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pISSN: 2383-5214 /eISSN: 2733-4279

HOME E-SUBMISSION SITEMAP CONTACT US

Journal Detail

Journal Detail

Export Citation Download PDF PMC Previewer
A Study on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Dance Education Programs + 대학 무용표현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
  • EndNote
  • RefWorks
  • Scholar's Aid
  • BibTeX

Export Citation Cancel

Asian Dance Journal Vol.72 No. pp.109-128
DOI : https://doi.org/10.26861/sddh.2024.72.109

A Study on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Dance Education Programs +

Hanbyeol Oh*, Seunghye Jeong**, Byeongju An***
*MAstudent, Kyunghee University
**Instructor, Department of Dance, Kyunghee University
***Professor, Department of Dance, Kyunghee University

+ 이 논문은 주저자의 석사학위논문 ‘무용 전공 대학생의 교육 경험 및 요구도(경희대학교, 2024)’의 일부를 발췌하여 수정·보완한 것임을 밝힘.


* Oh Hanbyeol bwj0869@naver.com
** Jeong Seunghye khujsh@daum.net
*** Correspondence to An Byeongju dancefan@daum.net
December 1, 2023 January 28, 2024 March 11, 2024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demands for dance expression skills among dance major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conducting a survey of 297 dance major college students, and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derived for each ite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dance major college students hope for instructors who excel in dance expression skills and demand courses divided based on students' abilities, focusing on techniques during each session, ranging from 1 to 6 months in duration, twice a week during the first semester o f the second year, with each session lasting 30 to 60 minutes. This reflects the value of university dance expression education guidelines that respond to demand-centered requirements.



대학 무용표현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오한별*, 정승혜**, 안병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경희대학교 무용학 강사
***경희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초록


본 연구는 무용 전공 대학생의 무용표현력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무용 전공 대학생 2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무용 전공 대학생은 무용표현력 표현력이 뛰어난 무용수 를 교수진으로 희망하며, 정규 교과목을 통해 2학년 1학기에 1개월에서 6개월 미만의 기간 동안 주 2회, 1회당 30분에서 60분 동안 전공별 차별화 수업을 통해 학생의 능력별 로 나누어 실기 수행에 연기법 위주로 매시간 수업 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요자 중심의 요구를 반영한 대학 무용표현력 교육의 지침으로서의 가치가 있다.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무용의 형체는 움직임으로 나타나지만, 그 완성은 감정과 정서의 표현력에 있는 예술이 다. 이때 표현력은 무용수의 기량을 가늠하는 척도이자 작품의 완성도까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량이다(박근태 2018;나경아, 박현정 2011). 또한 작품의 질적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이자(김지선 2012), 무용 영재 판별의 요인이며(권오정 외 2010;오레지나 외 2005;유진 외 2010), 무용 콩쿠르의 중요한 심사 항목으로도 제시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오늘날 무용 공연은 무용에 대사와 같은 극을 더 한다던가, 댄스 뮤지컬 등 복합적인 공연예술의 형태로 그 장르의 벽이 없어지고 있어 그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양시은 2012). 물 론, 무용수는 춤을 잘 추기 위해 동작의 기술 수준뿐 아니라 체격과 체력, 심리상태, 환경 적 조건, 표현력 등의 여러 조건을 갖추어야 하지만(고흥환, 김기웅, 장국진 1999) 그중에 서도 표현력은 진정한 예술로서의 가치를 실현시키는 핵심이라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이에 따라 무용 교육에서는 신체적 기량 향상을 통한 형식미 추구를 넘어 표현력 교육의 중요성을 지각하고 있다. 이미 무용관련 연구에서 교육을 통한 무용표현력 향상은 주요 관심 주제로 주목받아 왔다(나경아, 박현정 2011;양시은 2012). 더불어 실천적 교육 현장 에서도 일부 대학의 무용학과에서는 연기법 등의 수업을 마련하고, 학원에서는 연기 강사 를 초청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무용수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직접적인 연기훈련 시스템은 이미 오래전부터 부 족한 것으로 지적받아 왔으며(이미영 2004), 그 노력 또한 교수자 개인의 암묵적 교수역량 에 의존되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박근태(2019)는 현재의 대학 무용 교육과 정이 신체적 역량 강화에만 집중되어 있어 무용표현력 발달에 어려움이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더욱이 최근 무용예술 분야에서는 표현력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높아진 실정이다. 그 이유는 무용 교육 현장에서 기교적 테크닉 훈련에는 많은 시간이 할애되어 외형적 측면 의 완성도가 매우 높아진 반면, 표현력에 대한 훈련은 미흡한 현실이기 때문이다(김정은 2014, 박근태 2018). 또한 이미영(2004)은 무용표현력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교육 적으로 접근되기보다는 무용수 개인의 자발적 노력에 맡겨지거나, 개인이 가진 내적 능력 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음을 문제로 지적한 바 있다. 즉, 무용 교육은 여전히 동작의 기량적 향상에 집중되어 있을 뿐 무용예술을 완성시키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는 표현력 교육은 미 비한 실정이다.

    이뿐만 아니라 최근 영상매체의 발달과 교수법의 향상은 무용동작의 수준을 상향 평준화 시킨 점에서 무용 평가에서 표현력이 미치는 영향이 높아졌기 때문이다(김영주 2002). 이외 에도 4차 산업혁명이 주도하는 현시대에는 기술적 역량을 넘어 인간의 고유 영역으로서 표현력이 갖는 절대 가치가 더욱 높아졌기 때문이다(방효주 2018;김한나, 박수영 2022).

