, 컴퓨터 공학, 지리학, 통계학, 건축학과 등 서로 다른 분야의 학생들이 참여했으며 포사이드 안무에서 사용된 움직임을 재료로 활용하여 각각 다양한 장르의 새로운 창작물을 창조했다. 이 작품은 동일 평면에 놓인 동일한 사각형 모양의 20개의 테이블과 17명의 무용수로 이루어져 있다. 테이 블이 4행 5열로 각을 맞춰 늘어서고 마치 격자처럼 규칙적으로 구획된 공간을 좌표 삼아 무용수들은 테이블 위로 올라타고 미끄러지고 테이블 사이와 아래를 관통한다. 톰 월렘스 (Thom Willems)의 금속적 음악은 무용작품에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지만, 음악은 춤의 흐 름으로 사용되지 않다. 대신, 무용수의 호흡과 팔다리 움직임이 음악과 어우러져 공기를 가르는 소리, 책상을 내리치거나 바닥에 떨어지는 소리가 음악적인 느낌을 준다. 포사이드 는 이 테이블들 사이에서 춤을 추는 무용수들의 움직임을 기록하고, 이를 데이터로 변환하 여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테이블과 무용수들의 움직임, 그리고 무용수들 간의 상호작용 등을 조합하여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를 만들어 낸다.

    표 1

    작품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의 개요 (Overview of the work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

    작품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2009)
    제작 감독 윌리엄 포사이드(William Forsythe)
    마리아 팔라지(Maria Palazzi)
    노라 주니가 쇼(Norah Zuniga Shaw)
    음악 톰 월렘스(Thom Willems)
    시간 15분 30초
    장소 독일 프랑크푸르트 보켄하이머 데포 (Bockenheimer Depot, Frankfurt, Germany)

    이 작품은 무용의 움직임이 공간과 시간에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탐구하며 3D 모델 링, 모션 캡처, 컴퓨터 그래픽 등 다양한 기술과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전윤희는 상단에서 촬영된 방식을 통해 테이블 오브제는 무용수들이 움직임을 구사하는 주요 도구 로 사용되어 작품을 시각적으로 구체화한다(2023, 26). 평면 위의 춤추는 무용수들의 움직 임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시각화하고, 각각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20가지 오 브제(정렬주석(Alignment Annotations), 신호주석(Cue Annotations), 무용(The Dance), 대조 도구(Counterpoint Tool), 움직임 재료색인(Movement Material Index), 비디오 추출 도구(Video Abstraction Tool), 신호 시각화 장치(Cue Visualizer), 개념 요소들(Concept Threads), 생성적 그리기 도구(Generative Drawing Tool), 통계적 대조(Statistical Counterpoint), 동작 밀도(Movement Density), 움직이는 건축(Performative Architecture), 데이터 팬(Data Fan), 3D 정렬 형태들(3D Alignment From), 신호 스코어(Cue Score), 센 터 스케치(Center Sketch), 차이점(Difference Marks), 상이한 형태들(Difference Forms), 소음 없는(Noise Void), 모션 볼륨(Motion Volumes))를 제작하였다. 작품은 움직임의 동 기, 리듬, 패턴, 그리고 춤추는 무용수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이 작품 에서는 무용수가 주고받는 신호는 약 200개 이상이 사용되었고 무용수가 긴밀하게 주고받 는 신호에 의해 안무가 구성된다(김재리 2011, 132). 무용수들 간의 움직임이나 신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거나 대비되는 움직임의 구조와 특징을 찾는 것이 마지막으로 정렬의 핵심이다. 동기 오브제 홈페이지에 의하면 포사이드는 ‘이 프로젝트는 안무가 다른 많은 영역과 관련된 근본적인 창의적 전략을 사용하는 조직적 관행이라는 인식에서 시작된다’ 라고 설명했다. 이는 다양한 안무 오브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예술의 형태를 과학기술 의 발전과 함께 확장시키는 것을 보여주었고, 이를 통해 안무적 사고의 확장과 함께 다양 한 정보적인 표현이 가능해짐을 보여주었다.

