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pISSN: 2383-5214 /eISSN: 2733-4279

HOME E-SUBMISSION SITEMAP CONTACT US

Journal Detail

Journal Detail

Export Citation Download PDF PMC Previewer
Sanjo Dance’s Research Trend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산조춤의 연구동향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Asian Dance Journal Vol.73 No. pp.25-43
DOI : https://doi.org/10.26861/sddh.2024.73.25

Sanjo Dance’s Research Trend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Kee Doeun*, Cho Namgyu**
*Ph.D Program Sangmyung University
**Professor, Sangmyung University
* Kee Doeun keebeen@hanmail.net
** Correspondence to Cho Namgyu 100625@smu.ac.kr
April 19, 2024 May 20, 2024 June 28, 2024

Abstract


This study emphasizes action needed to promote the sustainability of Sanjo dance through its popularization and dissemination.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rends in Sanjo dance research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final materials utilized in the study consist of 39 research articles and 59 key term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se articles and the key terms, the research trends in Sanjo danc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ies on the external aspects such as the structure, content, and function of Sanjo dance; second, diversified historical research on specific individuals related to Sanjo dance; third, expanded research on the artistic and intrinsic values of Sanjo dance; and fourth, studies on the expansion of the content and form of Sanjo dance. Although the quantitative scale of Sanjo dance research is limited, the development of research shows a progressively effective pattern. Therefore, future studies should diversely focus on innovative research regarding transmission methodologies and educational curriculums.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산조춤의 연구동향

기도은*, 조남규**
*상명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박사수료
**상명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교수

초록


본 연구는 산조춤의 대중화 및 보급을 통한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학문적 발전이 우선 필요함에 연구의 가치를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산조춤의 연구동향 분석에 연구의 목적을 지니고 있다. 연구에 활용된 최종 자료는 39편의 연구물, 59개의 핵심 키워드이다. 연구물의 내용과 핵심 키워드 분석으로 바탕으 로 산조춤의 연구 동향은 첫째, 산조춤의 구성과 내용, 기능 등 외형적 의미에 대한 연구, 둘째, 산조춤 춤의 특정 인물에 관한 역사 연구의 다각화, 셋째, 산조춤의 예술적, 내재적 가치에 대한 연구의 확장, 다섯째, 산조춤 내용과 형태의 확장에 관한 연구로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산조춤 연구의 양적 규모는 미흡하지만 연구의 발전이 단계적으로 효과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전수 방법론과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적인 혁신 연구가 더욱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Ⅰ. 서 론

    2000년대 이후, 과학 기술은 경제, 문화, 산업 등 여러 분야에 급격한 발전과 성장이 일어났다. 이러한 성장과 발전은 특히 교육, 예술, 체육 등 분야에 크게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2020년 팬데믹과 함께 일어나 디지털 대전환의 흐름은 현재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 대적 흐름으로 각 분야가 융합하여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생산하는 통섭의 시대로 진입하 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서 각 분야의 현재 역량과 본질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이 정섭, 정진섭, 고초군 2021, 335). 특히, 예술의 한 분야인 무용은 학문으로서의 무용과 산업 형태로서의 공연예술이 많은 변화와 혁신이 일어나고 있다. 이에 팬데믹과 디지털 전환이 주요 변곡점이 된 최근 몇 년 동안, 향후 한국 무용의 미래를 예측하고 전망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이다.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 중 하나인 인공지능은 무용 공연의 연출 과 관람 방식을 변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칠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을 활용한 공연 기 획 또는 홍보와 마케팅 그리고 신속한 관객 반응 및 행동 분석 등이 무용 공연예술과 관련 비즈니스 영역에 새로운 기대를 심어주고 있다(양해림 2019, 5). 또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 은 무용 교육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벗어난 학습이 가능하고 개인의 역량 향상에 자율적 학습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 한국 무용의 미래 에 대한 예측과 전망이 중요한 시점이다.

    이렇게 사회의 발달이 급속한 가운데 국내 무용학 분야에서 한국 전통춤은 한국의 문화 적 정체성과 역사를 담고 있다. 이를 연구하고 이해함으로써 현대의 우리 대중들이 과거의 전통이 서린 문화적 뿌리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전 세대에 걸쳐 문화적 가치를 계승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한국 전통춤의 가치를 이해하고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한국 전통춤 은 세계화 시대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중요한 문화 자산이다. 한국 전통춤을 이용해 다른 문화와의 교류를 촉진하고, 한국의 독특한 예술적 가치를 세계에 소개하여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알릴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 전통춤 연구는 문화 교류의 수단으로서 세계 속에 서 우리 문화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가치를 탐색하고 활용도를 구조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더욱이 전통춤 연구는 무용학, 음악학, 인류학, 역사학, 사회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관계성을 지니고 있다(윤지현 2023, 151). 이렇게 학제 간 연구적 접근을 지속적으로 시도 하는 것은 보다 깊이 있는 문화적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고려하면 전통춤은 관광 산업에도 크게 기여한다. 전통 공연 예술을 통해 관광객을 유치에 활용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는 한국 전통춤 공연 예술을 통한 직접적인 수익과 더불어 관련 상품 판매와 서비스 산업의 성장을 촉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학문적으로 한국 전통춤의 다양성과 지속성 유지를 위하여 개별적이고 전문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 한국 전통춤의 가치를 살피고 장르의 활성화를 고민하는 논점에 서 본 연구는 산조춤의 연구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산조춤은 한국 전통춤의 한 형태로, 산조 음악에 맞추어 추는 춤이다. 산조는 본래 한국 전통 음악의 독주 장르로, 국악기 중 하나인 가야금, 거문고, 해금, 대금 등을 사용하여 연주되며, 자유롭고 즉흥적인 성격이 특징을 지닌 음악이다. 이 음악에 맞춰 추는 춤이 바 로 산조춤이다. 산조춤은 산조 음악의 즉흥성을 그대로 특징으로 살려 춤 역시 즉흥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발생하였다. 음악에 맞추어 춤추는 자의 감정과 해석을 표현하는 산조 춤은 음악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산조춤은 무용수 개인의 기능과 감정, 느낌의 해 석이 강조되는 작품 종류로서, 개별 무용수가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과 해석을 춤에 반영 하는 것이 중요하다(배민지 2022, 64). 산조춤은 전통적인 기본 동작 위에 현대적 요소가 융합 될 수 있으며, 기존의 한국 전통춤 동작을 변형하거나 새로운 동작을 구성하여 포함 하기도 한다. 따라서 산조춤의 독특한 특징과 매력을 잘 활용한다면 한국의 전통춤으로서 기능을 유지하고 공연예술 분야에서 지속 가능하고 유용한 콘텐츠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 다. 그러므로 한국 전통춤을 중심으로 한 문화예술의 발전과 한국 전통춤 종류의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해서 그동안 산조춤에 대한 학문적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향후 발전의 방향성 을 살펴보고자 한다.