    이와 관련된 그간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무용표현력과 관련된 연구는 무용표현력 향상 을 위한 방법론 탐색(윤병주 외 1998), 표현력 향상 관련 요인과의 영향력(홍연지, 강현우 외 2016) 등의 연구가 이루어져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무용에서 표현력의 중요성을 피력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는 측면에서 매우 의미 있는 연구라 할 수 있으나, 무용표현력 관련 연구가 1998년도에 처음 이루어진 이후 약 25년이 흐른 현시점에서 실천 적 노력을 가늠하는 연구는 미비하다. 특히 실천적 노력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대학 무용 전공생을 대상으로 한 무용표현력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는 것은 고급 수준의 무용 실기 실태를 진단하고, 향후 단계적인 교육 계획 수립의 기초가 될 수 있는 점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 전공 대학생의 무용표현력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는데 목 적이 있다.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는 것은 향후 무용표현력 교육을 위한 대학 교육과정 지 침 마련의 기초자료로서 연구의 가치가 있다.

    2. 무용표현력의 개념

    본 장에서는 무용표현력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무용표현력은 무용과 표현력 용어가 결 합된 합성어라는 점에서 표현력에 대한 개념을 선행하여 살펴본 후, 무용표현력의 개념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무용표현력은 학술적 개념에 있어 무용정서표현성 용어와 혼용 되는 점에서 이 두 용어 간의 개념 비교를 통하여 무용표현력의 개념을 더욱 구체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선행 학자들이 제시한 개념을 토대로 고찰하였으며, 관련 내용은 아래와 같다.

    먼저 표현력에 대한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표현력은 생각이나 느낌을 언어나 몸짓 따위 의 형상으로 드러내어 나타내는 능력임을 의미한다(양시은 2012;박지연 2015). 특히 김 민지(2018)는 내적으로 잠재된 감정의 표출이자, 신체를 통한 무언의 소통이면서 예술적 경험으로부터 축적된 미적 동작의 수행을 표현력으로 정의하였다.

    즉, 표현력은 생각이나 느낌이 언어나 몸짓이라는 형상으로의 표출을 전제로 하는 점에 서 이 용어는 일상생활에서도 사용되지만, 연극이나 무용 분야에서 더욱 중요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질 것으로 판단된다. 김민지(2018)의 경우, 표현력을 미적 동작의 수행으로 강조 하였는데 이는 김민지(2018)의 연구가 무용표현력 관련 연구임에 따른 정의라 판단된다. 즉, 표현력은 감정, 생각, 사상, 느낌의 표출을 의미하나 이것이 예술 장르와 결합될 때는 해당 예술적 표현의 주요매개의 미적 표현이라는 목적이 더욱 강조되는 것이라 할 수 있 다. 따라서 무용 분야에서 표현력의 개념이 적용되었을 때, 이를 무용표현력으로 명명하는 것이다. 단, 무용표현력으로 명명되었을 때는 무용이라는 환경, 무용이 갖는 미적 표현이라 는 목적의 이행 여부를 전제로 표현력의 의미가 생성된다.

    다음으로 무용표현력의 개념을 살펴보면, 무용표현력은 무용 수행의 궁극적 목적인 미 적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능력으로 정의된다(강혜원, 이용현, 박승하, 2011;박근태 2018). 또한 무용표현력은 무용수 내면의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신체 움직임을 통해 외 부적으로 표출하는 행위로서 자기표현을 능숙하게 해내는 것이며(박근태 2018), 무용수의 감정이 기술성과 예술성을 갖춘 몸짓으로 표출되어 작품 스토리를 창의적으로 나타내서 관중과 정서적 소통을 촉진하는 능력으로 정의된다(고효문, 김한별 2022). 종합하여보면, 무용표현력이란 인간의 감정과 사상, 생각의 표출이면서도 그 주체가 무용수이고, 내면을 외적으로 표현하는 궁극적인 목적을 미적 표현에 두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표 1

    표현력과 무용표현력의 개념(Concept of expressive power and dance expressive power)

    표현력
    저자 내용
    양시은 (2012)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언어나 몸짓 따위의 형상으로 드러내어 나타내는 능력
    박지연 (2015)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언어나 몸짓 따위의 영상으로 드러내어 나타내는 능력
    김민지 (2018) 내적으로 잠재된 인간의 사상과 감정의 표출이며, 신체를 통한 무언의 소통으로 예술적 경험으로부터 축적된 미적 동작의 수행을 의미
    무용표현력
    저자 내용
    강혜원, 이용현, 박승하 (2011) 무용수행의 궁극적인 목적인 미적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능력
    박근태 (2018) 무용수행의 궁극적 목적인 미적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능력
    박근태 (2018) 무용수 내면의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신체 움직임을 통해 외부적으로 표출하는 행위로서 자기표현을 능숙하게 해내는 것

    Ⅱ.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설문조사 대상은 무용 전공 학생이며, 설문조사는 서울시 및 경기도 지역에서 2023년 6월 21일부터 9월 11일까지 약 82일간 실시했다. 자료 수집은 조사 기간 내 비대 면 온라인 설문조사와 연구자가 직접 해당 학교에 방문하여 실시하는 대면 설문지 방법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유효한 표본 수는 총 297명이고, 인구통계적 특성은 <표 2>와 같이 정리했다.