    2. 작품에 나타난 기하학적 형태

    작품에 나타난 기하학적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포사이드 무용단과 ACCAD 예술디자인 센터가 공동으로 제작한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20가지 오브제들을 점, 선, 면 시각으로 오브제들을 분류하는 방법으로 분석한다. 기하학적 형태 중 기본 형태 인 점, 선, 면을 바탕으로 다양한 시각 분석을 통해 무용수의 움직임과 시간이 흐르고 공간 형태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

    1) 점(Point)

    <도판 1>과 같이 대조 도구(Counterpoint Tool) 오브제는 포사이드와 ACCAD 센터 연구자 들은 ‘작은 부품’이 공간에서 회전하고 이동할 때 ‘작은 부품’의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는 패턴 생성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대위법을 통해 무용수들의 움직임과 ‘작은 부품’은 동작 궤적을 일치시켜 무용수들이 움직이는 속도, 위치와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작은 부품’은 무용수들이 만들어내는 하나씩 점(Point)을 의미한다. <도판 2>와 같이 소음 없는(Noise Void) 오브제는 영상음향처리필터를 사용해 무용수들이 운동하면서 내는 모든 소음을 무수한 점으로 변환해 보여준다. 무용수들은 운동 환경의 시각적 소음으로부터 공간을 개척하는데, 검은 공극 부분은 잠시 무용수가 지나가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수많은 점들이 섞이고 겹쳐진 하얀 밀집 부분은 무용수들의 대면적 운동을 나타내어 동작 패턴과 춤 전체의 공간 배치를 드러낸다. <도판 3>과 같이 센터 스케치(Center Sketch) 오브제는 움직이는 중심을 점으로 표시하고, 점이 많은 위치일수록 운동 중심을 나타낸다. 점이 쌓이면서 데이터 정보가 만들어지고, 점의 색도 빨간색에서 노란색으로 바뀌어 파란색으로 끝나는 등 작품 시간의 흐름을 예고하고 있다. 김민정에 따르면 점은 주변과 상대적인 관계로 나타날 때, 점은 주변과의 윤곽을 갖는데, 크기에 따라 점 또는 형태로 보이며, 점은 개별적이거나 연결되어 패턴이나 커다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2003, 9). 독자적인 점(Point)은 개별적인 움직임이나 춤추는 무용수의 동작에 집중할 때 유용한 시각적 표현 방식이다. 따라서 대조 도구, 소음 없는, 센터 스케치 오브제는 기하학적인 점의 기본 형태를 나타냈다.

    도판 1

    대조 도구(Counterpoint Tool).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gif
    도판 2

    소음 없는(Noise Void).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2.gif
    도판 3

    센터 스케치(Center Sketch).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3.gif

    2) 선(Line)

    <도판 4> 무용(The Dance) 오브제를 보면 무용수들끼리 주고받는 동작 궤적의 데이터 선이 형성돼 있고, 모든 무용수가 서로 다른 색깔의 옷을 입으면 각자의 운동 궤적을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된다. 왼쪽에는 무용수들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고, 위쪽에는 시간이 표시되어 있다. 그중 색깔이 각기 다른 직사각형 색 조각은 모티브 동작을, 검은색 원은 댄서들의 동작 신호를 나타내며 신호를 받은 무용수들이 선으로 시각적인 표기를 했다. 무용수들 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연결하는 선을 그려 경로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고, 작품 전체의 리듬과 패턴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도판 4

    무용(The Dance).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4.gif

    <도판 5> 신호 스코어(Cue Score) 오브제는 <도판 4> 무용 오브제과 비슷한 기록 방식으로 왼쪽에는 각 댄서의 이름을 표시하고 위쪽에는 작품 시간을 표시한다. 이 오브제는 무용수들 간의 어떤 시간대에서의 상호작용을 그래프로 표현한 것이다. 그리고 같은 시간대에 상호작용하 는 무용수는 선으로 연결되는데, 예를 들어 작품 1분 시점에 만타푸니스(Ioannis Mantafounis) 라는 무용수와 시릴 발디(Cyril Baldy)라는 무용수가 동시에 나타나면 두 무용수 간의 상호작용 을 선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선의 형태를 통해 작품 전체의 방대한 정보 관계를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도판 5

