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pISSN: 2383-5214 /eISSN: 2733-4279

HOME E-SUBMISSION SITEMAP CONTACT US

Journal Detail

Journal Detail

Export Citation Download PDF PMC Previewer
Possibility of Korean Dance Training Method Using Terminology 춤사위 용어를 활용한 한국춤 훈련 메소드 가능성 모색 배정혜 한국춤 훈련 메소드 활용법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Asian Dance Journal Vol.74 No. pp.67-84
DOI : https://doi.org/10.26861/sddh.2024.74.67

Possibility of Korean Dance Training Method Using Terminology

Kim Hyang*
*Teacher, Mokil Middle school
* Kim Hyang sooa1105@gmail.com
July 20, 2024 August 24, 2024 September 30, 2024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ecessity of training methods in performing traditional Korean dances and suggests a possibility of using them. To this end, Bae Junghye's Korean dance training method was used to describe and analyze traditional dance movements. Bae Junghye’s method can be utilized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t helps dancers practice and strengthen movements during their training. Second, it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movement expression. Third, it can be used for basic exercises before performing a dance. Fourth, systematic training of movements is possible through Bae Junghye’s Korean dance method.



춤사위 용어를 활용한 한국춤 훈련 메소드 가능성 모색
배정혜 한국춤 훈련 메소드 활용법

김향*
*목일중학교 강사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개성을 가진 전통춤을 수행할 때 필요한 훈련법을 모색하고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춤사위 용어를 중심으로 배정혜 한국 춤 훈련 메소드를 적용하여 동작을 설명하고 분석하였다. 배정혜 한국춤 훈련 메소드의 활용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춤동작을 훈련할 때 동작을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고 동작을 강화할 수 있다. 둘째, 동작 표현의 목적에 따라 훈련법을 선택하여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셋째, 춤을 실행하기 전 기초연습으로 한국춤 훈련 메소드를 활용할 수 있다. 넷째, 한국춤 훈련 메소드를 통하여 동작의 체계적인 훈련이 가능하다.



    Ⅰ. 서 론

    한국 전통춤은 춤꾼의 독창적인 능력에 의해 발생하고 보존되기 때문에 춤 형태에 있어 서 다양함을 가지고 있다. 춤의 발생시기와 형성과정, 장단의 다양성 등으로 하나의 개념 으로 정리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어 원형을 그대로 전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이순화, 안병순 2019, 123). 전통춤은 1962년 문화재 보호법이 시행됨으로 전수활동이 활성화되고 대중적으로 인지도가 높고 좋은 춤으로 평가받는 춤들이 제도적으로 뒷받침되며 전수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6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전통춤은 춤계와 대중에게 인정받으 며 지속적으로 전수활동을 이어나가고 있고 교육현장이나 무대에서 레파토리화되어 그 활 용이 확대되고 있다. 무용인이 다양한 전통춤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가 증대된 것은 고무 적인 현상이나, 교육 현장이나 무대에서 춤을 수행하기 위한 훈련법이 체계화되지 않아 전통춤의 특성인 춤 선생의 개성과 각 춤의 독특성을 표현하며 수행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전문 분야로 갈수록 무용수는 춤의 집중적 연마가 필요하고 전문 무용인으로서 공연 활 동을 하기 위하여 무대적 요구사항과 표현을 전달하기 위해 몸을 훈련하여야 한다. 외국의 발레나 컨템포러리 댄스의 경우 훈련체계가 잘 되어 있어 몸을 단련하는 것이 익숙하다(이 은주 1999, 188). 이에 비하여 전통춤은 춤 선생의 개성이 강하여 오랜 기간 반복 연습을 통하여 습득할 수 있기 때문에 몸이 숙달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체득이 까다로우며 (이용희 2016, 115) 춤별로 각각 습득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전의 전통춤 교육과정 에서 수련자는 춤 선생과 오랜 시간을 보내며 생활 속에서 체득하듯이 배웠다면 현재는 학교 교육이라는 공적 교육제도의 도입으로 전수 환경이 변화했기 때문에 춤 연마에 효율 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통일된 훈련법이 필요하다.

