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pISSN: 2383-5214 /eISSN: 2733-4279

HOME E-SUBMISSION SITEMAP CONTACT US

Journal Detail

Journal Detail

Export Citation Download PDF PMC Previewer
Research on Ways to Establish Dance Authority Records 무용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바탕으로+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Asian Dance Journal Vol.71 No. pp.55-85
DOI : https://doi.org/10.26861/sddh.2023.71.55

Research on Ways to Establish Dance Authority Records

Jeong Eun Oh*
*Doctor of Fine Arts,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Management, Sangmyung University

+ 이 논문은 오정은(2023)의 상명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무용구술사 기 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를 일부 수정 보완하여 요약한 것임.


*Oh, Jeong eun tanz0709@naver.com
October 30, 2023 December 3, 2023 December 18, 2023

Abstract


This s tudy a ims to p ropose items a nd t echnical el ements f or t he e stabl ishment of a danceauthority record.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examines the international standard ISAAR(CPF) for managing records and the types and technical elements of archival records at the National Archives. It also investigates the types and technical elements of the National Theater's digital archive and the Art Archive Seoul Museum of Ar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of arts. Subsequently, utilizing dance authority' records, the study extracts items and archival data targets, proposes items and technical elements for dance archival records. The proposed items in the research results include 'dancer, dance company, work title, location,' and the technical elements are based on the National Archives' areas of 'identification area, technology area, relationship area, control area' to apply detailed elements according to the items for public use.



무용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바탕으로+

오정은*
*상명대학교 공연예술경영학과 예술학 박사

초록


이 연구는 무용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을 위해 항목과 기술요소를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기록물을 관리하는 국제표준 ISAAR(CPF)와 국가기록원의 전거레 코드 유형 및 기술요소를 살펴보고,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및 서울시립 미술아카이 브의 유형 및 기술요소를 통해 예술 분야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후 무용구술사 기록물 을 활용하여 무용 전거레코드 항목과 전거 데이터 대상을 추출하고, 무용 전거레코드 항목과 기술요소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로 제안된 항목은 ‘무용가, 무용단체, 작품명, 장소’이며, 기술요소는 공적인 활용을 위해 국가기록원의 영역인 ‘식별 영역, 기술 영역, 관계 영역, 통제 영역’을 기반으로 항목에 따른 세부 요소들을 적용하였다.



    Ⅰ. 서 론

    무용 기록물은 무용가들의 공연 과정 및 결과, 무용가의 생애와 관련한 자료들을 말한 다. 이 자료들은 역사적 가치와 더불어 새로운 콘텐츠의 소재로도 활용이 되는 효과가 있 다. 21세기가 시작된 이후 디지털 문화가 확장되면서 웹사이트 및 무용 디지털 아카이브 서비스 페이지를 통해 ‘검색’을 통한 무용 정보에 접근하는 방법이 익숙해졌다. 생활화가 되어가는 ‘검색’의 질적 정보를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기록물 정보 데이터들이 상호 참조될 수 있는 기술적인 시스템이 필요한 것이다. 여기서 질적 검색이 용이한 시스템으로는 시소 러스가 있으며, 데이터들을 시각화하여 개념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온톨로지, 시멘틱 웹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이 진행되려면 기록물들과 관련한 데이터(용어) 등의 질적 정 보 값이 기본 레코딩 되어야 한다. 이를 전거레코드라고 한다.

    무용 전거레코드의 활용은 도서 검색의 예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도서대여 및 도서 판매 그리고 국공립 도서관에서 검색되는 정보들을 관리자에 의해 전거레코드 된 정보를 통해 활용하고 있다. 즉, 도서 정보 검색의 기본적인 전거레코드 구축을 통해 도서 관리자 와 이용자 모두 질적 정보 검색이 가능한 것이다.

    전거레코드는 전거 데이터(표제어)의 정보를 기술요소에 넣어 레코딩 한 것이다. 이는 디지털 시대에 따른 기술적인 데이터 사전으로 이해할 수 있다. 무용 용어에 대한 정리 즉 무용 사전과 관련 부분은 1974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후원하고 무용용어통일위원 회에서 진행한 자료와댄스포럼에서 발행한2002년 한국의 무용가2004년 한국의 무용가 (춤연감)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월간에서 DB 정리해 둔 사이트 등이 있다. 그리고 인터파크 티켓 정보를 연계한 ‘PLAY DB'를 통해 공연정보 및 출연진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질적인 정보를 다양하게 접근하기에는 아직 디지털 시스템에 적용이 되지 않거 나 정보들이 업데이트되지 못한 상황이라 장기적인 무용 전거레코드의 구축이 필요하다. 전거 데이터(표제어)에 다양한 정보들을 레코딩하게 되면, 레코딩 된 데이터들이 검색어와 연동, 연계되어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맥락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무 용협회’의 이전 명칭인 ‘한국무용협회’를 검색해도 ‘대한무용협회’가 검색이 되고, ‘김천흥’ 의 호인 ‘심소’를 검색해도 ‘김천흥’이 검색이 되며, ‘부민관’을 검색해도 ‘국립극장’, ‘시민 회관’ 정보가 연동되고 결과가 함께 나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무용구술사 기록물은 영상, 채록문(녹취문), 행정문서, 사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또한 기록물 관련 전거레코드를 통해 관리용으로도 정보를 제공받거나 이용자들에게 검색 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기록원에서 한국근현대 예술인에게 소실된 자료들의 공백을 채우기 위해 시작된 구술채록 사업은 2003년부터 시 작되어 현재는 국립국악원, 국립무형유산원까지 확대되어 진행되고 있다. 이 사업에서 무 용과 관련한 구술자는 총 80여 명이다. 이는 80여 명의 구술자와 관련된 영상, 채록문, 사진 등의 기록물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무용구술사 기록물의 접근 방법은 PDF를 제공받거나 디지털 영상을 보는 등 목차와 주 요 검색어를 통해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즉, 무용구술사 기록물은 채록문 전체에 대한 질 적 검색까지는 진행이 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이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기관 들은 구술자 기증자료 및 관련 공연 자료들도 보관하고 있는 아카이브 기관이다. 즉, 무용 아카이브를 다루고 있는 공공기관에서는 무용구술사 채록문에서 언급한 공연정보, 교류한 예술가 정보를 연동, 연계해서 볼 수는 없는 상황이다. 다시 말해, 무용 기록물 관리자 및 이용자 모두에게 용어(데이터)를 상호 참조하여 질적 검색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 과를 위한 기술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며, 기술적인 시스템이 마련되려면, 기초단계로 전거 레코드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 전거레코드 구축을 위해 항목과 기술요소를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 및 사례 조사를 기반으로 진행하였다. 그 과정으로는 첫 번째, 국제표준(ICA, Immigration & Checkpoints Authority), 국내공공기관(국가기록원, 서울시 립 미술아카이브, 국립극단) 현황을 조사하고 두 번째, 연구대상인 무용기록물은 한국문화 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기록원, 국립국악원,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제작된 무용구술사(채록 문)로 한정하며, 전문가 자문을 통해 장르별 대표 인물을 선정해서 형태소 분석기를 통한 데이터(용어)를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무용 기록물에 해당하는 항목과 기술요소를 도출하 여 항목별로 적용하는 샘플을 만들어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넓게는 무용 디지털 아 카이브의 ‘무용 기록물’들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단편적으로는 ‘무용구술사 기록물’접근 이 용이하게 하는 틀이 마련되었으면 한다.

    Ⅱ. 전거레코드 이론적 배경

    한국기록학회(2008)기록학 용어 사전에 따르면, ‘전거레코드(Authority Record)’는 기록물 목록에서 접근점(Access Point)으로 선정된 단체명, 인물명, 주제명, 사건명, 지명 등을 표준화된 형식으로 상세 기술하고 다른 전거레코드와 연결하여 서로 참조할 수 있도 록 관련 정보를 조직화한 레코드라 정의한다. 전거레코드 역할은 기록물의 맥락을 체계적 으로 보존하고 제공하는 것을 기초로 기록 생산기관(생산자)의 정보를 일관성 있게 관리하 는 것이다. 또한 기록물과 생산기관(생산자), 생산자와 생산자, 기록물과 기록물의 관계를 다차원적이고 중층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이해영 2020, 183에서 재인용). 따라서 전 거레코드가 활용되면 여러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기록물들이 상호 연계되어 정보를 공 유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무용 기록물도 접근점이 용이한 무용 전거 레코드를 구축한다면 아카이빙을 넘어서 다양한 콘텐츠가 활용되는 장점을 가질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ISAAR(CPF) 국제 표준 기술규칙과 국가기록원 기술규칙을 바탕으로 예술 분야 전거레코드 사례를 참조하여 무용에 맞는 전거레코드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거레코드 사례 대상은 국제표준인 ICA(Immigration & Checkpoints Authority)의 ISAAR(CPF)와 국 가기록원의 항목과 기술요소를 기점으로, 예술분야 사례로는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와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를 주로 살펴본다.

    1. 전거레코드 국내외 표준 규칙 사례

    1) ISAAR(CPF) 전거레코드

    ISAAR(CPF)는 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Authority Record for Cooperate Bodies, Persons, Familes의 약자이다. 이는 기록물 생산자인 개인, 가문, 조직에 관한 전거레코드 구성/항목 기술을 담고 있는 국제표준 규칙이다. ICA 홈페이지에 따르면 ISAAR(CPF) 초판을 1995년에 공표하고, 2004년에 개정판을 공표하였다. 국제표준 규칙을 살펴보면 초판 에서 전거제어, 정보, 주기(Authority Control, Information, Note) 3개의 영역으로 구성을 통해 생산자인 개인, 가문, 조직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표준화하였고, 2004년 개정판에서는 식별 영역(identity)과 기술 영역(description) 그리고 관계 영역(relationships)과 통제 영역 (control)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27개 기술 요소와 전거레코드와 관련 자원과의 연결 요소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관련 기술요소는 아래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표 1

    ISAAR(CPF)와 국가기록원 전거레코드 기술요소 비교 (Comparison of ISAAR(CPF) and National Archives Archival Record Technical Elements)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92.

