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pISSN: 2383-5214 /eISSN: 2733-4279

HOME E-SUBMISSION SITEMAP CONTACT US

Journal Detail

Journal Detail

Export Citation Download PDF PMC Previewer
Research Trends of Contemporary Dance Majors 현대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신체 관련 연구동향 분석 토픽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 적용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Asian Dance Journal Vol.73 No. pp.45-65
DOI : https://doi.org/10.26861/sddh.2024.73.45

Research Trends of Contemporary Dance Majors

Kim Min-ji*, Kim Seul-gi*, Kim Seung-a*, Park Ji-won*, Park Hye-jin**, Kim Young-Mi***
*MA student, Kyung Hee University
**Instructor, Kyung Hee University
***Professor, Kyung Hee University
* Kim Min-ji camj@naver.com
* Kim Seul-gi rmf5613@naver.com
Kim Seung-a ssss421@naver.com
* Park Ji-won ggummy1018@naver.com
** Park Hye-jin dancejam@naver.com
*** Correspondence to Kim Young-Mi petalny@hamail.net
April 10, 2024 May 28, 2024 June 30, 2024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bodies of contemporary dance maors in South Korea and explore main research topics on body. As a research method, a text mining techniques, one of big data methods, was used to analyze the trend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frequency of the term 'influence' was the highest, and N-gram connections related to 'influence,' 'dance,' and 'injury' were among the top findings. Topic modeling revealed themes such as 'dancers' body management,' 'emotional changes according to physical condi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ting behavior and emotions in danc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and direction for subsequent research.



현대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신체 관련 연구동향 분석
토픽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 적용

김민지*, 김슬기*, 김승아*, 박지원*, 박혜진**, 김영미***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경희대학교 무용학 강사
***경희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초록


본 연구는 국내 현대무용전공자의 신체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신체관련 핵심 연구주 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빅데이터기법 중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동향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영향’에 관한 빈도수가 가장 높았으며, ‘영 향’, ‘무용’, ‘상해’와 연관된 N-gram 연결이 상위에 있음을(이) 파악되었다. 토픽모델링 은 ‘무용수의 신체관리’, ‘신체 상태에 따른 감정변화’, ‘무용의 섭식행동과 정서의 상관 관계’ 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후속 연구 기초자료 제공 및 방향성 제시에 의미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Ⅰ. 서 론

    인간은 모든 활동이 신체를 통하여 이뤄지기 때문에 신체에 대한 관심과 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욕구 또한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특히, 신체는 그 자체에 다른 어떤 것보 다 풍부한 표현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표 현하고 전달하는 무용에서 신체의 의미는 매우 중요하며 특별하다(이양출, 박인실 2007, 76).

    이와 같은 측면에서 박근태(2020)는 무용수가 자기 인식에 따라 다른 형태로 신체를 조 합하고 구성함으로써 무용수와 신체 표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111). 또한, 김주성과 황 성우(2017)는 무용전공대학생이 무용 활동을 하는 데 있어서, 신체 움직임에 사상과 감정 유을 포함시켜 관객에게 원활하게 전달함으로써 무용 활동에 신체의 적용을 언급하였다 (233). 이처럼 무용전공자들에게 있어 신체는 움직임을 구성하고 표현하며 의미를 전달하 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된다. 강윤경(2001)은 신체를 통해 개개인의 영향에 의해 주관적이 고 사실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현대무용이라고 하였으며(한신애 2019, 21에서 재인 용), 아누 쇠트와 헤 비스쿠스(Anu Sööt & Ele Viskus 2014)는 현대무용의 중요한 요소로 신체 움직임을 언급하였는데, 이는 내면적 정서와 움직임을 인식하는 몸의 세심한 감각을 필요로 한다(630). 특히 현대무용 전공자의 경우, 신체를 통하여 새로운 움직임을 창출해 야 하기에 다양한 영역의 표현 방식을 구사하기 위해서는 신체의 사용은 필수적이다(이양 출, 박인실 2007, 77). 이에 김영미, 이주하(2021)는 현대무용과 신체는 불가분한 관계라 언급하며 현대무용과 신체의 관계성을 강조하였다(28).

    현재까지 무용전공자와 신체 관련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기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 (RISS)를 이용하였다. 이는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어 유용하다 는 장점이 있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무용전공생의 신체적 자기지각 차이, 무용전공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무용전공자의 신체이미지(김나현 2022;김뉴하 2021;김정숙 2007;김지영, 박진희 2007;염다솔 2019;신혜연 2019;전미애 2019;최현서 2020;현임숙 2021) 등이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의 학문적 흐름에 따라 무용전 공자와 신체는 서로 상호작용한다고 파악된다. 따라서 세부적인 학문적 동향, 패러다임 연 구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로써 그 필요성을 갖는다.

    무용전공자의 신체에 관한 동향 연구는 무용전공대학생의 신체 훈련을 위한 필라테스 연구동향 분석, 무용 신체 및 외모 관련 연구동향 분석(소오뢰 2021;양유나, 전순희 2017)등이다. 현보람, 김경식(2022)은 “전통적인 연구방법의 연구들은 많은 논문들을 대상 으로 연구를 수행하는데 제한이 있을 뿐만 아니라, 주관의 개입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고 언급하였다(284). 양유나, 전순희(2017)는 무용 외모·신체 관련 연구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고자 ‘무용’, ‘신체’, ‘외모’의 주제어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적으로 연구의 연도별 연구 동향 분석, 연구 방법별 분석, 국내 연구의 주제별, 대상별 연 구동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나, 빈도분석만 가지고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토픽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 한 신체 동향 연구를 파악하고자 한다.

    대표적인 분석기법인 토픽모델링은 동향 연구를 파악하기 위해 키워드를 바탕으로 문서 에서 주제를 찾아내기에 용이하다(전민수, 임효성 2021, 576). 이는 잠재적인 주제영역(토 픽)을 도출해주어 연구 동향의 큰 맥락을 잡아내는 데 유용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네트 워크 분석은 ‘관계’와 ‘구조’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결과를 시각적으로 도출할 수 있기 때문 에, 기존의 내용분석 방식보다 논문의 지식구조를 확인하는 데 강점을 가지고 있다(황영아, 김지원, 송영수 2017, 1331).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의 토픽모델링 연구가 있었으나, 강윤주(2019)는 타 분야 연구에 비해 무용학 분야에서 토픽 모델링을 적용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고 말하며 무용학 분 야에 토픽모델링 연구의 부족함을 언급하였다(9). 또한 김하연, 서대호(2020)는 신체 동향 연구들이 무용학에서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 등 세부적인 무용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학문적 연구가 부족하여 아쉬운 실정이라 하였다(172).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신체 감각을 탐구하는데 전념하는 현대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신체 동향 연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방법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현대무용전공자”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현대무용전공자가 포함된 “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신체 관련 연 구 논문을 포함하였다. 이는 해당 분야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동향연구들의 텍스트를 분석 함으로 현대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신체 관련 연구의 지식구조를 보다 명확히 파악하 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신체 관련 연구를 중점으로 텍스트마 이닝을 활용하여 현재까지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신체 관련 핵심 연 구주제를 파악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둔다.

    Ⅱ.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 학위논문과 학술지를 활용하였으며 텍스트 선정 을 위한 키워드 검색은 무용 신체 관련 키워드를 여러 개 선정하고 예비 조사를 실시한 결과 ‘현대무용 신체’와 ‘무용 신체’의 경우 현대무용과 신체에 관련된 키워드들이 많이 산출되는 것으로 나타나 최종적으로 이 키워드를 사용하여 텍스트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 료수집 기간은 정확하고 많은 자료를 수집하고자 1988년부터 2023년으로 하였다.