    신호 스코어(Cue Score).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5.gif

    <도판 6-7>과 같이 정렬주석(Alignment Annotations)과 신호주석(Cue Annotations) 오 브제는 전방위적으로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무용수들의 움직임 정보를 유동 라인을 시 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무용수들이 공간 안에서 이동하는 선로 데이터는 주로 그들의 손, 발, 머리 등에서 나온다. 무용수들의 서로에 대한 관심 강도와 완전성, 정보의 빠른 교환, 상호관계 응답의 다양한 동작 특성에 따라 출력되는 오브제는 군무를 행하거나 힘의 이동과 흐름에 따라 그려진다. 선로 시각화를 통해 안무가의 창작 기법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고, 다양한 분야를 접목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도판 8> 신호 시각화 장치(Cue Visualizer) 오브제는 <도판 7> 신호주석을 기반으로 춤 동작에 따라 200개의 데이터 정보를 설정했다. 김태희는 “이 오브제는 개별적인 무용가에 집중하기보다 집단적인 의사소통 체계와 공간 분배에 대한 정보를 정면에 내세운다”고 말 했다(2016, 77). 이를 통해 전체 선로를 흰색 선으로 통일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은 느슨함에서 조밀로, 확산에서 중첩으로, 선의 곡선이나 방향성을 통해 움직임의 다이내믹 한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이 오브제를 통해 무용수들의 안무 정보 제공을 위한 가상의 라인(Line)은 무용수의 동선, 동작의 형태의 세부 정보를 구체화하고 이미지화한다.

    도판 6

    정렬주석(Alignment Annotations).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6.gif
    도판 7

    신호주석(Cue Annotations).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7.gif
    도판 8

    신호 시각화 장치(Cue Visualizer).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8.gif

    <도판 9> 차이점(Difference Marks)으로 대표되는 오브제는 차이 표기이다. 이 오브제 는 선으로 시각적인 하여 무용수들의 움직임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축적되는 과정을 표현 하였다. 차이점 오브제는 <도판 3> 센터 스케치 오브제와 마찬가지로 색의 변화를 통해 작품 시간의 흐름을 표현한 것이고, 그러나 센터 스케치 오브제는 점으로 무용수들의 운동 의 조밀한 관계를 나타낸다는 점이 다르며, 차이점 오브제는 전체 작품에서 무용수들이 움직인 흔적을 선으로 표현한 것이다. 작품이 끝날 때까지 4행 5열로 가지런히 늘어선 20 개의 테이블이 좌표처럼 서서히 드러난다. <도판 10> 생성적 그리기 도구(Generative Drawing Tool) 오브제는 그림그리기 데이터 기술을 적용해 생성 그리기 도구에 작품을 입력하면 된다. 이 오브제의 색상이 비교적 풍부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그리기 도구를 사용함으로 더욱 아름답기 때문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무용수들의 동작이 변화함에 따 라 폭이 다른 선이 나타난다. 이전 몇 가지 오브제와 달리 무용수들의 움직임에 따라 선이 질적으로 달라지지 않는다. 선이 폭이 변한 만큼 무용수들이 이곳에 머무는 시간을 짐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용수들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어떤 형태를 보이는지를 분석할 수 있 다. <도판 11>과 같이 개념 요소들(Concept Threads) 오브제는 선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 비틀림, 교차, 이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시각적인 개념 스레드를 형성하고 다양한 각도 에서 안무 내용을 전방위로 구현한다. 선의 모양 변화를 통해 무용수들의 움직임의 다양성 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게 한다.

    도판 9

    차이점(Difference Marks).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9.gif
    도판 10

    생성적 그리기 도구(Generative Drawing Tool).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0.gif
    도판 11

    개념 요소들(Concept Threads).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1.gif

    위와 같이 무용과 신호 스코어 오브제가 모두 두 점 또는 그 이상 사이에 형성된 경로가 선이라는 개념을 표현한다. 무용수들의 경로는 직선일 수도 있고 곡선의 형태일 수도 있다. 작품에는 두 점 사이의 연결선뿐만 아니라 한 점을 중심으로 여러 점을 향해 발사되는 경우도 있다. 정렬주석, 신호주석과 신호시각화 장치 오브제가 모두 무용수들의 신체운동과 이동경로 의 궤적을 선 형태로 선명하게 묘사하여 직선, 포물선, 방사선 등을 형성한다. 차이점, 생성적 그리기 도구와 개념 요소들 오브제가 모두 선의 무한성을 나타내며 오브제에서 선은 무한정 연장되고 끝없이 진행 방향으로 퍼지고 맴돌며 겹쳐지는 형태로 충분히 알아볼 수 있다.