    영역 기술요소
    기관 ISAAR 국가기록원
    단체 인물 사건
    식별 영역 개체유형* 세부유형* 세부유형* 세부유형*
    전거명* 대표어* 대표어* 대표어*
    대등명 대등명 대등명 대등명
    기타 표준에 의한 표준명 단체코드/단체명 비대표어 비대표어
    기타 이형명 대등코드/단체명 - -
    기관 고유식별자 차수 - -
    - 비대표어 - -
    기술 영역 존속 기간* 존립기간* 생몰일* 발생일*
    이력 단체연혁* 주요약력* 사건개요*
    장소 소재지 국적 발생장소
    법적 지위 설치근거 본관 -
    기능,직업,활동 하위조직변천 출생지 -
    관련 규정/전거출처 단체장 직업 -
    내부구조/가계 기능어 주요직책 -
    일반적인 배경 기타정보 종교 -
    관계 영역 관련단체, 개인, 가문 이름/식별자 단체 단체 단체
    관계의 범주 인물 인물 인물
    관계의 기술 사건 - 사건
    관계된 날짜 - 시간 -
    통제 영역 전거레코드 식별자* 기술주기* 기술주기* 기술주기*
    기관 식별자 작성기관 작성기관 작성기관
    작성 규칙/ 규약 작성규칙 작성규칙 작성규칙
    상태 현재 상태 현재 상태 현재 상태
    상세 정도 상세정도 상세정도 상세정도
    작성, 수정, 삭제 일자 누락내용(사유) 누락내용(사유) 누락내용(사유)
    언어와 문자 작성언어 작성언어 작성언어
    정보원 참고정보원 참고정보원 참고정보원
    유지 주기 주기사항 주기사항 주기사항
    - 비고 비고 비고
    기록과 자원 관련 단체, 개인, 가문 관련 자원의 식별자와 제목 관련자료 관련자료 관련자료
    관련 자원의 유형 - - -
    관계의 성격 - - -
    관련 자원과 관계된 날짜 - - -

    2) 국가기록원 전거레코드

    국가기록원 전거레코드는 유형은 단체(corporate body), 인물(person), 사건(event) 3가 지로만 구성되며, 식별, 기술, 관계, 통제, 관련 자료로 영역이 구성된다. 필수작성이 필요 한 부분은 식별영역의 세부유형, 대표어, 기술영역의 일자, 연혁/경력/사건개요, 통제영역 에서 기술주기가 있다. 그 외는 대상어에 따라 유형에 따라 작성 방법은 등록인에 의해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은 ICA의 ISAAR(CPF)와 국가기록원의 영역과 기술요소를 <표 1>로 작성하여 비 교한 것이다. ISAAR(CPF)의 국제표준을 바탕으로 국가기록원에서 기술요소를 만들었기 때문에 영역은 동일하고, *표기된 필수 요소는 유사하지만, 선택 요소는 기관에 맞게 설정 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예술분야에서의 전거레코드의 유형 및 기술요소

    1)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https://semaaa.seoul.go.kr): 시각예술 분야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는 한국 현대 시각예술사에 중요한 1950년 전후하여 태어난 시 각 예술가들의 활동에 집중하여 수집된 기록들을 디지털 아카이브화 하고 있다. 수집되고 있는 기록물 매체들은 사진, 문서, 메모, 작가노트, 예술가의 편지, 출판물, 영상자료(영상, 음성, 슬라이드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서울시립미술관 기관기록물과 생산 자료들 까지 포함된다.

    이 디지털 아카이브에서 전거레코드 관련 사항은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사이트의 ‘컬 렉션 시각화’ 메뉴에서 볼 수 있다. 이 사이트에서는 기본적으로 시각예술과 관련한 정보 들을 다양하게 제공하고 관련 내용들을 관리 및 서비스 하고 있으며, 일반인 이용객 및 연구자/전문가를 위한 질적 검색이 모두 용이 한 접근점에 집중하고 있다. 그 내용은 전거 레코드(인물, 단체, 사건)과 관련어(시소러스), 컬렉션, 아이템으로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 다. 또한 ‘검색어 및 제시어’ 등을 통해 연결 관계를 시각화하여 보여주면서 관련 페이지로 링크를 연결해주는 접근성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 기관에서 적용되어있는 전거레코드의 구성은 인물 36명, 단체 32개, 사건 47개이다. ‘인물’ 전거정보는 이름, 생몰일자, 대등명(영문명, 아호), 비채택어의 기본정보와 주요약 력, 참고정보원, 관련 전거(인물, 단체, 사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체’ 전거정보는 이름, 대등명, 존속일자, 비채택어(약어)의 기본정보와 단체역사, 활동 및 배경, 참고정보원, 관련 전거(인물, 단체, 사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건(전시 행사명)’ 전거정보는 ‘이름, 발생일 (기간), 비채택어의 기본정보와 사건 개요, 참고정보원, 관련 전거(인물, 단체, 사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의 ‘시각화 컬렉션’에서는 전거 데이터 정보들을 바탕으로 시소 러스 시스템으로 대표어를 체크하면 ‘상위어, 하위어, 관련어’ 형식의 관계가 메뉴화 되어 표현되어있으며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추후 무용 전거레코 드가 적용되면 무용가, 무용단체들의 시소러스의 예시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도판 1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컬렉션 시각화(Collection Visualization), 캡쳐본,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서울, https://semaaa.seoul.go.kr/front/collection/look.do?menuId=19.

    SDDH-71-1-55_F1.gif

    2)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http://archive.ntck.or.kr/): 공연예술 분야

    국립극단은 70주년을 맞아 2020년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를 개발하였다. 이 기관 은 극단에서 공연 작품과 극단과의 협업을 진행한 예술가들의 기록물들을 디지털 상에서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고 콘텐츠 소재로 활용될 수 있게 개방하였다.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 이브는 사적 의미도 있지만, 넓게는 한국연극사를 살펴볼 수 있는 기록 아카이브로서의 확장을 희망하며 수시 업데이트를 목표로 운영되고 있다.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는 국립극단의 상징인 연극 작품을 기반으로 관련 연구자들과 기록관리 시스템의 3여 년간의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연극’이 중심이 되는 기 관인 만큼 타 기관과 차별화되어 ‘연극과 공연작품’에 기반한 메뉴와 DB를 가진다. 특히 ‘검색’ 메뉴로 구성된 부분은 전거레코드 기초 기술 요소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를 전거레코드 항목과 기술요소 기준으로 살펴보면, 장르는 ‘연극’, 넓게는 ‘공연예술’로 연계하여 살펴볼 수 있다. 서비스페이지 우측 상단에 있는 ‘이용안내’에는 일반이용자와 전문연구자를 위한 상세한 안내가 구분되어있다. ‘일반이용 자를 위한 안내’를 통해 일반이용자들이 접근하는 방식은 공연정보의 검색(Search)과 공연 정보의 탐색(Browse)으로 검색어-항목을 통해 ‘연결 정보’로 원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받 는다. ‘연구자를 위한 안내’에서는 이 연구에서 다루게 되는 전거레코드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전문적 활용을 위해 연구자들에게 제공하는 방식은 데이터 유형, 데이터 기술요소, 데이터 출처를 안내하고 있다.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의 전거레코드 항목으로 보이는 ‘데이터 유형’은 8가지로 공연 /활동, 인물/단체, 작품, 공연자료, 등장인물, 학술/보도, 사건, 장소이다. 특성에 맞게 각각 의 구조를 가지며, 그 구조는 기술요소와 Link Data(연결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모 든 데이터가 연계되어 서로의 정보를 이어주는 관계망을 주축으로 한 시멘틱 아카이브로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전거레코드 기술요소로 보이는 ‘데이터 기술 요소’는 각 항목별 적용하여 제공하고 있다.

    항목별 데이터 유형과 기술요소는 다음과 같다. ‘공연/활동’ 유형의 대상은 국립극단이 제작하고 기획하거나 초청한 행사로 공연, 교육, 학술, 전시 및 이와 관련한 활동 등이다. ‘공연/활동’의 기술요소 구성은 공연/활동명, 유형, 다른 제목/부제, 기획명, 기획의도, 영문 표기, 한자표기, 외국어표기, 시작일, 종료일, 공연 회차, 소요시간, 관람연령, 총 관객수, 예 매처, 티켓 가격, 설명, 비고, 참조이다. ‘인물/단체’ 유형의 대상은 공연/활동에 참여 및 관 계한 실존 인물 및 단체이다. ‘인물/단체’의 기술요소의 구성은 인물/단체명, 다른 이름, 외국어표기, 영문표기, 한자표기, 생년(설립일), 몰년(폐관일), 출생지, 주요활동 지역. 국립 극단 입ㆍ퇴단, 성별, 수상내역, 소속, 비고, 참조이다. ‘장소’ 유형의 대상은 국립극단 공연 /활동이 발생한 지리적, 물리적 공간정보가 대상이다. ‘장소’ 기술요소 구성은 장소명, 다른 이름, 한자표기, 영문표기, 유형, 개관일, 폐관일, 주소, 웹사이트,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 정보 체계), 비고, 참조이다.

    ‘공연자료’ 유형의 대상은 공연/활동과 관련하여 국립극단 내부에서 생산한 자료이다. ‘공연자료’ 기술요소 구성은 기록물명, 유형, 생산일, 소장처, 저작권 정보, 저작권 정보, 웹주소, 비고, 참조이다. ‘학술/보도’ 유형의 대상은 공연/활동과 관련하여 국립극단 외부 에서 생산한 자료(연구, 비평, 언론보도 등)와 학술/보도 데이터(공연/활동, 작품 중 한국 희곡)이다. ‘학술/보도’ 기술요소 구성은 학술/보도명, 유형, 발행매체, 발행처, 발행일, 쪽 수, 웹주소, 비고, 참조이다. ‘등장인물’ 유형의 대상은 공연/활동과 관련한 개별적인 사건 정보와 국립극단과 관련한 역사적 사실과 사건 정보이다. ‘등장인물’의 기술요소 구성은 등장인물 명, 성별, 특징, 비고, 참조이다. ‘사건’유형의 대상은 공연에서 배우에 의해 구현 된 작품의 등장인물이다. ‘사건’의 기술요소 구성은 사건명, 영문표기, 한자표기, 시작일, 종료일, 참고정보 명, 발행매체, 발행처, 발행일, 쪽수, 웹주소, 비고, 참조이다.

    예술 분야에서 무용 장르와 가장 근접한 기관사례는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이다. 국 가기록원이나 타 장르에서 다루는 것을 종합적으로 포함하며, ‘등장인물’이 포함된 것이 특징적이다. 이 특징적인 부분으로 연극 장르 특성상 여러 작품에 참여하는 배우와 단체 등에 관한 연계 검색의 효과를 통해 전거레코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2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공연/활동’ 데이터 유형 및 기술요소(National Theater Company Digital Archive ‘Performance/Activity’ data type and technical elements)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47.