    ‘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신체관련 연구 중 ‘현대무용전공자’가 포함된 논문 194건과 ‘현대무용전공자’만을 대상으로 한 논문 55건을 합한 총 249건의 상세정보 내보내기를 통 해 제목, 저자, 발행연도, 주제어, 국문 초록을 수집하였다. 무용분야에서 신체 관련 논문의 제시되는 키워드의 빈도와 네트워크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집된 정보 중 제목, 주제어, 국 문 초록을 대상으로 사용하였다.

    2. 데이터 정제

    본 연구에 필요한 텍스트를 추출하기 위해 텍스톰(TEXTOM)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논문 분석에서 불필요한 단어를 삭제하는 데이터 정제과정을 거쳤다. 텍스트 마이닝은 띄어쓰 기로 단어를 구분하기 때문에 합성어의 경우 띄어쓰기를 제거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정 제단계에서는 영문과 숫자, 특수문자 등을 제외하여 한글 중에서도 명사만 키워드 분석을 하였으며 연구목적인 논문에서 사용된 신체관련 단어들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 관 련 단어’와 ‘신체’ 단어를 제외하였다. 이후 단어도출 결과 중 유사단어를 통일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표 1

    유사단어 취합표 (Table of similar words)

    취합단어 유사단어
    상해 상해, 부상, 무용상해, 신체상해, 신체적상해
    공연자신감 공연자신감, 무대자신감
    무용신체 수행자신감 무용수행동작자신감, 무용수행자신감, 신체자신감, 신체적자신감
    무용신체 스트레스 스트레스, 무용스트레스, 상해스트레스, 진로스트레스, 체중조절스트레스, 체중스트레스, 비만스트레스
    신체자기지각 자기지각, 신체자기지각, 신체적자기지각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효능감, 무용효능감, 신체적자기효능감, 자아효능감, 효능감
    신체이미지 신체이미지, 바디이미지, 자기이미지, 신테이미지, 이미지
    신체수행능력 무용수행능력, 실기능력. 수행능력, 무용능력, 기술능력, 표현능력, 신체표현능력, 신체능력, 신체자각능력, 운동능력, 균형능력
    무용이해능력 이해능력, 무용이해능력, 관찰능력, 지각능력
    체중조절 체중조절, 다이어트, 체중 감량, 체중조절 행동, 체중조절태도, 다이어트
    자기관리 자기관리, 체형관리, 컨디션관리, 건강관리, 공연관리
    존중감 자아존중감, 신체존중감, 자기존중감, 존중감
    무용신체 유능감 유능감, 동작유능감, 무용유능감, 신체적유능감, 신체유능감
    신체만족도 신체만족도, 체형만족도
    전공만족도 전공만족도, 학습만족도, 생활만족도
    자아개념 자아개념, 신체적자아개념,
    완벽주의 완벽주의성향, 완벽주의추구성향, 완벽주의
    식습관 식사태도, 식사행동, 식습관, 식사행동태도
    몰입 행동몰입, 인지몰입
    지도자 교수, 선생님, 지도자

    3. 분석 과정

    1) 빈도분석

    본 연구에서는 신체를 주제로 현대무용전공자와 관련한 논문의 동향 파악을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은 상위 100위까지의 단어를 추출하여 텍스트 분석을 통해 주요 키워드의 빈도수와 키워드 간의 상관성 등을 분석하여 무용 분야의 연구자들이 신체 를 관련하여 어떠한 연구가 이루어지는지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2) 네트워크 분석

    키워드 분석 결과에서 도출된 신체 관련 단어들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현대무용전공 자를 포함한 신체 관련 단어들의 연결 형태를 분석하여 무용계에서 현대무용전공자를 대 상으로 어떤 신체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논문의 동향을 분석할 수 있다. 네트워크 분석은 N-gram를 활용하여 논문에 사용된 단어 간의 연결성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연 결성이 큰 단어들을 확인하기 위해 네트워크 분석을 시각화하였다.

    3) 토픽모델링 분석

    토픽모델링은 특정 분야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에 많이 활용된다(민요한, 김지영, 박옥남 2021, 115) 본 연구에서는 현대무용전공자와 관련한 신체 관련 연구에서 주로 사 용하는 키워드들이 어떻게 한 구문 안에서 존재하는지를 분석하여 연구에서 주로 생성되 는 텍스트의 주제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토픽은 10개의 토픽 주제를 추출하였으며, 모델 링 결과로 묶인 집합체에 나타나는 키워드를 통해 현대무용전공자가 포함된 논문들의 주 제와 이와 관련하여 같이 언급되는 단어들을 살펴보고자 토픽모델링을 분석하였다.

    Ⅲ. 결 과

    1. 단어빈도 분석

    249건의 논문에서 사용되는 단어를 살펴보기 위해 전처리 과정 후 추출된 단어를 대상으로 단어 빈도분석을 하였다. 가장 많은 빈도수로 출현한 상위 100위까지의 단어를 <표 2>와 같이 제시할 수 있다. 무용전공자 및 현대무용전공자의 신체 연구에서 ‘무용관련 대상자’와 ‘신체’ 단어를 제외하고 언급된 키워드 중 빈도수가 높은 상위 20개는 ‘영향(655)’, ‘무용 (461)’ ‘상해(425)’, ‘무용수(423)’, ‘동작(217)’, ‘자신감(202)’, ‘프로그램(201)’, ‘신체수행능 력(187)’, ‘긍정(178)’, ‘무용신체스트레스(177)’, ‘신체자기지각(176)’, ‘심리(156)’, ‘근력 (155)’, ‘체중조절(152)’, ‘자기효능감(146)’, ‘학생(140)’, ‘섭식장애(137)’, ‘경험(137)’, ‘인식 (128)’, ‘운동(127)’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 20위의 토픽을 살펴보면 무용이 신체를 사용하는 예술인 만큼 ‘상해와 신체인지 관련 단어로 상위 순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100위의 단어들을 확인하였을 때 자기효능감, 신체자기지각, 자기효능감 등 신체의 정신, 정서적인 부분과 상해, 신체 정렬, 체형, 체력, 신체활동 등 신체활동과 신체를 통틀어 다양하게 연구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2

    상위 100위 빈도분석표 (Top 100 frequency table)