    훈련법으로 춤을 잘 표현하기 위하여 적절하게 몸을 풀 수 있고 동작에 필요한 에너지와 근력, 심리적 안정감을 확보할 수 있다. 합리적인 훈련체계를 잘 갖추고 있는 발레나 컨템 포러리 댄스처럼 전통춤 또한 춤의 다양성을 포괄할 수 있는 전통춤 훈련법이 필요하고, 이는 보존, 전수 활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이미영(2009)은 전통춤의 우연성과 즉흥성을 몸에 체화하기 위하여 살풀이춤 4종류의 몸체 특성을 분석하였다. 임학선(2002) 은 춤사위의 내적 흐름을 분석한 호흡표기법을 연구 및 개발하여 다양한 춤에 적용하는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민애, 이해준(2017)은 라반움직임분석을 연구 도구로 활용하여 배정혜 한국춤 훈련 메소드 하체호흡법 12가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같 이 전통춤 훈련과 습득 방법을 위하여 춤사위 구조를 분석하고 표기법을 개발하여 보존과 교육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며 전통춤의 특징적인 요소를 찾고자 하는 시도는 지속되었 다. 그러나 교육이나 공연 현장에서 춤을 수행할 때 전통춤의 다양성을 표현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훈련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전통춤을 위한 기본 훈련법을 제시한 인물 중 하나는 배정혜 (1944~)이다. 그는 특히 기본 훈련법을 구축하는데 있어 호흡법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이 를 위하여 춤사위 용어를 활용하였다. 한국춤 훈련 메소드라 칭하는 이 훈련법은 무용수의 몸을 훈련하는데 전통춤의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의식화 훈련으로 모든 표현을 가능하도 록 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하체호흡법 12가지와 상체 훈련법 12가지로서 배정혜(2004) 는 이 두 가지 훈련법이 무용수가 동작 수행의 필요에 의해서 조합하여 훈련할 수 있다고 하였다(배정혜 2004, 2; 18). 본 연구는 한국 전통춤 환경에 주목할 만한 영향을 끼친 배정 혜의 기본 훈련 메소드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배정혜의 2004년 저서에 나타난 춤사위 용어와 호흡법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춤사위 용어는 춤의 동작소를 연결할 수 있는 또는 핵심적 동작을 설명하는 도구로써 활용된다. 동작을 세분화하여 이름을 붙인 춤사위 용어는 춤의 보존, 전수를 용이하게 하고 교육, 연습 및 훈련에 적용할 수 있는 좋은 소재가 된다. 배정혜(2004)는 춤사위 용어가 움직임의 이미지를 찾아서 그 근본을 설명해 줌으로 교육현장에서 소통이 가능해지고 움직임 의 근거를 통하여 전통춤의 올바른 계승이 가능할 것이라고 하였다(2004, 3; 6). 그는 저서에 서 12개의 자료(박금슬, 허순선, 서희주, 김옥진, 최정자, 정승희, 김영희, 김근희, 장사훈, 정병호, 문화재연구소, 이용구, 손경순 등의 저서)에서 공통적인 춤사위 용어를 추출하여 정리하였다. 그는 자연스러운 흐름에서 발생한 전통춤은 신체의 구조적 테크닉에서 약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전통춤에 맞는 훈련법이 필요하고 한국춤 훈련 메소드는 전통춤을 수행 하기 위하여 고안한 훈련법이라고 밝혔다(배정혜 2004, 2; 17).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전통춤의 훈련법 기초를 정립하고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춤사위 용어를 중심으로 훈련법을 분석하고자 한다. 춤사위 용어로는 배정혜가 정리한 춤사위 용어를 대상으로 하고, 한국춤 훈련 메소드로 적용하기 위하여 춤사위 용어 중 한국춤 훈련 메소드로 정리한 내용을 대입함 으로써 춤사위 동작을 수행할 때 필요한 방법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사전적 의미가 아니고 본 연 구에서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용어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 ① 전통춤: 지정 및 비지정 무형유산으로서 보존되어 전수되는 한국춤을 이르는 단어로 서 몇몇 경우를 제외하고 ‘전통춤’을 주로 사용하고자 한다.

    • ② 춤 선생: 춤 보유자, 교육자 등 춤을 가르치는 모든 춤 전문인을 의미한다.

    • ③ 한국춤 훈련 메소드: 한국춤 또는 전통춤을 잘 추기 위해 배정혜가 고안한 훈련법으 로 ‘배정혜 한국춤 훈련 메소드’의 약칭이다. 배정혜는 ‘바기본’이라고 명하였지만 본 연구 에서는 명칭의 정확성을 위하여 ‘배정혜 한국춤 훈련 메소드’ 라고 명하기로 한다. 하체호 흡법 12가지, 상체훈련법 12가지로 총 24개의 훈련법이 있다.

    Ⅱ. 본론

    1. 전통 춤사위 용어

    춤사위 용어는 동작을 세분화한 보편적인 춤 동작 이름으로 사회적 약속하에 정해진 동작소 라고 할 수 있다. 용어란 한 분야에서 통용하기로 하는 약속된 언어로서 의도된 습득을 통하여 소통할 수 있다(이유진 2009, 67). 동작소가 모여 춤이 이루어지듯이(김미자 2017, 22) 동작소를 이해함으로써 춤의 이해를 높일 수 있고, 춤사위 용어는 동작의 이미지를 담고 있기때문에 언어로 전달하기 힘든 동작을 용어로서 전달이 가능하다(배정혜 2004, 3: 6). 춤의 개성 및 특성을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하여 여러 연구를 통하여 춤사위 용어의 기준이 제시되기도 하지만 실제적인 교육현장에 한정적으로 통용되고 있다(정 단비 2021, 3). 용어가 다양한 춤을 포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궁중정재의 경우 문헌을 통하여 용어가 통용되고 전수되며 실제 교육 및 전수현장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궁중정재라는 특수성 때문에 전반적인 전통춤 용어로 활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즉, 궁중정재와 민속춤, 창작춤 등을 포괄할 수 있고,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통합적 용어가 필요하다.

    2. 한국춤 훈련법

    한국춤 훈련법은 전통춤의 특징인 호흡과 중요한 연관성이 있다.

    1) 전통춤 호흡과 훈련

    전통춤의 특징인 정중동은 호흡의 흐름으로 나타낼 수 있고 외국춤과 비교하여 차별된 한국춤의 독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정선혜 2010, 252). 인간은 일상생활 속에서 매 순간 무의식적인 생리적 현상의 호흡을 하지만 춤을 출 때는 숨을 쉬는 생리적 현상의 호흡을 하지는 않는다. 때로는 느리고, 강하게 등 다양하게 변화하는 리듬호흡을 하게 된다(임학 선 2002, 2). 전통춤은 테크닉을 표현하거나 스토리텔링 형식의 춤이라기보다 내면세계를 표현하는 춤이 많고 내적인 흐름과 감정선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동작은 빠르기보다는 느린 부분이 많아 몸체를 통하여 흐르고 내재하는 호흡을 중요시하게 되는 것이다. ‘들숨, 날숨’ 등으로 호흡의 흐름을 말하며 호흡을 맺고 푸는 행위를 통하여 내재 된 흥과 신명을 표현하고 무용수는 맺고 푸는 양과 시간적 길이에 의해 원하는 감정을 표 현한다(정혜진 2016, 185). 따라서 전통춤을 훈련하기 위하여 호흡을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훈련 방법이 필요하고(임학선 2000, 1) 호흡을 세밀하게 분석함으로 몸으로 체화 할 수 있다. 이혜경은 한국춤의 표현이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흡의 기법 훈련 모형 연구를 통하여 동작의 호흡면, 기교면, 예술면, 숙련도에서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2010, 8). 이와 같이 몸체에 흐르고 있는 호흡의 운용에 따라 춤의 개성이 드러나게 되고 전통춤은 맺고 풂의 운용, 즉 호흡의 운용이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2) 춤사위 용어와 한국춤 훈련 메소드의 활용