    데이터 유형 공연/활동
    • ① 국립극단이 제작, 기획, 초청한 공연

    • ② ①의 과정에 속하는 활동(연습, 셋업, 철수 등)

    • ③ ①에 연계한 교육, 학술, 전시, 기타 관객행사 등

    • ④ 국립극단이 기획한 공연 외 교육, 학술, 개발, 전시 등

    데이터 기술요소 제시 된 적용 (예_안데르센 2015, 완주)
    공연/활동명 공연/활동명 안데르센(2015, 완주)
    유형 개요 원작
    다른 제목/부제 각색
    기획명 연출
    기획의도 시작일
    영문표기 종료일
    한자표기 유형
    외국어표기 인물관계
    시작일 장소 장소명
    종료일 인물/단체 작가(원작, 각색)
    공연회차 연출
    소요시간 관련 공연/활동 관련 된 모든 공연/행사를 이름(연도, 지역)으로 표기하여 연동
    관람연령
    총 관객수
    예매처
    티켓가격
    설명
    비고
    참조

    Ⅲ. 무용구술사 자료수집 및 전거 데이터 처리

    1. 연구 내용

    1) 연구절차

    첫째, 무용 구술사 기록물 수행 국공립 기관 조사 및 서비스 활용 여부 파악한다. 둘째, 무용 구술사 기록물(채록문)을 수집한다. 세 번째로 웹기반 무용 자료정보 검색 방법을 조 사한다. 넷째, 무용구술사 기록물(채록문) 데이터 수집을 형태소 분석기 소프트웨어로 전 거 데이터 대상어를 추출 및 선별한다. 다섯 번째, 전거레코드 국제표준규칙 ISAAR(CPF) 와 국가기록원의 영역(항목)과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와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등의 기술요소를 적용하여 무용 전거레코드 구축에 필요한 항목과 기술요소를 마련한다.

    2) 연구자료 수집 및 방법

    자료 수집 기관은 무용구술사를 진행한 국공립 기관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 기록원ㆍ국립국악원ㆍ국립무형유산원으로 제한하였으며, ‘무용’ 구술 채록문(녹취문)에 해 당하는 2003-2021년까지의 83명의 공개대상의 채록문을 우선 수집하였다. 수집방법은 온 라인 및 방문을 통해 PDF와 복사 등의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온라인 수집방법 경로로는 국립국악원과 국립무형유산원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PDF파일을 수집,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기록원과 국립부산국악원의 경우에는 신청을 통해 PDF파일을 제공받았다.

    3) 연구 분석 대상 선정

    수집된 무용구술사 분석대상 후보 리스트를 1차 선정 대상자로 정리하였다. 정리기준은 장르별ㆍ기관별로 모든 구술자들을 가나다순으로 정리하여 중복참여자 선별을 진행하였다.

    이후 2차 분석대상 선별을 위해 2022년 4월부터 9월 사이 구술채록사업 참여한 전문가 자문을 개개인의 인터뷰로 진행하였다. 자문 대상은 기관 구술채록담당자 1인, 무용평론가 1인, 현대무용 전문가 1인, 발레 전문가 1인, 한국무용 전문가 1인으로 총 6인으로 구성하 였다. 자문 내용은 1차에서 선별된 명단을 중심으로 ‘장르별’ 분배, ‘인물별’ 주요 대상어 추출이 가능한 무용가를 추천받았다.

    장르별 전문가 자문을 통해 한국무용(전통), 한국무용(창작), 한국무용(신무용), 현대무 용, 발레, 이론(평론)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장르별로 선정한 명단은 <표 3>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며, 근현대무용사 당시 한국무용 활동이 주를 이루었기 때문에 한국무용을 전통, 신 무용, 창작으로 나누어 선별하였다. (2)와 같은 괄호가 적용된 구술자는 기관별 중복 구술 진행된 부분을 표기한 것이다.

    표 3

    무용구술사 기록물을 통해 선별된 후보 구술자 명단 (List of Candidate Oralists Selected through Dance Oral History Records)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63.

    분야 구술자(가나다순)
    한국무용(전통춤) 강선영, 권명화, 김경란, 김덕명, 김수악, 김영희, 김온경(2), 김용, 김진홍(2), 김천흥, 문장원(2), 문정숙, 양소운, 엄옥자, 이매방, 이애주, 이흥구(2), 장금도, 정금순, 정승희, 조갑녀, 조흥동, 채상묵, 최선, 최희선
    한국무용(신무용) 김문숙(2), 김백봉, 메리조프레슬리, 민준기, 송준영, 송범, 유옥재, 유학자, 이미라, 전황, 정무연, 한순옥
    한국무용(창작) 국수호, 김매자(2), 김현자, 배정혜
    발레 김성일, 김정욱, 김학자, 김혜식, 엄영자, 조광, 조기숙, 조숙자, 주리, 황창호
    현대무용 김영순, 유정옥, 육완순, 이선옥, 이숙재, 이정희, 최청자, 홍신자
    교육무용 김옥진, 파조
    이론 김채현, 이상일, 이순열, 정병호, 조동화(2), 정순영, 채희완, 해의만(2)
    기타 강혜숙, 김용이, 그레타리, 박범훈, 박보희, 이종덕, 정범태

    자문을 통해 장르별 구분 및 선정과정은 다음과 같다. 1차적으로 <표3>에 있는 대상자 중 기관 비공개 대상은 제외하고, 2차적으로 ‘활동과 출생년도’를 감안하여 선정하였다. 그리하 여 최종 분석 대상은 한국무용(전통) 강선영, 한국무용(신무용) 김백봉, 한국무용(창작) 김매자, 현대무용은 육완순, 발레는 김혜식, 무용이론(평론)은 조동화로 6인을 선정하게 되었다.

    2. 무용 전거 데이터 처리

    무용 전거 데이터 처리는 선정된 6인의 구술사 기록물(채록문)의 텍스트를 전처리하여 형태소 분석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구술사 기록물(채록문)은 구술자의 발음을 그대로 표기하는 텍스트가 형태소 분석기에 적용이 어렵기 때문에 용어 표준 정리를 우선 정리하 였다. 이후 형태소 분석기 시스템이 있는 Jelly Lab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데이터 처리를 진행하여 언급된 수가 많은 데이터를 추출하여 항목을 살펴볼 수 있었다.

    3. 무용구술사 전거레코드 유형

    본 연구에서 무용 전거레코드 유형을 찾는 원자료는 무용구술사 기록물이며, ‘분석대상’ 으로 정해진 한국무용(전통) 강선영, 한국무용(신무용) 김백봉, 한국무용(창작) 김매자, 현 대무용 육완순, 발레 김혜식, 무용이론(평론) 조동화로 6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구술자들 의 채록문을 구술자 인적사항, 후기 등을 제외한 채록문 내용만을 한정하였다. 선정된 구 술자 6인의 구술채록은 모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기록원에서 진행되었다. 채록 연도는 2005년 조동화, 2008년 강선영, 김백봉, 육완순, 2014년 김매자는 생애사로 진행되 었고, 2008년 김혜식은 주제사로 진행되었다.

    유형을 찾기 위해 첫 번째 단계로 형태소 분석기를 활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구술 사 기록물은 구술자와 면담자의 음가를 그대로 녹취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형태소 분석기 로 추출한 이후 클린징 작업이 필수적이었다. 그리고 클린징 작업을 진행하면서 인명, 단 체 외 짧은 키워드 등을 제외한 긴 명칭들은 띄어쓰기로 인해 정확한 단어 추출의 어려움 이 있었다. 그래서 두 번째 단계로 작품명의 경우에는 2차 작업을 수작업으로 시행하여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1) 1단계: 형태소 분석기를 통한 표제어 추출 및 유형구분

    (1) 한국무용(전통): 강선영

    한국무용(전통) 강선영의 구술채록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기록원에서 2008 년도 생애사로 진행되었다. 강선영의 구술 채록문을 기반으로 형태소 분석기에 적용한 후 무용과 관련된 내용만을 정제하면 총 120개의 단어가 나왔다. 단어의 유형 구분은 기관명 (교육기관, 공연장), 장소명, 단체명, 악기명, 의상 및 소품명, 인물명, 작품명, 장르명, 직업 군, 동작명, 행사명으로 선별되었다.

    표 4

    무용구술사 기록물 ‘강선영’ 채록문 형태소 분석기 정제결과 (Result of morpheme analyzer purification of ‘Gang Seonyeong’ Recorded Dance Oral History’)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81-82.

    구분 대상어(가나다순-빈도수)
    기관 문화관광부(5), 이왕직 아악부(104), 한국무용협회(9), 한국문화예술진흥원(8)
    장소 국립극장(27), 명동극장(7), 부민관(6)
    단체 국립무용단(33), 예총(23)
    음악, 악기 가야금(12), 국악(14), 굿거리(3), 명창(4), 바이올린(3), 서도소리(3), 소리(9), 염불(2), 음악(17), 장단(13), 터벌림(6), 판소리(5), 피리(5), 해금(3)
    의상, 소품 북(35), 소품(2), 속치마(3), 의물(4), 의상(10), 장구(10), 장삼(4), 저고리(7), 족두리(4), 한복(4), 활옷(3)
    인물 강선영(120), 강춘자(3), 권려성(3), 김관수(7), 김광식(5), 김동리(3), 김동옥(1), 김문숙(10), 김백봉(8), 김성녀(3), 김순성(3), 김천흥(13), 논개(9), 모윤숙(10), 박보아(3), 박성범(2), 박성옥(3), 박옥진(1), 성경린(2), 성금련(3), 송범(8), 신불출(3), 양성옥(4), 어우동(3), 유한철(2), 윤봉춘(2), 윤소정(2), 이강선(2), 이광수(1), 이동백(2), 이두현(5), 이매방(14), 이명자(6), 이충선(1), 이현자(8), 이흥구(2), 임춘앵(1), 장홍심(2), 조용자(3), 조택원(7), 지영희(3), 최승희(5), 한상묵(3), 한성준(192), 한영숙(132)
    작품 부채춤(22), 살풀이(42), 선녀춤(4), 승무(136), 신선무(4), 심청전(4), 열두무녀도(17), 장구춤(32), 춘향전(5), 초혼(5), 태평무(146), 학춤(20), 황진이(27)
    장르 굿(10), 궁중무(4), 무용(288), 무용극(12), 무형문화재(68), 민속무용(12), 안무(11), 원작(2), 원형(4), 유희(2), 전통(3), 창작(7), 춤(138)
    직업 교수(7), 국악인(7), 기생(3), 무용가(27), 무용수(5), 무희(4), 악사(6), 안무자(10), 예술가(7), 작곡가(4)
    동작 동작(4), 춤사위(4)
    행사명 CIOFF(세계민속춤축제)(3)
    (2) 한국무용(신무용): 김백봉

    한국무용(신무용) 김백봉의 구술채록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기록원에서 2008 년도 생애사로 진행되었다. 김백봉의 구술 채록문을 기반으로 형태소 분석기에 적용한 후 무용과 관련된 내용만을 정제하면 총 112개의 단어가 나왔다. 단어의 유형 구분은 기관명 (교육기관, 공연장), 기록명, 단체명, 악기명, 의상 및 소품명, 인물명, 작품명, 장르명, 직업 군, 동작명이 선별되었다.