    순위 단어 빈도 순위 단어 빈도 순위 단어 빈도 순위 단어 빈도
    1 영향 655 26 섭식행동 107 51 신체정렬 71 76 개인특성 45
    2 무용 461 27 정서 106 52 수축 68 77 체형불안 45
    3 상해 425 28 체력 105 53 펠던크 라이스 65 78 자아개념 43
    4 무용수 423 29 불안 104 54 신체지각 64 79 중심 43
    5 동작 217 30 골밀도 103 55 무용신체 유능감 61 80 근육 43
    6 자신감 202 31 움직임 96 56 예술 57 81 무용활동 43
    7 프로그램 201 32 체형 90 57 지도자 57 82 43
    8 신체수행 능력 187 33 능력 87 58 무용 자신감 56 83 치료 42
    9 긍정 178 34 수행 87 59 균형 56 84 신체만족 41
    10 무용신체 스트레스 177 35 인지 87 60 행동 56 85 정신 40
    11 신체자기 지각 176 36 훈련 84 61 신체의식 55 86 지각 40
    12 심리 156 37 표현 82 62 신체 만족도 54 87 40
    13 근력 155 38 성공 82 63 공연 자신감 54 88 도약 40
    14 체중조절 152 39 자기관리 81 64 실패 54 89 섭식태도 39
    15 자기 효능감 146 40 신체구성 80 65 외모 53 90 신체인식 38
    16 학생 140 41 활동 79 66 트레이닝 53 91 근지구력 38
    17 섭식장애 137 42 공연 78 67 정신건강 53 92 몸매 37
    18 경험 137 43 몰입 78 68 완벽주의 52 93 과학 37
    19 인식 128 44 만족 75 69 비교분석 51 94 자세 37
    20 운동 127 45 예방 75 70 신체활동 50 95 노력 36
    21 자기개념 123 46 건강 74 71 신체조성 49 96 무용유형 35
    22 존중감 121 47 필라테스 74 72 관리 47 97 수업 35
    23 교육 120 48 무용수행 72 73 생각 46 98 경쟁 35
    24 신체 이미지 116 49 부정 72 74 안정 46 99 관절 33
    25 체중 115 50 체지방 72 75 탄성밴드 운동 45 100 골반 33

    또한 키워드에 대한 중요도 구분이 쉽도록 빈도분석 결과를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활용 하여 시각화하였다. 키워드 빈도분석 결과 상위 100위까지를 워드 클라우드 분석하면 <도 판 1>과 같다. 워드클라우드는 빈도분석을 시각화한 그림이며 빈도수가 높고 상위 순위인 단어일수록 단어 크기가 크며 중앙에 위치하고 색이 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판 1

    현대무용을 포함한 논문에 신체 관련 상위 100위의 워드 클라우드

    (Word cloud of top 100 body-related articles in papers including modern dance)

    SDDH-73-1-45_F1.gif

    가장 높은 빈도수가 나타난 ‘영향’ 키워드가 가장 중앙에 차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외 에 ‘무용’, ‘상해’, ‘무용수’, ‘동작’, ‘자신감’, ‘프로그램’, ‘신체수행능력’, ‘긍정’, ‘무용신체 스트레스’가 상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 네트워크 분석

    1) N-gram 분석

    텍스톰 네트워크는 점과 화살표로 단어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시각화로, N-gram 결과 값을 사용한다(이지현 2021, 135). 신체 관련 논문의 네트워크 분석 결과 영향, 상해, 무용, 등의 단어들이 서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공연에 집중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네트워크 분석 시각화를 살펴보면 ‘영향’과 다른 단어의 연결성이 가장 많은 화살표로 나타났다. 이는 논문에서 신체에 관련하여 어떠한 요소의 영향에 관련하여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표 3>,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N-gram 순위는 60위까지 도출하였으며 빈도수가 높은 단어 연결성도 상위 10위는 ‘긍정-영향(72)’, ‘무용 -활동(46)’, ‘실패-성공(42)’, ‘상해-예방(38)’, ‘신체수행능력-영향(32)’, ‘무용수-상해 (29)’, ‘펠던크라이스-기법(27)’, ‘상해-무용신체스트레스(27)’, ‘상해-경험(26)’, ‘영향-신 체자기지각(24)’ 순으로 나타났다. 빈도분석과 마찬가지로 ‘영향’, ‘무용’, ‘상해’와 연관된 N-gram 연결이 상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3

    N-gram 60순위 분석 (N-gram 60 ranking analysis)

    순위 단어1 단어2 빈도 순위 단어1 단어2 빈도
    1 긍정 영향 72 16 상지 아라베스크턴동작 20
    2 무용 활동 46 17 인지 신체수행능력 20
    3 실패 성공 42 18 매력 몸매 19
    4 상해 예방 38 19 팽창 수축 19
    5 신체수행능력 영향 32 20 몸매 체력 18
    6 무용수 상해 29 21 무용 수행 18
    7 펠던크라이스 기법 27 22 체중조절 경험 18
    8 상해 무용신체스트레스 27 23 무용 자신감 17
    9 상해 경험 26 24 신체자기지각 공연자신감 17
    10 영향 신체자기지각 24 25 공연 자신감 17
    11 경쟁 불안 24 26 심리 행복감 16
    12 기법 탄성밴드운동 22 27 프로그램 실행 16
    13 신체자기지각 무용자신감 22 28 근력 펠던크라이스 15
    14 영향 신체이미지 21 29 부정 정서 15
    15 부정 영향 20 30 신체구성 골밀도 15
    표 4

    N-gram 60순위 분석 (N-gram 60 ranking analysis)

    순위 단어1 단어2 빈도 순위 단어1 단어2 빈도
    31 섭식장애 폭식증 15 46 영향 체중조절 13
    32 지도자 학생 15 47 무용 무용신체유능감 13
    33 신체자기지각 신체수행능력 15 48 섭식행동 절제 13
    34 신체수행능력 인지 15 49 능력 영향 13
    35 인지 무용수행 15 50 신체지각 존중감 13
    36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15 51 교육 프로그램 13
    37 운동 프로그램 14 52 학생 상호작용 13
    38 정서 영향 14 53 영향 자기효능감 13
    39 무용수행 만족 14 54 수축 팽창 13
    40 체형 불안 14 55 체간근력 신체균형 12
    41 리바디 프로그램 14 56 자기개념 심리 12
    42 체중조절 무용신체스트레스 14 57 무용신체유능감 신체컨디션 12
    43 일자 신체정렬 14 58 만족 영향 12
    44 탄성밴드운동 복합운동 13 59 신체의식 무용수행만족 12
    45 체중조절 섭식장애 13 60 섭식행동 정서 12

    ‘영향’과 연결된 단어는 ‘긍정’, ‘신체수행능력’, ‘신체자기지각’, ‘신체이미지’, ‘부정’, ‘정 서’, ‘체중조절’, ‘자기효능감’의 단어들과 연결성을 띠고 있다. ‘상해’와 연결된 단어는 ‘예 방’, ‘무용수’, ‘무용신체스트레스’, ‘경험’이며, ‘무용’과 연결된 단어는 ‘활동’, ‘수행’, ‘자신 감’, ‘무용신체유능감’이다. 연결된 단어들은 또 다른 요소의 단어와 연결이 이루어진다. 신체에서 주제로 다루어지는 단어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무용계의 신체 관련 연구는 인체학적으로 신체와 더 나아가 신체 내외의 유기적인 관계에 관련한 연구를 중점 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신체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예술인 만큼 신체 상해와 자신감, 외형에 관련한 연구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래의 <도판 2>는 N-gram의 연결성을 시각화하였으며 단어의 연결성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나타낸다. <도 판 3>, <도판 4>, <도판 5>는 네트워크 분석에서 단어 연결성을 상위 20위씩 분리하여 빈도 순위에 따른 연결성을 확인하였다. <도판 6>은 빈도분석의 상위 1위인 ‘영향’에 관련 한 단어 간의 연결성을 시각화하였다. <도판 7>은 무용 관련 논문들의 단어 분석을 실행하 여서 ‘무용’과 관련한 단어의 연결성을 확인하였다. <도판 8>은 단어빈도의 3위인 ‘상해’의 단어의 연결성을 나타낸다.