    표 2

    응답자의 인구통계적 특성(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구분 빈도 퍼센트(%)
    성별 남학생 33 11.0
    여학생 267 89.0
    연령 20세(미만) 25 8.3
    20세-21세 164 54.7
    22세-23세 105 35.0
    23세(이상) 6 2.0
    무용 전공 한국무용 100 33.3
    현대무용 100 33.3
    발레 100 33.3
    무용교육 기관 (대학교) 경희대 122 41.0
    국민대 1 0.3
    단국대 5 1.6
    동덕여대 17 5.7
    상명대 5 1.6
    서경대 7 2.3
    성균관대 1 0.3
    성신여대 6 2.0
    세종대 16 5.3
    한양대(에리카) 2 0.6
    용인대 1 0.3
    이화여대 1 0.3
    중앙대 65 21.8
    한성대 5 1.6
    한예종 42 14.1
    한체대 1 0.3

    2. 조사 도구

    본 연구는 무용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무용표현력 학습자의 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해 이 주하(2021), 박주영(2021), 마혜일(2002) 연구에 제시된 설문지를 참고하여 본 연구의 목 적에 맞게 일부 수정 보완하여 최종 제작하였다. 이와 관련된 대학 무용표현력 교육 프로 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의 설문지 구성 절차는 <도판 1>과 같다. 물론, 본 연구의 조사 도구 개발에 참고된 선행연구의 주제가 부상, 신체정렬, 성인교육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주제와 동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러나 조사 대상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교육 방식의 요구를 조사하는 방법론적 접근에 있어서는 맥락을 같이하는 점에서 참고 자료로 활용하였다. 실질적으로 선행연구에 제시된 문항을 수정 보완하는 과정에 “~교육 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 “1회 강의 시간은 어느 정도를 희망하는가?”, “어떠한 교육 형태를 원하는가?”, “어떤 강사를 원하는가” 등으로 기존 선행연구에서도 원론적인 질문을 설문지에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참고 자료로서 타당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대한 구체 적인 문항 수정 보완 내용은 아래의 <표 3>과 같다. 또한 본 연구에서 직접적으로 참고한 논문은 학위논문이지만, 해당 논문 중 이주하(2021)는 학술지에 게재되어 타당도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된 대학 무용표현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도 조사에 대한 문항 구성은 <표 4>와 같다.

    도판 1

    설문지 구성 절차(Questionnaire Organization Procedure)

    SDDH-72-1-109_F1.gif
    표 3

    문항 수정 구성(Item Modifications)

    논문 저자 이주하 (2021) 박주영 (2021) 마혜일 (2002) 수정 문항
    논문 제목 무용전공대학생의 신체정렬교육에 관한 인식도 조사 무용 상해 예방 교육에 대한 예술고등학교 무용 전공생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의 성인 무용교육 실태 및 요구조사 대학 무용표현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원문항 18. 교과목으로 신체정렬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5. 교과목으로 무용 상해 예방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대학 무용과 교과목으로 무용표현력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22. 신체정렬 수업에서 필요한 점은 무엇인가요? 7. 무용 상해 예방 교육 프로그램에서 효과적 운영을 위한 중요한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2. 대학에서 이루어져야 할 무용표현력 관련 교육 방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복수 응답)
    16. 무용 수업시간에 신체 정렬 교육을 위해 필요한 시간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나요? 4. 무용 상해 예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회당 소요시간은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2-2. 귀하는 1회 강의시간이 어느 정도이길 원하십니까? 3. 대학 무용 수업시간에 무용표현력 교육을 위해 필요한 1회 수업 시간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나요?
    7-2. 어떠한 교육 형태를 원하십니까? 4. 대학에서의 무용표현력 교육은 어떤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나요?
    20. 능력별 수준별 신체정렬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나요? 5. 대학에서 능력별 수준별 무용표현력 수업이 이루어져야한다고 생각하나요?
    21. 신체정렬 교육에 대한 적정한 교수진은 무엇입니까? 6. 무용 상해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다면 누가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십니까? 6-2. 귀하는 어떤 강사를 원하십니까? 6. 대학에서 무용표현력 교육에 대한 적정한 교수진은 무엇입니까?
    23. 신체정렬 교육 기간은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4-2. 귀하는 한 강좌의 강의시간이 어느 정도이길 원하십니까? 7. 대학에서 무용표현력 교육 기간은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9. 주당 신체정렬 교육의 시간 수는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나요? 2. 무용 상해 예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실시주기는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3-2. 귀하는 일주일에 며칠정도 강의를 받길 원하십니까? 8. 대학에서 주당 무용표현력 교육 횟수는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24. 전공 수업과 관련된 신체정렬 과목 개설에 대한 본인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9. 무용 전공 수업과 관련된 무용표현력 과목 개설에 필요성에 대한 본인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26. 전공에 따라 교육목표 강의내용을 차별화 하여 기초적인 신체정렬 교육에 대한 강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0. 대학에서 전공에 따라 교육목표 강의내용을 차별화 하여 기초적인 무용표현력 교육에 대한 강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27. 신체정렬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 되는 것을 골라 주세요. (중복가능) 1. 무용 상해 예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었으면 하는 내용을 순위대로 3가지만 선택해주세요. 11. 대학에서 무용표현력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 되는 것을 골라주세요. (복수 응답)
    12. 대학에서 무용표현력 교육이 정규교과목으로 개설된다면, 어느 학기에 개설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 하십니까?
    표 4

    설문지 문항구성(Questionnaire composition)

    문항 내용 문항 수 선행연구 (출처)
    1. 대학 무용과 교과목으로 무용표현력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5개 이주하(2021)
    박주영(2021)
    마혜일(2002)
    2. 대학에서 이루어져야 할 무용표현력 관련 교육 방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복수 응답) 7개
    3. 대학 무용 수업시간에 무용표현력 교육을 위해 필요한 1회 수업 시간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나요? 5개
    4. 대학에서의 무용표현력 교육은 어떤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나요? 4개
    5. 대학에서 능력별 수준별 무용표현력 수업이 이루어져야한다고 생각하나요? 5개
    6. 대학에서 무용표현력 교육에 대한 적정한 교수진은 무엇입니까? 5개
    7. 대학에서 무용표현력 교육 기간은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5개
    8. 대학에서 주당 무용표현력 교육 횟수는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5개
    9. 무용 전공 수업과 관련된 무용표현력 과목 개설에 필요성에 대한 본인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5개
    10. 대학에서 전공에 따라 교육목표 강의내용을 차별화 하여 기초적인 무용표현력 교육에 대한 강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5개
    11. 대학에서 무용표현력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 되는 것을 골라주세요. (복수 응답) 4개
    12. 대학에서 무용표현력 교육이 정규교과목으로 개설된다면, 어느 학기에 개설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 하십니까? 8개

    3. 자료처리 방법

    본 연구는 수집된 설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IBM SPSS Statistics 27 통계분석 프로그램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분석을 실시했다.