    표 5

    무용구술사 기록물 ‘김백봉’ 채록문 형태소 분석기 정제결과 (Result of Morpheme Analyzer Purification of Recorded Text from ‘Gim Baekbong’, a Dance Oral History Record)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83.

    구분 대상어(가나다순-빈도수)
    기관 경희대학교 무용과(26), 권번(11), 국립극장(5), 서라벌예술대학(6), 선화예술학교(3),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8), 한국무용협회(4)
    기록 무보(6)
    단체명 국립무용단(40), 리틀엔젤스(9), 볼쇼이발레단(6), 서울예술단(3)
    음악, 악기 LP(3), TAPE(3), LP(3), 가야금(25), 굿거리(6), 굿거리장단(5), 민요(9), 북(12), 아쟁(3), 장구(10), 판소리(5), 피리(8), 피아노(15)
    의상, 소품 백조(17), 버선(19), 부채(33), 슈즈(16), 토슈즈(6)
    인물 강선영(4), 계월향(7), 고정훈(15), 김동원(3), 김민자(3), 김백봉(154), 김병삼(3), 김일성(7), 김충실(10), 김현자(3), 논개(9), 마리 비그만(4), 박귀희(6), 박성옥(30), 박지홍(8), 배정혜(4), 송범(16), 안막(43), 안병헌(8), 안성희(27), 안익태(3), 안제승(50), 양성옥(5), 오재경(6), 이시이 바쿠(43), 이인범(3), 이진순(6), 임성남(6), 장추화(14), 정병호(3), 정수웅(3), 조광(3), 조동화(7), 조택원(13), 주은래(19), 최선(14), 최승희(372),파조(3), 한성준(16)
    작품 검무(4), 기본(92), 녹음방초(3), 맥(12), 무당춤(4), 봉산탈춤(5), 부채춤(91), 선녀춤(7), 승무(22), 심청(21), 장고춤(18), 초립동(22), 태평무(4)
    장르 경극(3), 고전무용(45), 국악(13), 댄스(13), 무용(669), 무용극(11), 무용사(21), 문화재(11), 발레(47), 신무용(6), 신흥무용(15), 안무(30), 유희(17), 춤(514), 포크댄스(4)
    직업 무용가(148), 무용수(14), 문하생(7), 안무가(12), 연출가(7), 예술가(35), 예술인(3), 이론가(4), 평론가(16)
    동작 궁체(15), 움직임(8), 투스텝(4), 필체(10), 학체(13)
    (3) 한국무용(창작): 김매자

    한국무용(창작) 김매자의 구술채록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기록원에서 2014 년도 생애사로 진행되었다. 김매자의 구술 채록문을 기반으로 형태소 분석기에 적용한 후 무용과 관련된 내용만을 정제하면 총 138개의 단어가 나왔다. 단어의 유형 구분은 기관명 (교육기관, 공연장), 장소명, 기록명, 단체명, 음악 및 악기명, 의상 및 소품명, 인물명, 작품 명, 장르명, 직업군, 동작명, 행사명이 선별되었다.

    표 6

    무용구술사 기록물 ‘김매자’ 채록문 형태소 분석기 정제결과 (Result of Morpheme Analyzer Purification of Recorded text from Dance Oral History Record ‘Gim maeja’)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84-85.

    구분 대상어(가나다순-빈도수)
    기관 경희대학교 무용과(15), 문화체육관광부(5),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99)
    장소 국립극장(31), 굿판(4), 명동극장(8), 분장실(3)
    기록 홀기(13)
    단체명 볼쇼이발레단(3), 정신문화연구원(11), 창무회(44), 오케시스 무용단(4)
    음악, 악기 가야금(8), 국악(10), 굿(52), 굿거리(7), 당악(3), 대금(3), 북(22), 사물놀이(13), 소리(54), 씻김굿(6), 자진모리(6), 작곡(15), 장단(10), 재즈(6), 정악(3)
    의상, 소품 꽃신(19), 드레스(3), 장구(3), 한복(3)
    인물 강미리(5), 강석희(3), 마사 그레이엄(11), 유리 그리가로비치(4), 김동민(8), 김매자(26), 김백봉(38), 김석만(3), 김석출(7), 김영동(8), 김영희(3), 김옥진(4), 김온경(5), 김지하(5), 김천흥(25), 김철호(4), 김현자(3), 마사 그레이엄(12), 박병천(6), 박송암(5), 박외선(16), 손경순(5) , 송범(3), 송암스님(5), 안제승(6), 엘빈 에일리(16), 유인희(8), 육완순(8), 이노연(3), 이숙종(4), 이어령(7), , 이영란(3), 이영희(8), 이지산(24), 이진배(4), 임춘앵(3), 임학선(7), 임현선(5), 정의숙(3), 정재만(3), 채희완(12), 최승희(17), 최은희(6), 한영숙(22), 홍신자(8), 홍정희(3), 황루시(4), 황무봉(47), 황병기(21)
    작품 강강술래(5), 나비춤(10), 농악(5), 동해안별신굿(3), 무당춤(11), 미얄할미(5), 바라춤(8), 범패(11), 법고(9), 봉산탈춤(8), 부채춤(25), 산조(12), 살풀이(12), 승무(54), 오광대(3), 일무(6), 작법(15), 처용무(3), 춘앵무(13)
    장르 궁중무용(49), 댄스(13), 마스게임(6), 무용(448), 무용사(25), 민속무용(14), 민속춤(4), 발레(52), 신무용(3), 신흥무용(3), 안무(32), 안무법(11),연희(3), 예술(124), 유희(3), 임프로비제이션(4), 전통(106), 정재(12), 즉흥(9), 창작(55), 춤(696), 탈춤(14), 포스트모더니즘(6), 표현주의(3)
    직업 감독(28), 강사(28), 교육자(6), 무용가(40), 무용가(56), 무용수(36), 안무가(7), 예술가(42), 음악가(3), 평론가(34)
    동작 동작(40), 발돋움(3), 움직임(9), 춤사위(10), 테크닉(34)
    행사명 리옹 댄스 비엔날레(14)
    (4) 현대무용: 육완순

    현대무용 육완순의 구술채록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기록원에서 2008년도 생 애사로 진행되었다. 육완순의 구술 채록문을 기반으로 형태소 분석기에 적용한 후 무용과 관련된 내용만을 정제하면 총 109개의 단어가 나왔다. 단어의 유형 구분은 기관명(교육기 관, 공연장), 장소명, 기록명, 단체명, 음악 및 악기명, 의상 및 소품명, 인물명, 장르명, 행 사명이 선별되었다.

    표 7

    무용구술사 기록물 ‘육완순’ 채록문 형태소 분석기 정제결과 (Result of Purification of Morpheme Analyzer from ‘Yuk Wansun’, a record of dance oral history)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86.

    구분 대상어(가나다순-빈도수)
    기관 YWCA(11), 이화여대 무용과(53), 경희대 무용과(42), 카네기홀(16), 국립극장(4), 세종문화회관(3)
    기록 라바노테이션(14)
    단체 한국무용협회(6), 툇마루 무용단(3), 오케시스 무용단(8)
    음악, 악기 가야금(11)
    의상, 소품 toe shoes(7), 튀튀tutu(3), 레오타드(3)
    인물 마사 그레이엄(125), 도리스 험프리(52), 호세 리몽(44), 머스 커닝햄(42), 김신실(32), 앨빈(25), 에일리(25), 육완순(20), 임성남(20), 김덕순(16), 김복희(16), 마리아(16), 김말복(15), 김천흥(15), 박외선(15), 최승희(15), 김매자(14), 김미화(14), 이어령(14), 박명숙(13), 루스(11), 김양곤(10), 안신희(10), 이청자(10), 강원용(9), 루돌프(9), 박용구(9), 이영훈(9), 이정희(9), 세택(8), 니콜라이(8), 정명훈(8), 조원경(8), 조은미(8), 김정자(7), 박호빈(7), 이윤경(7), 한영숙(7), 김보남(6), 숀(6), 안애순(5), 앤드루(5), 유인희(5), 홍정희(5), 김기인(4), 김소월(4), 김양근(4), 김영환(4), 김옥진(4), 김현주(4), 김희진(4), 박인숙(4), 송범(4), 신상미(4), 이선옥(4), 이인범4), 이현숙(4), 최청자(4), 파조(4), 한양순(4), 강만홍(3), 강선영(3), 김남조(3), 김생려(3), 김영동(3), 김영태(3), 김옥길(3), 김학자(3), 김화숙(3), 루스(3), 박일규(3), 박재희(3), 박정희(3), 송은섭(3), 엘리엇(3), 이우영(3), 조동화(3), 표재순(3)
    장르 무용(1037), 현대무용(371), 춤(202), 발레(110), 창작(104), 예술(97), 안무(93), 컨템포러리(82), 댄스(34), 국악(14), 무브먼트(8), Dance(4), 모던댄스(4), 무형문화재(3), 신무용(3)
    행사 KDF(8), KADF(4), ADF(15)
    (5) 발레: 김혜식

    발레 김혜식의 구술채록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기록원에서 2008년도 주제사로 진행되었다. 김혜식의 구술 채록문을 기반으로 형태소 분석기에 적용한 후 무용과 관련된 내용만을 정제하면 총 99개의 단어가 나왔다. 단어의 유형 구분은 기관명(교육기관, 공연장), 장소명, 단체명, 의상 및 소품명, 인물명, 작품명, 장르명, 직업군, 동작명이 선별되었다.

    표 8

    무용구술사 기록물 ‘김혜식’ 채록문 형태소 분석기 정제결과 (Result of purification of Morpheme Analyzer from ‘Gim Hyesik’, a Record of Dance Oral History)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87.