    3) 면(Plane)

    <도판 12>와 같이 움직임 재료색인(Movement Material Index) 오브제는 작품의 25가 지 주제 동작과 무용수들의 즉흥 동작을 검색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신상미에 따르면 작품 의 25가지 주제는 모두 와이드 샷(wide shot) 안에서 따로 볼 수 있도록 분리해 투명 직사 각형 형태의 클로즈업 샷(close-up shots)에서 상세한 동작 특성을 볼 수 있다(2017, 58). 작품 진행 과정 내내 연구자들은 이 오브제를 사용하여 네모난 상자를 자유롭게 드래그하 여 관련 주제의 동작을 검색할 수 있다. 클로즈업 샷을 통해 주제를 확대 검색하면 안무가 들의 안무 기법을 더욱 편리하게 알 수 있다. <도판 13>과 같이 노라 주니가 샤우(Norah Zuniga Shaw)의 책에 의하면 이 3D 정렬 형태들(3D Alignment From) 오브제는 춤의 시 작 부분에서 무용수 만타푸니스와 시릴 발디의 2인무에서 동작한 기록에서 나온 것이라고 언급되어 있다(2013, 155). 무용수의 동작 라인은 3차원 곡면 형태로 변환되어 선에서 면 으로 오브제를 보다 입체적으로 만든다. 3차원 공간에서 작업하며 무용수들의 동작 흔적 간의 관계를 기록하고 시간에 따른 변화를 탐색한다.

    도판 12

    움직임 재료색인(Movement Material Index).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2.gif
    도판 13

    3D 정렬 형태들(3D Alignment From).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3.gif

    <도판 14>와 같이 상이한 형태들(Difference Forms) 오브제는 비주얼 프로세서를 통해 무용수들의 움직임을 따라다니며 대규모 검색을 수행한다. 무용수들의 동작 폭이 작은 면 적이 작은 점이 되며, 동작 폭이 큰 것은 불규칙한 기하학적 도형 형태를 띤다. 무용수들이 돌리면 그에 상응하는 부채꼴 형태가 나타나고 면의 형태가 나타나면서 오브제의 시각적 효과가 강화된다. <도판 15>와 같이 비디오 추출 도구(Video Abstraction Tool) 오브제는 <도판 2> 소음 없는(Noise Void)과 <도판 14> 상이한 형태들(Difference Forms) 오브제의 내용을 결합하였다. 음향처리필터와 비주얼 프로세서를 결합해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잘 구현했다. 이 오브제를 통해 기술 데이터의 관점에서 기하학적 형태를 결합하여 춤에 대한 관객의 인식을 변화시켰다. <도판 16>과 같이 통계적 대조(Statistical Counterpoint) 오브 제는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매체를 통해 수학자, 통계학자와 함께 수행하는 작업이다. 무용 작품에서 데이터 분석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고, 이 물체는 작품 전체의 다변량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기하학적 삼각형 형태로 데이터 변화를 표현한다.

    도판 14

    상이한 형태들(Difference Forms).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4.gif
    도판 15

    비디오 추출 도구(Video Abstraction Tool).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5.gif
    도판 16

    통계적 대조(Statistical Counterpoint).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6.gif