    첫째, 응답자의 기본적인 표본(인구통계)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표 2>와 같이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했다.

    둘째, 무용 전공 대학생의 무용표현력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해 각 문항별(총 12개 문항)로 빈도와 백분율을 도출하고자 했다.

    Ⅲ. 연구 결과

    1. 무용표현력 교육(대학 무용 교과목)의 필요성

    “대학 무용과 교과목으로 무용표현력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을 도출한 결과는 <표 5>와 같이 나타났다. 전체 집단에서는 “조금 그렇다”의 응답 자가 가장 많았다.

    표 5

    무용표현력 교육(대학 무용 교과목)의 필요성 (Necessity of Dance Expression Education(University Dance Course))

    문항 내용 전공 구분 빈도 퍼센트(%)
    대학 무용과 교과목으로 무용표현력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전체 전혀 아니다 2 0.6
    조금 그렇지 않다 9 3.0
    보통이다 42 14.1
    조금 그렇다 125 42.0
    매우 그렇다 119 40.0
    합계 297 100

    2. 무용표현력 관련 교육 방식

    “대학에서 이루어져야 할 무용 표현력 관련 교육 방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을 도출한 결과는 <표 6>과 같이 나타났다. 전체 집단에서는 “무용 실기 수업 중에 실기 수행에 맞춰서 매 시간 표현력 수업을 받는다.”의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표 6

    무용표현력 관련 교육 방식(Educational methods related to dance expression)

    문항 내용 전공 구분 빈도 퍼센트(%)
    대학에서 이루어져야 할 무용표현력 관련 교육 방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전체 무용 실기 수업과 분리하여 무용표현력 관련 전문 수업을 별도로 받는다. 114 38.3
    무용 실기 수업 중에 실기 수행에 맞춰서 매 시간 무용표현력 수업을 받는다. 121 40.7
    전체 교육과정에서(예시 8주) 일부를 무용표현력 관련 수업으로 별도로 받고, 무용 실기에 적용할 수 있는 시간을 갖는 형태로 받는다. 90 30.3
    무용 실기 수행 수준별로 나눠, 실기 수행 능력이 중/상급인 그룹을 대상으로 무용표현력 수업을 별도로 진행한다. 56 18.8
    무용 실기 수행 수준과 관련 없이 모든 단계에서 무용표현력 수업을 진행한다. 65 21.8
    무용표현력은 개인의 노력에 달려 있으므로 별도로 교육하지 않는다. 18 5.3
    기타 2 0.4
    합계 466 155

    3. 무용표현력 1회 교육 시간

    “대학 무용 수업시간에 무용표현력 교육을 위해 필요한 1회 수업 시간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나요?”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을 도출한 결과는 <표 7>과 같이 나타났다. 전체 집단 에서는 “30분-60분 미만”의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표 7

    무용표현력 1회 교육 시간(Dance Expression 1 Training Time)

    문항 내용 전공 구분 빈도 퍼센트(%)
    대학 무용 수업시간에 무용표현력 교육을 위해 필요한 1회 수업 시간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나요? 전체 30분 미만 26 8.7
    30분-60분 미만 141 47.4
    60분-90분 미만 111 37.3
    90분-120분 미만 17 5.7
    120분 이상 2 0.6
    합계 297 100

    4. 무용표현력 교육 형태

    “대학에서의 무용표현력 교육은 어떤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나요?”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을 도출한 결과는 <표 8>과 같이 나타났다. 전체 집단에서는 “정규 교과목” 의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표 8

    무용표현력 교육 형태(Form of Dance Expression Education)

    문항 내용 전공 구분 빈도 퍼센트(%)
    대학에서의 무용표현력 교육은 어떤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나요? 전체 정규 교과목 167 56.2
    별도 특강 110 37.0
    개인 과외 17 5.7
    기타 3 1.0
    합계 297 100

    5. 능력별/수준별 무용표현력 교육 정도

    “대학에서 능력별 수준별 무용표현력 수업이 이루어져야한다고 생각하나요?”에 대한 빈 도와 백분율을 도출한 결과는 <표 9>와 같이 나타났다. 전체 집단에서는 “조금 그렇다”의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표 9

    능력별/수준별 무용표현력 교육 정도(Education level of dance expression by ability/level)

    문항 내용 전공 구분 빈도 퍼센트(%)
    대학에서 능력별 수준별 무용표현력 수업이 이루어져야한다고 생각하나요? 전체 전혀 아니다 13 4.3
    조금 그렇지 않다 26 8.7
    보통이다 86 28.9
    조금 그렇다 121 40.7
    매우 그렇다 51 17.1
    합계 297 100

    6. 무용표현력 교육(대학에서 적정한 교수진)

    “대학에서 무용표현력 교육에 대한 적정한 교수진은 무엇입니까?”에 대한 빈도와 백분 율을 도출한 결과는 <표 10>과 같이 나타났다. 전체 집단에서는 “무용수 중 표현력이 뛰어 난 사람”의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표 10

    무용표현력 교육(대학에서 적정한 교수진)(Dance expression education(university faculty))

    문항 내용 전공 구분 빈도 퍼센트(%)
    대학에서 무용표현력 교육에 대한 적정한 교수진은 무엇입니까? 전체 연기 전문가 120 40.4
    호흡 전문가 31 10.4
    음악 전문가 13 4.3
    무용수 중 표현력이 뛰어난 사람 124 41.7
    기타 9 3.0
    합계 297 100