    산조춤 관련 선행 연구에 따르면 황무봉류 산조춤의 예술적 가치는 황무봉의 작품 잔 영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최윤실과 윤수미(2017)는 황무봉류 산조춤이 무대 공간의 탁 월한 활용, 예측 불가능한 움직임, 그리고 짧은 호흡을 연결하는 춤 기법을 통해 미적 가치 를 극대화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이 연구는 황무봉류 산조춤의 예술적 가치가 교육적 측면에서도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177). 산조춤의 역사적 전개와 맥락은 김영희와 윤명화(2020)에 의해 체계적으로 정리되었다(98). 이 연구는 산조춤이 1942년 최승희에 의해 처음 공연되었으며,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신무용 무용가들에 의해 다양한 산 조춤이 창작되었음을 보여준다. 산조춤의 형성 배경과 무용사적 위상은 배민지(2022)의 연 구를 통해 밝혀졌다(91). 산조춤은 민속 무용의 영향, 한국 현대 무용의 변화, 산조 음악의 부상 등 세 가지 측면에서 형성되었다. 산조춤의 발전 과정은 정착기, 원초적 표현기, 창의 적 계승기, 구성적 확장기로 나뉘며, 각 시기의 특성은 예술가들의 개성과 기법을 반영한 다고 설명하였다. 산조춤과 관련된 연구는 대체적으로 개별 작품의 형성과 의미를 중심으 로 이루어져 한국에서 산조춤이 형태적 형식적으로 지니는 의미를 설명하기에 부족함이 있다. 즉 산조춤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확보하기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목표로 하는 연구 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전통춤의 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산조춤의 효과적인 전수와 문화콘텐츠로서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정 분야의 연구 흐름을 살펴보기 위하여 사용되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특정 분야 의 연구 동향과 중요한 이슈를 시각화하고 분석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이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 전통춤의 한 종류인 산조춤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필요성과 배경에서 중요하다. 산조춤과 관련된 학술연구들이 어떤 주제들을 다루고 있는 지, 주요 연구 키워드는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김동훈, 권헌교, 심규원 2024, 86). 이를 통해 산조춤 연구의 주요 이슈와 간과되었던 부분들을 식별할 수 있다. 연구의 집중 영역 과 그 변화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산조춤은 음악, 무용, 문화역사 등 여러 학문의 교차점 에 위치한다. 따라서 학제 간 연구의 필요성을 도출할 수 있다. 이는 산조춤에 대한 보다 포괄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산조춤은 한국의 예술문화이며 그 가치가 문화적으로 크기 때문에, 연구를 통해 이를 보존하고 전승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 트렌드를 분석함으로써 산조춤 보존에 필요한 새 로운 접근법이나 기술을 발굴하고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조춤에 대한 키워드 네트 워크 분석은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미래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며, 학제 간 연구 협력을 촉진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산조춤 주제 관련 및 한국춤 연구의 질을 높이고, 한국 전통문화의 깊이와 가치를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음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산조춤 관련 연구의 다양 성을 확보하기 위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기반의 산조춤의 연구동향 분석이다.

    Ⅱ. 연구방법

    1. 자료수집

    이 연구는 방법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국내의 산조춤 관련 연구 의 동향을 탐색하고자 설계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국내에서 한국 전통춤 연구 결과 물을 연구 범위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효과를 고려한 절차와 기준을 마련해 이에 따라 최종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첫째, 국내 ‘산조춤’을 주요 내용 및 주제 다룬 관련 연구의 자료수집을 효과적으로 실시 하기 위해 자료 수집의 학술 자료 온라인 플랫폼을 선정하였다. 국내 학술지마다 활용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학술 자료 온라인 플랫폼이 상이하여 학술 자료 온라인 플랫폼의 브랜드 마다 검색되는 연구물들이 다르게 표출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자가 선정한 학술 자료 검 색 및 수집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은 상호 교차 검색과 수집 그리고 검증을 전제로 한국연 구재단의 한국학술지인용색인, 한국학술정보원의 한국학술정보 서비스 시스템, 한국교육 학술정보의 연구정보서비스이다.