    춤은 중력을 지탱하고 있는 발의 활용과 움직임이 중요하다. 춤 선생은 전통춤에 있어서 발디딤이 중요하다고 전수 현장에서 강조한다. 이유진(2009)은 한국춤의 디딤은 신명적 표 현으로 호흡의 운영에 근거한 동작이며, 한국춤의 움직임과 미를 추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귀인, 정철수(2007)는 한국춤의 상체동작은 하체 굴신에 의해 완성도를 높 일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한국춤 훈련 메소드는 하체와 상체의 움직 임에 있어서 상체 움직임은 하체와 맞물려 이루어지기 때문에 춤 동작의 기초가 되는 하체 의 활용을 강조한다(배정혜 2004, 46; 78). 한국춤 훈련 메소드는 ‘하체 호흡법’ 12가지와 상체 훈련법 12가지로 분류한다.

    <표 1> 은 한국춤 훈련 메소드의 전체 훈련법으로 하체호흡법과 상체훈련법을 합한 총 24가지 훈련법이다(배정혜 2004, 2; 44-45; 76-77).

    표 1

    한국춤 훈련 메소드 (Korean dance training method)

    하체 호흡법 12가지 상체 훈련법 12가지
    굽힘 호흡, 발놀림 호흡, 돌려짚기 호흡, 족두치기 호흡, 눌 러짚기 호흡, 한발나가기 호흡, 밀기 호흡, 당기기 호흡, 올리기 호흡, 엎어치기 호흡, 물긷기 호흡, 막음 호흡 양팔밀뜸체형, 앞밀뜸체형, 받듬체형, 께끼형 멜체형, 학체 형, 감체형, 올려감체형, 궁체형, 머리궁체형, 엎어궁체형, 사선나래체형, 태극체형

    배정혜(2004)는 춤사위 용어가 교육현장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배정혜 2004, 3; 6) 12개의 자료(박금슬, 허순선, 서희주, 김옥진, 최정자, 정승희, 김영희, 김근희, 장사훈, 정병호, 문화재연구 소, 이용구, 손경순 등의 저서)에서 춤사위 용어 중 공통적인 부분을 추출하여 정리하였다. 그 중 한국춤 훈련 메소드를 대입하여 설명한 춤사위 용어만을 정리하면 <표 2>와 같다.

    표 2

    춤사위 용어 ((Korean) dance terminology)