    7. 무용표현력 교육 기간

    “대학에서 무용표현력 교육 기간은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에 대한 빈 도와 백분율을 도출한 결과는 <표 11>과 같이 나타났다. 전체 집단에서는 “1개월-3개월 미만”의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표 11

    무용표현력 교육 기간(Dance Expression Training Period)

    문항 내용 전공 구분 빈도 퍼센트(%)
    대학에서 무용표현력 교육 기간은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1개월 미만 21 7.0
    1개월-3개월 미만 115 38.7
    3개월-6개월 미만 93 31.3
    6개월-1년 미만 37 12.4
    1년 이상 31 10.4
    합계 297 100

    8. 무용표현력 주당 교육 횟수

    “대학에서 주당 무용표현력 교육 횟수는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에 대 한 빈도와 백분율을 도출한 결과는 <표 12>와 같이 나타났다. 전체 집단에서는 “2회”의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표 12

    무용표현력 주당 교육 횟수(Number of training sessions per week for dance expression)

    문항 내용 전공 구분 빈도 퍼센트(%)
    대학에서 주당 무용표현력 교육 횟수는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1회 84 28.2
    2회 143 48.1
    3회 53 17.8
    4회 14 4.7
    5회 3 1.0
    합계 297 100

    9. 무용표현력 교과목 개설 필요성(대학 무용 전공 수업)

    “무용 전공 수업과 관련된 무용표현력 과목 개설에 필요성에 대한 본인의 생각은 어떻 습니까?”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을 도출한 결과는 <표 13>과 같이 나타났다. 전체 집단에 서는 “조금 그렇다”의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표 13

    무용표현력 교과목 개설 필요성(대학 무용 전공 수업) (The necessity of opening a dance expression course(college dance major class))

    문항 내용 전공 구분 빈도 퍼센트(%)
    무용 전공 수업과 관련된 무용표현력 과목 개설에 필요성에 대한 본인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전체 전혀 아니다 4 1.3
    조금 그렇지 않다 8 2.6
    보통이다 77 25.9
    조금 그렇다 106 35.6
    매우 그렇다 102 34.3
    합계 297 100

    10. 전공별 무용표현력 교육 차별화 및 필요성

    “대학에서 전공에 따라 교육목표 강의내용을 차별화하여 기초적인 무용표현력 교육에 대한 강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을 도출한 결과는 <표 14> 와 같이 나타났다. 전체 집단에서는 “조금 그렇다”의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표 14

    전공별 무용표현력 교육 차별화 및 필요성 (Differentiation and necessity of dance expression education by major)

    문항 내용 전공 구분 빈도 퍼센트(%)
    대학에서 전공에 따라 교육목표 강의내용을 차별화 하여 기초적인 무용표현력 교육에 대한 강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전혀 아니다 9 3.0
    조금 그렇지 않다 8 2.6
    보통이다 71 23.9
    조금 그렇다 132 44.4
    매우 그렇다 77 25.9
    합계 297 100

    11. 무용표현력 교육의 필요성 요인

    “대학에서 무용표현력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골라주세요.”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을 도출한 결과는 <표 15>와 같이 나타났다. 전체 집단에서는 “연기법”의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표 15

    무용표현력 교육의 필요성 요인(Necessary Factors for Dance Expression Education)

    문항 내용 전공 구분 빈도 퍼센트(%)
    대학에서 표현력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 되는 것을 골라주세요. (복수 응답) 전체 연기법 205 69.0
    호흡법 155 52.1
    리듬수업 116 39.0
    기타 9 3
    합계 485 163

    12. 무용표현력 교과목 개설 학기

    “대학에서 무용표현력 교육이 정규교과목으로 개설된다면, 어느 학기에 개설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하십니까?”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을 도출한 결과는 <표 16>과 같이 나타 났다. 전체 집단에서는 “2학년 1학기”의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표 16

    무용표현력 교과목 개설 학기(Semester for the Opening of Dance Expression Course)

    문항 내용 전공 구분 빈도 퍼센트(%)
    대학에서 무용표현력 교육이 정규교과목으로 개설된다면, 어느 학기에 개설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전체 1학년 1학기 30 10.0
    1학년 2학기 57 19.1
    2학년 1학기 87 29.2
    2학년 2학기 48 16.1
    3학년 1학기 42 14.1
    3학년 2학기 15 5.0
    4학년 1학기 12 4.0
    4학년 2학기 6 2.0
    합계 297 100

    Ⅳ. 논의

    본 연구는 무용 전공 대학생의 무용표현력 교육 요구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무용표현 력 교육을 위한 대학 교육과정 지침 마련의 기초자료로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논의하여 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무용표현력 교육 요구도에 대한 항목 12가지의 결과를 종합하여보면, 전반적으로 교육의 필요성은 높게 인식하며, 수업 중에 실기 수행에 맞춰서 매 시간 수업을 받길 희망 하며, 1회 30분에서 60분, 정규 교과목에서, 능력별 수준을 나누어, 표현력이 뛰어난 무용 수를 교수진으로 희망하며, 1개월-6개월 미만의 기간동안, 주당 2회, 전공 수업으로 배우 고 싶어 하고, 전공별로 다르게, 연기법 위주로, 수업을 2학년 1학기에 배우기를 가장 원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선행연구를 토대로 논의하여 보면, 무용 교육에서 표현력이 중요한 것으 로 언급된 나경아, 박현정(2011), 박근태(2018)의 연구와 일치하며, 무용에서의 주 요소의 보조요소로서 제시되는 표현력은 타 보조요소인 신체정렬, 상해 예방등의 교육과 동일한 맥락에서 교육을 요구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주하의 연구에서도 무용의 보조요소 로서 신체정렬 교육에 대하여 교과목으로 배우길 원하며, 능력별 수준별로 나누어 수업받 기를 원하고, 해부학지식을 갖춘 무용교육자에게, 전공별 차별화 수업을 원하는 것과 부분 적으로 일치하는 결과이며, 또한 상해 예방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된 박주영(2021)의 연구 에서 상해 예방 교육을 1회당 30분에서 60분 동안 수업받기를 원하는 것과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외에도 사회교육원의 무용 교육 필요성이 강조된 마혜일(2002)의 연 구에서 무용 교육을 주로 실기를 통한 학습을 받으며, 각 분야의 전문가에게, 주 2회 수업 을 원하는 것과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결과이다.