    도판 2

    N-gram 네트워크 분석 시각화

    (N-gram network analysis visualization)

    SDDH-73-1-45_F2.gif
    도판 3

    네트워크분석 1-20

    (Network analysis 1-20)

    SDDH-73-1-45_F3.gif
    도판 4

    네트워크 21-40

    (Network analysis 21-40)

    SDDH-73-1-45_F4.gif
    도판 5

    네트워크 41-60

    (Network analysis 41-60)

    SDDH-73-1-45_F5.gif
    도판 6

    ‘영향’ 관련 네트워크 분석

    (‘Influence’ related network analysis)

    SDDH-73-1-45_F6.gif
    도판 7

    ‘무용’ 관련 네트워크 분석

    (‘Dance’ related Network analysis)

    SDDH-73-1-45_F7.gif
    도판 8

    ‘상해’ 관련 네트워크 분석

    (‘Injury’-related network analysis)

    SDDH-73-1-45_F8.gif

    3. 토픽모델링 분석

    토픽모델링은 무용과 신체 주제인 논문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이 한 문장에 동시 출현을 어떻게 하는지 분석하여 대상자에 현대무용이 포함된 논문들의 주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토픽은 5개와 토픽 단어 수 10개로 지정하여 토픽모델링을 하였다. 결과 도출 후 토픽들의 제목은 추출된 토픽 단어들을 가지고 단어 간의 의미를 추측하여 임의로 작성하였다.

    토픽 모델링 결과는 <표 5>와 같다. [토픽 1] 단어는 ‘영향, 근력, 프로그램, 무용수, 골 밀도, 무용, 섭식장애, 펠던크라이스, 체중, 운동’으로 구성되어있으며, 근력, 골밀도, 섭식 장애, 체중과 같은 신체 관리에 관한 단어로 구성되어있어 [토픽 1] 주제를 ‘무용수의 신체 관리’라 명명하였다.

    표 5

    토픽모델링 표 (Topic modeling table)

    구분 [토픽 1 무용수의 신체 관리 [토픽 2] 무용수의 신체 상태에 따른 감정변화 [토픽 3] 무용의 섭식행동과 정서의 상관관계 [토픽 4] 무용수의 성장과 자아 인식 [토픽 5] 무용수와 움직임의 유기적 관계
    주제어 bete 주제어 bete 주제어 bete 주제어 bete 주제어 bete
    1 영향 0.018 영향 0.038 영향 0.032 상해 0.041 무용수 0.03
    2 근력 0.016 무용신체 스트레스 0.021 무용 0.017 동작 0.018 무용 0.019
    3 프로그램 0.015 무용 0.018 섭식행동 0.016 무용 0.017 영향 0.013
    4 무용수 0.013 신체 수행능력 0.013 체형 0.013 영향 0.016 동작 0.012
    5 골밀도 0.011 상해 0.013 신체 자기지각 0.013 무용수 0.015 자기 효능감 0.011
    6 무용 0.011 체중조절 0.012 섭식장애 0.011 성공 0.012 상해 0.01
    7 섭식장애 0.011 긍정 0.011 자기 효능감 0.011 자신감 0.012 움직임 0.009
    8 펠던 크라이스 0.01 자기개념 0.011 자신감 0.011 실패 0.008 신체 이미지 0.009
    9 체중 0.01 무용수 0.009 존중감 0.009 신체자기 지각 0.008 신체자기 지각 0.009
    10 운동 0.009 불안 0.009 체력 0.008 긍정 0.007 필라테스 0.008

    [토픽 2] 단어는 ‘영향, 무용신체스트레스, 무용, 신체수행능력, 상해, 체중조절, 긍정, 자 기개념, 무용수, 불안’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체중조절, 상해와 무용 수의 정서를 나타내는 스트레스, 긍정, 불안의 단어로 구성되어있어 [토픽 2] 주제를 ‘신체 상태에 따른 감정변화’로 명명하였다.

    [토픽 3] 단어는 ‘영향, 무용, 섭식행동, 체형, 신체자기지각, 섭식장애, 자기효능감, 자신 감, 존중감, 체력’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섭식과 관련된 단어와 정서를 나타내는 자기지각, 자기효능감, 자신감, 존중감으로 구성되어있어 [토픽 3] 주제를 ‘무용의 섭식행동과 정서의 상관관계’로 명명하였다.

    [토픽 4] 단어는 ‘상해, 동작, 무용, 영향, 무용수, 성공, 자신감, 실패, 신체자기지각, 긍 정’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동작, 성공, 실패와 같은 단어들과 정서를 나타내는 자신감, 긍정 으로 구성되어있어 [토픽 4] 주제를 ‘무용수의 자아 인식’로 명명하였다.

    [토픽 5] 단어는 ‘무용수, 무용, 영향, 동작, 자기효능감, 상해, 움직임, 신체 이미지, 신체자기지 각, 필라테스’로 구성되어있으며, 무용수의 신체, 정서를 나타내는 단어와 움직임, 동작 같은 단어로 구성되어있어 [토픽 5] 주제를 ‘무용수와 움직임의 유기적 관계’로 명명하였다.

    Ⅳ.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현대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신체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1988년부 터 2023년까지 35년 동안의 국내 현대무용 관련 학술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동향을 탐구하기 위해 국내 논문 검색사이트(RISS)를 통해 현대무용 관련 논문을 수집하여 본 연구에 총 249건을 빅데이터 분석 방법인 텍스트마이닝과 토픽모델링을 적용하였다. 연구자료를 기반으로 현대무용전공자의 신체에 관한 연구 분야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고 현대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신체 관련 연구의 지식구조를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단어 빈도분석 결과에 대한 클라우드 시각화에서 눈에 띄는 ‘영향’, ‘상해’, ‘무용 수’, ‘무용’ 키워드 분석은 다음과 같다. 현재까지의 현대무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신체 관련 연구의 동향은 연구자들이 연구의 대상자를 무용수에 관점을 둔 연구로써 이루어졌 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둘째, N-gram 단어 간의 연결성 시각화자료에서 볼 수 있듯이 <도판 6>의 ‘영향’과 연 결성에 ‘긍정’의 키워드가 가장 많이 작용하였으며 섭식행동, 정서, 부정, 만족, 신체자기지 각 등으로 연관성을 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키워드가 ‘긍정’으로 연결되어 있 음을 보아 연구자들이 현대무용 전공자의 신체·정서적 측면 모두에서 부정적인 영향보다 는 긍정적인 부분을 더 많이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서’, ‘자기효능감’, ‘신체 이미지’ 등과 같은 키워드는 무용전공자 자신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신체 수행능력’은 무용전공자와 가장 밀접한 단어로써 영향에 관한 연구 대상이 무용전공자에 한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판 7>의 ‘무용’과 연결성에 있어서 무용수의 움직임 활동에 집중된 단어가 많이 나타 났다. 그러나 무용수가 바라보는 신체도 중요하지만 제 3자가 바라보는 무용수의 신체 역 시 무용수가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이다. 현보람, 김경식(2022, 284)의 한국무용학 연구 동향 규명연구에서 무용학 연구의 토픽에서 무용 예술 공연 문화 토픽이 가장 낮은 비중을 보였 다. 따라서 관객이나 대중과 같은 제 3자의 입장을 반영한 보다 넓은 시야의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도판 8>의 상해는 ‘예방’이 가장 많이 영향을 끼쳤다. 무용은 하지의 최대 신전과 빠른 굴곡 동작을 통해 순간적인 시간과 공간의 이동을 요구하므로, 척추와 발 부위의 상해가 자주 발생한다(이애덕 2004, 29). 따라서 상해에 대한 예방이 무용 분야에서도 현대무용 전공자에게 매우 중요한 학제이다. 그에 따라 국내 무용 상해 관련 연구는 주로 설문조사 와 비교연구를 통해 무용 장르별 상해 실태, 원인, 대처 방법 등을 양적연구로 주로 이루어 졌다(김상철, 김승일 86). 이와 관련하여 무용 상해의 실태에 대한 연구(김다래 2015;김은 정 2003;김향선, 임학선 2008: 이성진 2005;이은진 2009)와 상해 유형에 대한 연구(김 수경, 최성이 2003;윤완영 2013;최성이 1995)가 보고되었지만, 무용전공자들은 상해에 노출 빈도가 높으므로 깊이 있게 지속적으로 대상을 관찰하며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점에서 무용 상해에 대한 심층적이고 질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김상철 2019, 86). 또한, 상해 후 재활 과정에서의 변화를 살펴본 연구도 아직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예방과 관련한 상해 회복 및 재활의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까지의 한계가 존재한다는 결 론을 이끌어낼 수 있다.