    둘째, 선정한 학술 자료 온라인 플랫폼에서 산조춤 관련 연구물을 효과적으로 검색 및 수집하고자 검색 방법으로는 연구 제목과 연구 내용을 기반으로 키워드 ‘산조’를 검색하였 다. 그리고 검색어 설정 방법에 따라 검색되는 결과물이 누락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한국춤’, ‘전통춤’, ‘한국무용’, ‘전통무용’의 검색어를 추가한 후 ‘산조춤’을 교차하여 검색 하였다. 수집한 산조춤 관련 연구물은 2024년 3월 시점(1986년부터 2024년 4월까지)까지 KCI가 19편, RISS가 48편, KISS가 24편으로 표출되었다. 각 학술 자료 온라인 플랫폼에 따라 연구 성과물의 수가 다른 이유는 한국교육학술정보의 연구정보서비스의 경우 학술대 회 자료집, 단행본 저서 또는 전문가의 칼럼이 포함되어서이다. 각 학술 자료 온라인 플랫 폼에서 수집된 자료의 연도, 저자, 학술지, 제목 등 서지정보를 확인하고 목록을 작성하였 다. 작성된 문헌목록을 기반으로 중복연구를 확인 및 분류하였다. 연구자료의 대상은 석사 및 박사학위논문과 출판된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학술지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셋째, 연구에 적합하지 않은 연구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일차적으로 수집된 연구자료는 91편이었다. 이중 불필요한 자료 및 연구물 제거의 조건으로는 먼저, 연구물에 키워드 또는 주제어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다음으로 서지 정보의 일부 상이함으로 인하여 동일한 자료가 중복 검색된 경우 해당 논문 중 1편을 제외한 나머지 중복물 제외, 마지막 으로 한국연구재단(KCI) 기준 등재(후보)지가 아닌 개인 논고 및 칼럼 그리고 단행본 서적 은 자료에 포함하지 않았다. 제거과정을 통해 39편의 연구 59개의 키워드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넷째, 키워드에 대한 자료의 정제과정을 진행하였다. 키워드 정제과정의 첫 번째로는 영 어 키워드의 경우 한국어 키워드로 변환하였다. 이 과정은 일부 학회지 및 학위논문에서 영문 초록 및 영문 키워드만을 제공하고 있어서이다. 따라서 한국어와 영문을 모두 제공하 는 학회지의 경우, 국문의 키워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다섯째, 키워드 간 연구 과정에서의 내적 일관성 확보를 위한 용어의 조직화과정을 수행 하였다. 먼저 명사를 제외하고 조사 및 접속사는 제거하였다. 그리고 유사 및 유의어, 동의 어의 의미를 지닌 키워드를 통합하였다.

    2. 자료처리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진행한 자료처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집된 자료의 기술통계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연도와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구분하여 국내 산조춤 연구에 대한 기초정보를 산출하였다. 기술통계는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둘째, 키워드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연결중앙성을 사용하였다. 키워드 매트릭스 기반 분석은 특정 분야에서 영향력이 큰 키워 드와 해당 학문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주요 관심 분야 분석 방법을 나타 낸다(김우경, 최형준 2018, 25).

    이에 연구는 산조춤 연구 관련 각 키워드의 빈출 빈도를 검증하고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키워드를 선정하였다. 이때 사용한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키워드를 정제하고 전처리하였다. 이 단계에서는 동의어 통합, 오탈자 수정, 불필요한 단어 제거 등 의 작업이 이루어졌다. 둘째, 키워드 간 또는 키워드 내 의미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동일한 문서 내에서 함께 등장하는 키워드들은 의미의 유사성을 파악하여 연구 범위가 유사하거 나 내용을 다룬 연구의 키워드는 동일한 범주로 정의하였다. 넷째, 대표성을 지닌 키워드 와 주변 연결 키워드를 조직화하였다.

    3. 타당성 검증

    본 연구의 다각적 검증 실시를 위하여 사전에 구성된 전문가 집단과 협의를 진행하였는 데 이는 문헌고찰 기반의 키워드 검증 중심의 연구에 있어 연구방법론상 학계 및 연구 범 위에 속하는 전문가 집단의 경험을 살린 협의를 병행한다면 편향 및 오차를 줄일 수(성태 제, 2020, 166) 있기 때문이다. 이에 한국춤 전공학과 교수 2인, 산조춤 공연 전문 10년 경력 겸 박사학위 소지자 2인, 등 총 4인의 전문가 집단이 연구자료의 외적 비평과 내적 비평을 통한 타당성 검증에 참여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산조춤 선행연구 기본 정보

    1) 산조춤 연구 발행 정보

    본 연구에서 활용할 산조춤 관련 선행연구 전체 현황을 한국학술지 정보에서 검색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산조춤 관련 석사 및 박사 학위 논문은 13개 대학 18편이 발표되 었으며 학술지의 경우 영남춤학회와 한국무용연구학회가 현재 2024년까지 각각 4편씩 여 타의 학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산조춤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각 내용은 <표 1>과 <표 2>와 같다.

    표 1

    국내 산조춤 연구 발간현황 및 발행기관 (Research Publication Status and Publishing Institutions of Domestic Sanjo Dance)

    구분 발행 기관명 발행 건수

    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
    중앙대학교 2
    동국대학교 2
    원광대학교 2
    경상대학교 1
    경희대학교 1
    고려대학교 1
    대전대학교 1
    부산대학교 1
    상명대학교 1
    신라대학교 1
    세종대학교 1
    충남대학교 1

    학술지 영남춤학회 4
    한국무용연구학회 4
    대한무용학회 3
    무용역사기록학회 2
    한국무용교육학회 2
    한국무용학회 2
    우리춤연구소 1
    한국체육철학회 1
    한국대학교 논문집 1
    Table 2

    산조춤 관련 1980년대부터 2024년까지의 학위논문 및 학술연구 논문 현황 (Status of Theses and Academic Research Papers Related to Sanjo Dance from the 1980s to 2024)

    범위 발행년도 구분 제목
    2000년 이전 1993 학위 (석사) 산조춤의 형태적분석에 관한 연구: 김진걸 산조춤 중심으로
    1998 散調춤 硏究: ‘여운’과 ‘여백’의 ‘空’사상을 中心으로

    1986 KCI등재 학술지 춤 散調에 관한 硏究: 散調가 舞踊創作에 미친 影響을 中心으로
    1997 강태홍류(姜太弘流)의 산조(散調)춤 연구(硏究)
    1998 姜太弘流의 散調춤 硏究

    2000년 - 2009년 2000 학위 (석사) 김진걸 산조춤의 특성에 관한 조사 연구 : Effort-shape 분석 이론을 기초로
    2005 金白峰流 散調춤 「淸明心受」에 관한 硏究

    2000 KCI등재 학술지 effort - shape 분석이론을 기초로 한 김진걸 산조춤의 특성 연구
    2005 산조춤의 창작기반에 내재된 김백봉의 예술세계 최현의 작품 세계와 예술 사상 연구
    2006 - 최현류 거문고 산조 춤 <연정>(戀情)을 중심으로 -