    즉, 무용 전공자를 위한 무용표현력 교육은 전문가 또는 지도자 관점에서만 강조되는 관점이 아닌 학습자 관점에서도 필요로 하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무용의 보조요소로서 제기되는 상해 예방, 신체정렬 등과 비슷한 맥락에서 교육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무용 교육에서 무용실기 이외에 부가적으로 적용되는 교육은 그 필요와 접근이 비슷한 수준에서의 교육을 요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무용 전공 대학생의 무용표현력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무용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서울, 경기 지역 16개의 대학에 서 2023년 6월 21일부터 9월 11일까지 약 82일간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 문항별(총 12개 문항)로 빈도와 백분율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보면 아래와 같다.

    무용표현력 교육 요구도의 결과,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중에 실기 수행에 맞춰서 매 시간 수업을 받길 원하며, 1회 30분에서 60분 동안, 정규 교과 목으로, 학생의 능력별 수준을 나누어, 표현력이 뛰어난 무용수를 교수진으로 희망하며, 1개월-6개월 미만의 기간동안, 주당 2회, 전공별 차별화 수업을, 연기법 위주로, 2학년 1 학기에 배우기를 가장 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을 내려보면, 무용표현력은 무용수행에 능숙한 무용수 중에서도 표현력이 우수한 자를 교수자로 하여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제도권 교육을 받 고자 희망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무용표현력에 대한 역량 강화가 개인의 책임이 아닌 학교 교육을 통하여 보강될 수 있기를 희망하는 학습자의 교육 수요를 파악한 것으로 향후 대학 무용 교수자는 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대학 무용 교육을 위해서 무용 동작의 기량 향상 이 상의 표현 확장을 통한 예술성 향상에 목표를 두어야 하며, 대학 차원에서는 고차원적 무 용예술 수행을 위한 보다 확장된 역할과 책임의 필요성을 제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후속연구를 제언해 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본 연구결과에서 무용표현력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현재까지 무용 표현력 교육은 강조되어 온 반면, 이에 대한 실천적 노력이 미비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구체적인 무용표현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무용표현력 관련 교육 요구도에 있어, 무용전공자이면서 표현력에 대한 역량이 높은 지도자의 수업을 요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무용실기 교사를 대상으로 무용표현력 관련 교수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실천적 노력이 필요 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무용표현력과 관련된 양적 연구를 진행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후 속 연구에서는 무용표현력 교육 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위의 제시된 제언을 구체화하여 보면, 특히 무용표현력 교육의 주체로서 무용수 중에서 표현력이 우수한 자가 수업을 담당할 것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난 점에서 이는 향후 대 학 강사 초빙에 있어서 유용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무용수 중에서 표현력이 우수한 자는 표준화된 데이터가 아닌 개인의 경험에 근거한 체험적 지식 으로 체화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때 이들의 경험을 조사하여 유형화하는 것은 무용표 현력 교육 프로그램의 핵심 교육 내용이 될 수 있는 점에서 관련 질적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저자소개

    오한별은 경희대학교 무용학부 및 동대학원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안병주 춤 이음 무용단 단원으로 활동 중이며, 김백봉부채춤(평안남도 무형문화재 제3호) 전수자이다.

    Oh Hanbyeol obtained two master's degrees from Kyunghee University, one from the department of dance. She is currently working as a member of the Ahn Byeong-ju Dance Ieum Dance Company and is a jeonsuja for of Gim Baekbong Fan Dance (Pyeong-annamdo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3).

    정승혜는 골든캣츠 대표 및 경희대학교/한양대학교/연세대학교 등에서 겸임/외래교수/책임으로 재직 중이다. 2020년 ‘대한민국 환경봉사대상’에서 서울시장 상장(장관급), 2021년 ‘전통문화예술 대상’에서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표창장(장관급) 등 총 16건의 수상실적이 있다. 경희대학교 무용학부 문화아이템팩토리센터의 상임연구원으로 활동하 며, 2010년부터 현재까지 SSCI에 등재된 국제저널을 포함, 국내외 저널에 45편 이상의 논문을 출간했다(SSCI 15편).

    Jeong Seunghye is the CEO of Golden Cats and is at Kyunghee University, Hanyang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Jeong has received 16 awards, including the Seoul Mayor's Listing (Ministerial Level) at the Korea Environmental Service Awards in 2020 and the Chairman of the National Assembly's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endation Award (Ministerial Level) at the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wards in 2021. He is a permanent researcher at the Culture Item Factory Center in Kyunghee University's Department of Dance and has published more than 45 paper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s from 2010 to the present, including SSCI journals.

    안병주는 현 경희대학교 무용학부 학부장이며, 평안남도 무형문화재 제3호 김백봉부채춤 보유자이다. 이북5도 무형문 화재 연합회 회장, 한국무용예술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사)대한무용협회의 수석부이사장을 맡고 있다.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막 공연 “태극 : 우주의 조화”의 예술감독을 맡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무용학부 문화아이템팩토리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으며, SSCI에 등재된 국제저널을 포함, 국내외 저널에 79편 이상의 논문을 출간했다.