    순번 용어풀이 배정혜 (바기본에 서 이용) 박금슬 춤동작 허순선 한국 전통 춤사위 서희주 한국 무용 호흡법과 용어해설 김옥진, 최정자, 정승희
    한국무용 춤사위/ 무용이론과 춤추기
    김영희 호흡기본 김근희
    곡선의 미학과 우리춤
    장사훈 한국무용
    개론
    정병호
    한국의 민속춤
    한국의 전통춤
    한국춤
    문화재 연구소
    무무(巫無)
    정병호
    농악
    한국문화 예술진흥원 (정병호)
    춤사위
    국립국악원 (이용구, 손경순)
    조선궁중 무용
    궁중무용 (무보)
    1 丁자도 아니고 八자도 아닌 자세로서 준비자세이면서 중심을 잡기 위한 자세 원자세 (바기본에 서 이용) 원자세 원자세 으뜸체 (모듬체) 비정비팔 比丁比八 정족착 丁足捉 팔합족착 八合足捉 (나비춤) 원자세(입 춤)(比丁)
    2 뒤축으로 딛어 나가는 동작 디딤세 (바기본에 서 이용) 디딤세 디딤체 디딤새 딛기(뒤꿈 치 딛기) 디딤체 디딤 딛음/비정 비팔(승무)/ 좌우걸이 부정놀이 딛음딛기 평진 平進 (궁중무용)/ 부정놀이 딛음/드딤 세(입춤)/ 비정비팔 (승무) 무도 舞韜(문무)/ 평진 平進 (처용무)/ 족도 足韜, 향섭족도, 탑탑고 비금사 (춘앵전) 비리 연귀소
    3 뒤꿈치를 들어 발꿈치로 솟는 동작 도듬세 (바기본에 서 이용) 도듬세 돋음세 돋음새 돋음 세딛기(앞 꿈치딛기) 돋음체 돋음세 발모아 뒤꿈치 올리기 돋음 도듬세 (입춤)
    4 무릎을 굽히는 동작 굽힘 (바기본에 서 이용) 굽힘 무릎굽힘체 굽힘 무릎굽히기 무릎굽힘체 굽힘 굽힘 무릎굽히기 굽힘
    5 성큼 뛰는 듯이 건너는 모습 한발나가기 건넌발 건넘체 건넌발 성큼걸음 건넌발 성큼걸음 성큼걸음
    6 발을 받쳐 들어 올리는 동작 발바치 발바치 발받침체 발바치 발들기 발받침체 한발들기 한발들기/ 안가랑 (살풀이) 한발들기 한발들기 한발들기 (승무)/다리 들기(탈춤, 무당춤)/발 바치(입춤)/ 안가랑 (살풀이)
    7 발뒤축으로 땅을 치는 동작 족두치기 족두치기 발구름체 족두치기 발구름체 차는 사위
    8 춤을 추기 위한 준비로 팔을 단전으로 끌어 감는 사위 인체 인체 인체 인체 허리감기 허리감기 감기 감시/배치 기(탈춤) 수양수 오방무 (처용무)/인체(입춤) 수양수 오방무 (처용무)
    9 양팔을 앞으로 나란히 들어 올린 사위 앞밀듬체 서수 팔서체 서수 수직올림체 양팔 앞으로 들기 팔 올리기 (승무) 서수(입춤)/ 팔 올리기 (승무)/추 전 推前 (궁중무용) 추전 推前(문무)/ 대수 擡袖 (춘앵전)
    10 양팔을 머리 위로 들어 올린 사위(팔을 귀 앞으로 들 때) 받듬체 팔수 팔팔체 팔수 양수상거 兩手上擧 엇수직 올림체 양팔 위로들기 팔 올리기 (승무) 팔수착 八手捉(나 비춤)/팔수 (입춤)/팔 올리기 (승무) 팔수무 八手舞 (춘앵전)/ 수수쌍불 垂水雙拂
    11 양팔을 일직선이 되도록 들어 올린 사위 양팔밀듬체 사수-팔이 밑에서 올라가는 과정 사수- 양팔이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과정 팔 펴들기/ 양수평거수 兩手平擧手 수평올림체 좌우수동작 左右手動作 활개펴기/ 일자펴기 (승무) 바람막이/ 일자펴기 비나비상 (나비춤)/ 좌우수선거 (나비춤, 입춤)/일자 펴기/바람 막이(무속, 승무)/개수 開袖, 하견 菏肩(궁중 무용) 하견 菏肩(문무)/ 무작 舞作, 개수 開袖/ 외거 外擧(문무)
    12 오른쪽(외)(또는 왼쪽(내))으로 틀어서 굽혀 내딛는 동작, 양팔을 들어 올려 틀어서 굽혀 내디딜 때 오른팔 성주, 왼팔 뒷짐 지는 사위 돌려짚기 외전 굽힘 (외전세) 외전 굽힘 (외전세) 외전 굽힘(입춤) 외족 外足 (궁중무용)
    13 어깨에 어떤 물건을 메는 동작같이 손끝이 위로 향하게 해서 어깨 위로 멘다 멜체 멜체 멜체 멜체 올려 멘 사위 팔잔꺽음체 감시 울러 멘 사위(탈춤)/ 메기 메기 멜체(입춤)/ 메기(무속)/ 좌(우)거수 擧手/ 대수 (궁중무용) 좌(우)거수 (처용무)/ 대수 擡袖 불화렴 彿花簾 (궁중무용)
    14 한팔은 위, 다른팔은 아래로 비껴 든 사위 사선나래체 기러기체 팔엇팔체 기러기체 앞뒤 비껴들기/ 엇사선체 엇사선체 (기러기체) 앞, 뒤 비껴 펴든 사위 비스듬히 펴기(승무) 비스듬히 펴기(승무)/ 사직지 斜直指 (궁중무용) 사직지 斜直指 (문무)/추 비(무무)- 한손
    15 팔뚝을 꺽는 동작 께끼 께끼 팔 꺽음체 께끼 꺾기 꺾음체 꺾기 깨끼리 깨기리 (탈춤)/ 활개꺽기 깨끼리 (탈춤) 도수아 䄻袖兒 (궁중무용)/ 께끼(입춤)/ 께끼리(탈 춤)/절견 折肩 (궁중무용) 절견 折肩(문무)/ 도수아 挑袖兒 (춘앵전)
    16 팔을 위, 아래, 앞, 뒤, 옆에서 둥글게 활을 당기듯이 만드는 사위 궁체 활체 활체 활체 활체/굽혀 들기 팔큰 꺾음체 활체
    17 머리위에서 돌리는 동작 머리 궁체 앞머리 사위/ 퇴머리 사위/머리 사위 (겹사위) 머리 사위 앞머리 사위/ 퇴머리 사위/머리 사위 (겹사위) 머리위 감기/머리 사위 머리사위 머리사위 외사위/합 사위/양사 위/공 그르는 사위 비빔무관/ 상모놀음/ 활사위 비빔무관
    18 허리를 굽히고 팔을 뒤로 뻗쳐 든 채 걸어 모이를 쪼아 먹는 시늉을 하는 사위 학체 학조개체 학다리체 학조개체 학체 학조개체 학체 학체 굽힘(입춤)
    19 벌려 있는 장삼을 몸앞으로 모으고 그것을 조용히 머리 위로 올려 뒤로 뿌려 넘기는 사위 엎어 퍼 넘기기 **1)엎어 치기 퍼넘기기 퍼넘기기
    20 장삼, 쾌자자락을 가지고 추는 것, 두손을 몸 앞(가슴)에서 8자로 휘돌려 윤선(輪線)을 만드는 사위 태극체 8자로 휘돌리기 (무속) 8자로 휘돌리기 8자로 휘돌리기 (무속)

    1) 하체 호흡법 10번 엎어치기 호흡과 동일함

    <표 3>은 <표 2>의 한국춤 훈련 메소드 용어(배정혜 2004, 3; 26-105)와 한국춤 훈련 메소드의 세부 명칭(2004, 2; 44-95)을 대입하여 정리한 내용이다.

    표 3

    한국춤 훈련 메소드와 세부 명칭 (Korean dance training method and detailed appellation)

    순번 한국춤 훈련 메소드 한국춤 훈련 메소드 세부 명칭
    1 원자세 하체 호흡법(이하 하체) 1번 굽힘
    2 디딤세 하체 2번 발놀림
    3 도듬세 하체 1번 굽힘
    4 굽힘 하체 1번 굽힘
    5 한발나가기 하체 5번 한발나가기
    6 발바치 하체 1번 굽힘
    7 족두치기 하체 4번 족두치기
    8 인체 상체 6번 감체
    하체 7번 당기기
    9 앞밀듬체 상체 훈련법(이하 상체) 2번 앞밀체
    10 받듬체 상체 3번 받듬체
    11 양팔밀듬체 상체 1번 옆밀듬체
    12 돌려짚기 하체 3번 돌려짚기
    13 멜체 상체 4번 멜체
    14 사선나래체 상체 11번 사선나래체
    15 께끼 상체 4번 멜체-께끼
    16 궁체 상체 8번 궁체
    17 머리 궁체 상체 9번 머리궁체
    18 학체 상체 5번 학체
    19 엎어 퍼 넘기기 하체 10번 엎어치기
    20 태극체 상체 12번 태극체

    3) 한국춤 훈련 메소드 분석

    다음은 춤사위 용어의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살펴보기 위하여 <표 1>의 춤사위 용어 와 한국춤 훈련 메소드 용어를 대입하고 배정혜가 그의 저서에서 밝힌 훈련법에 대한 설명 을 정리하였다(배정혜 2004, 2; 44-95).