    2011 학위 (석사) 산조춤을 활용한 국악무용 교수법 연구 : 춤사위 중심으로
    2011 학위 (박사) 호남산조춤 무보와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2015 학위 (박사) 산조춤 도듬새·디딤새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2016 학위 (석사) 산조춤<황무봉류>을 통한 신무용 전승가치 인식
    2016 학위 (박사) 호남 산조춤의 구조와 춤 프레이즈 연구
    2010년 - 2019년 2017 학위 (석사) 남도 살풀이춤의 대금반주 선율연구: 서용석의 시나위와 산조를 중심으로
    2018 학위 (석사) 산조춤 <새가락별무>에 관한 연구
    2018 학위 (석사) 황무봉 산조춤 무대화 양상 연구

    2015 KCI등재 학술지 산조춤의 전개 양상 연구
    2017 배명균류 산조춤의 구성적 특징
    2017 황무봉류 산조춤의 예술적 가치에 대한 조명 - 작품 <잔영>을 중심으로-


    2018 황무봉춤에 나타나는 심미(審美)적 특성 연구 - 흥무,즉흥무,산조춤을 중심으로-
    2019 황무봉 산조춤 무대화 양상 연구
    2019 산조춤의 특성과 예술적 가치에 관한 연구

    2021 학위 (석사) 장족춤과 호남 산조춤의 내재적 상관관계 연구
    2021 학위 (석사) 국수호(鞠守鎬) 산조춤 금무(琴舞)에 관한 연구
    2021 학위 (석사) 최승희 ‘입춤’ 기본을 바탕으로 한 <산조춤> 특성 재연연구
    2022 학위 (박사) 한국 산조춤 연구: 5대 유파를 중심으로
    2023 학위 (박사) 산조춤 정체성 고찰을 통한 이은주 산조춤 <금선무>에 관한 연구
    2020 KCI등재 학술지 산조춤의 역사적 전개와 맥락
    2020 산조춤의 유형과 변천
    2020 최현류 산조춤의 특성연구: <연정>, <남색끝동>, <남천>을중심으로
    2021 호남 산조춤에 나타나는 한국미 고찰
    2021 정재만류 산조춤의 형성배경과 춤의 특징: ‘청풍명월(淸風明月)’을 중심으로
    2020년 - 2024년 2021 정재만 산조춤《청풍명월淸風明月》의 구성과 의미
    2022 한국 산조춤 형성 배경에 따른 무용사적 위상
    2023 이은주 산조춤 금선무에 관한 연구
    2023 강태홍류 산조춤의 전승과정 연구
    2024 배명균 산조춤의 구성과 이미지 표현 체계

    2) 2000년 이전의 연구 현황

    산조춤과 관련된 2000년 이전의 연구는 학위논문과 학술연구로 구분하여 총 5개가 확인 되었다. 학위논문은 1993년에 발행된 석사학위논문인 “산조춤의 형태적 분석에 관한 연 구: 김진걸 산조춤 중심으로” 연구와 1998년에 발행된 석사학위논문인 “散調춤 硏究: ‘여 운’과 ‘여백’의 ‘空’사상을 中心으로”의 연구 총 2개가 확인되었다.

    학술연구는 1986년에 발행된 “춤散調에 관한硏究: 散調가 舞踊創作에 미친 影響을 中心 으로”와 1997년 “강태홍류(姜太弘流)의 산조(散調)춤 연구(硏究)”, 1998년 “姜太弘流의 散 調춤 硏究” 총 3개가 학계에 보고되었다.

    1986년에 산조춤에 관한 이론적 연구가 처음 등장한 이후 1990년대는 산조춤 관련 연 구 방향 처음으로 명확히 전개되는 시기이다. 산조춤을 구성이나 형태를 해석하고 그 외형 적 의미를 찾는 작업이 연구적 가치를 지니게 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3) 2000-2009년의 연구 현황

    산조춤과 관련된 2000-2009년의 연구는 학위논문과 학술연구로 구분하여 총 5개가 확 인되었다. 학위논문은 2000년에 발행된 석사학위논문인 “김진걸 산조춤의 특성에 관한 조 사 연구: Effort-shape 분석 이론을 기초로” 연구와 2005년에 발행된 석사학위논문인 “金 白峰流 散調춤 淸明心受에 관한 硏究” 총 2개가 확인되었다. 학술연구는 2000년에 발행 된 “effort - shape 분석이론을 기초로 한 김진걸 산조춤의 특성 연구”와 2005년에 발행된 “산조춤의 창작기반에 내재된 김백봉의 예술세계”, 2006년에 발행된 “최현의 작품 세계와 예술 사상 연구 - 최현류 거문고 산조춤 <연정>(戀情)을 중심으로 -” 총 3개가 학계에 보고되었다.

    이 시기의 연구는 김진걸, 김백봉 산조춤에 특징과 구성에 대한 연구가 다소 활발히 진 행된 시기로 2010년대 연구 동향에도 영향을 미쳤다. 즉 산조춤 관련 연구의 형식이 다각 적으로 갖추어지기 시작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4) 2010~2019년의 연구 현황

    산조춤과 관련된 2010-2019년의 연구는 학위논문과 학술연구로 구분하여 총 14개가 확인되었다. 학위논문은 2011년에 발행된 석사학위논문인 “산조춤을 활용한 국악무용 교 수법 연구 : 춤사위 중심으로” 연구와 박사학위논문인 “호남 산조춤 무보와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확인되었다.

    2015년에 발행된 박사학위논문인 “산조춤 도듬새 · 디딤새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2016년에 발행된 석사학위논문인 “산조춤 <황무봉류>을 통한 신무용 전승가치 인식”, 박 사학위논문인 “호남 산조춤의 구조와 춤프레이즈 연구”가 확인되었다. 2018년에 발행된 석사학위논문인 “산조춤 <새가락별무>에 관한 연구”, “황무봉 산조춤 무대화 양상 연구” 총 7개가 확인되었다.