    <도판 17-20> 데이터 팬(Data Fan), 동작 밀도(Movement Density), 모션 볼륨(Motion Volumes)과 움직이는 건축(Performative Architecture) 오브제들은 모두 무용 작품을 역동 적인 3차원 형태로 변환한다. 대위법을 통해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기하학적 입체형 태를 생성하여 신개념 무용 형태를 형성한다. 기하학적 형태가 중첩되고 뒤틀리고 움직이 면서 작품의 차원이 다른 세부적 변화를 드러낸다. 데이터 팬 오브제는 작품의 시작부터 끝까지 수많은 개 평면을 겹쳐 입체적인 도형을 생성한다. 동작 밀도 오브제는 지질학자와 함께 완성되어 봉우리들의 원통형 모양을 이루며, 봉우리가 높을수록 이곳에 댄서들이 오 래 머무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션 볼륨과 움직이는 건축 오브제들은 건축학적 관점에서 운동의 궤적을 재료의 질감으로 표현한다. 무용수들이 공간을 통과하는 경로로 생성되는 동적 체적은 댄서가 통과하는 양이 많을수록 더 커진다. 따라서 기하학적 면은 입체적인 형태를 구성하는 중요한 구성 성분의 하나이다. 무용수의 팔과 다리의 궤적이 쌓이고 선이 면으로 나타나고 무용수의 회전, 이동 등에 따라 평면의 형태가 동적으로 변화하며 면의 시각 분석을 통해 작품의 공간적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도판 17

    데이터 팬(Data Fan). 2023. 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7.gif
    도판 18

    동작 밀도(Movement Density).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8.gif
    도판 19

    모션 볼륨(Motion Volumes).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9.gif
    도판 20

    움직이는 건축(Performative Architecture).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20.gif

    3. 작품에 나타난 기하학적 형태의 분석결과

    점, 선, 면은 서로 전환되고 큰 것은 면, 작은 것은 점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장면에서 매우 작은 면적을 점이라고 하며, 점들이 연속적으로 구성 선을 중복시키고 선이 일정한 방향으로 구성면을 이동시킨다. 즉, 점, 선, 면이 서로 다른 방향에서 중복되어 서로 전환할 수 있다. 작품에서는 점에서 선, 선에서 면, 면에서 입체 공간으로 모든 단계가 규칙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점을 표현하는 오브제들로는 대조 도구(Counterpoint Tool), 소음 없는 (Noise Void), 센터 스케치(Center Sketch)가 있다. 점은 작품에서 명백한 포지셔닝 효과가 있으며 점과 점 사이의 관계는 작품내용, 형태 및 구조를 결정하는 핵심이다. 선을 표현하 는 오브제들로는 무용(The Dance), 신호 스코어(Cue Score), 정렬주석(Alignment Annotations), 신호주석(Cue Annotations), 신호 시각화 장치(Cue Visualizer), 차이점 (Difference Marks), 생성적 그리기 도구(Generative Drawing Tool), 개념 요소들(Concept Threads)이 있다. 점을 목적지로 표현하면 선은 목적지로 가는 길이며, 서술성을 가지고 있고 또렷하게 작품 전체를 그려낸다. 면을 표현하는 오브제들로는 움직임 재료색인 (Movement Material Index), 3D 정렬 형태들(3D Alignment From), 상이한 형태들 (Difference Forms), 비디오 추출 도구(Video Abstraction Tool), 통계적 대조(Statistical Counterpoint), 데이터 팬(Data Fan), 동작 밀도(Movement Density), 모션 볼륨(Motion Volumes), 움직이는 건축(Performative Architecture)이 있다. 면은 작품 전체를 표현하기 위한 시각적 배치와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오브제에서 평면과 입체 형태의 변화 가 무용수의 움직임과 상호작용하여 작품의 공간 구성을 이룬다.

    Ⅳ. 결론

    본 연구는 무용예술과 기하학의 결합을 통해 무용수들의 움직임 방식을 기하학적 시각 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윌리엄 포사이드의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라는 디지털 예술작품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작품은 기하학적 요소를 활용한 안무이자 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시각화하여 다양한 예술 장르 간의 협업으로 확 장한 사례로 현대 무용 예술의 흐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하 학적 형태인 점, 선, 면의 개념을 제시하고 무용수의 움직임 자체를 기하학적 형태에서 분 석하고자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는 무용수들의 움 직임을 데이터 정보로 변환해 검색, 수집, 정리를 거쳐 기하학과 결합한다. 본 연구는 기하 학적 형태의 개념을 사용하여 복잡한 데이터 정보를 기하학적 시각이 데이터 정보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관점을 강조한다. 이 20가지 오브제를 기하학적 형태로 분석해 포사이드의 안무에 담긴 아이디어를 빠르고 완벽하게 파악할 수 있고 작품에서 시간과 공 간의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이 작품은 기하학적 형태 연구를 통해 우리의 시각과 이해를 넓히는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작품이다.