    셋째, 현대무용 연구 및 교육에 나타나는 함의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된 토픽 모델링 결 과는 연구자료 249개로 총 50개가 도출되었다. 다섯 개의 토픽 중에서 [토픽 1] 주제 ‘무용 수의 신체 관리’는 무용수와 관객 사이에서 중요한 의미전달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 신체 가 직업적 표현의 수단인 무용수에게 신체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또한, 무용전공생의 경 우 다른 어떤 집단보다 신체에 대한 열망과 관심을 가지고 아름다운 신체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신체 관리를 하고 있다(안진주 2014, 36). 이를 통해 무용수에게 신체 관리는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토픽 2] 주제 ‘무용수의 신체 상태에 따른 감정변화’는 무용수의 강도 높은 훈련 과정에 서 이루어지는 부상은 무용수에게 흔한 일이며, 수행 능력의 문제로 이어진다(홍영준, 장 덕선 2015, 190). 이로 인해 많은 무용수들은 부상 발생, 통증, 2차 부상 또는 기량 저하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감을 항상 느끼게 된다(홍영준, 장덕선 2015, 190). 또한, 김나영(2012, 25)은 신체에 대한 불평은 신체에 과도한 지각을 초래하여 신체 불만족을 넘어 신체화 증 상을 나타낼 수 있다고 말한다. 신체로부터 오는 스트레스와 감정변화는 곧 다시 신체화 증상으로 나타나므로 악순환의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무용수의 신체 상태에 따른 감정변 화는 매우 민감하며 무용수에게 있어서 심리적으로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토픽 3] 주제는 ‘무용의 섭식행동과 정서의 상관관계’이다. 이에 관련해서 정유진(2020, 34)은 무용 전공자들이 무용을 전공하며 체형관리에 힘을 쏟을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체 형관리가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이에 따른 심리적 장애의 하나인 섭식장애를 경험하게 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처럼 무용에 있어서 체중 관리 등을 통해 좋은 신체 이미지를 유지하고자 하며 이것이 정서에 스트레스와 같이 부정적인 영향들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외 연구에 따르면, 직업무용수들의 섭식장애, 부상, 스트레스 등의 문제는 주로 완 벽주의 성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Goodwin, Arcelus, Geach, & Meyer 2014;Penniment & Egan 2012;Zhuoli, & Yuhan 2015).

    [토픽 4] 주제 ‘무용수의 성장과 자아인식’에서 무용수들에게 공연은 필수적인 것이며, 이로 인해 항상 무대에 서야 한다는 사명감과 더불어 공연을 위해 끊임없는 자기관리와 연습을 반복한다(노정식, 홍혜정 2011, 3). 무용전공생들은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조화롭게 발달시킬 수 있기에 그들 개인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는 역할로써 자기 자신의 개념을 구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자기개념 인식은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이해준, 최진실 2017).

    [토픽 5] 주제 ‘무용수와 움직임의 유기적 관계’에서 무용수들은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 한 신체적 증상을 겪을 수 있으며, 무용수들은 신체로 표현하기 때문에 신체적 문제로 인 해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기도 한다(김예지, 김경희 2019, 15). 위와 같은 문제들의 최소화 를 위해 무용수들은 자기 인식과 적절한 신체 사용할 수 있다(김경희 2017, 31). 또, 올바 른 신체의 정렬은 단순히 신체적인 측면을 넘어, 마음과도 연결되어 신체 움직임에 영향을 미친다(김예지, 김경희 2019, 16).

    이들을 종합해본 결과 첫째, 무용전공자에게 중요한 체력과 신체 이미지와 같은 중요한 단어들은 오히려 연결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체력 혹은 신체 이미지 에 다양한 영향을 끼쳐 상호연결될 수 있는 변인을 찾고자 제안한다. 둘째, 현재 상해의 재활 및 치료 관련 연구의 한계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무용 분야에서의 재활 및 치료에 관한 질적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셋째, 무용전공자는 신체를 매 개로 표현하나, 미학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신체 관 련 연구에서 미학적 관점으로 시야를 넓혀야 한다.

    본 연구는 지난 35년의 현대무용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앞으로의 무용계는 보다 폭넓은 연구 대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 이 있다고 시사할 수 있으며, 위에서 연구된 내용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방향성을 제시 하는 데 의미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저자소개

    김민지는 경희대학교 무용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현재 관심 연구는 대학무용교육 연구이다.

    Kim Min-ji has completed a master's course in dance at Kyung Hee University. Currently, her interest is in the study of college dance education.

    김슬기는 경희대학교 무용학부 및 동대학원 석사과정에 재학 중에 있다. 현재 신체를 활용한 무용교육 연구를 이어나 가고 있다.

    Kim Seul-Gi i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Dance at Kyung Hee University and is pursuing a master's degree at the same graduate school. Currently, she is conducting research on dance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use of the body.

    김승아는 경희대 무용과 학사를 마치고, 동대학원 석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주요 연구 관심사는 무용교육이다.

    Kim Seung-a has completed her bachelor's degree in dance at Kyung Hee University and is in the graduate school's master's course. Her main research interest is dance education.

    박지원은 경희대학교 무용학부 및 동대학원 석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개인 안무작을 발표하였으며, 무용교육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Park Ji-Won i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Dance at Kyung Hee University and is pursuing a master's degree at the same institution. She has presented her own choreographic works and is conducting research related to dance education.

    박혜진은 한양대학교에서 교육공학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SEAD INSTITUTE 이사 및 경희대학교에서 외래 교수로 재직중이다. 무용예술과 교육공학의 접점을 찾기 위한 연구 및 활동에 관심이 있으며, 관련 분야에 대한 강연, 교육, 연구 일을 수행하고 있다.

    Park Hyejin [Bak Hyejin] holds a Ph.D. in Educational Technology from Hanyang University. Dr. Park is currently serving as a Senior research fellow at SEAD INSTITUTE and as an adjunct professor at Kyung Hee University. Dr. Park’s research and activities focus on exploring the intersection between dance arts and educational technology. Dr. Park is actively engaged in lecturing, teaching, and conducting research in these related fields.