    학술연구는 2015년에 발행된 “산조춤의 전개 양상 연구”, 2017년에 발행된 “배명균류 산조춤의 구성적 특징”, “황무봉류 산조춤의 예술적 가치에 대한 조명- 작품 <잔영>을 중 심으로-”, “남도 살풀이춤의 대금반주 선율 연구: 서용석의 시나위와 산조를 중심으로”가 확인되었다. 2018년에 발행된 “황무봉춤에 나타나는 심미(審美)적 특성연구- 흥무,즉흥 무,산조춤을 중심으로-”, 2019년에 발행된 “황무봉 산조춤 무대화 양상 연구”, “산조춤의 특성과 예술적 가치에 관한 연구”로 총 7개가 학계에 보고되었다.

    산조춤 관련 연구가 활성화된 시기로 볼 수 있다, 산조춤에 영향을 미친 인물들에 대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산조춤의 제작 및 구성 그리고 가치에 관한 내재적 요소에 관한 연구가 심도 있게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즉 연구 결과에 언급된 여러 인문들이 산조춤에 미친 영향과 그들의 춤 스타일에 대한 연구를 종합적으로 소개하고, 이를 현대 산조춤 연구와 연결지어 논문에서 다룰 수 있다. 이는 산조춤의 개별적 스타일과 기술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아울러 2010년대에는 산조춤의 교수법, 미적 특성 및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등 보다 과학적이고 교육적인 접근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변화와 발전 과정 을 시대적 맥락과 함께 상세히 분석하여, 산조춤이 어떻게 전통에서 현대적 접근법으로 발전해 왔는지 설명할 수 있었다.

    5) 2020년-현재 연구 현황

    산조춤과 관련된 2020-현재까지의 연구는 학위논문과 학술연구로 구분하여 총 15개가 확인되었다. 학위논문은 2021년에 발행된 석사학위논문인 “장족춤과 호남 산조춤의 내재 적 상관관계 연구”, “국수호(鞠守鎬) 산조춤 금무(琴舞)에 관한 연구”, “최승희 ‘입춤’ 기본 을 바탕으로 한 〈산조춤〉 특성 재연 연구”와 2022년에 발행된 박사학위논문인 “한국 산 조춤 연구: 5대 유파를 중심으로”, 2023년에 발행된 “산조춤 정체성 고찰을 통한 이은주 산조춤 <금선무>에 관한 연구” 총 5개가 확인되었다.

    학술연구는 2020년에 발행된 “산조춤의 역사적 전개와 맥락”, “산조춤의 유형과 변천”, “최현류 산조춤의 특성 연구: <연정>, <남색끝동>, <남천>을 중심으로”와 2021년에 발행 된 “호남 산조춤에 나타나는 한국미 고찰”, “정재만류 산조춤의 형성 배경과 춤의 특징: ‘청풍명월(淸風明月)’을 중심으로”, “정재만 산조춤(청풍명월淸風明月)의 구성과 의미”가 확인되었다. 2022년 발행된 연구는 “한국 산조춤 형성 배경에 따른 무용사적 위상”, 2023 년 “이은주 산조춤 금선무에 관한 연구”, “강태홍류 산조춤의 전승과정 연구”, 2024년 “배 명균 산조춤의 구성과 이미지 표현 체계” 총 7개가 학계에 보고되었다.

    산조춤의 전승이 안정기에 접어들면서 과거부터 쌓아온 역사, 과정 및 관련 인물에 관한 연구가 더욱 구체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10년 단위로 수집된 성과물의 빈도 수를 고려할 때 과거에 비해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물 발행 빈도가 가파르게 증가할 수 있음을 예상 할 수 있다. 그만큼 산조춤 전문으로 공연하거나 연구가는 인적자원이 증가하였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산조춤 연구의 핵심 키워드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통해, 연구가 집중되 어 온 주제들과 그 변화를 추적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예술적 가치, 동작 및 기능, 음악 적 요소 등의 키워드가 연구에서 어떻게 다뤄졌는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조춤의 예술적 및 교육적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명확하게 강조되어 왔음을 확인하였다.

    2. 국내 산조춤 연구의 주요 키워드 분석

    그동안 국내에서 이루어진 산조춤 관련 전문 연구 성과물의 내용을 분석하여 주요 핵심 키워드를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 동향을 살펴볼 수 있다. 총 39편 연구성과물과 59 개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핵심 키워드 중심의 연구 동향을 구조화하면 59개의 핵심 키워드 는 9개의 소범주 주요 키워드로 범주화가 가능하였고 다시 이 9개의 소범주 키워드는 4개 의 대범주로 구조화할 수 있었다.

    표 3

    주요 핵심 키워드 분석

    (Analysis of Major Keywords)

    세부항목 빈출 횟수 비율(%) 소범주 대범주 구분 대범주화 비율
    호남산조 5 1.14 지역 역사 13.70%
    남도 4 0.91
    2.05
    역사 8 1.83 역사
    형성과정 9 2.06
    발전과정 7 1.60
    2.28
    강태홍 5 1.14 인물
    김진걸 5 1.14
    한영숙 4 0.91
    송범 1 0.23
    정재만 1 0.23
    배명균 2 0.46
    황무봉 8 1.83
    김백봉 5 1.14
    최승희 3 0.68
    국수호 2 0.46
    최현 1 0.23
    이은주 1 0.23
    이길주 1 0.23
    김미진 1 0.23
    8.91
    정신 3 0.68 철학적 가치 내재적 가치 33.67%
    공사상 1 0.23
    강사 2 0.46
    7.3
    아름다움 21 4.79 예술적 가치
    정서 7 1.60
    여성 4 0.91
    예술성 19 4.34
    독창성 11 2.51
    심미성 4 0.91
    여운 3 0.68
    이미지 4 0.91
    여백 3 0.68
    23.95
    대중성 4 0.91 대중적 가치
    흥미 1 0.23
    관심 1 0.23
    12.46
    전통춤 28 6.39 유형 외재적 가치 50.94%
    신무용 14 3.10
    즉흥무 13 2.97
    창작춤 15 3.42
    7.77.00
    춤사위 20 4.57 동작 및 기능
    입춤 5 1.14
    무보 15 3.42
    동작 25 5.71
    움직임 27 6.16
    호흡 6 1.38
    신체 9 2.05
    안무 8 1.83
    구성 6 1.38
    34.03
    국악 8 1.83 음악
    음악 19 4.34
    장단 16 3.65
    가야금 6 1.38
    거문고 7 1.60
    45.230
    공간 5 1.14 시설 및 용구
    무대 3 0.68
    의상 3 0.68
    47.050
    지도자 3 0.68 교육 전수 및 교육 4.33%
    교수법 2 0.46
    교육과정 5 1.14
    전승 9 2.05
    4.33
    총 빈출 438 소범주 (9) 대범주 (4)