    둘째, 포사이드는 다양한 분야(디자인, 건축, 조형 등)와 함께 운동의 구성, 리듬을 탐색 하고 상호 작용하여 이 예술 작업을 완성한다. 그는 기술이 안무가의 생각을 전달하는 도 구라는 개념을 넘어 작품의 기하학적 감상 방식과 세부 정보를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도구 로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디지털 시대 기술의 활용 방식을 변화시켰다. 이러한 변화는 연구 자들이 주도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계기를 마련함과 동시에 무용 작품의 교육적 측면 을 부각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포사이드의 작품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를 기하학적 관점에서 재분석하였으며, 이를 통 해 작품의 움직임, 구조, 형태 및 관계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자 한다.

    셋째, 기하학적 형태를 활용하여 복잡한 안무내용을 단순하고 추상적으로 표현하는 것 은 현대적인 상징 모티브로서의 대표적인 특징을 가진다. 기하학적 형태는 풍부한 상상력 과 심리적 충동을 유발하는 시각적 효과를 가져오며, 춤 형태의 창조적인 원천으로서 평면 과 전체를 아우르는 중요한 모티브로 작용하여 무용 예술의 발전 가능성을 탐구하게 한다.

    본 연구는 무용연구에서 기하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무용작품과 기하학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이해와 탐구를 위한 후속 연구를 위해서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를 통해 무용과 기하학의 연구 협력을 더욱 촉진하고 연구자들이 무용 분야를 새로운 관점에서 분석하도록 장려하며 더 많은 무 용 연구자들이 새로운 시각에서 무용 분야를 접하고 연구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Figure

    SDDH-70-1-25_F1.gif

    대조 도구(Counterpoint Tool).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2.gif

    소음 없는(Noise Void).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3.gif

    센터 스케치(Center Sketch).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4.gif

    무용(The Dance).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5.gif

    신호 스코어(Cue Score).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6.gif

    정렬주석(Alignment Annotations).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7.gif

    신호주석(Cue Annotations).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8.gif

    신호 시각화 장치(Cue Visualizer).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9.gif

    차이점(Difference Marks).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0.gif

    생성적 그리기 도구(Generative Drawing Tool).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1.gif

    개념 요소들(Concept Threads).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2.gif

    움직임 재료색인(Movement Material Index).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3.gif

    3D 정렬 형태들(3D Alignment From).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4.gif

    상이한 형태들(Difference Forms).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5.gif

    비디오 추출 도구(Video Abstraction Tool).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6.gif

    통계적 대조(Statistical Counterpoint).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7.gif

    데이터 팬(Data Fan). 2023. 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8.gif

    동작 밀도(Movement Density).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19.gif

    모션 볼륨(Motion Volumes).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SDDH-70-1-25_F20.gif

    움직이는 건축(Performative Architecture). 2023.7.18. 캡처, 동기 오브제(Synchronous Objects)홈페이지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Table

    작품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의 개요 (Overview of the work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