    (1) 원자세, 으뜸체(모듬체), 비정비팔比丁比八, 정족착 丁足捉, 팔합족착 八合足捉(나비춤)- 원자세

    하체호흡법 굽힘 호흡의 하나로 돋움체를 준비하기 위한 자세이다. 중심을 잡기 위한 자세로서 돋움체를 진행하기 전 몸체를 준비하는 자세이다.

    (2) 디딤세, 디딤체, 딛기(뒤꿈치 딛기), 디딤, 딛음, 비정비팔(승무), 좌우걸이, 부정놀이 딛음딛기, 평진 平進(궁중무용), 드딤세(입춤), 무도 舞韜(문무), 족도 足韜, 향섭족도, 탑탑고, 비금사, 비리, 연귀소- 디딤세

    디딤을 위한 훈련으로 발놀림 호흡이라고 한다. 이 훈련으로 디딤세를 바른 자세로 진행 할 수 있다. 이때 핵심은 디딘 축(중심 다리)의 호흡의 변화에 따라 나아가는 다리가 변하 는 것이다.

    (3) 돋음세, 돋음세딛기(앞꿈치딛기), 돋움체, 발모아 뒤꿈치 올리기- 돋음세

    굽힘 호흡 중 한가지로 원자세에서 굽힌 다음 발뒤꿈치를 들어 올리는 것이다. 이때 중 요한 부분은 뒤꿈치에 리듬이 들어가도록 올리는 것이다.

    (4) 굽힘, 무릎굽힘체, 무릎굽힘- 굽힘

    모든 움직임의 근본이 되는 동작이다. 춤과 춤 사이에 사용되는 호흡으로 다음 동작으로 가기 위한 틈의 활동을 의미하며 리듬과 리듬 사이에 호흡을 짚어 주면서 연결하는 것이다.

    (5) 건넌발, 건넘체, 성큼걸음- 한발나가기

    내적으로 몸이 떠서 전진하는 호흡을 의미한다. 하체 호흡이 받쳐져서 떠서 나가는 상태 이며 징검다리를 건너갈 때 호흡이 극대화되어 뜨는 것 같은 이미지를 설명한다.

    (6) 한발들기, 발받침체, 발들기, 발바치, 안가랑, 한발들기, 다리들기- 발바치

    굽힘 호흡 중 발바치 굽힘으로 받들기, 한발 들기 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디딘 다리가 받쳐져서 다른 쪽 발을 들어올려야 한다.

    (7) 족두치기, 발구름체, 차는 사위- 족두치기

    몸 마디의 관절에 힘을 주는 호흡으로 땅을 칠 때 사용하는 호흡을 동작에 적용한 것이 다. 한국춤의 박력있고 활달한 표현을 할 때 사용한다.

    (8) 인체, 허리감기, 감시, 배치기, 수수오방무- 인체

    팔을 단전으로 끌어 감기 때문에 한국춤 훈련 메소드에서 상체 호흡법 감체형을 의미한 다. 양팔로 몸을 감싸듯이 하는 동작으로 하체의 울림이 맞물리면서 감아지도록 한다.

    (9) 서수, 팔서체, 수직올림체, 팔올리기, 팔 올리기, 추전 推前, 대수擡袖- 앞밀듬체

    팔을 앞으로 드는 동작으로 한팔 또는 양팔을 든다. 이때 팔을 멀리 밀어서 드는 동작으 로 하체의 울림과 맞물려서 밀어 들도록 한다.

    (10) 팔수, 팔팔체, 양수상거兩手上擧, 엇수직 올림체, 양팔 위로 들기, 팔 올리기, 팔수착 八手捉, 팔수무 八手舞, 수수쌍불垂水雙拂- 받듬체

    하체와 상체가 맞물림으로 양팔을 밀어 들도록 한다. 하체가 받들어 줌으로써 양팔이 받듬체를 할 수 있다.

    (11) 사수, 팔 펴들기, 양수평거수 兩手平擧手, 수평올림체, 좌우수동작 左右手動作, 활개펴기, 일자펴기, 바람막이, 비나비상, 좌우수선거, 개수開袖, 하견菏肩, 하견菏肩, 무작 舞作, 외거外擧- 양팔밀듬체

    팔이 밑에서 위로 수평까지 올라가는 동작으로 역시 상체 사위의 주의점으로 하체와 상 체가 맞물려서 밀어져야 한다.

    (12) 외전굽힘, 외족外足- 돌려짚기

    외전이라고 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한발을 축으로 다른 발을 돌려 찍는 훈련이다. 돌려 짚기는 단전부를 조절하는 호흡 훈련법으로 움직임의 원활함, 방향, 중심 등을 조정가능하 도록 하고 상체 표현에 효과적이다.

    (13) 멜체, 올려 멘 사위, 팔잔꺽음체, 감시, 울러 멘 사위, 메기, 좌(우)거수擧手, 대수, 불화렴 彿花簾- 멜체

    올러 멘 사위, 거수, 대수 등으로 표현되는 동작으로 팔꿈치를 꺾는 동작을 의미한다. 한국춤 훈련 메소드에서는 등에 흥이 실린 상태에서 팔꿈치를 꺾어 메는 동작의 훈련이라 고 한다. 하체의 호흡과 맞물려서 밀어 들도록 한다.

    (14) 기러기체, 팔엇팔체, 앞뒤 비껴들기, 엇사선체, 앞, 뒤 비껴 펴 든 사위, 비스듬히 펴기, 사직지斜直 指, 사직지斜直指, 추비- 사선나래체

    기러기체, 사직지 등으로 설명하는 동작으로 팔을 사선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이다. 하체 의 울림과 맞물리면서 어깨가 사선이 되도록 들어 올려져야 한다.