    김영미는 현재 경희대학교 무용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 무용역사기록학회 부회장, 한국무용학회 부회장, (사) 대한무용협회 상임이사, 한국현대무용협회 부이사장, 김영미댄스프로젝트 대표, 티엠비컴퍼니 대표이다. 세상을 주제 로 강한 에너지 있는 단단한 춤을 만드는 안무가로 작품을 통해 진정성있는 안무가이자 교육자로 인정받고 있다. 2019 대한민국무용대상 대통령상, 2020 제7회 이데일리 문화대상 무용부문 ‘최우수상’, 대한민국 기독예술대상 무용 예술부문 ‘대상’, 2022 한국무용학회 우수논문상 2023 이사도라무용예술상 등 26여개의 상을 수상하였다. 대표작품은 <페르소나>, <앙리마티스를 춤추다>, <통조림된 여자의 향수> 외 다수의 작품이 있다. 연구관심사로는 무용수의 신체정렬이며, 저서 ‘움직임의 시작, Body alignment’ 외 관련 주제로 다수의 연구를 진행중에 있다.

    Kim Young Mi [Gim Yeongmi] is currently serving as a professor in the Dance Department at Kyunghee University. Dr. Kim is currently vice president of the Dance History and Documentation Society, vice president of the Korean Dance Society, executive director of the Korea Dance Association, vice president of the Korea Contemporary Dance Association, CEO of Kim Youngmi Dance Project, and CEO of TMB Company. .Dr. Kim is recognized as an educator and a choreographer who creates solid dances with strong energy on themes about the world. Dr. Kim has won over 26 awards, including the Trump Award at the 2019 Korea Dance Awards, the 'Grand Prize' in the dance category at the 7th Edaily Culture Awards in 2020, the 'Grand Prize' in the dance arts category at the Korea Christian Arts Awards, the 2022 Korea Dance Society Outstanding Paper Award, and the 2023 Isadora Dance Arts Award. Representative works include ‘Persona,’ ‘Dancing Henri Matisse,’ and ‘Perfume of a Canned Woman.’ Dr. Kim’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ancers' hand alignment, and current research extends from Dr. Kim’sbook Body Alignment, the Beginning of Movement.

    Figure

    SDDH-73-1-45_F1.gif

    현대무용을 포함한 논문에 신체 관련 상위 100위의 워드 클라우드

    (Word cloud of top 100 body-related articles in papers including modern dance)

    SDDH-73-1-45_F2.gif

    N-gram 네트워크 분석 시각화

    (N-gram network analysis visualization)

    SDDH-73-1-45_F3.gif

    네트워크분석 1-20

    (Network analysis 1-20)

    SDDH-73-1-45_F4.gif

    네트워크 21-40

    (Network analysis 21-40)

    SDDH-73-1-45_F5.gif

    네트워크 41-60

    (Network analysis 41-60)

    SDDH-73-1-45_F6.gif

    ‘영향’ 관련 네트워크 분석

    (‘Influence’ related network analysis)

    SDDH-73-1-45_F7.gif

    ‘무용’ 관련 네트워크 분석

    (‘Dance’ related Network analysis)

    SDDH-73-1-45_F8.gif

    ‘상해’ 관련 네트워크 분석

    (‘Injury’-related network analysis)

    Table

    유사단어 취합표 (Table of similar words)

    상위 100위 빈도분석표 (Top 100 frequency table)

    N-gram 60순위 분석 (N-gram 60 ranking analysis)

    N-gram 60순위 분석 (N-gram 60 ranking analysis)

    토픽모델링 표 (Topic modeling table)