    Reference

    1. 김남균 Kim, Nam Kyun [Gim, Nan Gyum]. 2006. “기하학적 관점에서 보는 현대건축 표현특성 연구: 다이어그램을 중심으로 Gihahakjeok gwanjeom-eseo boneun hyeondaegeonchuk pyohyeonteukseong yeon-gu: daieogeuraemeul jungsimeuro”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Architectural Expression from a Geometric Viewpoint].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2. 김미현 Kim, Mi Hyun [Gim, Mi Hyeon]. 2010. “기하학적 형태 결합에 의한도자조형 연구 Gihahagjeog hyeongtae gyeolhab-e uihan dojajohyeong yeon-gu” [A Study on Ceramic Modeling Using Geometric Forms].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3. 김민정 Kim, Min Jeong [Gim, Min Jeong]. 2002. “점, 선, 면으로 본 자연 이미지 Jeom, seon, myeon-euro bon jayeon imiji” [Point, line, to plane in nature's image].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4. 김재리 Kim, Jae Lee [Gim, Jaeri]. 2011. “루돌프 라반(Rudolf Laban)의 ‘움직임 공간’ 특성에 근거한 안무학적 분석 모형 개발: 공간조화(Space Harmony) 이론을 중심으로 Rudolpeu Labanui ‘umjikim gonggan’ teukseonge geun-geohan anmuhakjeok bunseok mohyeong gaebal: gong-ganjohwa(Space Harmony) ironeul jungsimeuro” [(The) development of a choreologic analysis model based on Rudolf Laban's properties of ‘movement space’ : focusing on space harmony theory].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Ph.D. dissertatqion, Ewha Womans University].
    5. 김태희 Kim, Tae Hee [Gim, Tae Hui]. 2016. “윌리엄 포사이드(William Forsythe)작품에 활용된 오브제(Object)의 표현 특성 연구 Willieom Posaideu(William Forsythe)jakpume hwalyongdoen obeujeui pyohyeon teukseong yeon-gu” [A Study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Objects Used in William Forsythe's Works].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6. 김현종 Kim, Hyun Jong [Gim, Hyeon Jong]. 2013. “시각적 표현을 위한 점 선 면의 기하학적 분석 Sigakjeok pyohyeoneul wihan jeom, seon, myeonui gihahakjeok bunseok” [Geometric analysis of point line planes for visual representation].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Graduate School].
    7. 라우어, 데이비드 A. Lauer, David A. 2002. 『조형의 원리 Johyeong-ui wonli』 [Design Basics]. 이대일 역 [Translated by Yi Daeil]. 서울: 예경 [Seoul: Yegyeong].
    8. 박상준 Park, Sang Jun [Bak, Sang Jun]. 2022. “칸딘스키 회화의 구성요소 점·선·면을 활용한 무용창작연구: 작품 『drawing』을 중심으로 Kandinseuki hoehwaui guseong-yoso jeom·seon·myeoneul hwalyonghan muyongchangjak yeon-gu: jakpum ‘Drawing’eul jungsimeuro” [A Study on Dance Creation Using Point, Line, and Plane: Focused on the Kandinsky’s Masterpiece ‘Drawing’].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9. 신권희, 한석우 Shin, Kwon Hee [Sin, Gwon Hui], and Han, Seo Kwoo [Han, Seok-u]. 1986. 『조형연습 Johyeongyeonseup』 [Formative practice]. 서울, 산업대학교 출판부[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Press].
    10. 신민정 Shin, Min Jung [Sin, Min Jeong]. 2018. “윌리엄 포사이드의 안무 성향에 관한 고찰 Willieom posaideuui anmu seonghyang-e gwanhan gochal” [A study on William Forsythe's choreographic tendencies]. 한국예술중합학교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Korean Academy of Arts].
    11. 신상미 Shin, Sang Mi [Sin, Sang Mi]. 2017. “무용과 인공지능 융합예술 연구= 윌리엄 포사이드의 <재생된 하나의 평면에 대한 동기 오브제>를 중심으로 Muyong-gwa ingongjineung yunghap-yesul yeon-gu: Willieom Posaideuui <jaesaengdoen hanaui pyeongmyeon-e daehan dong-gi obeuje>reul jungsim-euro” [A Study on the Convergence of Da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ocusing on William Forsythe’s Motivation Object for One Played Plane]. 『한국예술연구 Han-guk-yesul. yeon-gu』 [The study of Korean art] 16: 53-75.