    (15) 께끼, 꺽기, 팔꺽음체, 깨끼리, 도수아䄻袖兒, 절견折肩- 께끼

    이 동작은 팔을 꺾어 어깨에 메되 손등을 위로하여 들어 올리고 그대로 팔꿈치만 꺾어내 리는 동작이다. 호흡의 사용법은 멜체 호흡과 동일하다.

    (16) 활체, 팔큰 꺾음체- 궁체

    활체라고 하는 동작으로 궁체라고 칭한다. 팔꿈치를 궁들리는 동작으로 하체의 울림과 맞물리면서 상체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17) 머리사위, 앞머리 사위, 퇴머리 사위, 겹사위, 외사위, 합사위, 양사위, 공 그르는 사위, 비빔무관, 상모놀음, 활사위- 머리궁체

    머리사위, 머리 위 감기 등의 동작으로 팔을 머리 위에서 돌리는 동작이다. 어깨가 돌려 짐으로서 팔이 돌려지는 것이다.

    (18) 학체, 학조개체, 학다리체, 학체 굽힘- 학체

    학조개체, 학체 등으로 불리며 학이 날개를 펴듯이 팔을 뒤로 보내는 동작이다. 상체의 울림이 하체의 울림과 맞물리면서 밀어 들어져야 한다. 딛은 다리의 호흡의 양만큼 팔이 밀어진다.

    (19) 퍼넘기기- 엎어 퍼넘기기

    하체호흡법 엎어치기 호흡 훈련이다. 퍼넘기기 라고 하는 동작으로 몸을 곡선적 호흡으 로 유연하게 만들어 주는 호흡법으로 흥을 유발할 때 적용된다. 발바닥에서 엎어지는 호흡 을 만들도록 하여야 한다.

    (20) 8(팔)자로 휘돌리기- 태극체

    8자로 팔을 휘두르는 동작을 의미하며 한국춤 훈련 메소드는 태극의 모양을 이미지로 하여 태극체형이라고 한다. 양어깨가 태극으로 회전하며 하체 닫은 축과 맞물리면서 움직 여야 한다.

    춤사위 용어에 대한 설명을 살펴보면, (1),(2), (3), (4), (5), (6), (7) (12), (19)번의 용어 는 하체 호흡법으로 설명하고, (8), (9), (10), (11), (13), (14), (15), (16), (17), (18), (20) 번의 춤사위 용어는 상체 훈련법으로 설명하였다. 하체 호흡법은 딛은 축 즉, 중심 하체 호흡의 운용 방법에 주안점을 두었고, 상체 훈련법은 하체의 맞물림과 울림에 의해 이루어 지는 훈련임을 반복적으로 강조하며 상체 훈련법 또한 하체의 운용과 연결하여 수행하도 록 하였다. 이경화, 박기자, 김은정(2006)은 전문적인 무용수 훈련을 위하여 돋음체 동작을 활용한 춤 호흡 관계 연구에서 돋음체 동작 훈련을 통하여 상체 움직임에 변화가 있음을 보고하며 하체의 훈련의 중요성을 규명하였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한국춤 훈련 메소드 또한 하체 동작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춤사위를 할 때, 하체를 운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춤사위 용어에 한국춤 훈련 메소드를 적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한국춤 훈련 메소드는 춤동작을 할 때 하체 즉, 딛은 축의 호흡 운용을 중요시한 다. (2)번의 디딤세- 발놀림 호흡의 경우 디딘 축의 호흡의 변화에 따라 나아가는 다리가 변하는 것이라고 했고, (6)번의 한발들기-발바치 호흡의 경우 드는 발보다 디딘 축의 다리 가 받쳐져서 반대쪽 발이 들어져야 한다고 설명한다(배정혜 2004). 동작의 형태를 만들 때 디딘 축(중심 다리)의 운용을 강조한다.

    둘째, 상체 동작 춤사위 용어에 관해서는 하체의 울림과 맞물려야 한다고 여러 차례 강 조함으로 하체호흡법과 상체훈련법의 연결성을 중요시하였다. (16)번의 활체-궁체의 경 우, ‘팔을 위, 아래, 앞, 뒤, 옆에서 둥글게 활을 당기듯이 만드는 사위’ 라고 설명하고, 한국 춤 훈련 메소드는 ‘팔꿈치를 돌릴 때 하체와 맞물려야 한다’고 설명한다(배정혜 2004).

    셋째, 다양한 춤사위 용어를 한국춤 훈련 메소드 용어로 대입함으로 여러 춤사위의 공통 적 훈련법을 제시하였다. (14) 기러기체, 팔엇팔체, 앞뒤 비껴들기, 엇사선체, 앞, 뒤 비껴 펴 든 사위, 비스듬히 펴기, 사직지斜直指, 사직지斜直指, 추비- 사선나래체의 경우, 하체 의 울림과 맞물리면서 어깨가 사선이 되도록 들어 올려져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민속춤부 터 궁중정재에 이르기까지 동작 수행을 위한 공통된 훈련법을 소개하였다.

    Ⅲ. 결 론

    무대에 서기 전 또는 춤을 처음 배울 때 누구나 기초동작을 학습하거나 몸을 훈련함으로 써 더 나은 춤을 추기 위한 노력을 한다. 외국무용인 발레나 컨템포러리 댄스의 경우 과학 적으로 구조화된 훈련법이 있어서 지금까지 오랜 기간 활용되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 전 통춤은 춤 선생마다 개성이 강하고 춤 형태가 다양하여 광범위한 춤에 적용하기 위한 춤 훈련 방법이 필요하다.