    An Byeongju is the current dean of the department of dance at Kyunghee University and Human Treasure for Gim Baekbong Fan Dance, the third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Pyongannam-do. He has served as the president of the Associa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North Korea, the president of the Korean Dance Arts Association, and is currently the senior vice president of the Korean Dance Association. Representative activities include serving a the artistic director of the opening performance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Taegeuk: Harmony of the Universe." He is currently the director of the Cultural Item Factory Center in the Department of Dance at Kyunghee University and has published more than 79 paper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s, including SSCI journals.

    Figure

    SDDH-72-1-109_F1.gif

    설문지 구성 절차(Questionnaire Organization Procedure)

    Table

    표현력과 무용표현력의 개념(Concept of expressive power and dance expressive power)

    응답자의 인구통계적 특성(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문항 수정 구성(Item Modifications)

    설문지 문항구성(Questionnaire composition)

    무용표현력 교육(대학 무용 교과목)의 필요성 (Necessity of Dance Expression Education(University Dance Course))

    무용표현력 관련 교육 방식(Educational methods related to dance expression)

    무용표현력 1회 교육 시간(Dance Expression 1 Training Time)

    무용표현력 교육 형태(Form of Dance Expression Education)

    능력별/수준별 무용표현력 교육 정도(Education level of dance expression by ability/level)

    무용표현력 교육(대학에서 적정한 교수진)(Dance expression education(university faculty))

    무용표현력 교육 기간(Dance Expression Training Period)

    무용표현력 주당 교육 횟수(Number of training sessions per week for dance expression)

    무용표현력 교과목 개설 필요성(대학 무용 전공 수업) (The necessity of opening a dance expression course(college dance major class))

    전공별 무용표현력 교육 차별화 및 필요성 (Differentiation and necessity of dance expression education by major)

    무용표현력 교육의 필요성 요인(Necessary Factors for Dance Expression Education)

    무용표현력 교과목 개설 학기(Semester for the Opening of Dance Expression Course)