    12. 안현민 Ahn, Hyun Min [An, Hyeon Min]. 2022. “앙드레 브르통의 초현실주의 특성으로 바라 본 컨템포러리 댄스 작품 연구: 윌리엄 포사이드, 디미트리스 파파이오아누, 피핑톰 작품을 중심으로 Angdeure Beuleutongui chohyeonsiljuui teukseongeuro bara bon keontemporaeori daenseu jakpum yeon-gu: Willieom Posaeideu, Dimiteuriseu Papaioanu, Pipingtom jakpumeul jungsimeuro” [A Study on Contemporary Dance Works in the Perspective of André Breton's Surrealist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Works of William Forsythe, Dimitris Papaioannou, and Peeping Tom].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13. 양, 가오 Yang, Gao. 2019 . “점선면을 활용한 알파벳 ‘U’의 시각적 실험 Jeomseonmyeoneul hwalyonghan alphabet ‘U’ui sigagjeong silheom” [Experiments with the letter ‘U’ through the use of point, line and plane].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14. 요문립 Yao, Wen Li. 2022. “정육면체의 기하학적 구조를 기반으로한 무용작품 <Line>의 창작과정 연구 Jeongyukmyeoncheui gihahakjeok gujoreul gibaneurohan muyong jakpum <Line>ui changjak gwajeong yeon-gu”[A study on the Creative Process of Dance Work Based on the geometry of cubes].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15. 웡, 우시우스 Wong, Wucius. 1994. 『디자인과 형태론 Dijaingwa hyeongtaeron』 [Design and Morphology]. 서울: 도서출판 국제 [Seoul: Book Publishing International].
    16. 이나현 Lee, Na Hyun [Yi, Na Hyeon]. 2012. “윌리엄 포사이드의 몸에 대한 시각 연구 Willieom Posaideuui mom-e daehan sigak yeon-gu” [William Forsythe's Visual Study of the Body]. 『무용예술학 연구 Muyong-yesulhak yeon-gu』 [The Korean journal of dance studies] 35(2): 103-121.
    17. 이민영 Lee, Min Young [Yi, Min Yeong]. 2013. “선(線)을 이용한 도시풍경의 내적 자아 연구: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Seon(線)eul iyonghan dosipunggyeong-ui naejeok jaa yeon-gu: bonin jakpumeul jungsimeuro” [A Study on the Inner Self of Urban Landscape Using Lines: Focusing on My Works].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Master's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18. 이지선 Lee, Jee Sun [Yi, Ji Seon]. 2013. “총체정보예술로서의 무용에 관한 고찰 - 윌리엄 포사이드의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를 중심으로 Chongchejeongboyesulroseoui muyong-e gwanhan gochal Willieom Posaideuui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reul jungsim-euro” [Contemporary dance as a Gesamtdatenwerk]. 『한국무용기록학회 Han-gukmuyong girok hakhoe』 [Asian Dance Journal] 31: 121-141.
    19. 전윤희 Jeon, Youn Hee [Jeon, Yun Hui]. 2023. “작품을 통해서 본 디지털 발레와 포스트 휴머니즘 : 윌리엄 포사이드부터 웨인 맥그레거까지 Jakpum-eul tonghaeseo bon dijiteol ballewa poseuteu hyumeonijeum: Willieom Posaideubuteo Wein Maekgeuregeo-kkaji” [Digital Ballet and Post-Humanism through Art: From William Forsythe to Wayne McGregor]. 세중대학교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Sejung University].
    20. 정수진 Jung, Su Jin [Jeong, Su Jin]. 2006. “기하학적 형태를 이용한 작품제작 연구: 다면체를 중심으로 Gihahakjeok hyeongtaereul iyonghan jakpum jejak yeon-gu: damyeon chereul jungsim-euro” [A Study on Art Production Using Geometric Shapes: Focusing on Polyhedrons].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 위논문[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21. 정지은 Jeong, Ji Eun. 2018. “의인화 기법을 통한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조형 요소 점 선 면을 소재로 Uiinhwagibeop-eul tonghan illeoseuteureisyeon yeon-gu: johyeong yoso jeom seon myeon-eul sojaero” [A Study of illustration through personification technique: Use points, lines and faces of design elements as materials].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22. 동기 오브제 Synchronous Objects 홈페이지 Accessed July 18, 2023. https://synchronousobjects.osu.edu/.
    23. 로열홀러웨이 Royal Holloway 홈페이지 Accessed July 14, 2023. https://www.royalholloway.ac.uk/.
    24. 객석 Auditorium 홈페이지 Accessed July 17, 2023. https://auditorium.kr/.
    25. 블러브 Blurb 홈페이지 Accessed August 18, 2023. https://www.blurb.com/.

    저자소개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