    Reference

    1. 강윤주 Kang, Yoonju [Gang, Yunju]. 2019. “토픽 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한 국내 무용학 연구 분야 탐색 Topik modellinggwa seteuwokeu bunseokeul jeokyonghan gungnae muyonghak yeongu bunya tamsaek” [Exploring Research Fields for Domestic Dance by Applying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PhD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2. 김경희 Kim, KyungHee [Gim, Gyeonghui]. 2017. “소매틱 움직임 교육/치료를 위한 기본 원리 연구 Somaetik umjigim gyoyuk/chirtoreul wihan gibbon wolli yeongu” [A Study of Principles for Somatic Movement Education/Therapy]. 『대한무용학회논문집 Daehan muyong hakhoi nonmunjip』[The Korean Journal of Dance] 75(1): 21-36.
    3. 김나영 Kim, NaYung [Gim, Nayeong]. (2012). “무용전공생의 스트레스에 의한 신체화 증상의 전공별 분류 [Muyong jeongongsaengui seuteureseue wihan sinchehwa jeungsangui jeongoingbyeolbunryu]” [Classification of Dance Major Students` Somatic Symptoms Caused by Stress]. 『대한무용학회논문집 [Daehan muyong hakhoe nonmunjip]』[The Korean Journal of Dance] 70(1): 23-38.
    4. 김나현 Kim, Nayeon [Gim, Nayeon]. 2022. “대학무용전공자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Daehak muyong jeongongjaui sinchejeok jagigaenyeomi muyongjisokuidoe michineun yeonghyang]” [A Study of How Physical Self-Concepts of Dance Majors Effect Continuous Performance of Dance]. 한양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MA thesis, Hanyang University].
    5. 김뉴하 Kim, New Ha [Gim, Nyuha]. [2021. “무용예술인의 신체관리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Muyong yesulinui sinche gwalliga sinche gwalliga sinchejeok jagihyoneunggame michineun hyogwa]” [Effects of Dance Artist's Body Management to Their Physical Self-Efficacy].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공연예술경영학과 공연예술경영전공 석사학위논문 [MA thesis, Sangmyung University].
    6. 김다래 Kim, Darae [Gim, Darae]. 2015.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별 상해 특성의 무용 역학적 질적 분석 : 전공별 상해원인, 상해다발동작구간과 상해부위, 상생 기전과의 관계 [Yesul godeunghakgyo muyong jeongongbyeol sanghae teukseongui muyong yeokhakjeok jiljeok bunseok: jeongong byeol sanghae wonin, sanghaedabal dongjak gugangwa sanghaebuwi” [A Qualitative Dance Biomechanics Analysis of Injury Characteristics by Arts High School Dance Major: Frequent Injury Motion Section by Cause of Injury & Major Relationship between Injury Part Injury Mechanism]. 이화여자대학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MA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7. 김상철 Kim, Sangchul [Gim, Sangcheol]. 2019. “상해를 경험한 무용수의 재활 성공사례 [Sanghaereul gyeongheomhan muyongsuui jaehwl seonggongsarye]” [A Case Study on Successful Rehabilitation of a Dancer Experiencing Injury]. 중앙대학교석사학위논문[MA thesis, Chung-Ang University].
    8. 김수경, 최성이 Kim, Sookyung, [Gim, Sugyeong] and Choi Sunglee [Choe Seongi]. 2003. “발레전공자와 한국무용전 공자의 발목관절 상해 유형에 관한 연구: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Balle jeongongjaewa Hanguk muyong jeongongjaui balmok gwanjeol sanghae yuhyeonge gwanhan yeongu]” [Study on Patterns of an Ankle Joint Injury of Ballet Majors and Korean Dance Majors: Centering on the Students of Secondary School]. 『한국무용과학회지 [Hanguk muyong gwahakhoeji]』[Offici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7: 11-22.
    9. 김영미, 이주하 Kim, youngmi [Gim, Yeongmi] and Lee, Jooha [Yi, Juha]. 2021. “무용전공대학생의 신체정렬교육에 관한 인식도 조사 [Muyong jeongong daehaksaengui sinche jeongryeol gyoyuke gwanhan insikdo josa]” [Dance Major Student's Survey on Level of Awareness of Body Alignment Education]. 『한국무 용학회지 [Hanguk muyong hakhoeji]』[The Korean Association of Dance] 20(4): 27-36.
    10. 김예지, 김경희, Kim, Yeji [Gim, Yeji] and Kim Kyunghee [Gim Gyeonghui]. 2019. “Mentastic의 움직임 원리가 무용수들의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 고찰 [Mentasticui umjikim wolliga muyongsudeului seuteureseu haesoe michineun yeonghyang gochal]” [The Influence of Mentastics® on the Ballet Dancers' Stress Relief]. 『무용예술학연구 [Muyong yeseulhak yeongu] 』[The Korean Journal of ART Studies] 76(4): 15-35.
    11. 김은정 Kim, Eunjung [Gim, Eunjeong] . 2003. “무용수들의 무용참가와 상해에 관한 연구 [Muyongsudeului muyong chamgawa sanghaee gwanhan yeongu]”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in Dancing and the Dancing Injury of Dancers]. 『대한무용학회논문집 [Daehan muyong hakhoe nonmunjip]』[The Korean Journal of Dance] 36: 185-200
    12. 김정숙 Kim, Jungsuk [Gim, Jeongsuk]. 2007. “무용수의 신체적 자기지각과 자기효능감 분석 [Muyongsuui sinchejeok jagigakgwa jagihyoneunggam bunseok]” [The Analysis of Physical Self-Perception & Self-Efficacy in Dancers]. 『무용예술학연구 [Muyong teseulhak yeongu] 』[The Journal of Dance Studies] 21: 19-33.
    13. 김지영, 박진희 Kim, Jiyoung [Gim, Jiyeong] and Park Jinhee [Bak Jinhui]. 2007. “무용전공자의 신체이미지 형성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Muyong jeongongjaui sinche imiji hyeongseonggwajeonge gwanhan geungeo ironjeok bunseok]” [Grounded-theory Analysis for the Process of Body Image Formation of People who Major in Dance]. 『대한무용학회논문집 [Daehan muyonghak hoeji nonmunjip]』[The Korean Journal of Dance] 51: 63-82.
    14. 김하연, 서대호 Kim, Hayeon [Gim Hayeon] and Seo Daeho. 2020.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외 현대무용 연구 트렌드 변화 분석 [Tekseuteu mainingeul hwalyonghan hyeondae muyong yeongu teurendeu byeonhwa bunseok]” [Analysis on the International Contemporary Dance Research Trend Using Text Mining]. 『예술교육연구 [Yesil gyoyuk yeongu] 』[Korean Journal of Arts Education] 18(1): 171-192.
    15. 김향선, 임학선, Kim, Hyangsun [Gim Hyangseon] and Lim Haksun [Im Hakseon]. 2008. “한국무용 전공 여고생들의 대퇴후부근(슬건근) 상해에 관한 연구 [Han-guk muyong jeon-gong yeogosaengdeului daetoe hubogeun (seulgeongeun) sanghaee gwanhan yeon-gu]” [A Study on the Hamstring Injuries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who Specialize in Korean Dance]. 『한국무용과학회지 [Hanguk muyonggwa hakhoeji]』[Offici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16: 1-15. uci: G704-001735.2008..16.005.
    16. 노정식, 홍혜전 Noh, Jeongsik [No, Jeongsik] and Hong Hyejeon. 2011.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가 완벽성향과 공연몰입에 미치는 영향 [Muyong jeongong daehaksaengui jagi gwalliga wanbyeok seonghyanggwa gongyeon gongyeon mulipe michineun yeonghya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Perfectionism and Flow of Dancers ]. 『한국무용과학회지 [Hanguk muyong gwahakhoeji]』[Offici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24: 1-18.
    17. 민요한, 김지영, 박옥남 Min, Yohan, Kim Giyoung [Gim Giyeong] and Park Oknam [Bak Oknam]. 2021. “토픽모델링 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연구 경향 분석 [Topik modellinggwa kiwodeu neteuwokeu bunseokeul hwalyonghan ‵munhwa kontencheu′ yeongu gyeonghyang bunseok]” [The Trend Analysis of ‘Cultural Contents’ Research Using Topic Model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사회과학연구 [Sahoe gwahak yeongu] 』[Journal of the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32(2): 113-131.
    18. 박근태 Park, Geuntae [Bak, Geuntae]. 2020.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감정이입능력이 무용정서 및 무용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Hyeondae muyong jeongong daehaksaenhui gamjeong iip neungryeoki muyongjeongseo mit muyong pyohyeongryeoke michineun yeonghyang]” [The Effects of Empathy Ability on Dance Emotion and Dance Expression of Modern Dance Major]. 『무용역사기록학 [Muyong yeoksa girokhak]』[Asian Dance Journal] 56: 97-116.
    19. 소오뢰 So, Oroe. 2021.. “한국과 중국의 무용전공대학생 신체훈련 적용을 위한 필라테스 연구동향 분석 [Hangukgwa Junggukui muyong jeongong daehaksaeng sinchehulleon jeokyongeul wihan pillateseu yeongu donghyang bunseok]” [Analysis on the Trend of Researches on Pilates for Applying Physical Training to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한국무용과학회지 [Hanguk miyong gwahak hoeji]』[Offici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38(2): 13-28. uci:I410-ECN-0102-2022-600-000528681.
    20. 신혜연 Shin, Hyeyeon [Sin, Hyeyeon]. 2019.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의 신체이미지와 경쟁 상태불안의 관계 [Yesul godeunghakgyo muyong jeongong haksaengui sinche imijiwa gyeongjaeng sangtae bulanui gwang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body image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in Art High Schools 수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 [MA thesis, Suwon University].
    21. 안진주 Ahn, Jinjoo [An, Jinju]. 2014.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신체관리 및 무용수행 만족의 관계성 연구 [Muyong jeongong daehaksaengui sinche imijiwa sinche gwalli mit muyong suhaeng manjokui gwangyeseong yeongu]” [A Study on Relationships of Physical Image, Physical Management, and Dance Performanc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MA thesis, Sejong University].