    Reference

    1. 강혜원, 이용현, 박승하 Kang, HyeWon [Gang Hyewon], Lee YongHyun [Yi Yonghyeon], and Park SeungHa [Bak Seungha]. 2011. “무용표현력의 구성요인 탐색 muyongpyohyeon ryeokuiguseongyoin tamsaek” [Exploring the Components of Dance Expression].「한국체육학회지 Han-gukcheyuk hakoeji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50(6): 249-259.
    2. 고효문, 김한별 Go, HyoMun, Kim HanByeol [Gim Hanbyeol]. 2022. “무용수의 신체적자기지각과 감정이입 및 무용표현력간의 관계 muyongsuui sinchejeokjagijigakgwa gamjeongiip mit muyongpyohyeonryeokganui gwangy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perception, empathy, and dance expression of a dancer].「스포츠사이언스 seupocheusaieonseu [Sport Science]」40(3): 353-362.
    3. 고흥환, 김기웅, 장국진 Go, HeungHwan, Kim Giung [Gim Gi-ung], and Jang GukJin. 1994.「운동행동의 심리학 undonghaengdongui simnihak [The Psychology of Sports Behavior]」. 서울:보경문화사 Seoul: Bogyeongmunhwasa [Bogyeong Publishing].
    4. 권오정, 윤영길, 이애순 Kwon, Ohjung [Gwon, Ojeong], Yun YoungKil [Yun Yeonggil], and Lee YeSoon [Yi Aesun]. 2010. “긍정심리학 관점에서 본 무용수의 심리체험 개념구조 geungjeongsimnihak gwanjeomeseo bon muyongsuui simnicheheom gaenyeomgujo” [The conceptual Structure of a Dancer's Psychological Experience from a Positive Psychology Perspective].「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Han-guk seupocheu simni hakhoeji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21(2):1-14.
    5. 김민지 Kim, MinJi [Gim, Minji]. 2018. “무용인의 표현력에 관한 사회심리학적 연구 Muyonginui pyohyeonryeoke gwanhan sahoe simnihakjeok yeon-gu” [A Social Psychological Study on the Expression of Dancers].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hD dissertation, Sukmyeong Women’s University.].
    6. 김영주 Kim, YoungJoo [Gim, Yeongju]. 2002. “VTR을 통한 영상교육이 창작무용 학습에 미치는 영향 VTReul tonghan yeongsang gyoyuki changjak muyong hakseube michineun yeonghyang” [The Effect of Video Education on Creative Dance Learning through VTR].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MA thesis, Han-guk Gyowon University.].
    7. 김정은 Kim, JeongEun. 2014.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창작능력과 일상적 창의성 향상을 위한 '살아나는 몸 · 나 · 너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Hyeondae muyongjeongong daehaksaengui muyong changjak neungryeokgwa ilsangjeok changuiseong hyangsangeul wihan 'salananeun mom na neo peurogeuraem' gaebalgwahyogwa”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living body, me, you program' to improve the dance creation ability and everyday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odern dance].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hD Dissertation, Dongdeok Women’s University].
    8. 김지선 Kim, JiSun [Gim, jiseon]. 2012. “무용표현의 극대화를 위한 음악교육의 필요성 Muyongpyohyeonui geukdaehwareul wihan eumak gyoyukui pilyoseong” [Necessity of Music Education to Maximize Dance Expression].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MA thesis, Sukmyeong Women’s University].
    9. 김한나, 박수영 Kim, HanNa [Gim, Hana], Park SooYoung [Bak Suyeong]. 2022. “발레리나의 정서표현성 형성 경험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 방법론 접근 ballerinaui jeongseo pyohyeonseong hyeongseong gyeongheome gwanhan yeon-gu : geungeo iron bangbeopnon jeopgeun”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Forming Emotional Expression of Ballerina: An Approach to the Evidence Theory Methodology].「 대한무용학회논문집 Daehan muyong hakhoe nonmunjip [The Korean Journal of Dance)]」80(1): 73-92.
    10. 나경아, 박현정 Na, KyungAh [Na, Gyeonga], Park HyunJung [Bak Hyeonjeong]. 2011.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자기애적 성격과 무용정서표현성 간의 관계 Muyong jeon-gong daehaksaengdeurui jagiaejeok seonggyeok gwa muyong jeongseo pyohyeonseong ganui gwan-gye” [Relationship between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the expressiveness of dance emotions].「무용역사 기록학 Muyong yeoksa girokhak [Asian Dance Journal]」22: 1-18.
    11. 마혜일 Ma, Hyeil. 2002.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의 성인 무용교육 실태 및 요구조사 Daehak buseol sahoegyoyukwonui seong-in muyong gyoyuk siltae mit yogujosa” [A Study on the Status and Requirements of Adult Dance Education in the Social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y].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MA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2. 박근태 Park, GeunTae [Bak, Geuntae]. 2018. “무용수의 무용표현력에 관한 국내 학술분야 연구동향 Muyongsuui muyong pyohyeonryeoke gwanhan gungnae haksulbunya yeon-gu donghyang” [A Study on the Dance Expression of Dancers in Korea].「디지털융복합연구 Dijiteol yungbokab yeon-gu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16(13): 621-631.
    13.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9.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표현력 향상을 위한 APIECE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Hyeondae muyong jeongong daehaksaengui muyong pyohyeonryeok hyangsangeul wihan APIECE peurogeuraem gaebalgwa hyogwa”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PIECE Program to Improve Dance Expression of Modern Dance Major College Students].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MA thesis, Dan-guk University.].
    14. 박주영 Park, Juyeong [Bak, Juyeong]. 2021. “무용 상해 예방 교육에 대한 예술고등학교 무용 전공생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Muyong sanghae yebang gyoyuke daehan yesul godeung hakgyo muyong jeon-gongsaengui insik mit yogudo josa”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Demand of Dance Students in Art High School for Dance Injury Prevention Education].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MA thesis, Gyeonghui University.].
    15. 박지연 Park, JiYeon [Bak, Jiyeon]. 2015. “무용수의 감정표현과 의미전달에 있어 연극적 표현기법의 필요성 Muyongsuui gamjeong pyohyeon-gwa uimijeondale isseo yeon-geukjeok pyohyeongibeobui pilyoseong” [Necessity of theatrical expression techniques in expressing emotions and conveying meanings of dancers].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MA thesis, Sukmyeong Women’s University.].
    16. 방효주 Bang, HyoJoo [Bang, Hyoju]. 2018.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미술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4cha saneophyeokmyeong sidaee ttareun misul gyoyukui pilyoseonggwa banghyang” [Necessity and Direction of Art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MA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17. 양시은 Yang, SiEun. 2012. “Constantin Stanislavsky의 연기이론을 적용한 무용수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연구 Constantin Stanislavskyui yeongiironeul jeogyonghan muyongsuui pyohyeonnyeok hyangsangeul wihan yeongu”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ancers' Expression by Applying Constantine Stanislavsky's Theory of Acting].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MA thesis, Hanyang University].
    18. 오레지나, 문영, 김윤진, 안문경, 김기웅 Oh, Regina, Moon Young [Mun Yeong], Kim YoonJin [Gim Yunjin], Ahn MoonGyeong [An Mun-gyeong], Kim KeeWoong [Gim Gi-ung]. 2005. “무용영재성의 요인 탐색 Muyong yeongjaeseongui yoin tamsaek” [Exploring the Factors of Dance Giftedness].「한국체육 학회지 Han-guk cheyuk hahkoeji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44(4): 745-752.
    19. 유진, 조경아 Yoo, Jin [Yu, Jin], Joe KyungA [Jo Gyeong-a]. 2010. “무용 재능발달 척도 개발 및 구조적 타당화 검증; 지도자 평가적 접근 Muyong jaeneung baldal cheokdo gaebal mit gujojeok tadanghwa geomjeung; jidoja pyeonggajeok jeopgeun” [Development and Structural Validation of Dance Talent Development Scale; Leader Evaluation Approach]. 「한국체육학회지 Han-guk cheyuk hakhoeji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49(6): 549-559.
    20. 윤병주 Yoon, ByungJoo [Yun, Byeongju]. 1998. “무용즉흥작업의 내적 표현력발달을 위한 연구 Muyongjeukheung jageobui naejeok pyohyeon ryeokbaldaleul wihan yeon-gu”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Inner Expression of Dance Revival Work].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MA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1. 이미영 Lee, MiYoung. 2004. “무용수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연기훈련법 연구 Muyongsuui pyohyeonnyeok hyangsangeul wihan yeongihullyeonbeop yeongu” [A Study on the Acting Training Method to Improve the Expression of Dancers].「대한무용학회논문집 daehanmuyonghakoenonmunjip [The Korean Journal of Dance]」41: 83-100.
    22. 이주하, 김영미 Lee, JooHa [Yi, Juha], Kim Youngmi [Gim Yeongmi]. 2021. "무용전공대학생의 신체정렬교육에 관한 인식도 조사 Muyong jeongong daehaksaengui sinche jeongryeol gyoyuke gwanhan insikdo josa"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Body Alignment Education of Dance Major Students].「한국무용학 회지 Han-guk muyong hakhoeji [The Korean Association of Dance]」20(4): 27-36.
    23. 홍연지, 강현우 Hong, Yeonji, Kang Hyunwoo [Gang Hyeonu]. 2016. “직업무용수들의 감정이입능력이 무용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무용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Jigeop muyongsudeului gamjeong iip neungryeoki muyong pyohyeonryeoke michineun yeonghyang: muyong molibui maegae hyogwareul jungsimeuro” [The Effect of Professional Dancers' Empathy on Dance Express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ance Immersion].「한국무용과학회지 Han-guk muyong gwahakhoeji [Offici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33(4): 47-61.

    저자소개

    Footnote

      LIST
      Export citation