    구분 대상어(가나다순-빈도수)
    기관 KNUA(3), 문화공보부(3), 선화예술학교(5),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102), 한국무용협회(5), 한국예술종합학교(7)
    장소 국립극장(4), 무용실10)
    단체명 American Ballet Theatre(16), Royal Ballet(25), 발레뤼스(4), 예그린악단(11), 키로프발레단(5)
    의상, 소품 튀튀tutu(6), 백조(5), 소품(4), 타이즈(5), 토슈즈(7)
    인물 강선영(7), 권려성(10), 김매자(4), 김문숙(3), ,김백봉(9), 김상만(5), 김숙자(8)김옥진(3)김혜식(9)누리예프(4)디아길레프(3)마고 폰테인(5), 마고트 폰테인(4), 마린스키(3), 마사 그레이엄(12), 박외선(16), 박용구(3), 송범(19), 알레그로(3), 엘빈 에일리(12), 유인희(7), 육완순(4), 이강숙(4), 이건용(3), 이인범(8), 임성남(69), 정승희(4), 조광(4), 조지
    발란신(3), 조택원(3), 존 마틴(3), 주리(9), 체케티(3), 최승희(4), 최혜리(5), 파조(13), 한동인(3), 한성준(3), 한영숙(3), 홍정희(12)
    작품 기본(3), 라실피드(4), 백야(3), 백조의 호수(3), 승무(6), 심청(5), 춘향(4)
    장르 Ballet(10), 댄스(8), 무용(275), 무용극(3), 무형문화재(4), 발레(246), 신흥무용(5), 안무(51), 예술(36), 율동(3), 창작(37), 체조(3), 춤(33), 컨템포러리(5)
    직업 감독(6), 강사(13), 공무원(5), 교사(17), 교수(46), 기생(3), 단장(42), 무용가(24), 무용수(33), 발레리나(14), 안무가(3), 안무자(4), 예술가(6), 진로(3), 평론가(5)
    동작 동작(6), 아다지오(3), 아라베스크(3), 움직임(3)
    (6) 무용평론: 조동화

    무용평론 조동화의 구술채록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기록원에서 2005년도 생 애사로 진행되었다. 조동화의 구술 채록문을 기반으로 형태소 분석기에 적용한 후 무용과 관련된 내용만을 정제하면 총 100개의 단어가 나왔다. 단어의 유형 구분은 기관명(교육기 관, 공연장), 단체명, 음악 및 악기명, 인물명, 장르명, 직업군, 동작명이 선별되었다.

    표 9

    무용구술사 기록물 ‘조동화’ 채록문 형태소 분석기 정제결과 (Result of Morpheme Analyzer Purification of Dance Oral History Record ‘Jo Donghwa’)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88.

    구분 대상어(가나다순-빈도수)
    기관 YWCA(3), 경성일보(5), 국립극장(7), 국악사양성소(14), 동아일보(19), 문교부(6), 이화여대(33), 조선일보(14), 한국문화예술위원회(9), 한국일보(6)
    단체명 늘봄(3), 문학과지성(5)
    음악, 악기 동요(8), 바이올린(3)
    인물 강선영(15), 국수호(3), 김경애(12), 김경옥(44), 김경호(3), 김매자(3), 김백봉(11), 김백초(3), 김병익(3), 김상화(39), 김생려(3), 김영태(18), 김영택(6), 김은경(6), 김을한(3), 김재준(3), 김정옥(4), 김종욱(6), 김진수(11), 김창구(8), 김채현(4), 김천애(5), 김태원(25), 김현자(11), 나운영(6), 마사미(3), 문일지(5), 문철민(4), 박외선(3), 박용구(8), 백남준(16), 송범(34), 신동헌(5), 여석기(3), 유인희(9), 육완순(6), 윤봉춘(3), 이경애(5), 이경원(6), 이경희(20), 이두현(18), 이민재(25), 이사도라 던컨(22), 이순열(4), 이어령(5), 이은경(6), 임성남(5), 전혜린(3), 조동화(22), 조원경(43), 조택원(17), 채희완(4), 천관우(4), 최승희(3), 최창봉(23), 한규식(4), 한성준(12), 홍난파(6), 홍신자(8), 홍정희(4)
    장르 댄스(3), 舞(3), 무용(454), 무용사(21), 무용이론(9), 문화(48), 문화관광부(5), 발레(19), 신무용(3), 신흥무용(9), 예술(37), 예술사(3), 춤(315)
    직업 공무원(4), 교사(7), 교수(26), 무용가(88), 무용수(15), 비평가(11), 예술가(10), 음악가(4), 진로(5), 편집국장(6), 평론가(99)
    동작 춤사위(3)

    2) 2단계: 수작업을 통한 전문가 선별 표제어 추가 작업

    앞서 1단계에 이어 2단계에서는 작품명, 장르명, 인물명 중 미포함 되거나 폭넓은 데이 터를 확보하기 위해 2차 작업으로의 클린징 작업을 하였다. 이 단계에서는 띄어쓰기와 음 가 발음 표기 등을 고려 한 교차 검증을 수작업으로 진행하였다. 그 대상은 앞서 선정된 6명의 구술자의 구술 채록문을 통해 표제어를 선별하였으며, 빈도수보다는 정확한 명칭 선별에 집중하였다.

    3) 3단계: 무용구술사 기록물 전거레코드 항목 확정

    국가기록원에서 다루는 공공 기록물의 항목은 인물, 단체, 사건이다. 그리고 시각예술 및 공연 예술의 예시로 살펴본 것은 개념과 공간이 추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1-2단 계를 통해 추출된 항목을 기준으로 비교해 보면 ‘무용’장르는 인물-무용가, 단체-예술 단 체, 사건-공연명/작품, 개념-장르, 공간-공연장으로 볼 수 있었다. 그 외 추가로 발견한 것은 기관명, 기록명, 동작명, 음악 및 악기명, 의상 및 소품명, 직업명, 행사명이었다.

    이 연구에서 선정된 무용 전거레코드 항목은 무용가(인물), 무용단체(단체), 작품명(사 건), 공연장(장소)이다.

    표 10

    무용구술사 기록물 전거레코드 항목(후보) 및 최종선정 (Dance oral history records authority record items (candidates) and final selection)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91.

    무용가 예술단체 작품명 행사명
    장르 공연장 기관명 기록명
    동작명 음악, 악기 의상, 소품 직업명
    무용가 무용단체 작품명 공연장명
    (인물) (단체) (사건) (장소)

    4. 무용 구술사 전거레코드 기술요소

    무용 전거레코드 기술요소는 국제표준인 ISAAR(CPF)와 국가기록원의 기술요소에서 제 안한 필수 요소를 선택하여 무용 장르에 맞게 요소명을 수정하여 활용한다. 주요 핵심요소 로 파악된 기술요소는 ‘식별 영역, 기술 영역, 관계 영역, 통제 영역’의 항목에 따라 파악된 다. 항목별 기술요소는 다음과 같다. ‘식별 영역’은 개체 유형/세부유형, 전거명/대표어이 며, ‘기술 영역’은 존속기간/존립기간/생몰일/발생일이다. ‘관계영역’은 핵심요소가 없으며, ‘통제 영역’은 전거레코드 식별자, 기술 주기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무용 장르에서는 무용 전거레코드가 처음 시행되어 다양한 접근점을 위 해 ISAAR(CPF)와 국가기록원의 영역을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기술요소는 핵심요소를 바 탕으로 예술 사례로 살펴본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와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의 예술 특성을 고려한 요소들을 응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나온 항목은 무용 전거레코드 유형에서 선별된 ① 무용가 ② 무용단체 ③ 작품명 ④ 공연장이다. 다음은 항목 4가지에 전거레코드 제안에 따른 항목을 바탕으로 기술요소를 작성한 것이다. 표 내 *표기는 필수 요소를 표시해 놓은 것이다. 즉, 기술 요소 를 작성할 때 *표기가 있는 부분은 필수 등록이 진행되어야 한다.

    1) 무용가

    ‘무용가’ 전거레코드 식별 영역에서는 대상을 식별할 수 있는 접근점을 표시하는 영역으 로 기술요소를 전거코드, 전거 데이터, 인명(원어, 한국어, 영어, 활동명, 아호)으로 제안하 였다. 특히 무용가들은 본명, 아호, 활동명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기 때문에 같은 인물 임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필수적이다.

    ‘무용가’ 전거레코드 기술 영역에서는 무용수, 안무가, 무용음악, 무용 예술 감독 등과 같은 무용과 관련된 인물을 모두 포함하고 비교할 수 있게 작성한다. 기술 영역에서는 전 거레코드 대상의 전거데이터의 기본 정보와 세부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한다. 그 내용으로는 생몰년, 국적, 성별, 출생지, 데뷔일, 현 소속, 주요경력, 종교, 가족(무용, 예술 관련), 연락처(전화, 메일), 활동 장르, 학력/사사, 경력(활동, 작품, 교육), 협업 예술 가가 포함된다.

    ‘무용가’ 전거레코드 관계 영역에서는 전거레코드의 시작점인 무용구술사 기관 정보 및 관련 전거 데이터들을 작성하여 상호 연계성과 기록물 접근에 대한 정보를 마련하며, ‘무 용가’ 전거레코드 통제 영역에서는 작성되는 모든 언어와 다양한 접근 언어를 위해 동의어 및 유사어 등에 대한 정보를 가능한 선에서 작성할 수 있게 한다.

    표 11

    무용 전거레코드 기술요소: 무용가 (Dance Authority Record Technical Element: Dancer)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96.

    영역 요소 설명 내용
    식별 영역 전거코드*
    전거 데이터*
    인명 원어*
    한국어
    한문
    영어
    활동명/아호
    기술 영역 생몰년*
    국적
    성별*
    출생지
    데뷔일*
    현 소속(최종)
    주요경력
    종교
    가족(무용, 예술관련)
    연락처(전화, 메일)
    활동 장르
    학력/사사
    경력(활동)*
    경력(작품)
    경력(교육)
    협업 예술가
    관계 영역 작성 기관(인)/작성일
    구술채록 기관
    관련 전거 데이터
    통제 영역 작성언어
    동의어, 유사어
    비고

    2) 무용 단체

    ‘무용 단체’ 전거레코드 식별 영역에서는 전거레코드 대상을 식별할 수 있는 접근점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기술요소를 전거코드, 전거 데이터, 단체명(원어, 한국어, 영어, 약어)으 로 제안하였다. 무용 단체들은 긴 이름을 가진 경우 약어를 사용하거나, 해외 활동을 위해 한국어명과 영어로 된 이름을 함께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같은 단체임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필요하다.

    ‘무용 단체’ 전거레코드 기술 영역에서는 전거레코드 대상의 기본 정보 및 세부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영역으로 설립연도, 단체 구분(개인사업자, 전문법인, 사단법인), 대표자, 전 대표명단, 소속 단원, 소재지, 활동 장르, 주요 연혁, 홈페이지, 연락처(전화, 메일), 경력 (활동, 작품, 교육), 협업 예술가/단체, 주요 작품, 내용 주기 출처가 포함된다. 단체는 대표 가 변경될 때마다 작품과 단원 등이 변경되기 때문에 가능한 연도 표기로 구분하여 작성하 는 것이 좋다.