    키워드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산조춤 관련 연구는 산조춤의 구성과 형성이 지니는 춤으 로서의 외재적 가치를 논의하는 연구 내용이 50.94%로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이는 동작 이나 형식, 구성, 기능을 전수하고 학습하는데 우선적인 연구가 급속히 이루어져서이다. 다음으로 산조춤의 미적 가치와 경험, 이미지 등을 논하는 내재적 가치에 대한 연구 내용 이 33.67%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산초춤의 역사, 형성과정, 영향력을 끼친 인물에 대해 논하는 연구 내용이 13.70%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수 및 교육에 관한 연구 내용이 4.33%로 나타났다.

    ‘역사’ 범주의 대범주는 지역, 역사, 인물 등 총 세 가지의 소범주로 구성되고 세부항목 (키워드)는 이며 14명의 주요 인물 이름을 포함하여 남도, 호남산조, 역사, 형성과정, 발전 과정 등 총 19개의 키워드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내재적 가치’ 대범주는 철학적 가치, 예 술적 가치, 대중적 가치 등 총 세 가지의 소범주로 구성되고 세부항목(키워드)는 아름다움, 정서, 예술성, 이미지, 여운 등 총 15개의 키워드가 나타났다. 그리고 ‘외재적 가치’ 대범주 는 유형, 동작 및 기능, 음악, 시설 및 용구 등 총 네 가지의 소범주로 구성되고 세부항목 (키워드)는 신무용, 춤사위, 움직임, 국악, 장단, 무대, 공간 등 총 21개의 키워드가 나타났 다. 마지막으로 ‘전수 및 교육’ 대범주는 교육 단 한 가지의 소범주로 구성되고 세부항목 (키워드)는 지도자, 교수법, 교육과정, 전승 등 총 4개의 키워드가 나타났다.

    Ⅳ. 논의 및 결론

    1. 산조춤 관련 연구의 전개 양상

    산조춤의 주요 연구 핵심 키워드와 연구 구조를 살펴 보면 한국 전통 무용 기능을 중심 으로 거문고 및 가야금을 바탕으로 한 산조 음악에 맞추어 사실상 즉흥무에 가깝게 형성된 산조춤은 형식에 관한 연구를 기반으로 보급의 유지를 위해 외재적인 내용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조춤이 지닌 가치와 전수의 의미, 그리고 교육적 필요와 전수의 방법에 대해 연구의 영역을 확장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핵심 키워드의 빈출 빈도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앞으로는 한국 전통춤 전공자에 의한 산조춤 보급 및 공연 지속을 위한 산조춤의 구성과 기능 그리고 한국문화에서 차지할 수 있는 의미와 의의에 대한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산조춤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이 산조춤을 쉽게 배우고 전승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이해원, 2024. 148). 예를 들어,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나, 체계적인 교육 과정 설계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산조춤 연구 동향의 흐름과 같이 한국 전통춤 관련 학문 성과의 연구 흐름은 시기적 차이가 다소 있으나 단계적인 발달상과 연구 주제의 변화에서 대체적으로 유사점이 발견된다. 먼저 특정 춤에 대한 개념과 기능 설명을 기반으로 해당 춤의 의미를 해석하고 논의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다음 단계로는 해당 춤이 작품이나 공연으로서 지 니는 예술로서의 구성적 가치나 내재적 가치를 주로 연구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봉정민, 최지원 2019, 56).

    예를 들어 정재만의 산조춤 “청풍명월”의 구성과 의미에 대하여 차수정과 권영임(2021) 은 정재만의 산조춤이 이상, 자연, 자유, 승화, 귀환의 다섯 단위로 구성되며, 천지인 합일 사상을 담고 있음을 밝혔다(차수정, 권영임 2021, 122). 이 춤은 한국 전통 무용 작품에 대한 연구와 춤의 구성 및 의미를 탐구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차수 정, 권영임 2021, 122). 한편 강태홍류 산조춤의 전승 과정에 관하여 김율희(2023)는 강태 홍이 1949년에 안무하고 1950년 김온경이 초연한 강태홍류 산조춤의 형성기, 발전기, 소 멸기, 복원기, 정착기의 다섯 시기로 구분하였다(47). 강태홍류 산조춤은 음악과 춤의 완벽 한 조화를 이루며, 명확한 출생 기원을 가진 독특한 전통춤으로 평가된다 . 이러한 연구를 통해 산조춤의 예술적, 교육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전통무용의 현대적 해석과 발전 가능성 을 탐색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2. 산조춤 관련 후속 연구의 전망