    배정혜는 그의 저서에 12개의 자료(박금슬, 허순선, 서희주, 김옥진, 최정자, 정승희, 김 영희, 김근희, 장사훈, 정병호, 문화재연구소, 이용구, 손경순 등의 저서)에서 춤사위 용어 를 추출하여 한국춤 훈련 메소드 명칭과 함께 정리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한국춤 훈련 메 소드를 전통 춤사위 용어에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전통 춤사위를 훈련할 때 활용이 가능한 훈련법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한국춤 훈련 메소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한국춤 훈련 메소드는 춤동작을 수행할 때, 디딘 축의 호흡 변화를 강조하며 하체 의 호흡 운용을 중요시한다. 둘째, 상체 동작 춤사위 용어에 관해서는 하체의 울림과 맞물 려야 한다고 여러 차례 강조함으로 하체호흡법과 상체훈련법의 연결성을 중요시하였다. 셋째, 다양한 춤사위 용어를 한국춤 훈련 메소드 용어로 대입함으로 민속춤부터 궁중정재 에 이르기까지 춤사위의 공통적 훈련법을 제시하였다.

    한국춤 훈련 메소드를 전통춤 동작 훈련에 활용함으로써 기대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춤동작을 훈련할 때 동작을 세분하여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고 동작을 강화할 수 있다. 둘째, 동작 표현의 목적에 따라 훈련법을 선택하여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셋째, 춤을 추기 전 기초연습으로 한국춤 훈련 메소드를 활용할 수 있다. 넷째, 한국춤 훈련 메소 드를 통하여 동작의 체계적인 훈련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춤사위 용어를 동작의 형태나 구조적 관점이 아닌 춤 호흡의 운용법으로 해석하고 정리하여 전통춤 훈련법의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분석을 위하여 춤사위 용어에 제한적으로 적용하하였으나, 전통춤을 수행하는 무용수의 훈련과 교육현장 에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국춤 훈련 메소드를 전통춤의 다양한 부분에 활용하는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저자소개

    김향은 세종대학교 무용과에서 “문화예술회관의 운영 실태와 무용공연의 활성화 방안”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예술강사로 학교 교육을 하고 있으며 연구관심사는 한국 전통춤 기법 연구, 춤론, 무용연구법 등이며, 무용공연과 학술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Kim Hyang teaches at a school as an dance instructor, and her research interests include Korean traditional dance research, dance theory, and dance research methods. She is also engaged in dance performances and academic research.

    Figure

    Table

    한국춤 훈련 메소드 (Korean dance training method)

    춤사위 용어 ((Korean) dance terminology)

    1) 하체 호흡법 10번 엎어치기 호흡과 동일함

    한국춤 훈련 메소드와 세부 명칭 (Korean dance training method and detailed appellation)