    22. 양유나, 전순희 Yang, Yuna and Jeon Soonhee [Jeon Sunhui]. 2017. “무용 신체 및 외모 관련국내 연구동향 분석 [Muyong sinch emit oemo gwallyeon gungnae yeongu donghyang bunseok]” [The Study on the Domestic(Korea) Research Trend Analysis of Dance Related Body and Appearance]. 『한국무용연 구 [Hanguk muyong yeongu] 』[Journal of Korean Dance] 35(4): 229-249.
    23. 염다솔 Yum, Dasol [Yeom, Dasol]. 2019. “무용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체형불안이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Muyong jeongong daehaksaengui sahoejeok chehyeong bulani sinchejeok jagi hyoneunggam mit gongyeong jasingame michineun yeonghyang]” [The Effects of Social Physique Anxiety on Physical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단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MA thesis, Dankook University].
    24. 윤완영 Yun, Wanyeong. 2013. “발레무용수와 일반여대생의 Q-angle 분석을 통한 상해 예방 제안 [balle muyongsuwa ilban yeodaesaengui Qangle bunseokeul tonghan sanghae sanghae yebang jean]” [The Analysis of Q-angle in Ballet Professional Dancer and You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한국무용과학회 [Hanguk muyong gwahakhoe]』[Korean Society Dance Science] 30(2): 103-113.
    25. 이성진 Lee, Seongjin [Yi, Seongjin]. 2005. “무용전공 여고생들의 상해형태 및 원인에 관한 연구 [Muyong jeongong yeogosaengdeului sanghae hyeongtae mit wonine gwanhan yeongu]” [(A) Study on Injury Types and Cause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 who Major in a Dance].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MA thesis, Wonkwang University].
    26. 이애덕 Lee, Aedeok [Yi, Aedeok]. 2004. “무용 전공에 따른 하지 변형에 관한 연구 [Muyong jeongonge ttareun haji byeonhyeonge gwanhan yeongu]” [A Comparison on the Lower Extremity Deformities among Different Types of Dance Major].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7. 이양출, 박인실 Lee, Yangchul [Yi Yangchul] and Pack Insil [Bak Insil]. 2007. “현대무용 전공자의 신체이미지에 관한 문화기술 연구 [Hyeondae muyong jeongongjaui sinche imijie gwanhan munhwagisul yeongu]” [Ethnographical Analysis on Modern Dance Majors Body Image]. 『한국여성체육학회 [Hanguk yeonseong cheyuk hakhoe]』[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Women] 21(3): 75-86.
    28. 이은진 Lee, Eunjin [Yi, Eunjin]. 2009. “무용 전공별 동작 유형에 따른 무용 외상 요인에 관한 연구 [Muyong jeongongbyeol dongjak yuhyeonge ttareun muyong oesang yoine gwanhan yeongu]” [A Study on Dance Trauma Factors According to Movement Types by Dance Major].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MA thesis, Sejong University].
    29. 이지현 Lee, Jihyeon [Yi, Jihyeon]. 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공연예술의 온라인 전략에 관한 실증적 연구: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Textom과 Ucinet을 활용하여 [Poseuteu korona sidae gongyeon yesului onrain jeollyake gwanhan siljeungjeok yeongu: bikdeiteo bunseok siseutem Textomgwa Ucineteul hwalyonghayeo]” [An Empirical Study on the Online Strategy of Performing Arts in the Post-Corona Era: Using Big Data Analysis Systems Textom and Ucinet].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hD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30. 이해준, 최진실 Lee, Haejun [Yi, Haejin] and Choi Jinsil [Choe Jinsil]. 2017. “무용전공대학생이 인지하는 ‘나’: 자아정체성의 탐색 [Muyong jeongong daehaksaengi injihaneun ‘an’: jaa jeongcheseongui tamsaek]” [An Exploration on the Self-Identity of Dance-Majored College Students]. 『한국체육학회 [Hanguk cheyuk hakhoe]』[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56(1): 633-644.
    31. 전미애 Jeon, Miae. 2019. “대학무용 전공생의 신체적 자기지각이 정서지능 및 사회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Daehak muyong jeongongsaengui sinchejeok jagijigki jeongseojineung mit sahoejeok taedoe michineun yeonghyang]” [The Influence of Physical Self-Perception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Attitude of College Dance Students]. 『대한무용학회 [Daehan muyong hakhoe]』[The Korean Society of Dance] 77(4): 255-272.
    32. 전민수,임효성 Jeon, Minsu and Im Hyoseong. 2021. “태권도 뉴스기사의 연도별 주제어 비교분석: 토픽모델링 적용 [Taegwondo nyuseu gisaui yeondobyeol jujeeo bigyo bunseok: topik modelling]”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eywords in Taekwondo News Articles by Year: Applying Topic Modeling Method]. 『디지털융복합연구 [Dijiteol yungbokhap yeongu]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9(11): 575-583.
    33. 정유진 Jeong, Yujin. 2020. “무용전공고등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자기관리가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 [Muyong jeongong godeung haksaengui sinche imijiwa jagi gwalliga seopsiktaedoe michineun yeonghyang]” [The Effects of Body Image of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on Self-Management and Feeding Attitude]. 『한국무용과학회 [Hanguk muyong gwahak hoeji]』[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37(2): 33-46.
    34. 최성이 Choi, Seongi [Choe, Seongi]. 1995. “발레무용수의 족관절 상해 유형에 관한 연구 [Balle muyong[Balle muyongsuui jokgwanjeol sanghae yuhyeonge gwanhan yeongu]” [A Study on the Types of Foot and Ankle Injuries in Ballet Dancers]. 『대한무용학회 [Daehan muyong hakhoe]』[The Korean Society of Dance] 18: 255-266. uci: I410-ECN-0102-2009-680-007423592.
    35. 최현서 Choi, Hyeonseo [Choe, Hyeonseo]. 2020.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지각이 무용몰입과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Muyong jeongong daehaksaengui sinchejeok jagijigaki muyong mulipgwa jagi gwallie michineun yeonghyang]” [The Effects of Physical Self-Perception of Dance College Students on Dance Flow and Self-Management].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MA thesis, Sejong University].
    36. 현보람, 김경식 Hyeon, Boram and Kim Gyeongsik [Gim Gyeongsik]. 2022. “사회연결망 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한국 무용학의 연구동향 규명 [Sahoe yeongheolmang buseok mit topik modellingeul hwalyonghan Hanguk muyonghakui yeongu donghyang gyumyeong]” [Investigating Research Trends in Korean Dance Studie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현대사회와 안전문화 [Hyeondae sahoewa anjeonmunhwa]』[Modern Society and Safety Culture] 5(3): 282-299.
    37. 현임숙 Hyeon, Imsuk. 2021.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의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몸 관리행동 간의 인과관계 – 성별 조절효과 중심으로 [Yesul godeunghakgyo muyong jeongong haksaengui gaekchehwadoen sincheuisikgwa mom gwalli haengdong ganui ingwagwangyeseongbyeol jojeolhyogwa jungsimeuro]” [Gender as a Moderator Variabl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Body Shaping Behaviour of High School Dance Majors].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hD Dissertation, Kyungnam University].
    38. 홍영준, 장덕선 Hong, Yeongjun and Jang, Deokseon. 2015. “인문, 사회과학편: 투기종목 선수 부상 심리 및 대처방안 유형 탐색 [Inmun, sahoegwahakpyeon: tugijongmok seonsu busang simni mit daecheobangan yuhyeong tamsaek]” [Characteristics of Combat Sports Athletes` Injury Psychology and Coping Strategies]. 『한국체육학회 [Hanguk cheyukhakhoe]』[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54(4): 189-202.
    39. 황영아, 김지원, 송영수 Hwang, Youngah [Hwang, Yeonga], Kim Jiwon [Gim Jiwon] and Song Youngsoo [Song Yeongsu]. 2017. “국내 감성지능 연구동향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의 활용 [Gungnae gamseongjineung yeongu donghyang bunseok: kiwodeu neteuwokeu bunseokui hwalyong]” [Explor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Research Trend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한국기업교육학회 [Hanguk gieop gyoyuk hakhoe]』[Korean Societ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19(2): 129-157.
    40. Goodwin, Huw Jon Arcelus, Nicole Geach & Caroline Meyer. 2014. “Perfectionism and Eating Psychopathology Among Dancers: The Role of High Standards and Self-criticism.” European Eating Disorders Review, 22(5): 346-351.
    41. Penniment, Kylie J. & Sarah J. Egan. 2012. “Perfectionism and Learning Experiences in Dance Class as Risk Factors for Eating Disorders in Dancers.” European Eating Disorders Review, 20(1): 13-22.
    42. Sööt, Anu & Ele Viskus. 2014. “Teaching Dance in the 21st Century: A Literature Review” The European Journal of Social & Behavioral Sciences, 7(4): 624-640.
    43. Tao, Zhuoli., & Yuhan Sun. 2015. “Eating Attitudes, Weight Control Behaviors and Risk Factors for Eating Disorders among Chinese Female Dance Students.” The European Journal of Psychiatry, 29(4): 249-258.

    저자소개

    Footnote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