    사회 환경의 발달, 과학기술의 발달이 두드러지는 2010년 중반부터는 좀 더 효과적인 춤의 보급을 위해 교육과정이나 교수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 이후에는 인류 문화의 한 영역으로서 춤의 지속가능성을 공고히 하기 위한 의미적 논의를 강화하는 질적, 양적 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진다. 실제로 학술DB의 검색에 따르면 연구방법론의 다각화를 통해 다양한 연구 대상, 광범위한 자료 수집을 통한 연구의 범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현보람, 김경식 2022, 283). 특히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 램 개발이나 체계적인 교육 과정 설계 등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산조춤 을 쉽게 배우고 전승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무용 전체의 학문적 연구동향을 탐색한 김미경(2020)의 연구에 따르면 2,089편 연 구물 내, 4,569개의 키워드 검색 결과 전공자, 대학교, 전통무용, 만족도, 프로그램 등 기능 에 의한 교육 그리고 그 성과에 대한 연구 빈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40). 즉 한국무용의 학문분야 전체를 중심으로 살펴보아도 현재의 발전 정도에서는 교수법 또 는 교육과정 등이 심화되어야 하는 발전 단계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특히 산조춤 관련 연구가 처음 연구 성과물로 등장한 김숙자(1986)의 연구로부터 37년 정도가 지난 지금 연 구 성과물의 양적 빈출 빈도 보다 중요한 것은 본 연구에서 다룬 자료들의 질적 가치와 이를 바탕으로 한 향후 산조춤의 유지, 보급, 발전을 고려한다면 교육과정이나 전승 및 전 수의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산조춤 관련 연구는 1986년 김숙자의 연구를 시작으로 점차 증가하였다. 산조춤 연구의 초기 성과물부터 현재까지의 연구를 통해, 이 춤의 유지, 보급, 발전을 위해 교육과정이나 전승 및 전수의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병헌과 박지영(2005)은 김백봉의 산조춤 창작 기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전통춤의 예술적 가치와 내재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들은 산조춤이 예술적 철학과 이상을 담고 있으며, 교육적 측면에서도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앞으로는 산조춤의 예술적 가치와 그 내재적 의미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을 통해, 산조춤이 현대 사회에서의 지니는 기능적 역할과 중요성을 새롭게 조명할 수 있다(김영희, 윤명화 2020, 97). 특히, 현대적 감각에 맞는 새로운 형태 의 산조춤 창작이나, 다른 예술 장르와의 융합을 통해 산조춤의 현대적 해석과 발전 가능 성을 탐색할 수 있다. 아울러 산조춤 연구의 미래 방향에 대한 제안을 포함하는 것이 중요 하다. 이는 산조춤의 사회적, 교육적 가치를 더욱 확산시키고, 이를 통해 더욱 많은 연구자 와 관객이 이 전통춤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데 중점을 둘 수 있다.

    3. 결론

    산조춤 관련 연구는 한국무용 전체의 규모에 비교하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하지만 연구 주제 및 내용을 기반으로 키워드 분석에 따르면 연구 발전의 흐름이 단계적으로 향상 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처음 산조춤 관련 연구가 등장하여 도입기를 형성하였으며 구성 과 동작, 형식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성장하는 발전기에 돌입하였다. 이후 역사, 인물, 가 치, 인물 등 주제어와 방법론이 증가하는 확장기 들어섰다. 현재는 더욱 연구 분야가 세분 화되어가고 있어 학문적 안정기에 들어선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분명한 연구 동 향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연구의 양적 규모가 다소 미흡하여도 한국무용의 산조춤 분야에 서 활동하는 전문가들의 역량과 노력이 결부된 성과이다.

    특히 개인의 해석과 표현이 강조되는 예술 형태를 지니고 있는 산조춤은 다양한 스타일 과 기법을 연구함으로써, 이 춤의 예술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현대의 감각에 맞게 재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전통예술의 현대적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고 새로운 창작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K-컬쳐가 글로벌 트렌드로 활약하는 현재에 문화적 보존, 예술적 혁신, 국제적 교류, 학문적 다양성 확장, 지역 사회와의 연결 강화라는 다양한 측면에서 산조춤 연구의 강화는 그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산조춤과 같은 한국 전통춤 이 단순한 과거의 유산이 아닌, 살아있는 문화로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확산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기도은은 숙명여대 전통무용 예술학 석사를 취득하고, 상명대학교 공연예술경영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음악 분야에서는 최옥산 가야금산조를 사사 하였으며, 한국 전통춤분야에서는 호남산조를 전수하고 있다. 현재 한국예술무 형유산진흥회 이사를 맡고 있다.

    Kee Doeun [Gi Doeun] obtained a Master's degree in Traditional Dance Arts from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completed the doctoral program in Performing Arts Management at Sangmyung University. In the field of music, she received instruction in Choe Ok-san's Gayageum Sanjo, and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dance, she was trained in Honam Sanjo. Currently, she serves as a director at the Kore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motion Association.

    조남규는 현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공연예술경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 사단법인 대한무용협회 이사장이 다. 주요 활동으로는 2012년 국제춤축제연맹 집행위원회 의장직을 역임한 바 있다. 2015년부터 성동문화재단 비상임 이사를 맡고 있으며, 2020년부터 문화재청 무형문화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Cho Namgyu [Jo Namgyu] is currently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Management at the Graduate School of Cultural Technology at Sangmyung University and the president of the Korean Dance Association. His major activities include serving as the chair of the Executive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Dance Festival Federation in 2012. Since 2015, he has been a non-executive director of the Seongdong Cultural Foundation, and since 2020, he has been serving as a member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Figure

    Table

    국내 산조춤 연구 발간현황 및 발행기관 (Research Publication Status and Publishing Institutions of Domestic Sanjo Dance)
    산조춤 관련 1980년대부터 2024년까지의 학위논문 및 학술연구 논문 현황 (Status of Theses and Academic Research Papers Related to Sanjo Dance from the 1980s to 2024)

    주요 핵심 키워드 분석

    (Analysis of Major Keywords)