    Reference

    1. 김근희 Kim, Keunhee [Gim, Geunhui]. 1992. 『곡선의 미학과 우리춤 Gokseonui mihakgwa urichum』[The Aesthetics of Curves and Korean Dance]. 서울: 원방각 [Seoul: Wonbanggak Publishing].
    2. 김미자 Kim, Mija [Gim, Mija]. 2017. “춤사위를 구성하는 기본 동작소(動作素)에 관한 연구 Chumsaewireul guseonghaneun gibon dongjaksoe gwanhan yeon-gu” [A Preliminary Investigation into the Basic Movement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3. 김영희 Kim, Younghee [Gim, Yeonghui]. 1998. 『호흡기본 Hoheup gibon』[Breathing Basics]. 서울: 현대미학사 [Seoul: Hyundae mihaksa Publishing].
    4. 김옥진 Kim, Okjin [Gim, Okjin]. 1981. 『한국무용 춤사위 Han-guk muyong chumsaewi』[Korean dance movement]. 서울: 이공도서 [Seoul: Igong Publishing].
    5. 김옥진, 최청자, 정승희 Kim, Okjin [Gim, Okjin], Choi Chungja [Choe Cheongja], Chung Seunghee [Jeong Seunghui]. 1989. 『무용이론과 춤추기 Muyong irongwa chumchugi』[Dance Theory and dance]. 서울: 행림 [Seoul: Hanglnm Publishing].
    6. 문화재관리국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Bureau. 1987. 『무무 Mumu』[Confucian Ritual Dance]. 대구: 국립문화 재연구소 [Daegu: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7. 박금슬 Park, Geumseul [Bak, Geumseul]. 1982. 『춤동작 Chum dongjak』[Dance moves]. 서울: 일지사 [Seoul: Iljisa Publishing].
    8. 배정혜 Bae, Junghye [Bae, Jeonghye]. 2004. 『배정혜의 7일간의 춤여행 Baejeonghyeui 7ilganui chumyeohaen』[Bae Jeonghye’s 7 Days Dance Trip]. 서울: 청아출판사 [Seoul: Cheong-a Publishing].
    9. 서희주 Seo, Heejoo [Seo, Huiju]. 2003. 『한국무용 호흡법과 용어 해설 Han-guk muyong hoheupbeopgwa yongeo haeseol』[Korean dance breathing techniques and terminology] 서울: 일지사 [Seoul: Iljisa Publishing].
    10. 이미영 Lee, Miyoung [Yi, Miyeong]. 2009. “한국 전통춤 “몸체” 특성 연구: 살풀이춤을 중심으로 Han-guk jeontongchum ‘momche’ teukseong yeon-gu: Salpuri jungsimeuro” [A Study on Body Characteristics: Focusing on Salpuri]. 『예술과 과학기술 Yesulgwa gwahak gisul』 [Journal of Art and Technology] 5(2): 45-73.
    11. 이민애, 이해준 Lee, Minae [Yi, Minae] and Lee Haijoon [Yi Haejun]. 2017. “라반움직임분석을 통한 한국춤 메소드 연구: 배정혜의 바기본 하체호흡을 중심으로 Raban umjikim bunseokeul tonghan Han-guk chum mesodeu yeon-gu: Bae Jeonghyeui bagibon hache hoheupeul jungsimeuro” [A Study on Korean Dance Methods through Laban Movement Analysis: Focused on Bae Jeong-hye's ‘Bar Gibon(Basic)’ Breath of Lower Body Movements]. 『한국체육학회지 Han-guk cheyuk hakhoeji』[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6(3): 495-511.
    12. 이순화, 안병순 Lee, Soonhwa [Yi, Sunhwa] and Ahn Byoungsoon [An Byeongsun]. 2019. “한국 전통춤 전수교육의 경험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국가무형문화재 승무, 살풀이춤, 태평무를 중심으로 Han-guk jeontong chum jeonsu gyoyukui gyeongheom insike daehan tamsaekjeok yeon-gu: gukga muyeong munhwajae seungmu, salpuri chum, taepyeongmureul jungsimeuro”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cognition of Experience of Passing Down Educ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Focusing on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Seungmu, Salpuri chum and Taepyeongmu].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Han-guk kontencheu hakhoe nonmunji』[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9): 122-134.
    13. 이용구, 손경순 Lee, Yongkoo [Yi, Yonggu] and Son Kyungsoon [Son Gyeongsun]. 2000. 『조선궁중무용 Joseon gongjung muyong』[Joseon court dance]. 서울: 열화당 [Seoul: Yeolhwadang Publishing].
    14. 이용희 Lee, Yong Hee [Yi, Yonghui]. 2016. “김수악류 진주교방 굿거리춤의 미학적 고찰: 융석融釋과 즉흥성卽興性을 中心으로 Gim Suak-ryu jinju gyobang gutgeorichumui mihakjeok gochal: yungseokgwa jeukheungseongeul jungsimeuro” [Aesthetic study of Gim Suak`s style Jinju Gyobang gutgeori dance: Focused on Yungseok and impromptu]. 『한국무용교육학회지 Han-guk muyong gyoyuk hakhoeji』 [The Korean Dance Education Society] 11(1): 113-127.
    15. 이유진 Lee, Yujin [Yi, Yujin]. 2009. “한국무용교육을 위한 디딤용어에 관한 연구 Han-guk munyong gyoyukeul wihan didim yeongeoe gwanhan yeon-gu” [A Study on ‘Di-dim’ for education in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한국무용교육학회지 Han-guk muyong gyoyuk hakhoeji』[The Korean Dance Education Society] 20(3): 65-80.
    16. 이은주 Lee, Eun Joo [Yi, Eunju]. 1999. “한국무용 춤사위용어의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Han-guk muyong chumsawi yongeoui pyojunhwa bangane gwanhan yeon-gu”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the Terms of Korean Dance Movements]. 『대한무용학회논문집 Daehanmuyonghakhoenonmunjip』[The Korean Society of Dance collection of dissertations] 25: 187-219.
    17. 이혜경 Lee, Hyekyung [Yi, Hyegyeong]. 2010. “한국무용 기교발현을 위한 호흡기법 훈련 모형 Han-guk muyong gigyo balhyeoneul wihan hoheup gibeop hunryeon mohyang”. [The Breathing Technique Training Model for Manifesting Korean Dance Techniques].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hD diss., Sejong University].
    18. 임학선 Lim, Haksun [Im, Hakseon]. 2000. “호흡표기법을 이용한 한국춤 분석 Hoheup pyogibeopeul iyonghan Han-guk chum bunseok” [The Analysis of Korean Dance through Breath Notation] 『한국무용연구 Han-guk muyong yeon-gu』 [The Society of Korean Dance Studies] 18: 1-19.
    19. ______________________. 2002. “호흡표기법을 이용한 한국춤 구조분석: 태극구조의 기본춤 중 ‘숨고르기’를 중심으로 Hoheup pyogibeopeul iyonghan Han-guk chum gujobunseok: taegeukgujoui gibonchum jung ‘sumgoreugi’reul jungsimeuro” [Structural Analysis of Korean Dance Using Breath Notation: Focusing on “Sumgoreugi” in Basic Taeguk Dance]. 『한국무용연구 Han-guk muyong yeon-gu』 [The Society of Korean Dance Studies] 20: 1-11.
    20. 장사훈 Jang, Sahun. 1982. 『한국무용개론 Han-guk muyong gaeron』[Introduction of Korean Dance]. 고양: 대광문화 사 [Goyang: Daegwang Publishing].
    21. 정단비 Jung, Danbi [Jeong, Danbi]. 2021. “한국무용 동작용어 표준화가 무용수행능력 개발에 미치는 영향 Han-guk muyong dongjak yongeo pyojunhwaga muyong suhaeng neungyeok gaebale michineun yeonghyang” [The Influence of Standardization of Korean Dance Movement Terminology on the Development of Dance Performance Ability in Terms].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22. 정병호 Jung, Byeongho [Jeong, Byeongho]. 1995. 『한국춤 Han-guk chum』』[Korean dance]. 서울: 열화당 [Seoul: Yeolhwadang Publishing].
    23. ______________________. 1986. 『농악 Nongak』[Korean Farmer’s Music-Dance] 서울: 열화당 [Seoul: Yeolhwadang Publishing].
    24. ______________________. 1981. 『춤사위 Chumsawi』』[Korean Dance Movement].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Han-guk munhwa yeseul jinheungwon] [Seoul: the Korea Culture and Arts Foundation].
    25. 정선혜 Jung, Seonhye [Jeong, Seonhye]. 2010. “동작연기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한국춤의 호흡운용법 Dongjak yeongiui pyohyeonryeok hyangsangeul wihan Han-guk chumui hoheup unyongbeop” [Breathing of Korean Dance for Develop Methodology of Expression].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Han-guk kontencheu hakhoe nonmunji』[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6): 249-257.
    26. 정혜진 Jeong, Hyejin. 2016. “최현 작품 <비상 >에 나타난 춤 동작 특징 연구 Choe Hyeon jakpum ‘Bisang’e natanan chum dongjak teukjing yeon-gu”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Motion in Choe Hyeon`s < Bisang >]. 『한국무용연구 Han-guk muyong yeon-gu』 [The Society of Korean Dance Studies] 34(1): 169-205.
    27. 허순선 Heo, Soonsun [Heo, Sunseon]. 1991. 『한국의 전통춤사위 Han-gukui jeontong chumsawi』[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 서울: 형설출판사 [Seoul: Hyeongseol Publishing].

    저자소개

    Footnote

      LIST
      Expo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