    ‘무용 단체’ 전거레코드 관계 영역에서는 전거레코드의 시작점인 무용구술사 기관 정보 및 관련 전거 데이터들을 작성하여 상호 연계성과 기록물 접근에 대한 정보를 마련한다. ‘무용 단체’ 전거레코드 통제 영역에서는 작성되는 모든 언어와 다양한 접근 언어를 위해 동의어 및 유사어 등에 대한 정보를 가능한 선에서 작성할 수 있게 한다.

    표 12

    무용 전거레코드 기술요소: 무용 단체(Dance Authority Record Technical Elements: Dance Group)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98.

    영역 요소 설명 내용
    식별 영역 전거코드*
    전거 데이터*
    단체명 원어*
    한국어
    한문
    영어
    약어
    기술 영역 설립연도*
    단체 구분 개인사업/ 전문법인/ 사단법인
    대표자*
    전 대표명단
    소속 단원
    소재지
    활동 장르*
    주요연혁*
    홈페이지
    연락처(전화, 메일)
    경력(활동)*
    경력(작품)
    경력(교육)
    협업 예술가/단체
    주요 작품
    내용 주기 출처
    관계 영역 작성 기관(인)/작성일
    구술채록 기관
    관련 전거 데이터
    통제 영역 작성언어
    동의어, 유사어
    비고

    3) 작품명

    ‘작품명’ 전거레코드 식별 영역에서는 전거레코드 대상을 식별할 수 있는 접근점을 표시 하는 영역으로 기술요소를 전거코드, 전거 데이터, 작품명(원어, 한국어, 영어)으로 제안하 였다. 국내ㆍ외 작품명들은 해외 작품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원어를 필수로 표기하고, Swan Lake처럼 백조의 호수로 한국어로 혼용하여 사용되는 경우를 위해 한국어도 함 께 작성하게 하였다.

    ‘작품명’ 전거레코드 기술 영역에서는 전거레코드 대상의 기본정보와 세부정보를 파악 할 수 있는 영역으로 제작연도, 제작국, 안무가, 작곡가, 연출가, 기술 스텝, 출연진, 공연 장, 주최, 주관, 후원, 협찬, 지원 사업, 재공연 정보, 내용 즉 출처가 포함된다. 작품의 경우 에는 재공연이 되는 경우가 많고, 주요 스텝들 외에 참여한 인원 정보 및 지원 사업을 통해 진행되는 경우 등의 정보까지도 필요하다.

    ‘작품명’ 전거레코드 관계 영역에서는 전거레코드의 시작점인 무용구술사 기관 정보 및 관련 전거 데이터들을 작성하여 상호 연계성과 기록물 접근에 대한 정보를 마련한다. ‘작 품명’ 전거레코드 통제 영역에서는 작성되는 모든 언어와 다양한 접근 언어를 위해 동의어 및 유사어 등에 대한 정보를 가능한 선에서 작성할 수 있게 한다.

    표 13

    무용 전거레코드 기술요소: 작품명(Dance Authority Record Technical Elements: Performance Title)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100.

    영역 요소 설명 내용
    식별 영역 전거코드*
    전거 데이터*
    작품명 원어*
    한문
    영어
    한국어
    기술 영역 장르
    제작연도
    제작국
    안무가
    작곡가
    연출가
    기술스텝
    출연진
    공연장
    주최
    주관
    후원
    협찬
    지원 사업
    재공연 정보
    내용 주기 출처
    관계 영역 작성 기관(인)/작성일
    구술채록 기관
    관련 전거 데이터
    통제 영역 작성언어
    동의어, 유사어
    비고

    4) 장소명

    ‘장소명’ 전거레코드 식별 영역에서는 전거레코드 대상을 식별할 수 있는 접근점을 표시 하는 영역으로 기술요소를 전거코드, 전거 데이터, 장소명(원어, 한국어, 영어, 약어)으로 제안하였다. ‘장소명’ 전거레코드 기술 영역에서는 전거레코드 대상의 기본 정보 및 세부정 보를 파악할 수 있는 영역으로 개관 연도, 소재지, 주요 장르 여부, 공간 연혁, 주요 공연명, 언급된 공연명, 주소, 연락처, 홈페이지, 내용 주기 출처를 포함한다. 장소의 경우 대부분 공연장을 의미하는데, 국립극장, 아르코예술극장 등이 처음 생성된 이름이 변화된 정보를 넣어 언급되는 장소가 동일하거나 다름을 인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장소명’ 전거레코드 관계 영역에서는 전거레코드의 시작점인 무용구술사 기관 정보 및 관련 전거 데이터들을 작성하여 상호 연계성과 기록물 접근에 대한 정보를 마련한다. ‘장 소명’ 전거레코드 통제 영역에서는 작성되는 모든 언어와 다양한 접근 언어를 위해 동의어 및 유사어 등에 대한 정보를 가능한 선에서 작성할 수 있게 한다.

    표 14

    무용 전거레코드 기술요소: 장소명(Dance Authority Record Technical Elements: Location)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102.

    영역 요소 설명 내용
    식별 영역 전거코드*
    전거 데이터*
    장소명 원어*
    한문
    영어
    한국어
    약어
    기술 영역 개관연도
    소재지
    주요 장르 여부
    공간 연혁
    주요 공연명
    언급 된 공연명
    주소
    연락처
    홈페이지
    내용 주기 출처
    관계 영역 작성 기관(인)/작성인
    구술채록 기관
    관련 전거 데이터
    통제 영역 작성언어
    동의어, 유사어
    비고

    5. 무용 구술사 전거레코드 기술요소 적용 사례

    앞서 무용 전거 레코드 네 가지 항목에 따른 기술요소를 제안하여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 다. 전거레코드 항목에 따른 전거 데이터는 ‘무용 구술사 전거레코드 유형’에서 형태소 분 석기로 추출된 데이터 중에서 공통되거나 예시로 좋은 데이터로 선별하였다. 이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무용구술사의 활용을 바탕으로 전거레코드 항목과 기술요소 그리 고 관련 정보들을 웹사이트에서 찾아서 적용하였으며, 특이한 점으로는 무용구술사 채록 문 접근 방식인 색인을 관계 영역에 넣었다는 부분이다. 이는 추후 시스템 적용이 되었을 때 관련 자료로 연계되는 효과를 가지는 것에 기대하고 있다.

    무용 전거레코드 4가지 항목별 기술요소 예시는 무용가(김천흥), 무용 단체(한국무용협 회), 작품명(백조의 호수), 장소명(부민관)으로 적용하였다. 표 안 *표기는 필수 요소를 표시한 것이다.

    1) 무용가 ‘김천흥’ 전거레코드 기술요소(예시)

    표 15

    무용가 ‘김천흥’ 전거레코드 기술요소 작성 (Technical Elements from Dancer Gim Cheonheung’s Archival Records Created Authority Record)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103-105.

    영역 요소 설명 내용
    식별 영역 전거코드* KR-무용-무용가-001
    전거 데이터* 김천흥
    인명 원어* 김천흥
    한국어 김천흥
    한문 金千興
    영어 Kim, Cheon Heung
    활동명/아호 심소(心韶)
    기술 영역 생몰년* 1909~2007
    국적 대한민국
    성별* 남자
    출생지 대한제국 한성부
    데뷔일* 1923년 순종황제 탄신 오순경축공연 무동으로 데뷔
    현 소속(최종)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주요경력 국립국악원 이사, 국립국악원 국악사, 문교부 문화보존위원회 위원, 서울시 문화위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경희대·이화여대 강사 등
    종교 개신교
    가족(무용, 예술관련) 김천룡(형제, 국악인), 김정수(조카, 국악인)
    연락처(전화, 메일) -
    활동 장르 국악, 무용, 전통예술
    학력/사사
    • 1) 학력

    • 1922 이왕직아악부원 양성소 2기생으로 입학

    • 1926 이왕직아악부원 양성소 2기 졸업(해금 전공,양금'아쟁 겸공)

    • 2) 사사 : 한성준, 김기수 등

    경력(활동)*
    • 1923 순종황제 탄신 오순 경축공연에 무동으로 출연

    • 1926-1940 이왕직아악부 아악수보'아악수'아악수장 역임

    • 1951-2007 국립국악원 예술사'연주원'자문위원을 거쳐 원로사범으로 재직

    • 1968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기능보유자 지정

    • 1971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기능보유자

    • 1973-1993 (사) 대악회 이사장

    • 1978-2007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

    • 1983-1993 무형문화재예술단 단장

    • 2004 심재 정악단 창단 고문

    • 2007 국립국악원 원로사범,대한민국 예술원 회원

    경력(작품)
    • 1) 작품: 춘앵전, 학무, 봉산탈춤, 무용극 처용랑, 무용극 만파식적> 등

    • 2) 도서: 『한국무용의 기본무보>,『정악양금보』, 『정악해금보』, 『정재무도홀기 창사보 I, II』

    경력(교육) 서울대학교 국악과,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한국음악과,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무용원 등
    협업 예술가 성경린, 이흥구 등
    관계 영역 작성 기관(인)/작성일 오정은/2022.12.10
    구술채록 기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기록원 구술채록 언급 된 채록문: 강선영(3, 4회차), 권명화(1회차), 김매자(주제사 1회차), 김문숙(1,2,5회차), 김백봉(4회차), 김옥진(1회차), 김온경(1회차), 김학자(1회차), 메리조프레슬리(2,3,5회차), 문정숙(2회차), 송범(1회차), 엄영자(1회차), 엄옥자(1회차), 유정옥(1회차), 유학자(1회차), 육완순(1회차), 이선옥(1회차), 이애주(1회차), 이종덕(1회차), 정무연(2회차), 정범태(4,5,6회차), 조흥동(1회차), 채상묵(1회차), 채희완(2회차), 파조(1회차), 해의만(1회차)
    관련 전거 데이터 정재, 궁중무용, 이왕직아악부, 국립국악원, 처용랑, 만파식적
    통제 영역 작성언어 한국어
    동의어, 유사어 심소, 조선의 마지막 무동
    비고(출처)
    • Da-Arts 구술자 소개 페이지

    • https://www.daarts.or.kr/handle/11080/16242

    • 2003 한국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05 ‘김천흥’

    2) 무용단체 ‘한국무용협회’ 전거레코드 기술요소(예시)

    표 16

    무용 단체 ‘한국무용협회’ 전거레코드 기술요소 (Technical Elements from Dance Group ‘Korea Dance Association’ Archival Records Created Authority Record)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106-107.