    Reference

    1. 김동훈, 권헌교, 심규원 Kim, Donghoon [Gim, Donghun], Kwon Heongyo [Gwon Heon-gyo], and Shim Kyuwon [Sim Gyuwon]. 2024.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립공원 연구동향 분석 [Kiwodeu neteuwokeu bunseokeul tonghan gungnip gongwon yeon-gu donghyang bunseok]”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Korea National Park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한국산림휴양학회지 Han-guk Sallim Hyuyang Hakhoeji』[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8(1): 85-101.
    2. 김숙자 Kim Suk-ja [Gim, Sukja]. 1986. “춤 散調에 관한 硏究 [Chum sanjo-e gwanhan yeon-gu.]” [Research into Sanjo dance]. 『한성대학교 論文集 Hanseongdaehaggyo nonmunjib』[Journal of Hansung University] 10(1)): 601-624.
    3. 김영희, 윤명화 Kim, Younghee [Gim, Yeonghui] and Yoon Myunghwa [Yun Myeonghwa]. 2020. “산조춤의 역사적 전개와 맥락 [Sanjo chumui yeoksajeok jeongaewa maengnak]” [Historical Development and Context of Sanjo Dance]. 『무용역사기록학 Muyong-yeoksagirokhak』[Asian Dance Journal] 58: 97-127.
    4. 김우경, 최형준 Kim, Wookyung [Gim, U-gyeong] and Choi Hyeongjun [Choe Hyeongjun]. 2018. “국제신체활동설문지 (IPAQ)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Gukje sinche hwadong seolmunji (IPAQ) gwallyeon yeon-gu donghyange daehan kiwodeu neteuwokeu bunseok]” [A Keyword Network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Han-guk cheyuk cheukjeong pyeongga hakhoeji』[The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Science] 20(2): 23-33.
    5. 김율희 Kim, Yulhui [Gim, Yulhui]. 2023. “강태홍류 산조춤의 전승과정 연구 [Gang Taehong-ryu sanjochumui jeonseung gwajeong yeon-gu]”[A Study on the Transmission Process of ‘Gang Taehong Style Sanjo Dance’] . 『한국무용연구 Han-guk muyong yeon-gu』[The Journal of Korean Dance]. 41(1): 23-51.
    6. 배민지 Bae, Minji. 2022. “한국 산조춤 형성 배경에 따른 무용사적 위상 [Han-guk sanjochum hyeongseong baegyeonge ttareun muyongsajeok wisang]” [A Study on the Historical Status of Korean Sanjo-chum based on the Background of its Formation]. 『영남춤학회誌 Yeongnam chum hakhoeji』[The Southeast Korea Dance Society] 10(3): 59-97.
    7. 봉정민, 최지원 Bong, Jeongmin and Choi Jiweon [Choe Jiwon]. 2019. “산조춤의 특성과 예술적 가치에 관한 연구 [Sanjo chumui teukseonggwa yesuljeok gachie gwanhan yeon-gu]”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Artistic Values of Sanjo Dances].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Daehan muyong hakhoe nonmunjip』[The Korean Journal of Dance] 77(2): 37-58.
    8. 성태제 Seong, TaeJe. 2020 『연구방법론 Yeon-gu bangbeopnon』[Research Methodology]. 서울: 학지사 [Seoul: Hakjisa publishing].
    9. 안병헌, 박지영 An, Byeongheon and Bak Jiyeong. 2005. “산조춤의 창작 기반에 내재된 김백봉의 예술세계 [Sanjo chumui changjak gibane naejaedoen Gim Baekbongui yesul segye]” [Gim Baekbong's Artistic World Seeing from the Creation Process Viewpoint of Sanjo Dance] . 『움직임의 철학 Umjigim-ui cheolhak』[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13(2): 205-226.
    10. 양해림 Yang, Haerim. 2019. “4 차 산업혁명의 시대, 인문학의 미래와 전망 4 cha saneop hyeongmyeongui sidae, inmunhakui miraewa jeonmang]”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uture and Prospects of Humanities]. 『인문학연구 Inmunhak yeon-gu』[The Journal of Humanities Studies] 58(4): 5-40.
    11. 윤지현 Yun, Jihyeon. 2023. “전통춤 연행의 동시대성 연구 - 상호문화적 사례를 중심으로 [Jeontong chum yeonhaeui dongsidaeseong yeon-gu: sangho munhwakjeok saryereul jungsimeuro]” [A Study of the Contemporaneity of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 Focusing on Intercultural Cases] 『한국예술연구 Han-guk yesul yeon-gu』[The Korean Journal of Arts Studies] 41: 151-171.
    12. 이정섭, 정진섭, 고초군 Lee, Jeongseop [Yi, Jeongseop], Jeong Jinseop, and Go Chogun. 2021. “4 차 산업혁명 시대, 첨단 유통기업의 사례: 디지털 전환을 중심으로 [4 cha saneophyeongmyeong sidae, cheomdan Yutong gieopui sarye: dijiteol jeonhwaneul jungsimeuro]”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ase of High-tech Retailers: Focused on Digital Transformation]. 『경영컨설팅연구 Gyeongyeong keonseolting yeon-gu』[Korean Management Consulting Review] 21(1): 335-352.
    13. 이해원 Lee, Haewon [Yi, Haewon]. 2024. “디지털 전환에 따른 무용교육의 실천 분석 [Dijiteol jeonhwane ttareun muyong gyoyukui silcheon bunseok]” [Analysis of Dance Education Practices Following Digital Transformation] 『무용예술학연구 Muyong yesulhak yeon-gu [The Korean Journal of Dance Studies] 94(1): 143-152.
    14. 차수정, 권영임 Cha, Sujeong and Gwon Yeongim. 2021. “정재만 산조춤《청풍명월 淸風明月》의 구성과 의미 [Jeong Jaeman sanjo chum “Cheonpung myeongwol”ui guseonggwa uimi]” [The dance composition and meaning of Jeong Jaeman’s Sanjo Dance “Cheongpung myeongweol”]. 『한국무용교육학회지 Han-guk muyong gyoyuk hakhoeji』[Research on Dance Education] 32(2): 105-125.
    15. 최윤실, 윤수미 Choi, Yunsil [Choe, Yunsil and Yun Sumi. 2017. “황무봉류 산조춤의 예술적 가치에 대한 조명 - 작품 <잔영>을 중심으로 – [Hwang Mubong-ryu sanjo chumui yesuljeok gachie daehan jomyeongjakpum “Janyeong”eul jungsimeuro]” [A Study on Artistic Values of Hwang Mu-Bong’s Sanjo chum Focused work “Janyeong”-] 『한국무용연구 Han-guk muyong yeon-gu』[The Journal of Korean Dance] 35(2): 163-186.
    16. 현보람, 김경식 Hyeon, Boram and Gim Gyeongsik. 2022. “사회연결망 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한국 무용학의 연구동향 규명 [Sahoe yeon-gyeolmang bunseok mit topik modellingeul hwalyonghan Han-guk munyonghakui yeon-gu donghyang gyumyeong]” [Investigating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Dance Studie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융합과통섭 Yunghap-gwa tongseop』[Journal of Convergence Consilience] 5(3): 283-299.

    저자소개

    Footnote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