    영역 요소 설명 내용
    식별 영역 전거코드* KR-무용-무용 단체-001
    전거 데이터* 한국무용협회
    단체명 원어* 대한무용협회
    한국어 대한무용협회
    한문 大韓舞踊協會
    영어 Korea Dance Association
    약어 무용협회, 협회
    기술 영역 설립연도* 1962년
    단체 구분 사단법인
    대표자* 조남규
    전 대표명단 송범(1대, 3대, 4대, 5대), 조택원(2대, 7대), 임성남(8대, 9대), 김진걸(10대, 11대, 12대), 강선영(13대, 14대), 조흥동(15대, 16대, 17대, 18대), 김복희(19대, 20대, 21대), 조남규(22대, 23대)
    소속 단원 (2022.12 현재 홈페이지 참조) 상임고문(김복희), 고문(김문숙, 김백봉, 이명자, 조흥동, 채상묵), 수석부이사장(안병주, 최태지), 부이사장(김종해, 김형남, 박재근, 전순희), 상임이사(권미애, 김동곤, 김삼진, 김선정, 김영미, 김영진, 김지안, 김지원, 김혜정, 남수정, 남진희, 류영수, 박재홍, 신창호, 오은령, 유정숙, 이동숙, 이미숙, 이주희, 이해준, 임성옥, 정숙희, 정재혁, 제임스전, 조미송, 차수정, 최해리, 한동엽, 황규자) 등
    소재지 서울특별시 양천구
    활동 장르* 예술, 무용
    주요연혁* 1945년 조선무용건설준비위원회 1946년 조선무용예술협회(조택원) 1954년 한국무용예술인협회(김해랑) 1956년 한국무용가협회(진수방) 1959년 한국무용협회(진수방) 1961년 사단법인 한국무용협회 2022년 사단법인 대한무용협회
    홈페이지 http://koreadanceassociation.org
    연락처(전화, 메일) 02-744-8066 /dance1961@koreadance.org
    경력(활동)* 대한민국무용제, 서울무용제, 전국무용제, 대한민국 무용대상, 공연업 회생 프로젝트, 공연예술분야 인력지원사업, 서울형뉴딜일자리 청년무용예술가 양성사업, 젊은안무자창작공연, 전국 초중고등학교 무용콩쿠르, 코리아국제현대무용콩쿠르, 신진무용예술가육성프로젝트, 전국신인무용경연대회
    경력(작품) -
    경력(교육) -
    협업 예술가/단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서울특별시, 한국무용협회 지부 등
    주요 작품 -
    내용 주기 출처 대한무용협회 홈페이지, 네이버 지식백과
    관계 영역 작성 기관(인)/작성일 오정은 / 2022.12.10
    구술채록 기관 -
    관련 전거 데이터 한국무용협회, 한국무용가협회, 조선건설준비위원회, 조선무용예술협회,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춤의 해
    통제 영역 작성언어 한국어
    동의어, 유사어 한국무용협회
    비고 사단법인 대한무용협회 홈페이지 http://koreadanceassociation.org/
    문화체육관광부 비영리법인 현황
    https://www.mcst.go.kr/kor/s_data/corpNaru/corpView.jsp?pSeq=1718

    3) 작품명 ‘백조의 호수’ 전거레코드 기술요소(예시)

    표 17

    작품명 ‘백조의 호수’ 전거레코드 기술요소 (Technical Elements from Performance Title ‘Swan Lake’ Archival Records Created Authority Record)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108-109.

    영역 요소 설명 내용
    식별 영역 전거코드* KR-무용-작품명-001
    전거 데이터 백조의 호수
    작품명 원어* Лебединое озеро (러시아어)
    한문 白鳥의 湖水
    영어 Swan Lake
    한국어 백조의 호수
    기술 영역 장르 발레
    제작연도 1877년(초연), 1880년(개작), 1895년(개작, 현재까지 진행되는 공연의 초연), 1977년(국내 초연)
    제작국 러시아
    안무가
    • 1) 초연 : 율리우스 라이징거(Julius Reisinger, 1877년)

    • 2) 조셉 한센(Joseph Peter Hansen, 1880년)

    • 3) 마리우스 프티파(Victor Marius Alphonse Petipa), 레프 이바노프(Lev Ivanov) (1895년)

    • 4) 국내 초연 : 임성남(1977년, 재연)

    작곡가 표트르 일리치 차이코프스키(Pyotr Ilyich Tchaikovsky)
    연출가 -
    기술스텝
    • 1) 대본 : 블라디미르 베기체프(Vladimir Begichev), 바실리 겔체르(Vasily Geltzer)

    • 2) 국내 초연 지휘 : 홍연택

    출연진
    • 1) 초연 주역무용수 : 안나 소베슈찬스카야

    • 2) 1895년 개작 초연 주역무용수: 레냐니

    • 3) 1977년 국내 초연 : 지그프리트(김성일), 오데뜨(박해연), 흑조 오딜르(안승희), 벤노(김종훈), 로드발트(백의선) 등

    공연장 볼쇼이극장(1877년), 마린스키 극장(1895년)
    주최 -
    주관 -
    후원 -
    협찬 -
    지원 사업 -
    작품내용 러시아 전래동화를 바탕으로 4막으로 구성된 작품으로, 마법사 저주로 인해 백조로 변한 오데트 공주의 이야기이다.
    재공연 정보 전 세계 발레단에서 재공연이 이루어지며, 동명이름으로 영국안무가 매튜 본이 재해석한 댄스뮤지컬 작품이 있다.
    내용 주기 출처
    • 1) 구글 검색엔진을 통한 정보취합.

    • 2) 이지선(2017), 고전발레 백조의 호수, 미완성이 만든 완성, 대한무용학회논문집 제75권 3호.

    • 3)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백조의 호수’ 검색

    관계 영역 작성 기관(인)/작성일 오정은/ 2022.12.17
    구술채록 기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기록원 구술채록 언급된 채록문: 김매자(주제사, 1회차), 김문숙(주제사 2, 4회차), 김성일(주제사 1회차), 김학자(1, 2회차), 조숙자(1회차), 황창호(2회차)
    관련 전거 데이터 발레, 임성남, 마리우스 프티파, 백조의 호수, 낭만발레
    통제 영역 작성언어 한국어, 영어, 러시아어
    동의어, 유사어 Swan Lake, 백조의 호수,
    비고 -

    4) 장소명 ‘부민관’ 전거레코드 기술요소(예시)

    표 18

    장소명 ‘부민관’ 전거레코드 기술요소(Location ‘Bumingwan’ Authority Record Technical Elements)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110-111.

    영역 요소 설명 내용
    식별 영역 전거코드* KR-무용-장소명-001
    전거 데이터* 부민관
    장소명 원어* 부민관
    한문 府民館
    영어 -
    한국어 부민관
    약어 시민회관
    기술 영역 개관연도 1935년(일제강점기)
    소재지 서울시특별시 중구 태평로
    주요 장르 여부 연극, 무용, 영화, 음악
    공간 연혁
    • 1935년 경성부

    • 1949년 서울시 소유

    • 1950년 국립극단 창단과 함께 국립극장으로 지정 (전쟁으로 피난 후)

    • 1954년 국회의사당으로 사용

    • 1970년대 시민회관으로 사용

    • 1976년 세종문화회관 별관으로 사용

    • 1991년 서울시의회 건물로 사용 중

    주요 공연명 최승희, 조택원 환영회, 귀국무용회, 무용발표회 다수 한성권번가무극, 고전무용대회, 창작조선무용,
    언급 된 공연명 고전무용대회, 한성권번가무극의 밤, 최승희신작무용공연회, 봉산민속무용고
    주소 -
    연락처 -
    홈페이지 -
    내용 주기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관계 영역 작성 기관(인)/작성인 오정은/ 2022.12.11
    구술채록 기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기록원 구술채록 언급된 채록문: 강선영(1회차), 김문숙(1회차), 김백봉(3회차), 김온경(1회차), 배정혜(1회차)
    관련 전거 데이터 부민관, 시민회관, 국립극장, 최승희, 조택원, 한성권번, 한성준
    통제 영역 작성언어 한국어
    동의어, 유사어 경성부민관, 시민회관, 국립극장
    비고 -

    Ⅳ. 결 론

    이 연구는 무용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으로 시작되었지만, 과정에서 절대적인 필요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연구 대상이었던 무용기록물인 무용구술사 채록문은 공공기관에서 사업 으로 진행이 되고 있었다. 기관별 무용구술사 담당자들은 사업기획부터 결과물까지 그리 고 서비스 활용까지 혼자서 감당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래서 무용기록물의 관리와 이용자들의 서비스까지 연계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시스템 도입이 시급해 보였 다. 그래서 이 연구를 통해 무용 기록물들의 질적 정보 관리 및 이용자들의 접근점을 위한 무용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 본인은 무용 기록물들을 관리자 및 이용자들의 양가적인 입장을 기반으로 접근하였으며, 쏟아지는 디지털 자료들의 길잡이가 필요한 시점에 현실적인 방안의 시초라고 생각하였다.

    무용 전거레코드 필수 ‘항목’은 ‘무용가, 무용단체, 작품명, 장소명’이 선정되었다. 이는 무용기록물인 무용구술사(채록문) 중 전문가 자문을 통해 장르별 한국무용(전통춤) 강선 영, 한국무용(신무용) 김백봉, 한국무용(창작) 김매자, 현대무용 육완순, 발레 김혜식, 무용 이론(평론) 조동화 6인의 채록문을 형태소 분석기를 통해 대상어를 추출하였다. 무용전거 레코드 ‘기술요소’는 영역 부분은 향후 국제 또는 국내 공공기관의 시스템 연계를 위해 ISAAR(CPF) 국제표준과 국가기록원의 ‘식별 영역, 기술 영역, 관계 영역, 통제 영역’으로 선정하였으며, 기타 세부적인 요소들은 무용 장르 성격에 맞게 제안하였다. 또한 무용구술 사의 색인어 연계 접근성을 넣은 것은 기존 타 장르 전거레코드 형식과는 차별화를 둔 것 이 이 연구의 차별성이기도 하다.

    무용 분야는 아직 장르 구분도 불명확하고, 타 장르에 비해 다양한 활동 범위가 넘나드 는 특징이 있어서 객관적인 데이터(표제어) 레코드 작업이 중요하다. 무용 전거레코드 구 축이 시스템화되어 작업이 축적된다면, 무용 기록물 관리자와 이용자 모두에게 기록물 접 근 시간을 단축시키고 무용 디지털 아카이브에서 활용 가능성을 확장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연구의 결과로 나온 무용 장르의 전거레코드의 항목과 기술요소는 무용구 술사 기록물 활용뿐만이 아닌 무용과 관련된 정보와 자료들을 다루는 기관 및 연구자들에 게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후 시소로스 및 온톨로지 정보검색 및 입체 적 이해 구조 등으로 활용되기 위해 주요 무용 전거레코드를 대입한 실제 전거레코드 결과 물이 지속해서 후속 연구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저자소개

    오정은은 상명대학교 공연예술경영학과에서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로 예술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기록원 수집연구팀에서 재직 중이다. 연구 관심사는 무용기 록(아카이브, 구술사) 등이며, 주요 연구로는 “심소 김천흥의 자료현황과 자료 활용에 대한 연구”, “Dick & Carey 모형을 통한 연풍대 동작지도안 개발 연구” 등이 있다.

    Oh, Jeong eun received a doctorate in arts from Sangmyung University with a ‘study on how to build an authority record through the use of dance oral history record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ance records (archives, oral history), and major research interests includ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use of materials by Simso Kim Cheon-heung” and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Yeonpungdae movement instruction plans through the Dick & Carey model.”

    Figure

    SDDH-71-1-55_F1.gif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컬렉션 시각화(Collection Visualization), 캡쳐본,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서울, https://semaaa.seoul.go.kr/front/collection/look.do?menuId=19.

    Table

    ISAAR(CPF)와 국가기록원 전거레코드 기술요소 비교 (Comparison of ISAAR(CPF) and National Archives Archival Record Technical Elements)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92.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공연/활동’ 데이터 유형 및 기술요소(National Theater Company Digital Archive ‘Performance/Activity’ data type and technical elements)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47.

    무용구술사 기록물을 통해 선별된 후보 구술자 명단 (List of Candidate Oralists Selected through Dance Oral History Records)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63.

    무용구술사 기록물 ‘강선영’ 채록문 형태소 분석기 정제결과 (Result of morpheme analyzer purification of ‘Gang Seonyeong’ Recorded Dance Oral History’)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81-82.

    무용구술사 기록물 ‘김백봉’ 채록문 형태소 분석기 정제결과 (Result of Morpheme Analyzer Purification of Recorded Text from ‘Gim Baekbong’, a Dance Oral History Record)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83.

    무용구술사 기록물 ‘김매자’ 채록문 형태소 분석기 정제결과 (Result of Morpheme Analyzer Purification of Recorded text from Dance Oral History Record ‘Gim maeja’)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84-85.

    무용구술사 기록물 ‘육완순’ 채록문 형태소 분석기 정제결과 (Result of Purification of Morpheme Analyzer from ‘Yuk Wansun’, a record of dance oral history)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86.

    무용구술사 기록물 ‘김혜식’ 채록문 형태소 분석기 정제결과 (Result of purification of Morpheme Analyzer from ‘Gim Hyesik’, a Record of Dance Oral History)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87.

    무용구술사 기록물 ‘조동화’ 채록문 형태소 분석기 정제결과 (Result of Morpheme Analyzer Purification of Dance Oral History Record ‘Jo Donghwa’)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88.

    무용구술사 기록물 전거레코드 항목(후보) 및 최종선정 (Dance oral history records authority record items (candidates) and final selection)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91.

    무용 전거레코드 기술요소: 무용가 (Dance Authority Record Technical Element: Dancer)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96.

    무용 전거레코드 기술요소: 무용 단체(Dance Authority Record Technical Elements: Dance Group)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98.

    무용 전거레코드 기술요소: 작품명(Dance Authority Record Technical Elements: Performance Title)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100.

    무용 전거레코드 기술요소: 장소명(Dance Authority Record Technical Elements: Location)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102.

    무용가 ‘김천흥’ 전거레코드 기술요소 작성 (Technical Elements from Dancer Gim Cheonheung’s Archival Records Created Authority Record)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103-105.

    무용 단체 ‘한국무용협회’ 전거레코드 기술요소 (Technical Elements from Dance Group ‘Korea Dance Association’ Archival Records Created Authority Record)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106-107.

    작품명 ‘백조의 호수’ 전거레코드 기술요소 (Technical Elements from Performance Title ‘Swan Lake’ Archival Records Created Authority Record)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108-109.

    장소명 ‘부민관’ 전거레코드 기술요소(Location ‘Bumingwan’ Authority Record Technical Elements)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110-111.

    Reference

    1. 강선영 구술, 손선숙 채록[Gang Seonyeong gusul and Son Seonsuk chaerlok], 2009. “2008년도 한국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 113: 강선영 2008 nyeondo Han-guk geunhyeondae yesulsa gusulchaerok yeon-gu sirijeu 113: Gang Seon-yeong” [2008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History Oral Recording Research Series 113: Gang Seon-yeong], 한국문화예술위원회(舊 한국문화예술진흥 원), 2008. [The Collection of Arko Arts Archive], 구술자료 번호 113. 서울[Seoul].
    2. 오정은 Oh, Jeongeun. 2023. “무용구술사 기록물 활용을 통한 전거레코드 구축 방안 연구 Muyong gusuksa girokmul hwalyongeul tonghan jeon-geo rekodeu guchuk bang-an yeon-gu”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uthority records through the use of records of oral dance history].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PhD dissertation, Sangmyung University].
    3. 육완순 구술, 윤지현 채록[Yuk Wansun gusul and Yun Jihyeon chaerlok], 2009. “2008년도 한국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 연구 시리즈 116: 육완순, 2008 nyeondo Han-guk geunhyeondae yesulsa gusul chaerok yeon-gu 116: Yuk Wan-sun” [2008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History Oral Recording Research Series 116: Yuk Wan-sun], 한국문화예술위원회(舊 한국문화예술진흥원), 2008. [The Collection of Arko Arts Archive], 구술자료 번호 116. 서울[Seoul].
    4. 이해영 Lee Haeyoung [Yi, Haeyeong], 2020. 『기록의 분류·기술과 검색도구 Girokui bunryu gisulgwa geomsaekdogu』 [Classification/description of records and search tools], 서울: 도서출판 선인 [Seoul: Doseochulpan Seon-in Publishing].
    5. 한국기록학회[Han-guk Girlokhakhoe, Korean Archives Association], 2008. 『기록학 용어 사전 Girlokhak yong-eo sajeon』[Dictionary of archival terms]. 서울: 역사비평사 [Seoul: yeogsabipyeongsa].
    6. 국가기록원 홈페이지[Gukga girlok-won hompeiji,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20. “표준ㆍ지침ㆍ매뉴얼 Pyojun, jichim, maenyueol [Standards, guidelines, manuals]” [검색일 Accessed on 2022.06.11]. https://www.archives.go.kr/next/newdata/standardCondition.do.
    7. 국립극단 디지털 아카이브 홈페이지[Gungnip geukdan dijiteol akaibeu hompeiji, Homepage of the National Theatre Company of Korea]. “이용안내 [Iyong annae, User Guide]” [검색일 2022.08.11], http://archive.ntck.or.kr/.
    8. 국립중앙도서관 사서지원서비스 홈페이지[GuglibjungAng Doseogwan Saseojiwonseobiseu hompeiji, National Library of Korea] [검색일 Accessed on 2022.10.10] https://librarian.nl.go.kr/LI/contents/L20201000000.do.
    9. 김매자 구술, 임수진 채록[Gim Maeja gusul and Im Sujin chaerlok], 2014. “2014년도 한국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 235: 김매자” [2014 nyeondo Han-guk geunhyeondae yesulsa gusulchaerok yeon-gu sirijeu 235: Gim Mae-ja, 2014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History Oral Recording Research Series 235 Kim Mae-ja], 한국문화예술위원회(舊 한국문화예술진흥원), [The Collection of Arko Arts Archive, Oral History Homepage] 구술자료 번호 235. [검색일 Accessed on 2022.10.11.] https://www.daarts.or.kr/handle/11080/60810.
    10. 김백봉 구술, 최해리 채록[Gim Baekbong gusul and Choe Haeri chaerlok], 2008. “2008년도 한국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 114: 김백봉” [2008 nyeon-do Han-guk geunhyeondae yesulsa gusul chaerok yeon-gu sirijeu 114: Gim Baek-bong, 2008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History Oral Recording Research Series 114: Gim Baek-bong], 한국문화예술위원회(舊 한국문화예술진흥원), [The Collection of Arko Arts Archive, Oral History Homepage] 구술자료 번호 114. [검색일 Accessed on 2022.10.11.] https://www.daarts.or.kr/handle/11080/325340.
    11. 김혜식 구술, 유시현 채록[Gim Hyesik gusul and Yu Sihyeon chaerlok, 2008. “2008년도 한국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 122: 김혜식”, [2008 nyeon-do Han-guk geunhyeondae yesulsa yeon-gu sirijeu 122: Gim Hye-sik, 2008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History Oral Recording Research Series 112: Gim Hye-sik], 한국문화예술위원회(舊 한국문화예술진흥원), [The Collection of Arko Arts Archive, Oral History Homepage] 2008. 구술자료 번호 122. [검색일 Accessed on 2022.10.11.] https://www.daarts.or.kr/handle/11080/24430.
    12.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홈페이지[Seoul silip misul-Akaibeu hompeiji, Art Archive, Seoul Museum of Art], “시각화 컬렉션 Sigakhwa geolreksyeon.” [Collection Visualization], [검색일 Accessed on 2022.09.07], https://semaaa.seoul.go.kr.
    13. 조동화 구술, 성기숙 채록 [Jo Donghwa gusul and Seong Gisuk chaerlok], 2005. “2005년도 한국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 70: 조동화”, [2008 nyeondo Han-guk geunhyeondae yeseulsa gusul chaerok yeon-gu 70: Jo Dong-hwa, 2008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History Oral Recording Research Series 70: Jo Dong-hwa], 한국문화예술위원회(舊 한국문화예술진흥원) 2005. [The Collection of Arko Arts Archive, Oral History Homepage] 구술자료 번호 70. [검색일 Accessed on 2022.10.11.] https://www.daarts.or.kr/handle/11080/16887.
    14. ICA홈페이지[ICA hompeiji,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ISAAR (CPF): 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Authority Record for Corporate Bodies, Persons and Families, 2nd Edition” 2004. [검색일 Accessed on 2022.11.21.], https://www.ica.org/en/isaar-cpf-international-standard-archival-authority-record-corporate-bodies-persons-and-families-2nd.
    15. Jelly Lab 홈페이지[Jelly Lab hompeiji, Jelly Lab homepage], “형태소 분석기 Morpheme Analyzer” [검색일 Accessed on 2022.8] http://lab.newsjel.ly/analy/morpheme/.

    저자소개

    Footnote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